KR101404628B1 -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628B1
KR101404628B1 KR1020130061103A KR20130061103A KR101404628B1 KR 101404628 B1 KR101404628 B1 KR 101404628B1 KR 1020130061103 A KR1020130061103 A KR 1020130061103A KR 20130061103 A KR20130061103 A KR 20130061103A KR 101404628 B1 KR101404628 B1 KR 101404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plate
shape
electronic devi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순
김선종
Original Assignee
김선종
황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종, 황창순 filed Critical 김선종
Priority to KR102013006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28B1/ko
Priority to PCT/KR2014/004782 priority patent/WO2014193167A1/ko
Priority to CN201480042746.7A priority patent/CN105432157B/zh
Priority to EP14803408.5A priority patent/EP3007528A4/en
Priority to EP18193747.5A priority patent/EP3439443A1/en
Priority to JP2016516446A priority patent/JP6480426B2/ja
Priority to US14/894,361 priority patent/US98773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12Printed circuits or mounted components having integral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4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전자기기를 휘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어짐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와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몸체의 휘어짐을 제어하는 휨조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휨조절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유지하려고 하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온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폴리머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flexilb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전자기기를 휘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어짐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와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영상이나 문자 등을 표현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용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롭고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형의 TV와 같은 경우에는 중심부와 양측 단부의 시야각이 달라져서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영상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8640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와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자체 모양을 변화시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액추에이터(80)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본래의 모양과 변형된 모양이 번갈아 변경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8640호에 기재된 기술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80)를 유연한 몸체(20)의 내부에 구비하여 전자기기를 휘어지도록 제어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액추에이터(80)를 한가지 소재의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화면이 휘어진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평평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80)를 형성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를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열과 전자파에 의해 전자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이나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유연성이 좋은 오엘이디(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도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 회로기판으로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 뒷커버 또는 보호 케이스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휨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 전체를 일정한 각도로 휘어지게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현실감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내부, 뒷커버 또는 보호 케이스에 구비되는 휨조절부를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또는 폴리머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플레이트를 접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온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휘어진 상태와 평평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휨조절부를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를 전기신호에 의하여 특정온도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하고, 제2플레이트의 일측 면에는 형상기억합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층을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발열층에서 발생된 열과 전자파가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폐층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를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을 커버하는 설치 박스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 양측면과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온에서는 상기 몸체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가 양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형상기억 스프링이 양측으로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은 초탄성 상태가 되어 기억된 형상으로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몸체의 양측이 당겨지게 되어 전자기기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휘어진 상태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휨조절부를 형성하는 형상기억 스프링의 외면에는 형상기억합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층을 형성하고, 형상기억 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 박스의 표면에는 발열층에서 발생된 열과 전자파가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폐층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과, 상기 몸체의 휘어짐을 제어하는 휨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휨조절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유지하려고 하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온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폴리머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는 초탄성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보다 탄성력이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발열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열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온에서 링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폴리머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특정온도 이상에서 원호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휨조절부는 평판 또는 링형상의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특정 온도 이상일 경우 평판 또는 링형상에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보조 플레이트를 가열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열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휨조절부는 상온에서는 플렉시블한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기억된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몸체의 양측면과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의 표면에는 발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의 외측에는 형상기억 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 박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 박스의 표면 전체 또는 일측면에는 열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휨조절부는 상기 설치 박스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내부 양측 면에 연결되는 커버 박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 박스의 전면과 후면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두께가 얇은 부분의 중심부가 오목하게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유연성이 좋은 오엘이디(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도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 회로기판으로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 뒷커버 또는 보호 케이스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휨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 전체를 일정한 각도로 휘어지게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현실감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 뒷커버 또는 보호 케이스에 구비되는 휨조절부를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또는 폴리머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플레이트를 접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온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휘어진 상태와 평평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휨조절부를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를 전기신호에 의하여 특정온도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하고, 제2플레이트의 일측 면에는 형상기억합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층을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발열층에서 발생된 열과 전자파가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폐층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를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을 커버하는 설치 박스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 양측면과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온에서는 상기 몸체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가 양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형상기억 스프링이 양측으로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은 초탄성 상태가 되어 기억된 형상으로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몸체의 양측이 당겨지게 되어 전자기기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휘어진 상태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휨조절부를 형성하는 형상기억 스프링의 외면에는 형상기억합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층을 형성하고, 형상기억 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 박스의 표면에는 발열층에서 발생된 열과 전자파가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폐층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와 연성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휨조절부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휨조절부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휘어짐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휨조절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휘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휨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휘어진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휨조절부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휨조절부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휘어짐을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휨조절부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휘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휨조절부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휘어진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평판형 전자기기를 특정한 각도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300)과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휨조절부(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역시 유연성이 좋은 오엘이디(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이루어지고, 오엘이디의 표면에는 유연성이 좋은 보호커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휨조절부(400)에 의해 특정한 각도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휨조절부(4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의 (b)와 같이 몸체(100)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휨조절부(400)는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고, 몸체(100)의 표면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몸체(100)의 후부에 착탈되는 몸체커버(미도시)에 내측면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몸체(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미도시)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몸체커버(미도시)와 보호케이스(미도시) 역시 전체 또는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휨조절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또는 폴리머 북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410)와 형상 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플레이트(4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플레이트(410)와 제2플레이트(42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기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410)는 상온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또는 폴리머 북합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420)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휘어진 상태를 기억하는 형상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형상기억합금은 티타늄(Ti)과 니켈(Ni)를 주원소로 하여, 특정 온도 이상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초탄성을 갖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은 전술한 니티놀(Nitinol)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니켈계(Ni), 구리계(Cu), 철계(Fe) 등으로 분류되어 세부적으로는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을 조합한 Cu-Zn-Ni, Cu-Zn-Al, Cu-Al-Ni, Ag-Ni, Au-Cd 등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플레이트(410)가 형상합금일 경우 상온에서 초탄성을 지니도록 하기 위하여 초탄성이 발생하는 온도를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우리나라의 여름에 사용할 경우 5 ~ 1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420)는 상온에서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초탄성이 발현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50℃ 정도로 설정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경우 더운 여름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휨조절부(400)를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420)는 초탄성이 발현될 경우, 제1플레이트(410) 보다 탄성이 크게 작용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제2플레이트(420)가 기억하고 있는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에서는 제1플레이트(410)는 초탄성 상태이고, 제2플레이트(420)는 유연한 상태이므로, 제1플레이트(410)의 초탄성에 의해 휨조절부(400)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전자기기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2플레이트(42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제2플레이트(420)가 초탄성을 띄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플레이트(410)의 초탄성에 의한 힘과 제2플레이트(420)의 초탄성에 의한 힘 중 제2플레이트(420)의 힘이 크기 때문에 제2플레이트(420)가 기억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플레이트(420)를 초탄성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제2플레이트(420)의 일측 면에는 발열층(422)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발열층(422)은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발열 필름을 접착하거나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재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300)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층(422)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제2플레이트(420)를 가열하게 되고, 제2플레이트(420)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게 한다.
그리고, 이렇게 휘어진 상태와 평평하게 펴진 상태는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플레이트(420)는 발열층(422)이 형성된 타측면에는 차폐층(4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차폐층(424)은 발열층(422)에 의해 발생하는 열과 전자파가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 회로기판(300)이나 디스플레이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3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400)로 이루어지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조절부(400a)는 평판 형상의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플레이트(43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플레이트(4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440)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초탄성을 띄게 되어 기억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430)는 탄소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탄소강화섬유는 전기가 공급되면 탄소 성분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므로, 별도의 발열을 위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탄소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 메인 플레이트(430)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열을 발생시켜,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플레이트(440)를 가열하여, 보조 플레이트(440)가 초탄성을 띄는 온도 이상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430)의 일측 면에는 차폐층(432)이 형성되어, 메인 플레이트(440)에서 발생한 열과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와 연성회로기판(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430)는 상온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초탄성 특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440)는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초탄성 상태가 되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메인 플레이트(430)의 탄성력과 보조 플레이트(440)가 초탄성 상태일때 작용하는 탄성력 중, 보조 플레이트(440)의 탄성력이 크게 작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3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400)로 이루어지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조절부(400b)는 상온에서 링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또는 폴리머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410b)와 특정온도 이상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410b)가 유지하는 링형상의 반지름 보다 큰 반지름을 가지는 원호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플레이트(420b)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온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링형상을 유지하게 되어, 팔찌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제2플레이트(420b)의 발열층(미도시)을 가열하여 제2플레이트(420b)가 초탄성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전자기기가 원호 형상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420b)의 탄성력은 초탄성 상태가 되었을 때, 제1플레이트(410b)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3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40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휨조절부(400c)는 특정 조건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 스프링(450)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와이어(4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454)는 일측 단부는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의 양측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몸체(100)의 내부 양측면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은 티타늄(Ti)과 니켈(Ni)를 주원소로 하는 니티놀(Nitinol)을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특정 온도 이상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초탄성이 발현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은 전술한 니티놀(Nitinol)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니켈계(Ni), 구리계(Cu), 철계(Fe) 등으로 분류되어 세부적으로는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을 조합한 Cu-Zn-Ni, Cu-Zn-Al, Cu-Al-Ni, Ag-Ni, Au-Cd 등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은 상온에서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특정 온도(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50℃를 예로서 설명함)이상이 될 경우 형상 기억합금이 기억하는 스프링 형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과 와이어(454)로 이루어지는 휨조절부(400c)를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할 때,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기억하고 있는 형상으로 될 경우, 와이어(454)가 몸체(100)의 내부 양측면에 닫지 않을 정도의 짧은 길이로 형성하여, 상온에서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유연한 상태를 유지할 때 형상기억 스프링(450)을 양측으로 길게 변형시켜 와이어(454)의 단부를 몸체(100) 내부 양측면에 연결함으로써, 상온에서는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1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양측으로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설정한 온도인 50℃ 이상이 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탄성이 발현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게 되므로 형상기억 스프링(450)의 길이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와이어(454)가 당겨져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휨조절부(400c)를 형성하는 형상기억 스프링(450)의 표면에는 발열층(452)이 형성되는데, 상기 발열층(452)은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발열 필름을 접착하거나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는 재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300)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휨조절부(400c)의 발열층(452)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여, 발열층(45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가열되어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초탄성을 띄게 되어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의 외측에는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설치되는 설치 박스(46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설치 박스(460)는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의도된 형태로 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450)의 양측에 연결되는 와이어(454)는 상기 설치 박스(460)의 양측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 박스(460)의 표면에는 차폐층(462)이 형성되는데, 상기 차폐층(462)은 발열층(452)에 의해 발생하는 열 및 전자파가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 회로기판(300)이나 디스플레이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폐층(462)은 설치 박스(46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연성 회로기판(300)괴 디스플레이부(20)가 형성된 방향의 일측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형성하는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400d)는 특정 조건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 스프링(450)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와이어(454)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설치되는 설치 박스(460)와 상기 설치 박스(460)가 내부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454)의 양측 단부가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커버 박스(4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 박스(470)의 후면은 두께가 전면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강하게 되므로,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450)이 특정 온도 이상이 되어 초탄성 상태가 되어, 와이어(454)가 당겨질 경우, 탄성력이 약한 전면의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휘어지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30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휨조절부(400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휨조절부(400e)는 특정 조건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 고리(480)와 상기 형상기억 고리(48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와이어(48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형상기억 고리(480)는 도 13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고리로 이루어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상기억 고리(480)의 외측에는 형상기억 고리(480)가 설치되는 설치 박스(4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설치 박스(460)는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형상기억 고리(48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의도된 형태로 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 고리(480)의 양측에 연결되는 와이어(454)는 상기 설치 박스(460)의 양측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형상기억 고리(480)는 티타늄(Ti)과 니켈(Ni)를 주원소로 하는 니티놀(Nitinol)을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특정 온도 이상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초탄성이 발현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은 전술한 니티놀(Nitinol)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니켈계(Ni), 구리계(Cu), 철계(Fe) 등으로 분류되어 세부적으로는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을 조합한 Cu-Zn-Ni, Cu-Zn-Al, Cu-Al-Ni, Ag-Ni, Au-Cd 등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형상기억 고리(480)는 상온에서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484)에 의해 양측으로 늘어져 본 발명의 전자기기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특정 온도(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50℃를 예로서 설명함)이상이 될 경우 형상 기억합금이 기억하는 스프링 형태로 되돌아가게 되어 와이어(484)가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전자기기를 휘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어짐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와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100 : 몸체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연성 회로기판 400,400a,400b,400c,400d : 휨조절부
410 : 제1플레이트 420 : 제2플레이트
422,422b,452 : 발열층 424,424b,432,462 : 차폐층
430 : 메인 플레이트 440 : 보조 플레이트
450 : 형상기억 스프링 454,484 : 와이어
460 : 설치 박스 470 : 커버 박스
480 : 형상기억 고리

Claims (14)

  1.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과,
    상온에서 평평한 형태를 유지하는 제1플레이트와; 특정 온도 이상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초탄성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보다 탄성력이 더 커지는 제2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몸체의 휘어짐을 제어하는 휨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폴리머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발열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열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온에서 링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 고탄성의 금속, 폴리머, 폴리머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특정온도 이상에서 원호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조절부는 평판 또는 링형상의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특정 온도 이상일 경우 평판 또는 링형상에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보조 플레이트를 가열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열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조절부는 상온에서는 플렉시블한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기억된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몸체의 양측면과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10.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성 회로기판과,
    상온에서는 플렉시블한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기억된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몸체의 양측면과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의 표면에는 발열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휘어짐을 제어하는 휨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의 외측에는 형상기억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 고리가 설치되는 설치 박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박스의 표면 전체 또는 일측면에는 열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휨조절부는 상기 설치 박스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내부 양측 면에 연결되는 커버 박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스의 전면과 후면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두께가 얇은 부분의 중심부가 오목하게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KR1020130061103A 2013-05-29 2013-05-29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KR101404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03A KR101404628B1 (ko) 2013-05-29 2013-05-29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PCT/KR2014/004782 WO2014193167A1 (ko) 2013-05-29 2014-05-28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CN201480042746.7A CN105432157B (zh) 2013-05-29 2014-05-28 能弯曲的电子设备
EP14803408.5A EP3007528A4 (en) 2013-05-29 2014-05-28 Bendable electronic device
EP18193747.5A EP3439443A1 (en) 2013-05-29 2014-05-28 Flexible electronic device
JP2016516446A JP6480426B2 (ja) 2013-05-29 2014-05-28 フレキシブル電子デバイス
US14/894,361 US9877379B2 (en) 2013-05-29 2014-05-28 Bend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03A KR101404628B1 (ko) 2013-05-29 2013-05-29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628B1 true KR101404628B1 (ko) 2014-06-11

Family

ID=5113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103A KR101404628B1 (ko) 2013-05-29 2013-05-29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7379B2 (ko)
EP (2) EP3439443A1 (ko)
JP (1) JP6480426B2 (ko)
KR (1) KR101404628B1 (ko)
CN (1) CN105432157B (ko)
WO (1) WO201419316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59B1 (ko) * 2014-08-25 2015-05-13 황창순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CN105810103A (zh) * 2015-01-15 2016-07-27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显示装置和设备
KR101803632B1 (ko) 2016-02-29 2017-1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평면과 곡면 상태의 변환이 가능한 케이스
US9947726B2 (en) 2015-06-25 2018-04-1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WO2018117586A1 (ko) * 2016-12-19 2018-06-28 황창순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변형 방법
KR20190127434A (ko) * 2018-05-04 2019-11-13 광주과학기술원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847730B2 (en) 2016-08-30 2020-11-2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WO2021060639A1 (ko) * 2019-09-27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변형 엑츄에이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96033A1 (ko) * 2019-11-13 2021-05-20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43B1 (ko) * 2014-05-14 2016-01-25 황창순 플렉서블 구동장치
KR102255710B1 (ko) * 2014-10-07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EP3439273A4 (en) * 2016-03-30 2019-10-09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JP6735902B2 (ja) * 2016-06-28 2020-08-05 深▲セン▼市柔宇科技有限公司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Ltd.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102611993B1 (ko) * 2016-10-12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DE102016119906A1 (de) * 2016-10-19 2018-04-19 Osram Oled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optoelektronischen Vorrichtung und eine durch das Verfahren hergestellte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US10418237B2 (en) * 2016-11-23 2019-09-17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Amorphous boron nitride dielectric
CN106910431A (zh) * 2017-05-04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改变柔性显示屏的形状的方法
US10359812B2 (en) 2017-12-12 2019-07-23 Motorola Mobility Llc Device component exposure protection
KR20190076658A (ko) * 2017-12-22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8511501B (zh) * 2018-05-09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弯折的盖板、oled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856443B2 (en) * 2018-06-06 2020-12-01 Apple Inc. Cladded metal structures for dissipation of hea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40064729A (ko) * 2018-10-18 2024-05-1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디바이스, 기판을 유지하기 위한 캐리어, 및 유지 디바이스로부터 기판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CN111328182A (zh) * 2018-12-13 2020-06-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形状记忆聚合物复合材料的变形电路板
CN109671972B (zh) * 2018-12-28 2022-10-14 广东天劲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磁性形状记忆合金的弧形电池加工装置及方法
CN109728336B (zh) * 2018-12-28 2022-08-26 广东天劲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形状记忆合金的弧形电池加工装置及方法
KR102654505B1 (ko) 2019-01-15 202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13261102A (zh) * 2019-02-14 2021-08-1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功能面板及柔性装置
JP2021089353A (ja) * 2019-12-03 2021-06-1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N111725435A (zh) * 2020-06-08 2020-09-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显示器及其制备方法
CN112188658B (zh) * 2020-09-30 2022-09-0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4180905A4 (en) 2020-11-06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AND ITS OPERAT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386A (ja) * 1984-03-16 1985-10-03 Nec Corp 形状記憶アクチユエ−タ
JP2004092629A (ja) * 2002-08-30 2004-03-25 Satako:Kk 形状記憶合金アクチュエータ
JP2004309964A (ja) * 2003-04-10 2004-11-04 Nec Access Technica Ltd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構造
KR20110048640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9880A (ja) * 1997-10-02 1999-04-2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示装置
JPH11219143A (ja) * 1998-01-29 1999-08-10 Fuji Xerox Co Ltd 形状及び力触覚呈示装置
JP3980405B2 (ja) * 2002-05-17 2007-09-26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
KR20110110212A (ko) * 2009-01-21 2011-10-06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촉각 피드백 장치를 위한 전기활성 폴리머 트랜스듀서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KR101067587B1 (ko) * 2010-01-29 2011-09-27 주식회사 팬택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단말기,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JP5567946B2 (ja) * 2010-09-02 2014-08-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形状記憶合金アクチュエータ
US8730657B2 (en) * 2011-06-24 2014-05-20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puting devices
TWI482537B (zh) * 2011-11-18 2015-04-21 Ind Tech Res Inst 電子裝置以及顯示裝置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33158B1 (ko) * 2012-08-10 2020-07-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US9158334B2 (en) * 2012-10-22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flexing
KR102048922B1 (ko) * 2013-02-13 2020-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386A (ja) * 1984-03-16 1985-10-03 Nec Corp 形状記憶アクチユエ−タ
JP2004092629A (ja) * 2002-08-30 2004-03-25 Satako:Kk 形状記憶合金アクチュエータ
JP2004309964A (ja) * 2003-04-10 2004-11-04 Nec Access Technica Ltd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構造
KR20110048640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181A1 (ko) * 2014-08-25 2016-03-03 황창순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KR101518259B1 (ko) * 2014-08-25 2015-05-13 황창순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CN105810103B (zh) * 2015-01-15 2019-12-10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显示装置和设备
CN105810103A (zh) * 2015-01-15 2016-07-27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显示装置和设备
US9947726B2 (en) 2015-06-25 2018-04-1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KR101803632B1 (ko) 2016-02-29 2017-1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평면과 곡면 상태의 변환이 가능한 케이스
US10847730B2 (en) 2016-08-30 2020-11-2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WO2018117586A1 (ko) * 2016-12-19 2018-06-28 황창순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변형 방법
KR20190127434A (ko) * 2018-05-04 2019-11-13 광주과학기술원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4982B1 (ko) * 2018-05-04 2019-12-12 광주과학기술원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60639A1 (ko) * 2019-09-27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변형 엑츄에이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96033A1 (ko) * 2019-11-13 2021-05-20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8148A (ko) * 2019-11-13 2021-05-24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1171B1 (ko) * 2019-11-13 2022-04-27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7528A4 (en) 2017-03-01
JP6480426B2 (ja) 2019-03-13
US20160135286A1 (en) 2016-05-12
EP3007528A1 (en) 2016-04-13
JP2016532136A (ja) 2016-10-13
CN105432157A (zh) 2016-03-23
WO2014193167A1 (ko) 2014-12-04
US9877379B2 (en) 2018-01-23
CN105432157B (zh) 2018-07-24
EP3439443A1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628B1 (ko)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CN108028457B (zh) 电子设备
EP3112977B1 (en) Mobile terminal with means for dissipating heat from display driver
EP3089430B1 (en) Mobile terminal
CN106940966B (zh) 显示屏模组和电子设备
CN106534626B (zh) 相机外壳、相机模块和用于形成相机模块的方法
US984375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067587B1 (ko)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단말기,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US20170364119A1 (en) Mobile terminal
CN110291435A (zh) 光学稳像悬架中的轴承限制器结构
WO2017085880A1 (ja) 硬度可変アクチュエータ
CN108269499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08918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heat dissipation mechanism
CN106601756B (zh) 一种柔性基底、柔性显示基板及显示装置
US11470228B2 (en) Camera module with shape memory alloy mo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7346069B2 (ja) 電子機器
JP2014123026A (ja) カメラ
CN108833747A (zh) 摄像组件、电子设备和拍摄方法
TWI727171B (zh) 影像模組與電子裝置
JP2020027306A (ja) 端末の表示装置およ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WO2016032181A1 (ko)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JP2016018789A (ja) 撮像装置
CN214627170U (zh) 一种用于防抖结构的ois簧片、防抖结构及摄像装置
CN209327998U (zh) 触摸屏及显示设备
KR10162265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