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533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533B1
KR102145533B1 KR1020120110325A KR20120110325A KR102145533B1 KR 102145533 B1 KR102145533 B1 KR 102145533B1 KR 1020120110325 A KR1020120110325 A KR 1020120110325A KR 20120110325 A KR20120110325 A KR 20120110325A KR 102145533 B1 KR102145533 B1 KR 10214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twist
displayed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228A (ko
Inventor
곽지연
강경아
니푼 쿠마르
이용연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533B1/ko
Priority to EP13186928.1A priority patent/EP2717118A3/en
Priority to CN201380059287.9A priority patent/CN104798011B/zh
Priority to TW102135609A priority patent/TW201415343A/zh
Priority to PCT/KR2013/008830 priority patent/WO2014054886A1/en
Priority to US14/046,123 priority patent/US20140101560A1/en
Publication of KR2014004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벤딩이,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벤딩 라인이 어느 한 변과 만나는 트위스트 벤딩이면,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 변형 특성을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위스트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이,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벤딩 라인이 어느 한 변과 만나는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된 화면을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화면을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상기 트위스트 벤딩 횟수, 상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형 또는 상기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상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상기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각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방향을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방향으로 하여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화면이 컬러 화면인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표시된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화면이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그립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며,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벤딩이,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벤딩 라인이 어느 한 변과 만나는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된 화면을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화면을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 또는 회전은,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상기 트위스트 벤딩 횟수, 상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상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상기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은,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각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방향을 상기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화면이 컬러 화면인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표시된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화면이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 닫기(close)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그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전체 트위스트 벤딩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부분 트위스트 벤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 변형 특성을 다양한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벤딩 방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 변형에 따른 터치 파라미터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9 내지 1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트위스트 벤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트위스트 벤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트위스트 벤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표시된 화면을 변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화면의 형상만을 변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입체 형상 객체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 내지 19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입체 형상 객체의 형상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일반 벤딩에 따라 입체 형상 객체를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전환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부분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6은 벤딩에 따라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8, 29에 도시된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전원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휴대용 장치뿐만 아니라, 모니터, TV, 키오스크 등 거치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에 포함된 다양한 대상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브젝트는 영화 컨텐츠, 사진 컨텐츠, 위젯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가능한 모든 종류의 객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재생 화면 또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가 재생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지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벤딩은, 일반 벤딩, 폴딩, 롤링, 트위스트 벤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구부러진 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폴딩 및 롤링과 차이가 있다.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곡률 반경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곡률 반경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곡률 반경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곡률 반경 미만의 벤딩이 일정 영역 이상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하고, 일정 곡률 반경 미만의 벤딩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벤딩 및 그 밖의 벤딩 형태를 총괄하여 벤딩이라 칭한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벤딩(bending)이란,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드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드 센서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11-1 내지 1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12-1 내지 1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a)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11-1 내지 11-5, 12-1 내지 1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디스플레부(110)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와 같이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b)는 하나의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드 센서(2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서 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c)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c)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22)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23)는 제2 면 상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감지부(120)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d)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배치된 도면을 나타낸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d)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30-1,30-2,...,30-n,...,30-m,...)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부(120)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벤드 센서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이 2차원 상의 x-y 평면에 놓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벤드 센서는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한다.
즉,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저항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 라인이 세로 방향 및 Z+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41-1 내지 41-5)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4(a)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중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중심 영역인 벤드 센서(41-1)의 a3 지점, 벤드 센서(41-2)의 b3 지점, 벤드 센서(41-3)의 c3 지점, 벤드 센서(41-4)의 d3 지점, 벤드 센서(41-5)의 e3 지점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 벤드 센서(41-1 내지 41-5)는 a3 지점, b3 지점, c3 지점, d3 지점 및 e3 지점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벤딩 정도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벤드 센서(4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되며,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a1 지점과 그 좌측 영역, a5 지점과 그 우측 영역은 벤딩되기 전과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다른 벤드 센서들(41-2 내지 41-5)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의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개수,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횟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벤딩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벤딩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벤딩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판단한다. 반면, 제어부(13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중 그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지점이 존재하면, 이들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벤드 센서(41-1)의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의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의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의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의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벤드 센서(41-1 내지 41-5)에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은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4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4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판단한다.
한편, 벤딩 영역은 벤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이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령, 도 4(a)의 경우, 벤딩 센서(41-1)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4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4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4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43)을 벤딩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벤딩 라인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4(a)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격자 형태의 벤드 센서 중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만을 도시하였다. 즉, 감지부(12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를 통해, 벤딩 라인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벤딩 라인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감지부(12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대각선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감지부(120)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하게 되며,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개수,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횟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벤딩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벤딩된 영역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51-p,...,51-p+5,51-r,...,51-r+5)에 힘이 가해지고,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위치한 지점들을 모두 포함한 영역(5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 내에서 원 상태에서와 차이가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따라, 가장 큰 힘이 가해지는 적어도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가장 큰 힘과 다음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적어도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벤딩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어, 원 상태에서와 차이가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51-p+2)와 제2 스트레인 게이지(51-r+3)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스트레인 게이지(51-1,51-2,...)가 내장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스트레인 게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 또는 양면에 내장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는 정도 즉,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벤딩 각도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플랫한 상태일 때와 벤딩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각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별로 벤딩 라인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들을 기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 벤딩 시 벤딩 라인에 위치한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를 기저장된 저항값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위치한 벤드 센서 지점(a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출력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각도별로 기저장된 저항들을 이용하여, a4 지점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에 매칭되는 벤딩 각도(θ)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 각도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채널 재핑(zapping)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벤딩 각도가 크다면 채널 재핑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채널 재핑 범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반면, 벤딩 각도가 작다면 더 느리게, 더 작은 채널 개수 단위로 채널 재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볼륨 조절이나 컨텐츠 전환 등의 동작 시에도 벤딩 각도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 및 7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과 같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에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71, 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71) 및 하위 벤드 센서(72)의 저항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71, 72)의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위쪽 벤드 센서(71)보다 아래쪽 벤드 센서(7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위쪽 벤드 센서(71)에서 아래쪽 벤드 센서(7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두 벤드 센서(71, 7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 중 하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Z+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 중 상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하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Z-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6(c)와 같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c)는 두 벤드 센서(73, 74)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될 때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 중에서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반면, Z- 방향으로 벤딩될 때는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벤딩 방향에 따라 두 벤드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은 서로 다르게 검출되며, 제어부(130)는 그 값의 검출 특성에 따라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벤딩 방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는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81-1, 81-2)를 각각 배치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될 때 가속도 센서(81-1, 81-2) 각각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81-1, 81-2) 각각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81-1, 81-2) 각각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71-1, 71-2)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7(b)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세로 방향의 가속도 센서(81-3, 81-4) 각각에서 감지한 측정값에 따라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측 가장자리 또는 상하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가속도 센서는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벤딩 영역 및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함께 벤딩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하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을 감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한 지점의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가 변형되면, 형태가 변형된 영역은 터치 감도 또는 터치입력된 위치가 형태 변형 전 상태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가 변형되면, 변형된 형태에 따라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형태 변형 영역,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등을 판단하고,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등을 이용하여 형태 변형 영역에서의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파라미터는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터치된 지점의 압력 등과 관계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이는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 변형에 따른 터치 파라미터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600), 터치될 위치(610), 터치될 위치의 주변부(620,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 패널(600)은 디스플레이부(110) 내에 또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 라인이 세로 방향 및 Z+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벤딩된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600)은 도 8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 주변부(620)는 가까워져서 터치 감도(touch sensitive)가 높아지고, 상하 주변부(630)는 변형이 적어 터치 감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좌우 주변부(620)의 터치 감도가 낮아지도록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 변형이 발생하면, 형태가 변형된 영역에 입력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형태 변형 전 위치와 차이가 발생하는 바, 제어부(130)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터치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터치 감도를 높이거나 낮추고, 터치 입력될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도를 높인다는 개념은, 터치 이벤트 발생 등에 대응하는 신호의 발생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트위스트 벤딩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변 또는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이 그립된 상태에서, 제1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2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을 의미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한다는 특성상, Z+ 방향으로의 벤딩 및 Z- 방향으로의 벤딩은, 생성된 '+' 벤딩 라인이 만나는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과, 생성된 '-' 벤딩 라인이 만나는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이 동일하게 하는 벤딩일 수 있다.
또한, 그립된 상태는, 반드시 사용자의 신체 중 그립을 수행할 수 있는 부위(예를 들어 손, 발 등)에 의하여 그립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립된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객체(벽(wall), tv 등)에 부착되거나 고정된 상태인 경우에도, 그립된 상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또는 고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벤딩함으로써, 트위스트 벤딩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 및 부분 트위스트 벤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 트위스트 벤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2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을 의미한다.
부분 트위스트 벤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2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트위스트 벤딩의 정의를 참조하여, 트위스트 벤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트위스트 벤딩 상태 판단 방법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Z+ 방향 벤딩에 의하여 형성된 벤딩 라인은 '+', 사용자의 Z- 방향 벤딩에 의하여 형성된 벤딩 라인은 '-'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트위스트 벤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압력 센서(261), 뒷면에 내장된 압력 센서(2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20)는 압력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압력 센서(261,262)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그립(grip) 및 트위스트 벤딩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압력 센서(261,262)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도 9(a)와 같이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왼쪽 변, 오른쪽 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왼쪽 변의 그립 영역을, Z+ 방향으로 벤딩하면, 왼쪽 변에 내장된 압력 센서(261,262)는 인가된 힘에 대응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왼쪽 변의 앞면에 내장된 압력 센서(261)에서 센싱되는 값 및 뒷면에 내장된 압력 센서(262)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왼쪽 변에 Z+ 방향으로 벤딩이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른쪽 변의 그립 영역을, Z- 방향으로 벤딩하면, 오른쪽 변에 내장된 압력 센서(261,262)는 인가된 힘에 대응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오른쪽 변의 앞면에 내장된 압력 센서(261)에서 센싱되는 값 및 뒷면에 내장된 압력 센서(262)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오른쪽 변에 Z- 방향으로 벤딩이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로 다른 양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이 그립된 상태에서, 제1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되었다고 인식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위스트 벤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트위스트 벤딩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9(b)와 같이 형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압력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 및 뒷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면에만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내장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대각선의 위치에 내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위스트 벤딩 상태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별도의 압력 센서 없이,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하여 감지된 벤딩 라인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위스트 벤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a)와 같이,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0(b)와 같이,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b)와 같이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변, 오른쪽 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왼쪽 변의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면, 도 10(c)와 같이, '+' 벤딩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변, 오른쪽 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오른쪽 변의 그립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면, 도 10(c)와 같이, '-'벤딩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형성된 '+', '-' 벤딩 라인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형성된 '+', '-' 벤딩 라인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된 '+' 벤딩 라인이 만나는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과 감지된 '-' 벤딩 라인이 만나는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이 동일하고, '+', '-' 벤딩 라인의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위스트 벤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a),(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양한 벤드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는 도 3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트위스트 벤딩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0(c)와 같이 형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형태 변형은, 사용자가 트위스트 벤딩을 수행하는데 사용한 힘 및/또는 사용자의 그립 위치에 따라 도 10(d),(e) 같이 형태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위스트 벤딩 상태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내장된 형상 인식 센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형상 인식 센서(28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변형된 형상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인식 센서(281)는 복수 개의 좌표로 구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가 변형되면, 형상 인식 센서(281)는 각각의 좌표마다 변형된 형태에 대응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출력된 전압 값을 이용하여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를 이용하여 변형된 형상이 어떠한 형상인지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를 이용하여, 일반 벤딩, 트위스트 벤딩, 폴딩, 롤링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만약 도 11(a)와 같이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변, 오른쪽 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왼쪽 변의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면, 도 11(b)와 같이, '+' 벤딩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른쪽 변의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면, 도 11(b)와 같이, '-' 벤딩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형상 인식 센서(281)는 각각의 좌표에서 형상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출력된 전압 값을 이용하여 변형된 형상이 어떠한 형상인지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 벤딩 라인이 만나는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과 '-' 벤딩 라인이 만나는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이 동일하고, '+', '-' 벤딩 라인의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위스트 벤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트위스트 벤딩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1(b)와 같이 형태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트위스트 벤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체 트위스트 벤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2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형성되는 벤딩을 의미한다.
즉 전체 트위스트 벤딩은 도 12(a),(b)와 같이, 사용자가 서로 다른 변인 왼쪽 변 및 오른쪽 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 조작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서는, 도 12(c),(d)와 같이, 사용자가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 조작일 수 있다.
한편, 도 12(a), 12(c)와 같은, 사용자의 전체 트위스트 벤딩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2(b), 12(d)와 같이 형태 변형될 수 있다.
도 13은 부분 트위스트 벤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분 트위스트 벤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제2 그립 영역은, Z-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을 의미한다.
즉 부분 트위스트 벤딩은 도 13(a),(b)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변(왼쪽 변, 오른쪽 변, 위쪽 변 또는 아래쪽 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을 그립한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 조작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서는, 도 13(c),(d)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하는 사용자 조작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3(a), 13(c)와 같은, 사용자의 부분 트위스트 벤딩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3(b), 13(d)와 같이 형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술한 도 9 내지 11의 판단 방법 및 사용자의 그립 위치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체 트위스트 벤딩 상태인지, 부분 트위스트 벤딩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감지된 사용자 그립이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트위스트 벤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된 사용자 그립이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부분 트위스트 벤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그에 대한 벤딩 감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벤딩 라인에 위치한 아이템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다양한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컨텐츠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 아이콘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여, 특정 아이템을 벤딩 라인에 위치시킨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 라인에 위치한 아이템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정된 아이템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속도에 비례하여 표시된 컨텐츠가 전환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영화 컨텐츠, 음악 컨텐츠, 사진 컨텐츠, 전자 책 컨텐츠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1 벤딩 속도로 벤딩하면, 제어부(130)는 제1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컨텐츠가 전환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1 벤딩 속도보다 빠른 제2 벤딩 속도로 벤딩하면, 제어부(130)는 제2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컨텐츠가 전환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딩 속도에서 전환된 영화 컨텐츠와, 제2 벤딩 속도에서 전환된 영화 컨텐츠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벤딩 속도에서 전환된 음악 컨텐츠의 앨범, 제목 또는 아티스트와, 제2 벤딩 속도에서 전환된 음악 컨텐츠의 앨범, 제목 또는 아티스트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벤딩 속도에서 전환된 사진 컨텐츠와, 제2 벤딩 속도에서 전환된 사진 컨텐츠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벤딩 속도에서 전자 책 컨텐츠의 넘겨진 페이지와, 제2 벤딩 속도에서 전자 책 컨텐츠의 넘겨진 페이지를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벤딩 각도 이상일 경우에만,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미만일 경우,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의 벤딩 각도가 기 설정된 벤딩 각도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벤딩 각도가 커짐에 따라 표시된 컨텐츠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진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상태에서, 만약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 방향이 Z+방향인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표시된 사진 이후의 사진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약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 방향이 Z-방향인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표시된 사진 이전의 사진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횟수에 따라 컨텐츠의 표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화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영화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상태에서, 만약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 횟수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1회인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화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2배속으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 횟수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2회인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화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4배속으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 횟수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3회인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화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8배속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하여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표시된 화면을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화면은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HOME)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복수 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 정지 영상 화면, 동영상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 또는 부분 트위스트 벤딩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표시된 화면을 변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된 화면은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이고,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a)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면, 표시된 화면은 도 14(b)와 같이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화면을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터치 조작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일정 영역의 화면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등 다양한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화면의 형상만을 변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객체가 포함되고,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2 행에 표시된 객체들(341)을 포함하는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면, 선택된 객체들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321)은 도 15(b)와 같이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트위스트 벤딩 횟수,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된 화면의 변형할 수 있다.
벤링 라인의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 벤딩 라인, '-' 벤딩 라인의 위치를 의미한다.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은 Z+ 및 Z- 방향으로 벤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따라 트위스트된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왼쪽 변을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오른쪽 변을 Z- 방향으로 벤딩하면, 트위스트 벤딩 방향은 제1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왼쪽 변을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오른쪽 변을 Z+ 방향으로 벤딩하면, 트위스트 벤딩 방향은 제2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윗 쪽 변을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아래쪽 변을 Z- 방향으로 벤딩하면, 트위스트 벤딩 방향은 제3 방향일 수 있다. 즉 트위스트 벤딩 방향은 각 변 또는 각 꼭짓점의 벤딩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는 '+', '-' 벤딩 라인에서의 벤딩 각도를 의미한다.
트위스트 벤딩 횟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트위스트 벤딩 상태에서 기 설정된 상태까지 트위스트 벤딩 상태를 푼(release)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다시 트위스트 벤딩하는 경우에도 횟수의 카운트를 트위스트 벤딩일 수 있다.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한 후,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트위스트 벤딩은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에 따라 FLAP 트위스트 벤딩, HOLD 트위스트 벤딩을 포함할 수 있다.
FLAP 트위스트 벤딩은 트위스트 벤딩 후, 바로 트위스트 벤딩 상태를 푸는 동작을 의미한다. HOLD 트위스트 벤딩은 트위스트 벤딩 후, 트위스트 벤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FLAP 트위스트 벤딩인지 HOLD 트위스트 벤딩인지 여부는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보다 작은지 큰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14를 예로 설명하면, 벤딩 라인의 위치가 바뀌면, 표시된 화면을 변형하기 위한 벤딩 라인도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방향이 바뀌면, 표시된 화면이 벤딩된 Z+, Z- 방향은 변경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바뀌면, 표시된 화면을 변형하기 위한 벤딩 라인에서의 벤딩 각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횟수에 따라 표시된 화면의 뒤틀린 형상은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단 짧으면, 표시된 화면은 트위스트 벤딩이 해제되어 평평해지는 순간 평평한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다 길면, 표시된 화면은 뒤틀린 형상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면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입체 형상 객체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a)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입체 형상 객체(33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51)는 도 16(b)와 같이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트위스트 벤딩 횟수,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입체 형상 객체를 변형할 수 있다.
즉 도 16을 예로 설명하면, 벤딩 라인의 위치가 바뀌면, 입체 형상 객체의 뒤틀림 기준축(332)은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방향이 바뀌면, 입체 형상 객체의 뒤틀림 방향은 변경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바뀌면, 입체 형상 객체의 뒤틀림 기준축(332)을 기준으로한 뒤틀림 정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횟수에 따라 입체 형상 객체의 뒤틀린 형상은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단 짧으면, 트위스트 벤딩이 해제되어 평평해지는 순간 입체 형상 객체는 원래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다 길면, 입체 형상 객체는 뒤틀린 형상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19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입체 형상 객체의 형상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a), 18(a), 19(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입체 형상 객체(33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하단 꼭짓점을 Z- 방향으로 벤딩하고, 우측 상단 꼭짓점을 Z+방향으로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31)의 회전 방향은 도 17(b)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변을 Z- 방향으로 강하게 벤딩하고, 아래쪽 변을 Z+ 방향으로 약하게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31)의 회전 방향은 도 18(b)와 같을 수 있다. 또는 위쪽 변에 Z- 방향으로 약하게 벤딩하고, 아래쪽 변을 Z+ 방향으로 강하게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31)의 회전 방향은 도 18(b)와 반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변을 Z+ 방향으로 강하게 벤딩하고, 오른쪽 변을 Z- 방향으로 약하게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31)의 회전 방향은 도 19(b)와 같을 수 있다. 또는 왼쪽 변을 Z- 방향으로 약하게 벤딩하고, 오른쪽 변을 Z+ 방향으로 강하게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31)의 회전 방향은 도 19(b)와 반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힘의 세기는 도 9의 경우, 압력 센서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경우 감지된 '+' 벤딩 라인 및 감지된 '-' 벤딩 라인에서의 벤딩 각도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경우, 형상 인식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을 통하여 힘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트위스트 벤딩 횟수,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벤딩 라인의 위치가 바뀌면,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방향이 바뀌면,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방향은 변경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바뀌면,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한 회전 정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횟수에 따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정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단 짧으면, 입체 형상 객체는 트위스트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만큼만 회전하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다 길면, 입체 형상 객체는 회전축으을 기준으로 계속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면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되고,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각도로,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속도로,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방향을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방형으로 하여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일반 벤딩에 따라 입체 형상 객체를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입체 형상 객체(37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일반 벤딩하면, 입체 형상 객체(371)는 도 20(b)와 같이, 벤딩 라인(372)을 회전 축으로, 벤딩 방향 Z+를 회전 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형상 객체(371)는 도 20(c)와 같이, 벤딩 라인(373)을 회전 축으로, 벤딩 방향 Z+를 회전 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도 2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입체 형상 객체(371)는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각도로,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속도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입체 형상 객체(391)는 벤딩 각도가 30도이면, 회전 축을 기준으로 30도 회전할 수 있고, 벤딩 속도가 빠르면, 회전 축을 기준으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된 화면이 컬러 화면인 경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표시된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컬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면, 표시된 컬러 화면은 도 21(b)와 같이, 흑백 화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부분 트위스트 벤딩인 경우에도 컬러 화면은 흑백 화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트위스트 벤딩 횟수,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흑백 화면으로 변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1을 예로 설명하면, 벤딩 라인의 위치가 바뀌면, 컬러 화면에서 흑백 화면으로 전환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방향에 따라 컬러 화면에서 흑백 화면으로 전환이 수행 또는 미수행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바뀌면, 컬러 화면에서 흑백 화면으로 전환되는 정도가 변경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보다 작으면, 특정 색은 검은색 또는 흰색으로 전환되지 않고 표시될 수 있다), 트위스트 벤딩 횟수에 따라 컬러 화면에서 흑백 화면으로의 전환이 수행 또는 미수행되거나, 전환되는 정도가 변경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단 짧으면, 트위스트 벤딩이 해제되어 평평해지는 순간 컬러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다 길면, 흑백 화면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된 화면이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더 아이콘(391)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위스트 벤딩하면, 도 22(b)와 같이, 폴더 아이콘을 열고, 열린 폴더 아이콘에 포함된 파일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부분 트위스트 벤딩인 경우에도 폴더 아이콘을 열고, 열린 폴더 아이콘에 포함된 파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트위스트 벤딩 횟수,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 또는 닫기(close) 또는 열린 폴더 아이콘에 포함된 파일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2를 예로 설명하면, 벤딩 라인의 위치가 바뀌면, 열리는 폴더 아이콘이 변경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두 개의 벤딩 라인 내에 위치한 폴더 아이콘만 열릴 수 있다), 트위스트 벤딩 방향에 따라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바뀌면, 열린 폴더 아이콘에 포함된 파일 중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파일의 수가 변경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트위스트 벤딩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보다 작으면, 열린 폴더 아이콘에 포함된 파일 중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파일의 수는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일 수 있다.), 트위스트 벤딩 횟수에 따라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될 수 있고,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단 짧으면, 트위스트 벤딩이 해제되어 평평해지는 순간 열린 폴더 화면이 이전 화면인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다 길면, 열린 폴더 화면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전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영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체 트위스트 벤딩 조작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23(b)와 같이, 영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 감지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화면에 따라 다양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화면이 영화 컨텐츠 화면인 경우,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 감지되면, 표시된 영화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전체 영화 컨텐츠를 리스트 형식 또는 아이콘 형식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홈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 트위스트 벤딩을 유지하는 경우, 화면의 전환이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인 제n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 트위스트 벤딩을 유지하는 경우, 복수 개의 메뉴를 포함하는 리스트 메뉴에서 제1 메뉴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인 제n 메뉴까지 메뉴 이동이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의 전환, 메뉴의 이동의 속도는 전체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및 전체 트위스트 벤딩 각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부분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부분 트위스트 벤딩 조작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24(b)와 같이, 볼륨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또는 도 24(c)와 같이, 다음 트랙 또는 이전 트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도 24(d)와 같이, 처음 트랙 또는 마지막 트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도 24(e)와 같이, 다음 앨범 또는 이전 앨범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메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고, 감지된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면, 메뉴의 각 항목을 순차적으로 네비게이션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위스트 벤딩으로 각 메뉴 중 원하는 메뉴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카메라부(140), 통신부(1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2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카메라부(14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기 공지되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50)는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카메라부(140), 통신부(1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GPS모듈을 이용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40)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검출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촬영된 영상의 촬영 방향을 자기장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촬영 방향을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수신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 및 촬영 방향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50)는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촬영된 영상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에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벤딩에 따라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카메라부(140)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영역을 일반 벤딩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26(b)와 같이, 현재 표시되지 않은 증강 현실 화면의 왼쪽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영역을 Z+ 방향으로 일반 벤딩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증강 현실 화면을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하여 오른쪽으로 3차원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른쪽 영역을 일반 벤딩하면, 상술한 기능과 반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26(c)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영역을 Z+ 방향으로 일반 벤딩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26(d)와 같이, 증강 현실 화면을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3차원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현재 표시되지 않은 증강 현실 화면의 위쪽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래쪽 영역을 일반 벤딩하면, 상술한 기능과 반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26(e)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체 트위스트 벤딩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26(f)와 같이,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의 반대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서는 부분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의 반대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26에서는 설명하지 도시되지 않았지만, 증강 현실 화면은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각도로, 감지된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입체 형상 객체의 회전 속도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파일은, 어플리케이션 파일, 영화 컨텐츠 파일, 음악 컨텐츠 파일, 음악 컨텐츠 파일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이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표시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은 기 설정된 영역으로 축소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 전송될 외부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도 27은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위스트 벤딩은 전체 트위스트 벤딩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a)와 같이, 파일을 전송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1)은 위에, 파일을 수신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밑에 포개어 높을 수 있다.
한편, 파일을 전송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공유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외부 기기에 전송할 공유 파일(4401,4402,4403,4404)을 선택할 수 있다. 전송될 공유 파일(4401,4402,4403,4404)이 선택된 후, 도 27(b)와 같이, 사용자는 트위스트 벤딩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1,100-2)가 포개진 상태로 트위스트 벤딩이 수행되면, 파일을 전송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파일을 수신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1,100-2)가 포개진 상태로 트위스트 벤딩이 수행되면, 파일을 전송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파일을 수신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bluetooth)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 27(b)(c)와 같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4401,4402,4403,4404)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은 파일을 수신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운데 영역일 수 있고, 또한 기 설정된 영역에의 근접도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4401,4402,4403,4404)의 전송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제1 공유 파일이 외부 기기에 전송이 80%완료되었고, 선택된 제2 공유 파일이 외부 기기에 전송이 50%완료된 경우, 제1 공유 파일이 제2 공유 파일 보다 기 설정된 영역에 더욱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4401,4402,4403,4404)은 도 27(b)(c)와 같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축소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4401,4402,4403,4404)의 전송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제1 공유 파일이 외부 기기에 전송이 80%완료되었고, 선택된 제2 공유 파일이 외부 기기에 전송이 50%완료된 경우, 제1 공유 파일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크기는 제2 공유 파일에 대응되는 아이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27(c)와 같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 중 전송이 완료된 공유 파일(4403)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플렉서블하지 않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V, 전자 액자, 모니터, 광고판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조에서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을 제외하고, 플렉서블한 기판 만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피제어 기기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장치(100)는 트위스트 벤딩을 감지하고,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신호(이하에서, 제어 신호라 함)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 신호(이하에서, 제어 정보라 함)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제어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이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BT(BlueTooth), IR Interface, wifi, PAN, LAN, WAN, Wired I/O,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BT(BlueTooth)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블루투스 페어링과 관련된 상세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 장치(100)로부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는 IR(Infra Red) 신호로 구현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나 NFC, 와이파이, 지그비,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는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외하고, 감지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60)를 포함하며, 이와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벤딩에 대응되는 각종 코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코맨드를 저장부(160)로부터 검출한 후, 그 코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코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벤딩 별로 할당되어 미리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60)에는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코맨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렉서블 장치(100)를 벤딩시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트위스트 벤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는 감지 신호만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뿐 아니라, 차량(200-1), 오디오(200-1)와 같은 복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 구현에 있어서는 기존의 통합 리모콘과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0은 도 28, 29에 도시된 플렉서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장치(100)에 대한 트위스트 벤딩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즉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특정 채널이 선국되어 방송 중인 상태에서,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트위스트 벤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채널 전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채널 전환 뿐만 아니라, 볼륨 조절, 밝기 조절, 디스플레이 페이지 전환, 파일 송수신 등의 다양한 기능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채널을 윗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고,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채널을 아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가 제1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한 채널 위로 전환할 수 있고,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가 제1 각도 보다 큰 제2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두 채널 위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HOLD 트위스트 벤딩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채널 전환을 유지할 수 있고, 감지된 트위스트 FLAP 트위스트 벤딩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채널 전환을 한 번 수행할 수 있다.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트위스트 벤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UI 화면이 다른 UI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UI 페이지가 다음 UI 페이지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먼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한다(S3101).
그리고 감지된 벤딩이,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벤딩 라인이 어느 한 변과 만나는 트위스트 벤딩이면,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3102). 여기서 수행하는 단계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표시된 화면을 변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화면 상에 복수의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형상만을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된 경우,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화면 상에 입체 형상 객체가 표시되고,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표시된 입체 형상 객체를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표시된 화면이 컬러 화면인 경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표시된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표시된 화면이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 닫기(close)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행하는 단계는,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되고,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을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2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카메라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음성 인식부(165), 모션 인식부(170), 스피커(180), 외부 입력 포트(190-1 ~ 190-n), 전원부(19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6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자 조작 내용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비롯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의 벤딩 상태 및 터치 상태를 감지한다. 도 32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121), 지자기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벤드 센서(124), 압력 센서(125), 근접 센서(126), 그립 센서(12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2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122) 및 가속도 센서(123)는 각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5)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5)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에서는 압력 센서(125)가 터치 센서(121)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센서(121)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25)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26)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26)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125)와 별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일 예로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10) 및 스피커(180) 등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방송 수신 모듈(15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 GPS 모듈(153), 무선 통신 모듈(15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151)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이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GPS 모듈(153)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154)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 모듈(152)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통신부(150)의 각 구성 요소 중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 수행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 조작이나 터치 조작 이외에 음성 입력이나 모션 입력을 인식하여, 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165) 또는 모션 인식부(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부(165)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음성 취득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음향을 수집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기 설정된 음성 코맨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태스크로는, 볼륨 조절, 채널 선택, 채널 재핑, 표시 속성 조절,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선택, 장치 턴온, 턴오프 등과 같이 다양한 태스크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부(17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상 수단(14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 코맨드에 대응되는 모션 제스쳐를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모션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채널 재핑, 장치 턴온, 턴오프, 일시 정지,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음소거 등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가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음성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모션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등에 대한 상술한 예들은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밖에, 외부 입력 포트 1, 2 ~ n(190-1 ~ 190-n)들은 각각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 헤드셋 포트, 마우스 포트, LA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9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2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드시 전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구성요소만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품 종류에 따라 구성요소들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또는, 타 구성요소들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시스템 메모리(131), 메인 CPU(132), 이미지 프로세서(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 저장부 인터페이스(13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오디오 처리부(137), 시스템 버스(138)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131), 메인 CPU(132), 이미지 프로세서(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 저장부 인터페이스(13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오디오 처리부(137)들은 시스템 버스(138)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는 감지부(12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제어부(130) 내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도 33에서는 감지부(120)가 제1 인터페이스(136-1)로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20)가 다양한 유형의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센서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 부분에 마련된 버튼이나, 외부 입력 포트 1 내지 n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131)는 ROM(131-1) 및 RAM(131-2)을 포함한다. ROM(131-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2)는 ROM(131-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31-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2)에 복사하고, RAM(131-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메인 CPU(132)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는 저장부(160)와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이나 벤딩 조작을 수행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 후, 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조작 또는 벤딩 조작을 수행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 화면을 구성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디코더, 렌더러, 스케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처리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 밖에, 오디오 처리부(137)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180)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137)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나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노이즈 필터링한 후, 적정 데시벨로 증폭하는 등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37)는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디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부(133)와 동기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180)로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령, 메인 CPU(132)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를 통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4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16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16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에 따르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2810), 디바이스 관리 모듈(2820), 통신 모듈(2830), 프리젠테이션 모듈(2840), 웹 브라우저 모듈(2850), 서비스 모듈(28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2810)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2810)은 스토리지 모듈(2811), 위치 기반 모듈(2812), 보안 모듈(2813), 네트워크 모듈(28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28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위치 기반 모듈(2812)이란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28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28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2820)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2820)은 센싱 모듈(2821), 디바이스 정보관리 모듈(2822), 원격 제어 모듈(2823)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센싱 모듈(2821)은 감지부(120) 내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물체의 위치나 사용자의 위치, 색상, 형태, 크기 및 기타 프로필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센싱 모듈(2821)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 모듈(2822)은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며, 원격 제어 모듈(2823)은 전화기나 TV, 프린터, 카메라, 에어컨 등과 같은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통신 모듈(2830)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2830)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28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28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84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8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28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28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28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2842-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2842-2),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2842-3),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284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2850)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2850)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비스 모듈(2860)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모듈(2860)은 지도나 현재 위치, 랜드 마크, 경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광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 내의 메인 CPU(13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모듈들을 RAM(131-2)에 복사하고, 복사된 모듈의 동작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CPU(132)는 센싱 모듈(2821)을 이용하여 감지부(120) 내의 각종 센서들의 출력값을 분석하여, 벤딩 영역,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벤딩 횟수, 벤딩 각도, 벤딩 속도, 터치 영역, 터치 횟수, 터치 강도, 압력 크기, 근접 정도, 사용자 그립 강도 등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벤딩 제스쳐가 기 설정된 제스쳐인지 판단한다. 메인 CPU(132)는 사용자 벤딩 제스쳐가 기 설정된 제스쳐가로 판단되면, 스토리지 모듈(2810)의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모듈을 구동시켜,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동작인 경우라면, 메인 CPU(132)는 프리젠테이션 모듈(2840) 내의 이미지 조합 모듈(2842-1)을 이용하여, GUI 화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좌표 조합 모듈(2842-2)을 이용하여, GUI 화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에 GUI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또는 메시지 수신 동작에 대응되는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메인 CPU(132)는 메시징 모듈(2841)을 실행시켜, 메시지 관리 서버로 액세스한 후,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 CPU(132)는 프리젠테이션 모듈(2840)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화면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이 밖에, 전화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메인 CPU(132)는 전화 모듈(2832)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저장부(160)에는 다양한 구조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5는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5700), 디스플레이부(110), 그립부(57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7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담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35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일부 센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체(5700)에 탑재될 수 있다. 본체(57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롤링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 롤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본체(570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5710)를 파지하여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 롤러가 롤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링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570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회전 롤러에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5710)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당기면, 스토퍼에 의해 회전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회전 롤러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5100) 내로 다시 롤링될 수 있다. 스토퍼는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롤러 및 스토퍼에 대해서는 통상의 롤링 구조체에서 사용되는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5700)에는 전원부(500)가 포함된다. 전원부(500)는 1회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연결부, 사용자가 복수 횟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570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부(5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35에서는 원통형 구조의 본체(5700)가 도시되었으나, 본체(570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5700)로부터 내장된 상태에서 풀링(pulling)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본체 외부를 감싸는 형태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36은 전원부(5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따르면, 전원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부(500)는 음극 집전체, 음극 전극, 전해질부, 양극 전극, 양극 집전체 및 이들을 덮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전체는 탄성 특성이 좋은 TiNi계와 같은 합금류,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순금속류, 탄소가 코팅된 순금속, 탄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극 전극은 리튬,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카드늄, 수소저장합금, 납 등의 금속류와 탄소 등의 비금속류 그리고 유기황과 같은 고분자 전극 물질과 같은 음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은 황 및 금속 황화물, LiCoO2 등 리튬천이금속산화물, SOCl2, MnO2, Ag2O, Cl2, NiCl2, NiOOH, 고분자 전극 등의 양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해질부는 PEO, PVdF, PMMA, PVAC 등을 이용한 겔(g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복부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C, HDPE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실 형태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피복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500) 내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원부(5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커넥터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홈의 결합에 의해 전원부(50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원부(500)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전원 연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6에서는 전원부(5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부(500)의 위치 및 형태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전원부(5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a) 및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7(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가 아니라 입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7(a)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 측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마련되고, 다른 표면에는 버튼이나 스피커, 마이크, IR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가 마련된다.
도 37(a)과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장 케이스 전체 또는 일부분이 고무나 기타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어 플렉서블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 또는 일부분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에 따라, 이전 동작과 상이한 새로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평상시에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다가, 일 영역에서 벤딩 제스쳐가 이루어지면 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모콘 기능이 수행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리모콘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전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다이얼 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7(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형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놓여진 형태나 접혀진 형태에 따라 시각적, 기능적으로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져 있을 때는 사진이나 기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다가, 바닥에 수직하게 세워지면 탁상 시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중심부가 90도 정도 벤딩되면 노트북 P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혀진 영역 중 하나에는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카메라부
150 : 통신부

Claims (32)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이,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벤딩 라인이 어느 한 변과 만나는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표시된 객체를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상기 트위스트 벤딩 횟수, 상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된 객체를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객체를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상기 표시된 객체를 상기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 각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방향을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 방향으로 하여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객체가 컬러 화면인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표시된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객체가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닫기(close)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그립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이, 벤딩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벤딩 라인이 어느 한 변과 만나는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형성되는 벤딩 라인의 위치,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방향, 상기 트위스트 벤딩의 각도, 상기 트위스트 벤딩 횟수, 상기 트위스트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객체를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된 객체를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일정 영역에 표시된 객체를 상기 트위스트 벤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벤딩이 일반 벤딩이면, 상기 표시된 객체를 상기 일반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은,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라인을 회전 축으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각도를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 각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속도를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감지된 일반 벤딩에 따른 벤딩 방향을 상기 표시된 객체의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화면이 표시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객체가 컬러 화면인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표시된 컬러 화면을 흑백 화면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객체가 폴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에 따라 상기 폴더 아이콘의 열기(open)/ 닫기(close)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그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서로 다른 양변 또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전체 트위스트 벤딩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트위스트 벤딩이, 하나의 변 또는 하나의 변에 위치한 꼭짓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면, 부분 트위스트 벤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전체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트위스트 벤딩이 상기 부분 트위스트 벤딩이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벤딩이 트위스트 벤딩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이 축소되면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파일을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1. 삭제
  32. 삭제
KR1020120110325A 2012-10-04 2012-10-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45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25A KR102145533B1 (ko) 2012-10-04 2012-10-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13186928.1A EP2717118A3 (en) 2012-10-04 2013-10-01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80059287.9A CN104798011B (zh) 2012-10-04 2013-10-02 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TW102135609A TW201415343A (zh) 2012-10-04 2013-10-02 可撓性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3/008830 WO2014054886A1 (en) 2012-10-04 2013-10-02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046,123 US20140101560A1 (en) 2012-10-04 2013-10-04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25A KR102145533B1 (ko) 2012-10-04 2012-10-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228A KR20140044228A (ko) 2014-04-14
KR102145533B1 true KR102145533B1 (ko) 2020-08-18

Family

ID=4932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25A KR102145533B1 (ko) 2012-10-04 2012-10-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01560A1 (ko)
EP (1) EP2717118A3 (ko)
KR (1) KR102145533B1 (ko)
CN (1) CN104798011B (ko)
TW (1) TW201415343A (ko)
WO (1) WO2014054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7790B2 (ja) * 2011-09-21 2016-03-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89816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주밍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20140201015A1 (en) * 2013-01-17 2014-07-17 Wal-Mart Stores, Inc. Adjustable kiosk system
KR102056898B1 (ko) 2013-01-22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각도 측정 방법
KR102140235B1 (ko) * 2013-05-31 2020-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101801554B1 (ko) 2013-07-11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8912B1 (ko) * 2013-11-13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256677B1 (ko) * 2013-12-02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방법
KR20150068135A (ko) * 2013-12-11 2015-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514219B (zh) * 2013-12-17 2015-12-21 Ind Tech Res Inst 運用於軟性顯示面板的撓曲感測器及相關感測方法與系統
WO2015093665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7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510021B1 (ko) * 2013-12-19 2015-04-16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292192B1 (ko) * 2014-02-17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951054B (zh) * 2014-03-28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3957440B (zh) * 2014-04-01 2017-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设备及其方法、显示系统
KR102224478B1 (ko) * 2014-04-1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1325B1 (ko) * 2014-04-18 2023-03-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WO2016013703A1 (ko) * 2014-07-25 2016-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5066B1 (ko) * 2014-07-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043138A1 (ja) * 2014-09-19 2016-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27978B1 (ko) * 2014-11-13 2018-12-11 쿤산 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센터 씨오., 엘티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동작 제어 방법
CN105761617A (zh) * 2014-12-17 2016-07-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变形控制方法和系统
KR20170100484A (ko) * 2014-12-29 201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벤트 정보의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11555A2 (en) 2015-01-07 2016-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137543B1 (ko) * 2015-01-07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111561A1 (en) 2015-01-07 2016-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75469B1 (ko) * 2015-01-13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8764A (ko) * 2015-01-16 201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3002B1 (ko) * 2015-02-16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175806B2 (en) 2015-03-20 2019-01-08 Intel Corporation Touchscreen for use with flexible display
KR102423065B1 (ko) * 2015-06-0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19684B1 (ko) * 2015-06-22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69842B2 (en) 2015-07-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nt adjustment on a bendable transparent display
CN105159405B (zh) * 2015-09-16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70083110A1 (en) * 2015-09-22 2017-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input device
CN105138187B (zh) * 2015-10-10 2018-03-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提醒控制方法和装置
US10317947B2 (en) 2015-10-12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thereof
KR102424860B1 (ko) * 2015-11-04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6873814B (zh) * 2015-12-14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371781B (zh) * 2015-12-18 2019-09-2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形变可控显示屏的显示方法、显示装置及用户设备
US10297234B2 (en) 2016-03-11 201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ed virtual display surface for displaying digital objects
CN108874211A (zh) * 2016-05-09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CN106101544B (zh) * 2016-06-30 2019-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6445228A (zh) * 2016-08-30 2017-02-2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柔性屏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KR102611455B1 (ko) * 2016-09-23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4329B1 (ko) 2016-10-19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
TWM555067U (zh) * 2016-11-14 2018-02-01 創王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及具有可撓式顯示器的裝置
JP2018081503A (ja) * 2016-11-16 2018-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56911B2 (en) * 2017-01-03 2018-12-18 Facebook, Inc. Content display control with a deformable display screen
KR20180090926A (ko) * 2017-02-03 2018-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0968B1 (ko) * 2017-04-17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6940965A (zh) * 2017-05-12 2017-07-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WO2018216923A1 (en) 2017-05-23 2018-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device
JP6834788B2 (ja) * 2017-06-05 2021-0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マウス
CN107291294B (zh) * 2017-06-21 2021-01-29 滁州学院 一种触控屏灵敏度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831993B (zh) * 2017-10-24 2020-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551756B2 (ja) * 2017-12-06 2019-07-31 Toto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および水まわりシステム
US20200319836A1 (en) * 2017-12-06 2020-10-08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KR102449450B1 (ko) * 2018-02-08 2022-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52529B (zh) 2018-03-07 2019-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與劃分可撓式顯示器的方法
CN108848298B (zh) * 2018-04-26 2021-02-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片拍摄方法、柔性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036244B (zh) * 2018-07-25 2021-09-1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曲面显示屏的Mura补偿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09525704A (zh) * 2018-09-21 2019-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561683B2 (en) * 2018-09-25 2023-01-2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egion of a flexible screen and controlling video playback
US10635288B2 (en) * 2018-09-25 2020-04-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egion of a flexible screen and controlling video playback
US10867535B2 (en) * 2018-09-25 2020-12-1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egion of a flexible screen and controlling video playback
JP7081048B2 (ja) * 2018-09-30 2022-06-06 華為技術有限公司 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バー表示方法、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バー制御方法、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電子機器
CN109151215B (zh) * 2018-10-18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报警方法及移动终端
CN109491506B (zh) * 2018-11-13 2020-06-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终端以及显示控制方法
CN109948311B (zh) * 2019-02-22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解锁方法及装置
EP3931663A1 (en) * 2019-03-01 2022-01-05 Peratech Holdco Ltd Foldable display
CN109947320B (zh) * 2019-03-15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821686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263509B (zh) * 2019-05-28 2022-10-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127321B2 (en) * 2019-10-01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transitions and optimizations for foldable computing devices
KR20210050049A (ko) * 2019-10-25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407263A (zh) 2020-03-16 2021-09-17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车用中控屏系统及控制该系统的方法
TWI819340B (zh) * 2020-07-20 2023-10-2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可撓性觸控螢幕
KR20220115001A (ko) * 2021-02-09 2022-08-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 스위블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907606B1 (en) 2023-03-15 2024-02-20 Motorola Mobility Llc Compute box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formatting content for presentation on flexible content presentation compan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075B1 (en) * 1997-08-29 2001-06-05 Xerox Corporation Graspable device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a computer display
US6243074B1 (en) * 1997-08-29 2001-06-05 Xerox Corporation Handedness detection for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US6340957B1 (en) * 1997-08-29 2002-01-22 Xerox Corporation Dynamically relocatable tileable displays
US6697099B2 (en) * 1998-10-30 2004-02-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lored audio/visual program
US7196689B2 (en) * 2003-03-31 2007-03-27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device
US7743348B2 (en) * 2004-06-30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ysical objects to adjust attributes of an interactive display application
EP1720131B1 (en) * 2005-05-03 2009-04-08 Seac02 S.r.l. An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real marker object identification
US20100045705A1 (en) *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DE102007048596A1 (de) *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41227A1 (en) * 2008-10-12 2010-04-15 Barit, Efrat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51916A1 (en) * 2008-12-15 2010-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grip on mobile terminal
US20110193771A1 (en) * 2010-02-10 2011-08-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controllable by physical deformation
WO2012040827A2 (en) * 2010-10-01 2012-04-05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having a 3d input space
US8997025B2 (en) * 2010-11-24 2015-03-31 Fuji Xerox Co., Ltd.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ocument visualization with interactive folding gesture technique on a multi-touch display
US9007300B2 (en) * 2011-10-1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US9448700B2 (en) * 2012-02-03 2016-09-20 Apple Inc. Sharing services
US8610663B2 (en) * 2012-02-06 2013-12-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11423B2 (en) *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9804734B2 (en) * 2012-02-24 2017-10-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98011B (zh) 2018-06-01
EP2717118A3 (en) 2014-08-27
KR20140044228A (ko) 2014-04-14
CN104798011A (zh) 2015-07-22
WO2014054886A1 (en) 2014-04-10
EP2717118A2 (en) 2014-04-09
US20140101560A1 (en) 2014-04-10
TW201415343A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98368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288972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21508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637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01905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AU2013297228B2 (en)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1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JP6184497B2 (ja) フレキシブ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438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701035A1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2306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KR10193502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8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2783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61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417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2020005092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