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028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028A
KR20150026028A KR20130104321A KR20130104321A KR20150026028A KR 20150026028 A KR20150026028 A KR 20150026028A KR 20130104321 A KR20130104321 A KR 20130104321A KR 20130104321 A KR20130104321 A KR 20130104321A KR 20150026028 A KR20150026028 A KR 2015002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dle cabinet
state
flexible display
display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원
박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028A/ko
Priority to EP14840136.7A priority patent/EP3039666B1/en
Priority to CN201480047341.2A priority patent/CN105493167B/zh
Priority to PCT/KR2014/001882 priority patent/WO2015030329A1/en
Priority to US14/913,663 priority patent/US9801291B2/en
Publication of KR2015002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변(side)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1 미들 캐비닛, 및 상기 제1변에 수직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변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시에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결합되는 제2 미들 캐비닛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시도들에는 영상표시장치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형태가 가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제안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패널을 감싸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질 때 함께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 간의 휘어짐의 차이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측면은 마주보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내측벽에 닿을 수 있다. 이는 패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이 마주보는 제1 미들 캐비닛의 내측벽과 접촉되지 않아 패널이 보호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변(side)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1 미들 캐비닛, 및 상기 제1변에 수직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변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시에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결합되는 제2 미들 캐비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평평한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곡면 형태로 휘어진 상태이며,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발생한다.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2상태에서는 노출되나 상기 제1상태에서는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의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에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에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배면을 덮어 지지하고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는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미들 캐비닛과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의 단부와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을 상기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제1홀에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서 돌출되는 제1너트(nut)가 삽입되고, 상기 제1너트에는 제1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홀에는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에서 돌출되는 제2너트가 삽입되고, 제2체결부재는 상기 제2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대 이동시에 상기 모듈 커버의 일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3홀과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에 형성되는 장공의 관통홀에는 상기 모듈 커버에서 돌출되는 제3너트가 삽입되고, 제3체결부재는 상기 제3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대 이동시에 상기 제2체결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시, 제2 미들 캐비닛은 모듈 커버에 고정된 제1 미들 캐비닛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더라도, 제1 미들 캐비닛의 내측벽은 마주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패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되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를 보인 전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6은 도 5의 라인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됨에 따른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메커니즘을 보인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의 변형됨에 따른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의 메커니즘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121a)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 저장부(1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제어부(17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전원공급부(180) 및 3D 시청장치(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1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3D 시청장치(14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3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1a)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21a)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11)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40a),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외에 3D 시청장치(140a)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121a)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121a)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 상기 제2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곡면 형태로 휘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외력을 받아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곡면 형태로 휘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력에 의하여 다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패널(141) 및 패널(141)을 덮어 지지하는 모듈 커버(142)를 포함한다(도 4 및 도 6 참조). 패널(141)은 휘어짐이 가능한 패널(예를 들어, OLED 패널)로 구성되며, 모듈 커버(142)는 패널(141)의 배면을 덮어 패널(141)과 함께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모듈 커버(142)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탄소 섬유 등)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변형시키는 가압부재(151)와 구동부(150)를 구비한다.
가압부재(151)는 휘어짐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폭 방향(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bar)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가압부재(151)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압부재(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단부과 하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가압부재(151)가 휘어지도록,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를 당겨주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50)에 의하여 가압부재(151)의 양단부가 당겨지게 되면, 가압부재(151)는 휘어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메커니즘에 따라, 평평한 상태에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에서 휘어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며, 휘어진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도록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구동부(150)가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를 당기는 방향에 따라 평평한 상태 또는 휘어진 상태로 그 형태가 바뀔 수 있다.
가압부재(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150)에 의하여 양단부가 당겨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모듈 커버(142)는 당겨진 가압부재(151)의 양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패널(141)과 함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는 모듈 커버(142)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50)에 의하여 가압부재(151)의 양단부가 당겨지게 되면,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는 모듈 커버(142)를 가압하면서 모듈 커버(142)의 배면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재(151)의 양단부는 레일 구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미도시)에 의해 모듈 커버(1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되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를 보인 전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에 안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안착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리세스된 공간을 구비한다.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가장자리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안착되는 안착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즉,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는 패널(141)의 전면을 제외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측면을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휘어질 때 함께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 간의 휘어짐의 차이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우 측면은 마주보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내측벽에 닿을 수 있다. 이는 패널(141)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라인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도 7A 참조)에서 상기 제2상태(도 7B 참조)로 변형됨에 따른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메커니즘을 보인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는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을 포함한다.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은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탄소 섬유 등)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미들 캐비닛(19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모듈 커버(142)와 결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제1변(side)을 덮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미들 캐비닛(191)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우 측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우 측면은, 접촉에 의한 패널(141)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제1 미들 캐비닛(191)의 내측벽과 소정 간격(g)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미들 캐비닛(192)은 상기 제1변에 수직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제2변을 덮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미들 캐비닛(192)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하 측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2 미들 캐비닛(19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변형시에 제1 미들 캐비닛(191)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미들 캐비닛(191)과 결합된다. 상기 상대 이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기 제1상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양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휘어진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모듈 커버(142)와 제2 미들 캐비닛(192)은 재질, 두께 등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탄성 변형률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 미들 캐비닛(19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 제2 미들 캐비닛(192)의 좌우측 단부(192a)는 상대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되면, 제2 미들 캐비닛(192)은 모듈 커버(142)에 고정된 제1 미들 캐비닛(19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복원되면, 제2 미들 캐비닛(192)은 제1 미들 캐비닛(19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메커니즘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더라도, 제1 미들 캐비닛(191)의 내측벽은 마주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우 측면과 소정 간격(g)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패널(141)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상세 구조는 일 예로서 제시되는 것일 뿐,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구조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라인 Ⅵ-Ⅵ에 대응되는 제2 미들 캐비닛(192)의 단부(192a)는 제1 미들 캐비닛(191)에 형성되는 홈(191c)에 삽입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에 홈(191c)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는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93)는 모듈 커버(142)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1 미들 캐비닛(191)의 단부(191a)와 제2 미들 캐비닛(192)의 단부(192a)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재(193)는 제1 미들 캐비닛(191)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리브(193d)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재(193)는, 후술할 제1체결부재(194a)에 의해 제1 미들 캐비닛(191)과 결합되며, 리브(193d)가 제1 미들 캐비닛(191)의 내측벽에 지지됨으로써, 제1 미들 캐비닛(19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브(193d)가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모서리를 이루는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의 서로 인접한 측벽들을 덮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복원시 제2 미들 캐비닛(192)은 리브(193d)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리브(193d)는 제2 미들 캐비닛(19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모듈 커버(142)는, 제1 미들 캐비닛(191)과는 고정 결합되고, 제2 미들 캐비닛(192)과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93)의 제1홀(193a)에는 제1 미들 캐비닛(191)에서 돌출되는 제1너트(nut, 191e)가 삽입되며, 제1너트(191e)에는 제1체결부재(194a)가 체결되어 고정부재(193)를 제1 미들 캐비닛(191)에 고정시킨다. 제1너트(191e)는 제1 미들 캐비닛(191)에서 보스(boss)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1체결부재(194a)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을 구비한다. 이하 설명하는 제2너트(192c)와 제3너트(142c)도 제1너트(191e)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93)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홀(193b)에는 제2 미들 캐비닛(192)에서 돌출되는 제2너트(192c)가 삽입된다. 제2체결부재(194b)는 제2너트(192c)에 체결되어, 상기 상대 이동시에 모듈 커버(142)의 배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범위는 제2홀(193b)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93)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3홀(193c)과 제2 미들 캐비닛(192)에 형성되는 장공의 관통홀(192d)에는 모듈 커버(142)에서 돌출되는 제3너트(142c)가 삽입된다. 제3체결부재(194c)는 제3너트(142c)에 체결되어, 상기 상대 이동시에 제2체결부재(194b)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범위는 관통홀(192d)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형태가 가변되더라도, 제2 미들 캐비닛(192)만 제1 미들 캐비닛(191)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뿐, 모듈 커버(142), 제1 미들 캐비닛(191) 및 고정부재(193)는 서로 구속된 상태이므로, 동일한 상기 소정 간격(g)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되면, 제2체결부재(194b)와 제3체결부재(194c)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복원되면 제2체결부재(194b)와 제3체결부재(194c)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이때, 제2너트(192c)와 제3너트(142c)의 돌출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미들 캐비닛(191)의 단부(191a)는 상기 제2상태에서는 노출되나 상기 제1상태에서는 가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상태에서 제2 미들 캐비닛(192)의 단부(192a)는 제1 미들 캐비닛(191)의 일면(191b)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상태에서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이 일체화된 느낌이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상태에서 제2 미들 캐비닛(192)의 좌우측 단부(192a)는 상대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상태에서는 제1 미들 캐비닛(191)의 일 단부(191a)가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때,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의 각 단부(191a, 192a) 간의 단차를 줄이고 일체화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2 미들 캐비닛(192)의 단부(192a)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상태에서도 제1 미들 캐비닛(191)과 제2 미들 캐비닛(192)이 일체화된 느낌이 부여될 수 있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19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40)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의 변형됨에 따른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290)의 메커니즘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상태에서 제2 미들 캐비닛(292)의 단부(292a)는 제1 미들 캐비닛(291)에 형성되는 홈(291c)에 삽입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홈(291c)에 삽입되었던 제2 미들 캐비닛(292)의 단부(292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40)가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에 홈(291c)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상태에서 홈(291c)으로부터 인출된 제2 미들 캐비닛(292)의 단부(292a)는 제1 미들 캐비닛(291)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상태에서도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제1 미들 캐비닛(291)과 제2 미들 캐비닛(292)이 일체화된 느낌이 부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표시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1변(side)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1 미들 캐비닛; 및
    상기 제1변에 수직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2변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시에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결합되는 제2 미들 캐비닛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평평한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곡면 형태로 휘어진 상태이며,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2상태에서는 노출되나 상기 제1상태에서는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의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에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형시에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배면을 덮어 지지하고,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는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미들 캐비닛과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캐비닛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의 단부와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미들 캐비닛과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을 상기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제1홀에는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서 돌출되는 제1너트(nut)가 삽입되고,
    상기 제1너트에는 제1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제1 미들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홀에는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에서 돌출되는 제2너트가 삽입되고,
    제2체결부재는 상기 제2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대 이동시에 상기 모듈 커버의 일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3홀과 상기 제2 미들 캐비닛에 형성되는 장공의 관통홀에는 상기 모듈 커버에서 돌출되는 제3너트가 삽입되고,
    제3체결부재는 상기 제3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대 이동시에 상기 제2체결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30104321A 2013-08-30 2013-08-30 영상표시장치 KR20150026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321A KR20150026028A (ko) 2013-08-30 2013-08-30 영상표시장치
EP14840136.7A EP3039666B1 (en) 2013-08-30 2014-03-07 Image display device
CN201480047341.2A CN105493167B (zh) 2013-08-30 2014-03-07 图像显示设备
PCT/KR2014/001882 WO2015030329A1 (en) 2013-08-30 2014-03-07 Image display device
US14/913,663 US9801291B2 (en) 2013-08-30 2014-03-07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321A KR20150026028A (ko) 2013-08-30 2013-08-30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28A true KR20150026028A (ko) 2015-03-11

Family

ID=5258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321A KR20150026028A (ko) 2013-08-30 2013-08-30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01291B2 (ko)
EP (1) EP3039666B1 (ko)
KR (1) KR20150026028A (ko)
CN (1) CN105493167B (ko)
WO (1) WO2015030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12B1 (ko) * 2013-11-13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DE202014103215U1 (de) * 2014-07-11 2014-09-30 Christian Stroetmann Elektronisches, visuelles Gerät, das eine flexible beziehungsweise biegbare Vorrichtung zur optischen Signalisierung von veränderlichen Informationen, ein flexibles beziehungsweise biegbares Gehäuse mit mindestens einem Gelenk/Scharnier und ein Regel-/Steuerungssystem besitzt
KR102255710B1 (ko) * 2014-10-07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311741B1 (ko) * 2015-01-14 2021-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5118401B (zh) * 2015-10-12 2018-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设备
JP6706177B2 (ja) * 2016-08-31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USD914672S1 (en) * 2018-06-04 2021-03-30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cover and screen
USD922370S1 (en) * 2018-06-04 2021-06-15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screen
USD926752S1 (en) * 2018-06-04 2021-08-03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screen
US11145635B2 (en) 2018-11-23 2021-10-12 Shenzhen Gloshine Technology Co., Ltd. LED display unit
CN210805057U (zh) * 2019-09-09 2020-06-19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屏装置
US10904371B1 (en) * 2020-07-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230113872A (ko) * 2022-01-24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22B1 (ko) * 2001-10-0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및 필터 지지구조
JP4857824B2 (ja) * 2006-03-07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760513B1 (ko) * 2010-07-19 2017-07-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터치 스크린의 조립 방법
CN103154857B (zh) 2010-08-23 2019-03-1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在触摸感应的用户接口中提供触觉和音频反馈的装置和方法
WO2012102349A1 (ja) * 2011-01-27 2012-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透光性カバー
US9711752B2 (en) *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507206B1 (ko) 2012-02-13 2015-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표시장치
JP5319825B1 (ja) * 2012-05-22 2013-10-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9666A4 (en) 2017-04-12
EP3039666A1 (en) 2016-07-06
US9801291B2 (en) 2017-10-24
US20160212864A1 (en) 2016-07-21
EP3039666B1 (en) 2019-09-25
CN105493167A (zh) 2016-04-13
WO2015030329A1 (en) 2015-03-05
CN105493167B (zh)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6028A (ko) 영상표시장치
US9311843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536456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93921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072686B1 (ko) 영상표시기기
KR2014010916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983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091517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088605A (ko) 영상표시장치
KR10209151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070280B1 (ko) 영상표시기기
KR1022510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30538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59842A (ko) 표시장치
KR20150116283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12782A (ko) 입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1700248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59843A (ko) 스피커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30101928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