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090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090B1
KR102251090B1 KR1020140052763A KR20140052763A KR102251090B1 KR 102251090 B1 KR102251090 B1 KR 102251090B1 KR 1020140052763 A KR1020140052763 A KR 1020140052763A KR 20140052763 A KR20140052763 A KR 20140052763A KR 102251090 B1 KR102251090 B1 KR 10225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unit
curvature
radiu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409A (ko
Inventor
송현철
박석원
김포진
이규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0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곡률의 가변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이 변경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힘을 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태가 제1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를 갖고,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면,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거리에 기초한 곡률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곡률의 가변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형태가 가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제안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은 하나의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갖음으로써, 시청 위치에 따라 영상의 몰입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청위치에 따라 영상의 몰입도가 오히려 평면 디스플레이부 보다 떨어지는 단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곡률 반경으로 가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다양한 조건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청위치에 따라 다양한 곡률 반경에서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곡률의 가변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이 변경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힘을 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태가 제1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를 갖고,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면,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거리에 기초한 곡률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로 동작하는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2상태로 동작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2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대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매핑한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대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검출된 상대거리에 매핑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복수의 사용자가 위치한 것이 감지된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동일한 상대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거리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곡률반경을 산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서로 다른 상대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곡률반경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 산정 시 고려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고려 대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곡률반경을 산정하고, 판단 결과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곡률반경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곡률 반경 산정 시 고려 대상이 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산정된 곡률반경보다 더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가 모두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2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무한대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제스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을 상기 기 설정된 제스처에 기초한 곡률반경이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상기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기 매핑된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시청위치 별로 곡률반경을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추천하는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로 동작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변경되지 않는 잠금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됨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잠금 상태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변경이 가능한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해제 상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변경된 위치에 기초한 곡률 반경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대위치에 기초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변경되는 중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변경 중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에 따라 상기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 및 무한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있어서, 기존의 기 설정된 곡률 반경만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사용자의 시청위치가 제한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곡률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각을 넓히고, 보다 몰입감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현재 곡률 반경을 감지하고, 상기 곡률 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청 위치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 전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곡률 반경을 결정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A, 도 5B는 상기 도 4의 제어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6,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는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곡률 반경 및 시청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잠금상태로 동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및 그래픽 객체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121a)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 저장부(1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제어부(18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유닛(150), 오디오 출력부(124), 전원공급부(190) 및 3D 시청장치(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1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24)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3D 시청장치(14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3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1a)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21a)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125)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125)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11)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24)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24)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2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40a),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외에 3D 시청장치(140a)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4)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4)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125)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125)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상기 센싱부(125)는 사용자의 제스처 및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125)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또는 감지된 신호)을 제어부(180)로 전달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또는 감지된 신호)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2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121a)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121a)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 전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가압부재(160), 구동유닛(150), 조절유닛(170) 및 곡률 감지유닛(미도시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휘어짐의 정도가 서로 다른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 제2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곡면 형태로 휘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상태와 제2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외력을 받아 전면 상의 사용자(시청자)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곡면 형태로 휘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력에 의하여 다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패널(미도시) 및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1)를 포함한다. 패널은 휘어짐이 가능한 패널(예를 들어, OLED 패널)로 구성되며, 지지부재(141)는 패널의 배면을 덮어 패널과 함께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지지부재(141)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탄소 섬유 등)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에 장착되어, 휘어짐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60)는 구동유닛(150)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의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가압부재(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부재(160)의 일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구동유닛(150)과 연결되는 조절유닛(170)과 결합된다. 조절유닛(17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므로, 결합 구조상,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에 놓여있을 때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을 향하여 어느 정도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가압부재(160)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측와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변형 제한부(161)는 가압부재(160)의 단부와 조절유닛(170) 사이에 배치된다. 변형 제한부(161)는 가압부재(160)를 덮으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결합된다. 변형 제한부(161)는, 가압부재(160)가 휘어지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40)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제한한다. 한편, 변형 제한부(161)는 필수적인 구성요수는 아니면, 상황에 따라 추가 혹은 제거 가능하다.
조절유닛(170)이 구동부(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부재(160)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에 외력을 가한다. 이 과정에서 변형 제한부(161)가 없으면,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기만 할 뿐 실질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외력을 가하지 못할 수 있다. 변형 제한부(161)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도록 가압부재(160)의 변형을 제한한다.
구동유닛(150)은 가압부재(160)의 휘어짐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압부재(160)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이루어진다. 가압부재(160)는 밀려나 휘어지거나, 당겨져 복원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150)이 가압부재(160)를 밀어내면, 가압부재(160)는 이전보다 더 휘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가압하게 되어, 평평한 상태에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반대로, 구동유닛(150)이 가압부재(160)를 당기면, 가압부재(160)는 이전보다 덜 휘어진 상태(즉, 이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곡면 형태로 휘어져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결합된 가압부재(160)의 복원에 따라 당겨져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조절유닛(170)은 가압부재(160)와 구동유닛(150)을 연결하고, 가압부재(160)의 휘어짐을 조절하도록 구동유닛(15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절유닛(170)이 구동유닛(150)으로부터 멀어지면 조절유닛(170)과 연결된 가압부재(160)는 측방향으로 밀려나 이전보다 더 휘어지게 되며, 조절유닛(170)이 구동유닛(150)에 가까워지면 조절유닛(170)과 연결된 가압부재(160)는 당겨져 복원되게 된다.
조절유닛(170)의 이동은 구동유닛(150)의 구동 또는 조절유닛(170)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구동유닛(150)의 구동에 의한 조절유닛(170)의 이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변 구동을 구현하며, 조절유닛(170)의 회전 조작에 의한 조절유닛(170)의 이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를 보정할 수 있다.
곡률 감지유닛(미도시)은 상기 구동부(150)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지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률 감지부(미도시됨)는 리니어(Linear)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일 수 있다.
즉, 상기 곡률 감지유닛(미도시)은 상기 구동부가 가해지는 힘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지면, 기준 위치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여 휘어진 정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거나, 조절유닛(170)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진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률 감지유닛(미도시)은 조절유닛(17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곡률 감지유닛(미도시)에서 감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진 정도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휘어지게 할지, 더 평평하게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힘을 가할지 또는 가하지 않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곡률 감지유닛(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커버가 동시에 휘어지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고정된 디스플레이 커버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이 분리되어 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방식에 대하여 이하에서 차례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141)을 포함할 수 있다. OLED 패널(141)은 접착부(142)에 의해 디스플레이 커버(143)와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43)는 OLED 패널(141)의 배면에 배치되며, 접착부(142)는 OLED 패널(141)과 디스플레이 커버(143)의 사이에 배치된다. OLED 패널(141)과 접착부(142) 및 디스플레이 커버(14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OLED 패널(141)과 디스플레이 커버(143)가 동시에 휘어지는 방식이다.
도 3과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LCD 패널은 OLED 패널(141)과 달리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을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고정된 디스플레이 커버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이 분리되어 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은 상기 설명한 두 가지 구현 방식 뿐만 아니라 가능한 모든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커버(143)가 동시에 휘어지는 구조를 전제로 설명한다.
구동부(150)는 디스플레이 커버(143)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유닛(170)은 가압부재(16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가압부재(160)는 조절유닛(170)으로부터 연장되며, 각 가압부재(160)의 단부는 디스플레이 커버(143)의 배면에 결합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구동부(15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조절유닛(170)은 구동부(15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조절유닛(170)에 연결된 가압부재(160)도 구동부(150)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가압부재(160)의 단부는 디스플레이 커버(143)의 양측을 가압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커버(143)의 양측은 휘어지게 되고, 접착부(14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43)에 결합된 OLED 패널(141)도 디스플레이 커버(143)와 함께 휘어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지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은 휘어지는 과정의 반대다.
가압부재(160)는 디스플레이 커버(143)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160)와 디스플레이 커버(143) 사이에 사이드 바(144)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바(14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 커버(143)에 결합된다. 사이드 바(144)는 디스플레이 커버(143)의 배면에 결합되고, 가압부재(160)의 각 단부는 상기 사이드 바(144)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바(14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좌측의 사이드 바(144)는 가압부재(160)의 좌측 단부와 결합되고, 우측의 사이드 바(144)는 가압부재(160)의 우측 단부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전체 영역이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어질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2 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각 2 영역이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휘어지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센싱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25)에서 감지된 곡률 반경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적어도 일부만을 변형시킬 수 있는 구동부(150)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의 변경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0)에 있어서, 복수의 곡률 반경 중 어느 하나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체 영역이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곡률 반경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있어서, 곡률 반경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영상표시장치(100)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부(150) 및 가압부재(16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도면의 표현으로써,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앞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도 4는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곡률 반경을 결정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A, 도 5B는 상기 도 4의 제어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4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 있어서, 제어부(15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하거나,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전원공급부(190)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이벤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이 표시되는 이벤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휘어지도록 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는 이벤트,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됨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고정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감지 주기가 돌아오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또는 센싱부, 125)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휘어지게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25)는 사용자의 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4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휘어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센싱부(125)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휘어지게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영상표시장치(100)의 공장 출고 시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영상표시장치(100)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의 종류 등 다양한 조건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사용자의 위치가 영상표시장치(100)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휘어지게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이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가상의 영역(x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가상의 영역(x1)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공장 출고 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x1) 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1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유한대의 곡률 반경을 갖는 상태이고, 제2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갖는 상태(즉, 평평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제1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은 복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곡률 반경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라고도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복수의 곡률 반경 중 어느 하나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외력(예를 들어, 구동부가 가하는 힘)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력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x1)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1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431).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x1)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2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432).
즉,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x1) 내에 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을 통하여, 보다 몰입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x1) 밖에 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이 사용자에게 영상의 몰입을 방해한다고 판단하여 휘어지지 않게(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x1) 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를 갖는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x1) 밖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2상태를 갖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x1) 내에 위치하였다가 기 설정된 영역(x1) 밖으로 변경되는 경우, 곧바로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다시 기 설정된 영역(x1) 내로 돌아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계속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다시 기 설정된 영역(x1) 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로 판단하고,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상태를 갖는 경우(S43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440).
상기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유한대의 곡률반경을 갖는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반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한 곡률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사이의 상대거리 및 사용자의 수, 상기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밝기(또는 조도),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소리 중 사용자의 사용패턴 및 사용자 상태정보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사이의 상대거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얼마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로 방향의 영역이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사용자의 상대거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사용자의 상대거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으로 기준으로 세로 방향의 거리(y1)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사용자의 상대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거리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카메라 센서, 마이크 센서(또는 소리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대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상을 비교하여, 상대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된 곡률 반경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30, 또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대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매핑한 곡률 반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곡률 반경 정보는 상기 상대거리가 길수록 더 큰 곡률 반경이 매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사이의 상대거리가 길수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상대거리가 3m인 경우, 2000R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대거리가 5m인 경우, 4000R의 곡률 반경이 매핑된 곡률 반경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에 곡률 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대거리가 측정되면, 상기 메모리부(130)로부터 상기 상대거리에 매핑된 곡률 반경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검출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사이의 상대거리가 y1인 경우보다 y2(y1보다 더 긴 거리)인 경우에 곡률 반경이 더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25)에서 감지된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는 이하의 도 6a, 6b 및 6c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밝기 감지가 가능한 조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이 매핑된 곡률 반경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의 곡률 반경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태정보는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티비를 바라보는 높이(예를 들어, 앉은 키 정보, 티비 보는 자세 정보), 자주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종류, 티비의 전면에 위치한 물체 정보(예를 들어, 테이블, 쇼파의 위치 등)일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100) 사용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한 곡률 반경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곡률 반경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정보는 소리의 크기, 높낮이, 어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곡률 반경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출력되는 음성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몰입감 높은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가 갑자기 커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움직이도록 곡률 반경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결정하는 기 설정된 조건은 각각의 조건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두 개의 조건이 조합되어,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대거리에 따라 곡률 반경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곡률 반경을 주변 조도에 따라 미세 곡률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두 개의 조건을 고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몰입감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설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로부터 곡률 반경을 직접 설정받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시청위치를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설정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곡률 반경의 변경과 관련된 기 설정된 조건이 변경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변경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변경되지 않는 상태를 영상표시장치(100)가 "잠금상태"에 진입했다고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상태에서는 곡률 반경의 변경의 원인이 되는 조건이 감지됨에도 불구하고, 곡률 반경이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곡률 반경이 실시간으로 변경됨으로 인하여 오히려 사용자의 영상의 몰입도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또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상기 해제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상태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현재의 영상을 제공하는데 최적의 곡률 반경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다시 다양한 조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해제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다시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가변시키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사용 시, 불합리하게 곡률 반경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곡률 반경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GUI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영상, 아이콘(icon), 위젯(widget), 기타 그래픽 객체 등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시각적인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곡률반경을 갖는 경우, GUI를 제1표시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제1곡률반경과 다른 제2곡률반경을 갖는 경우, GUI를 제2표시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GUI의 출력위치, 출력 형태 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뒤틀림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이 출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에 적합한 위치에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이 변경 중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변경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곡률 반경이 변경 중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곡률 반경이 변경 중임을 알림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곡률 반경의 변경을 중단하거나, 다른 곡률 반경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있어서, 곡률 반경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기존의 기 설정된 곡률 반경만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사용자의 시청위치가 제한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곡률 반경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몰입감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곡률 반경을 제공함으로써, 개개인의 사용자에 특성에 맞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부(125)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감지부(125)를 통하여,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휘어지게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카메라(6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및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모두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모두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명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사용자는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2명의 사용자 모두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2명의 사용자 모두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2명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2 이상의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우선, 2명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사용자는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도 함께 고려하여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가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보고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보는 사용자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 산정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y1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y1의 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가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보고 있는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거리는 메모리부(130)에 기 저장된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기준거리는 영상표시장치의 공장 출고 시, 기 설정된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기준거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로 길이의 반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보고 있는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의 산출시,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상대거리를 기초로 산출된 곡률 반경을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곡률 반경과 다른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산출된 곡률 반경은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만을 고려한 곡률 반경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일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청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와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경계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를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보고 있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만을 고려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는 곡률 반경 산출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사용자와 기 설정된 영역의 경계와의 거리가 y2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y2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만을 고려하여 산출된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는 모두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를 모두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의 상대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상대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두 명의 사용자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의 상대거리가 y1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명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곡률 반경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는 임의로 설정되거나, 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거리가 동일한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의 가운데 위치에 가상의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하여, 곡률 반경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대거리가 동일한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K일 때, K/2에 위치한 가상의 사용자를 가정하여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상대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명의 사용자는 서로 다른 상대거리(y1, y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각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가중치를 두어 곡률반경을 산출하는 방법, 상기 서로 다른 상대거리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곡률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각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가중치를 곡률반경을 산출하기 위한 가상의 상대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y1에 0.7, y2에 0.3의 가중치를 두어 가상의 상대거리인 y3를 계산하고, 상기 y3를 기준으로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상대거리에 따라 또는 기 저장된 식별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대거리가 더 긴 사용자에게 더 큰 가중치를 두어, 상대 거리가 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서로 다른 상대거리 중 더 큰 상대거리를 기준으로 곡률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보는 경우에는 작은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이 보다 안정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를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다르게,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만을 기준으로 곡률 반경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사용자는 메모리부(130)에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부(125)에 의하여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상기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대위치에 기초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상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선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는 모두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2상태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제2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를 가지는 중,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1상태에서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갖는 제2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도 9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도, 복수의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곡률반경 중 어느 하나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하는 원격 제어장치(1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장치(121a)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하여, 곡률반경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상에는 곡률반경의 설정을 위한 화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곡률반경의 설정을 위한 화면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률반경의 설정을 위한 화면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 중인 영상(예를 들어, TV 프로그램 영상 등)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고, 곡률반경의 설정을 위한 화면정보만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곡률반경의 설정을 위한 화면정보에는 기 설정된 곡률반경 항목을 포함하는 곡률반경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 설정된 곡률반경 항목의 주변에는 각 곡률반경에서의 프리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통하여, 곡률반경을 변경하기 전, 미리 영상의 표시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곡률반경의 설정을 위한 화면정보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곡률반경을 입력받는 입력창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수단(예를 들어, 리모콘, 터치패드)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곡률반경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제스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스처 감지부는 사용자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등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스처 감지부는 전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이 표시된 때에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스처 감지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영상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스처 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 저장된 제스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제스처에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 저장된 제스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공장 출고시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제스처에 연계된 기능은 상기 기 저장된 제스처에 연계된 곡률반경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손가락 제스처가 기 저장된 제스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 저장된 제스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기 저장된 제스처에 연계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가 "2"를 가리키는 제스처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2"를 가리키는 제스처에 연계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손쉽게 영상의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곡률반경을 변경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는 곡률 반경을 갖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곡률 반경을 갖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곡률 반경의 변경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곡률 반경 및 시청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 곡률 반경 및 시청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곡률반경을 갖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에는 사용자의 평소 티비를 보는 자세, 자주 보는 프로그램 정보, 사용자의 시청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25)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메모리부(13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상태정보와 현재 사용자의 상태정보(예를 들어, 현재 감지된 시청위치)를 비교하고, 현재 사용자의 상태정보와 일치하는 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상태정보와 일치하는 현재 상태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기 저장된 상태정보에 연계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는 시청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부(125)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통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상태정보와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태정보에 적합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동일한 시청위치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개개인의 상태정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곧바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추천 곡률 반경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곡률 반경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도록 각각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부(예를 들어, 카메라(600))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시청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시청 위치와 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시청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곡률 반경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도 11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곡률 반경에서의 프리뷰 영상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곡률 반경이 변경되기 전 미리 영상의 출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프리뷰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선택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서는 카메라(600)를 통하여 시청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600) 없이도 기 저장된 복수의 시청 위치에 따라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30)에는 시청 위치 별로 곡률 반경이 기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는 상기 시청 위치 중 자신의 현재 위치와 유사한 시청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반경을 변경할 수도 있으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현재 곡률 반경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시청위치를 추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 있음을 감지하면, 현재 곡률 반경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현재 곡률반경에서 몰입감, 시청각 등이 최적이 될 수 있는 시청 위치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1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곡률 반경에서의 최적의 시청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일 영역에 산출된 시청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지 또는 시청위치를 추천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일정 시간 동안 제1상태를 갖고,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고, 시청위치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곡률 반경의 변경과 함께 시청 위치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곡률 반경의 변경 후, 상기 변경된 곡률 반경에서의 시청 위치를 함께 추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에서의 최적의 시청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최적의 시청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최적의 몰입감 및 시청각을 갖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변경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된 곡률 반경에서의 시청 위치를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1상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있어서, 곡률 반경의 변경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로 동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잠금상태로 동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곡률 반경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매번 조건이 변경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곡률 반경이 변경된다면, 사용자는 오히려 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는 상태를 "잠금상태"라고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잠금상태"라는 용어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특정 곡률 반경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잠금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잠금상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잠금상태를 가지는 경우,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사이의 상대거리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에서 기 설정된 조건이 변경됨이 감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곡률 반경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일 영역에 잠금상태의 해제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가 잠금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대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사용자의 위치에 적합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면,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사용자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대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도 12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변경된 상대거리에 기초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곡률 반경의 잦은 변경으로 인한 영상의 몰입감을 방해받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곡률 반경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복수의 곡률 반경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곡률 반경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곡률 반경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그래픽 객체, 사용자로부터 곡률 반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 곡률 반경의 변경 조건을 선택하는 그래픽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상기 곡률 반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이 변경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에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의 변경을 중지하라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의 변경을 중지할 수 있다. 그 후, 도 13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곡률 반경을 기본 곡률 반경으로 설정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본 곡률 반경은 사용자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의 설정 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곡률 반경일 수 있다. (도 10A 참조)
다음으로,도 1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곡률 반경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곡률 반경의 변경 조건을 선택하는 그래픽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도 1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복수의 곡률 반경 변경 항목을 포함하는 조건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곡률 반경 변경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13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건 리스트 중 상태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상에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키, 시청 위치, 즐겨보는 영상의 종류 등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가변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있어서 곡률 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에 대한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변경됨에 따라 영상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및 그래픽 객체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변하는 곡률 반경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출력 가능한 모든 화면정보에 대한 표시상태를 함께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에 의한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곡률 반경에서의 영상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출력 가능한 모든 화면정보는 영상(동영상 및 정지영상), 그래픽 객체 등일 수 있다.
우선,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현재 곡률 반경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곡률 반경이 제1곡률 반경인 경우,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화면정보를 제1표시상태로 출력하고, 상기 곡률 반경이 제2곡률반경인 경우,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화면정보를 제2표시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상태는 영상의 휘어진 정도, 그래픽 객체의 출력위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2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화면정보의 표시 상태를 기본표시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반경을 검출할 필요 없이 항상 기본표시상태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 후, 도 1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반경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곡률 반경에 따라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 중인 영상은 휘어짐에 대응되어 함께 휘어지고, 그래픽 객체(1400)는 휘어짐이 커짐에 따라 중앙부에 출력되도록 출력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에도 불구하고,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짐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출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지는 경우, 상기 휘어짐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알림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휘어지는 경우,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9140)가 휘어지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이 종료되면, 상기 알림정보는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태를 인지하고, 현재 상태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 급격한 변화를 주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있어서, 기존의 기 설정된 곡률 반경만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사용자의 시청위치가 제한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곡률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각을 넓히고, 보다 몰입감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현재 곡률 반경을 감지하고, 상기 곡률 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청 위치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 100, 튜너부 :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 121, 저장부 : 1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 140,구동부 : 150
제어부(180), 전원공급부 : 190

Claims (22)

  1.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이 변경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힘을 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태가 제1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유한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를 갖고,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하면,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반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거리, 사용자의 상태정보,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변 조도, 출력되고 있는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정된 곡률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로 동작하는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밖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2상태로 동작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대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매핑한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유한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대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검출된 상대거리에 매핑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로 동작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과 독립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반경이 변경되지 않는 잠금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40052763A 2014-04-30 2014-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5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763A KR102251090B1 (ko) 2014-04-30 2014-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763A KR102251090B1 (ko) 2014-04-30 2014-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409A KR20150125409A (ko) 2015-11-09
KR102251090B1 true KR102251090B1 (ko) 2021-05-13

Family

ID=5460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763A KR102251090B1 (ko) 2014-04-30 2014-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2955A (zh) * 2021-10-27 2022-01-2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275354B (zh) * 2023-11-17 2024-01-16 深圳市宝视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自动调节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7482A (ja) * 2009-11-18 2011-06-02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283B1 (ko) * 2012-04-17 2018-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형 표시장치의 곡률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94073B1 (ko) * 2012-07-17 2018-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곡률을 조정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7482A (ja) * 2009-11-18 2011-06-02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409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843B2 (en) Image display device
EP2938068B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102735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880387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KR10212792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20050267A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US9801291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2453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304539A1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0916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1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40142989A (ko) 영상표시기기
KR1024658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7983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178635B1 (ko) 영상표시기기
KR1022510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50004194A (ko) 영상표시장치
KR10213053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668245B1 (ko)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2400239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20119133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101184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59843A (ko) 스피커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30101928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