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12B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12B1
KR102088912B1 KR1020130137842A KR20130137842A KR102088912B1 KR 102088912 B1 KR102088912 B1 KR 102088912B1 KR 1020130137842 A KR1020130137842 A KR 1020130137842A KR 20130137842 A KR20130137842 A KR 20130137842A KR 102088912 B1 KR102088912 B1 KR 10208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exible display
clicker
display devic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452A (ko
Inventor
김재호
성재현
강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12B1/ko
Priority to US14/319,425 priority patent/US9311843B2/en
Priority to EP14002457.1A priority patent/EP2874138B1/en
Priority to EP16182209.3A priority patent/EP3109848B1/en
Priority to CN201410645840.3A priority patent/CN104639931B/zh
Publication of KR2015005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85Special arrangements for addressi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matrix, other than by driving respective rows and columns in comb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어짐의 정도가 서로 다른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장착되어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휘어짐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이루어지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휘어짐을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형태가 가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제안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에서는 각 부품의 공차 및 조립 공차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초기 곡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아울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변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만으로 곡률 범위를 보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구현하고, 초기 곡률 및 곡률 범위를 보정 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표시장치는, 휘어짐의 정도가 서로 다른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장착되어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휘어짐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이루어지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휘어짐을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동력 방향을 전환시키는 베벨기어, 및 상기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조절유닛과 나사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을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부재와 결합되고 수용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크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너트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 너트가 상기 리드 스크류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 너트 간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이 장착되는 프레임에는 상기 몸체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스크류 너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몸체에 결합시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와 형합되는 형합부, 및 상기 스크류 너트가 수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가 몸체에 결합시 상기 조작부의 일측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조절유닛이 이동될 때 상기 조절유닛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제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상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조절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클리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 및 상기 스위치 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클리커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위치 본체와 접지되면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커는, 외주에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닛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조절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에는 상기 클리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리커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클리커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는, 상기 클리커를 회전시켜가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제한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클리커를 상기 조절유닛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에 기설정된 간격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클리커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떨어지면 상기 클리커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리미트 스위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조절유닛 중 하나의 조절유닛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조절유닛 중 다른 하나의 조절유닛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 스크류와 스크류 너트 간의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변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크류 너트의 회전 조작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의 정도(주로, 초기 곡률)를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제한부에 의하면, 가압부재의 휘어짐의 정도와 연관된 조절유닛의 이동 범위에 근거하여 구동유닛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클리커의 회전 조작에 의해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조절유닛의 이동 범위가 미세하게 보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변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류 너트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구동유닛과 조절유닛 간의 간격이 미세 보정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드 스크류와 스크류 너트의 체결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과 조절유닛 간의 간격이 미세 보정된 후, 고정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내측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클리커가 회전되어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클리커의 내측을 보인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클리커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121a)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 저장부(1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제어부(18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유닛(150), 오디오 출력부(124), 전원공급부(190) 및 3D 시청장치(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1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24)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3D 시청장치(14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3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1a)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21a)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11)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24)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24)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2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40a),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외에 3D 시청장치(140a)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4)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4)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2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121a)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121a)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변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가압부재(160), 구동유닛(150) 및 조절유닛(170)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휘어짐의 정도가 서로 다른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 제2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곡면 형태로 휘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상태와 제2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외력을 받아 전면 상의 사용자(시청자)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곡면 형태로 휘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력에 의하여 다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패널(미도시) 및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1)를 포함한다. 패널은 휘어짐이 가능한 패널(예를 들어, OLED 패널)로 구성되며, 지지부재(141)는 패널의 배면을 덮어 패널과 함께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지지부재(141)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탄소 섬유 등)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에 장착되어, 휘어짐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60)는 구동유닛(150)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의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가압부재(160)의 일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구동유닛(150)과 연결되는 조절유닛(170)과 결합된다. 조절유닛(17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 상에 돌출되게 배치되므로, 결합 구조상,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에 놓여있을 때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을 향하여 어느 정도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가압부재(160)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측와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41)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사이드 바(142)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14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가압부재(16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구동유닛(150)은 가압부재(160)의 휘어짐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압부재(160)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이루어진다. 가압부재(160)는 밀려나 휘어지거나, 당겨져 복원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150)이 가압부재(160)를 밀어내면, 가압부재(160)는 이전보다 더 휘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가압하게 되어, 평평한 상태에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반대로, 구동유닛(150)이 가압부재(160)를 당기면, 가압부재(160)는 이전보다 덜 휘어진 상태(즉, 이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곡면 형태로 휘어져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결합된 가압부재(160)의 복원에 따라 당겨져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조절유닛(170)은 가압부재(160)와 구동유닛(150)을 연결하고, 가압부재(160)의 휘어짐을 조절하도록 구동유닛(15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절유닛(170)이 구동유닛(150)으로부터 멀어지면 조절유닛(170)과 연결된 가압부재(160)는 측방향으로 밀려나 이전보다 더 휘어지게 되며, 조절유닛(170)이 구동유닛(150)에 가까워지면 조절유닛(170)과 연결된 가압부재(160)는 당겨져 복원되게 된다.
조절유닛(170)의 이동은 구동유닛(150)의 구동 또는 조절유닛(170)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구동유닛(150)의 구동에 의한 조절유닛(170)의 이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변 구동을 구현하며, 조절유닛(170)의 회전 조작에 의한 조절유닛(170)의 이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에 대한 미세 보정을 구현한다.
이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변 구동을 구현하고, 휘어짐의 정도를 미세 보정 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를 미세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바탕으로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는 각 부품의 공차 및 조립 공차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초기 곡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물론, 사용 중에도 이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보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류 너트(172)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구동유닛(150)과 조절유닛(170) 간의 간격이 미세 보정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설명의 편의상 프레임(144)의 일부가 제외되었음]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드 스크류(153)와 스크류 너트(172)의 체결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유닛(150)은 좌측 및 우측의 가압부재(160)에 균일한 힘을 가하고, 그에 따라 휘어진 가압부재(16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양측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구동유닛(150)은 안정된 구동을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운데 부분에 하나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상측 및 하측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양측에는 사이드 바(14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구동유닛(150)이 프레임(144)에 설치되고, 프레임(144)이 지지부재(141)의 배면에 설치되는 브래킷(143)에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구동유닛(150)은 구동모터(151), 베벨기어(152) 및 리드 스크류(15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51)는 구동축(151a)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구동축(151a)은 제어부(180)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 결과, 후술할 바와 같이, 구동축(151a)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리드 스크류(153) 역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베벨기어(152)는 구동축(151a)의 동력 방향을 전환시킨다. 구동축(151a)과 베벨기어(152) 사이에는 감속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어에 의하여 구동축(151a)의 회전속도가 적절히 낮춰질 수 있으며, 회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53)는 베벨기어(152)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스크류(153)는 구동축(15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며, 베벨기어(15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리드 스크류(153)는 조절유닛(170)과 나사결합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이동은 리드 스크류(153)의 회전 또는 조절유닛(17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대 이동에 의하여 가압부재(160)는 구동유닛(150)에 가까워지거나 구동유닛(150)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조절유닛(170)은 몸체(171) 및 스크류 너트(172)를 포함한다.
몸체(171)는 가압부재(160)와 결합되고, 리드 스크류(153)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개구된 수용부(171a)를 구비한다. 몸체(17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스크류 너트(172)의 삽입부(172a)는 수용부(171a)에 삽입되고, 리드 스크류(153)에 나사 결합되어 리드 스크류(153)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크류 너트(172)는 상기 리드 스크류(153)와 마주보는 일측면을 지지하고,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부(172b)를 구비한다. 조작부(172b)는 외주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태로 돌출되는 복수의 이(teeth)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72b)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스크류 너트(172)는 리드 스크류(153)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하여 가압부재(160)는 이전보다 더 휘어지거나, 이전에 비하여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가압부재(160)의 휘어짐의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도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72b)가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스크류 너트(172)가 리드 스크류(15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크류 너트(172)에 의해 일면이 지지되는 몸체(17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몸체(171)와 결합된 가압부재(160)는 밀려나 이전보다 더 휘어지게 된다. 반대로, 조작부(172b)가 타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스크류 너트(172)가 리드 스크류(15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몸체(171)도 복원력을 받는 가압부재(160)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가압부재(160)는 이전보다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이러한 조작부(172b)의 회전 조작에 따른 스크류 너트(172)와 리드 스크류(153) 간의 상대 이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을 미세하게 보정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한편, 리드 스크류(153)의 나사산 피치와 스크류 너트(172)의 회전각 등을 바탕으로, 하나의 이(teeth)가 인접한 이의 위치로 이동했을 때, 스크류 너트(172)와 리드 스크류(153) 간의 상대 이동 거리가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조작부(172b)를 회전 조작하면, 보다 정밀한 미세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몸체(171)는 리드 스크류(153)와 스크류 너트(172) 간의 상대 이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동유닛(150)이 장착되는 프레임(144)에는 몸체(171)의 가이드 홈(171b)에 삽입되어 몸체(171)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44a)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프레임(144)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프레임(14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144)에는 구동유닛(150) 및 조절유닛(170)이 설치되며, 조절유닛(170)에는 가압부재(160)가 장착된다. 즉, 이들 구성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을 구현하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류 너트(172)의 회전 조작을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가 미세하게 보정될 수 있다. 상기 미세 보정이 완료되면, 구동유닛(150)의 구동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하, 이를 구현하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150)과 조절유닛(170) 간의 간격이 미세 보정된 후, 고정부재(173)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부재(173)의 내측을 보인 도면이다. 참고로, 앞선 도 4에서, 구동유닛(150) 좌측의 조절유닛(170)에는 고정부재(173)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우측의 조절유닛(170)에는 고정부재(173)가 체결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절유닛(170)은 몸체(17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171)에 결합시 스크류 너트(17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73)를 더 포함한다.
즉, 고정부재(173)는 상기 미세 보정시에는 몸체(171)로부터 분리되었다가, 상기 미세 보정이 완료되면, 몸체(171)에 체결되어 스크류 너트(172)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재(173)는 체결부(173a), 형합부(173b) 및 커버부(173c)를 포함한다.
체결부(173a)는 고정부재(173)를 몸체(17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부(173a)가 몸체(171)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체결부재(173a')가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부(173a)를 몸체(171)에 체결시킨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형합부(173b)는 체결부(173a)가 몸체(171)에 결합시, 스크류 너트(17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조작부(172b)의 적어도 일부와 형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합부(173b)는 고정부재(173)의 내측에 형성되고, 조작부(172b)의 상부 이(teeth)와 형합되도록 요철(凹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173c)는 스크류 너트(172)가 수용부(171a)에서 빠지지 않도록, 체결부(173a)가 몸체(171)에 결합시, 조작부(172b)의 일측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미세 보정이 완료된 후, 고정부재(173)가 몸체(171)에 체결되면, 스크류 너트(172)는 형합부(173b)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커버부(173c)에 의해 몸체(171)에 고정되게 된다.
스크류 너트(172)가 몸체(171)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리드 스크류(153)가 회전되면, 스크류 너트(172) 및 이와 결합된 몸체(171)는 리드 스크류(153)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가압부재(160)도 몸체(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며, 그 이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가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 스크류(153)와 스크류 너트(172) 간의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가변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크류 너트(172)의 회전 조작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를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가변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150)만으로 곡률 범위를 보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곡률 범위를 미세 보정 가능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클리커(156)가 회전되어 복수의 돌출부(156a) 중 하나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앞선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구동유닛(150)의 구동에 의하여 조절유닛(170)이 이동될 때, 조절유닛(170)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구동유닛(150)의 구동을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제한부(154)를 구비한다. 구동제한부(154)에 의하면, 가압부재(160)의 휘어짐의 정도와 연관된 조절유닛(170)의 이동 범위에 근거하여, 구동유닛(15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구동제한부(154)의 상세 구조 및 그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동제한부(154)는 리미트 스위치(155) 및 클리커(156)를 포함한다.
리미트 스위치(15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 상에 설치되며, 클리커(156)는 조절유닛(17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144)에 리미트 스위치(155)가 설치되고, 몸체(171)에 클리커(156)가 설치되어, 몸체(171)의 이동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155)와 클리커(156)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리미트 스위치(155)와 클리커(156)의 설치 위치는 뒤바뀔 수도 있다.
클리커(156)는 조절유닛(170)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리미트 스위치(155)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압된 리미트 스위치(155)는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180)는 발생된 상기 신호를 근거로 구동유닛(15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리미트 스위치(155) 본체 및 스위치 본체(155a)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는 연장부(155b)를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155)를 예시하고 있다. 연장부(155b)는 클리커(156)의 가압에 의해 스위치 본체(155a)와 접지되면, 구동유닛(150)의 구동을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155)는 반드시 이러한 외팔보 스위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미트 스위치(155)는 클리커(156)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다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15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구동유닛(15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배면을 바라보았을 때, 구동유닛(150)의 우측에 제1 리미트 스위치(155')가 배치되고, 구동유닛(150)의 좌측에 제2 리미트 스위치(155")가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시와 달리,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55', 155")의 위치는 서로 뒤바뀔 수 있다.
제1 리미트 스위치(155')는, 조절유닛(170)이 구동유닛(150)에 기설정된 간격 이내로 접근하면, 클리커(156)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리미트 스위치(15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로 복원될 때의 휘어짐의 정도를 미세하게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제2리미트 스위치(155")는, 조절유닛(170)이 구동유닛(150)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떨어지면, 클리커(156)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리미트 스위치(15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최대로 휘어졌을 때의 휘어짐의 정도를 미세하게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55', 155")는 구동유닛(150) 양측의 조절유닛(170)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155)는 대응되는 조절유닛(170)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제한한다. 그러나, 구동유닛(150)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조절유닛(170)도 함께 구동 및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상태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를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이하, 상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리커(156)는 외주에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56a)를 구비하며, 몸체(1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클리커(156)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복수의 돌출부(156a) 중 하나는 연장부(155b)를 가압하는 돌출부(156a)로 선택될 수 있다. 구동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조절유닛(170)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복수의 돌출부(156a) 중 하나는 연장부(155b)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156a)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므로, 각각의 돌출부(156a)마다 리미트 스위치(155)와 돌출부(156a) 간의 간격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클리커(156)가 회전되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돌출부(156a)가 연장부(155b)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연장부(155b)와 돌출부(156a) 간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더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조절유닛(170)은 이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으며, 가압부재(160)는 보다 더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156a) 중 하나가 선택되어 조절유닛(170)의 이동 범위가 미세하게 보정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상태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의 정도가 미세하게 보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클리커(156)는 회전 조작된 후 고정되어 임의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 클리커(156)의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클리커(156)의 내측을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클리커(156)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171c)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몸체(171)에는 클리커(15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홈(17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리커(156)에는 복수의 고정홈(171c)에 각각 안착되어 클리커(156)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156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몸체(171)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56b)가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리커(156)에는 복수의 고정홈(171c)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돌기(156b)는, 클리커(156)를 회전시켜가며 리미트 스위치(155)를 가압하는 복수의 돌출부(156a)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복수의 돌출부(156a)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156b) 및 고정홈(171c)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앞선 도 9를 참조하면, 구동제한부(154)는, 복수의 고정홈(171c)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고정돌기(156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클리커(156)를 몸체(171)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클리커(156)의 막대부(156c)가 몸체(17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막대부(156c)의 단부에 이탈방지부재(158)가 체결되며, 막대부(156c)를 감싸는 탄성부재(157)가 몸체(171)와 이탈방지부재(158)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장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클리커(156)가 몸체(17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필요시에는, 클리커(156)를 살짝 들어올리고 다른 돌출부(156a)가 연장부(155b)를 마주보도록 회전 조작시킨 후, 클리커(156)를 놓으면, 클리커(156)는 탄성부재(157)에 의해 몸체(171)에 다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표시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휘어짐의 정도가 서로 다른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장착되어,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휘어짐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이루어지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휘어짐을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의 동력 방향을 전환시키는 베벨기어; 및
    상기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조절유닛과 나사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을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부재와 결합되고, 수용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크류 너트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 너트가 상기 리드 스크류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 너트 간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이 장착되는 프레임에는 상기 몸체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스크류 너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가 몸체에 결합시,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와 형합되는 형합부; 및
    상기 스크류 너트가 수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가 몸체에 결합시, 상기 조작부의 일측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조절유닛이 이동될 때, 상기 조절유닛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상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조절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클리커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 및
    상기 스위치 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클리커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위치 본체와 접지되면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커는,
    외주에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닛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조절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에는 상기 클리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리커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클리커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는, 상기 클리커를 회전시켜가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가압하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한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클리커를 상기 조절유닛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에 기설정된 간격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클리커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떨어지면 상기 클리커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리미트 스위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조절유닛 중 하나의 조절유닛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조절유닛 중 다른 하나의 조절유닛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30137842A 2013-11-13 2013-11-13 영상표시장치 KR10208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42A KR102088912B1 (ko) 2013-11-13 2013-11-13 영상표시장치
US14/319,425 US9311843B2 (en) 2013-11-13 2014-06-30 Image display device
EP14002457.1A EP2874138B1 (en) 2013-11-13 2014-07-16 Image display device
EP16182209.3A EP3109848B1 (en) 2013-11-13 2014-07-16 Image display device
CN201410645840.3A CN104639931B (zh) 2013-11-13 2014-11-12 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42A KR102088912B1 (ko) 2013-11-13 2013-11-13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452A KR20150055452A (ko) 2015-05-21
KR102088912B1 true KR102088912B1 (ko) 2020-03-13

Family

ID=5121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842A KR102088912B1 (ko) 2013-11-13 2013-11-13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11843B2 (ko)
EP (2) EP2874138B1 (ko)
KR (1) KR102088912B1 (ko)
CN (1) CN1046399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7353S1 (en) * 2014-03-07 2018-05-08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 icon
KR20160016333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464530B (zh) * 2014-11-18 2017-08-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型显示装置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108439A1 (en) 2014-12-29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11741B1 (ko) * 2015-01-14 2021-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756744B2 (en) * 2015-03-12 2017-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rigidity of flexible displays
JP2017037739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5118401B (zh) * 2015-10-12 2018-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设备
CN105160999B (zh) * 2015-10-12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承载装置及显示设备
CN105390069B (zh) * 2015-12-09 2018-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显示装置
KR102483559B1 (ko) * 2015-12-28 2023-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9119B1 (ko) * 2015-12-30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681707B (zh) * 2016-01-06 2018-05-1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可弯曲的显示屏及其电视机
CN105910798B (zh) * 2016-04-13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承载装置、承载系统及测试评价系统
EP3436885B1 (en) * 2016-08-12 2023-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c bar flexible display
KR102628093B1 (ko) * 2017-01-31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215507B (zh) 2017-07-07 2021-08-2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TW201918817A (zh) * 2017-11-02 2019-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WO2019106957A1 (ja) * 2017-11-28 2019-06-0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チューナモジュール及び受信装置
CN108091262B (zh) * 2017-12-12 2020-07-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调节机构及背光模组
KR102521226B1 (ko) * 2017-12-12 2023-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721369B (zh) * 2018-01-30 2021-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660221B2 (en) * 2018-05-21 2020-05-19 Yungu (Gu'an) Technology Co., Ltd. Display box and display device
KR102593717B1 (ko) * 2018-08-31 2023-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17276B (zh) * 2020-03-31 2021-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和电子设备
KR20220008593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429732A (zh) 2020-10-29 2022-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曲率调节装置、显示装置及显示装置治具
KR20220096134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평판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676A (ja)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調整装置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1752B2 (en) *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8669956B2 (en) * 2011-12-30 2014-03-11 Lg Electronics Inc. Bending threshold and releas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507206B1 (ko) * 2012-02-13 2015-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표시장치
KR102145533B1 (ko) * 2012-10-0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139950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18339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26028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676A (ja)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調整装置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9848B1 (en) 2018-11-14
US20150130775A1 (en) 2015-05-14
CN104639931B (zh) 2016-12-07
CN104639931A (zh) 2015-05-20
EP2874138B1 (en) 2016-09-14
KR20150055452A (ko) 2015-05-21
US9311843B2 (en) 2016-04-12
EP3109848A1 (en) 2016-12-28
EP2874138A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91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193921B1 (ko) 영상표시장치
EP2824654B1 (en) Image display device
EP3039666B1 (en) Image display device
US9055326B2 (en)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EP2424264A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72686B1 (ko) 영상표시기기
KR102091517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088605A (ko) 영상표시장치
KR10209151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17983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510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30538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116283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59840A (ko) 스피커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60059842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