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810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810B1
KR102043810B1 KR1020120090722A KR20120090722A KR102043810B1 KR 102043810 B1 KR102043810 B1 KR 102043810B1 KR 1020120090722 A KR1020120090722 A KR 1020120090722A KR 20120090722 A KR20120090722 A KR 20120090722A KR 102043810 B1 KR102043810 B1 KR 10204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ending
displayed
content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145A (ko
Inventor
곽지연
정상근
손정주
김현진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810B1/ko
Priority to US13/969,845 priority patent/US9122319B2/en
Priority to PCT/KR2013/007471 priority patent/WO2014030912A1/en
Priority to EP13830726.9A priority patent/EP2885689A4/en
Priority to EP17155744.0A priority patent/EP3206108B1/en
Priority to CN201380044467.XA priority patent/CN104583911B/zh
Priority to RU2015109723A priority patent/RU2652459C2/ru
Publication of KR2014002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45A/ko
Priority to IN1208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1208A/en
Priority to US14/807,175 priority patent/US9678582B2/en
Priority to US15/606,878 priority patent/US101204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유연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특성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다양하게 이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후 원 상태로 복귀되는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상기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은,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벤딩 라인에 의해 나뉘어지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상태이며, 상기 제2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벤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상기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관련 컨텐츠 또는 메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위젯 화면, 메뉴 화면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첨부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컨텐츠가 첨부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제3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설정된 벤딩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상기 제1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상기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은,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벤딩 라인에 의해 나뉘어지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상태이며, 상기 제2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벤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상기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관련 컨텐츠 또는 메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위젯 화면, 메뉴 화면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첨부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컨텐츠가 첨부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제3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설정된 벤딩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상기 제1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형태 변형, 즉,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벤딩 조작에 따른 벤딩 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벤딩 조작에 따른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이러한 센서들의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3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 내지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또는 폴딩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첩처럼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힌지부, 커버 등의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에 따라 폴딩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또는 폴딩을 감지한다. 여기서,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의 곡률 반경을 기준값보다 작게 유지되며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일반 벤딩은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크게 유지되며 벤딩되는 상태로 폴딩 상태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가령,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벤딩 각도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라도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폴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서로 맞대어 접촉되거나 근접되는 조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의 접촉 또는 근접 상태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IR 센서 등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딩 및 폴딩을 모두 벤딩으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여기서, 제1 형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플랫(flat)한 상태이며, 제2 형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벤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일련의 동작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일어나는 조작을 벤딩 플랩(Bending-Flap) 조작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화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감지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은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벤딩 라인에 의해 나뉘어지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화면이 생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벤딩에 기초하여 수행된 기능에 따른 결과를 포함하는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은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벤딩 라인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전체 화면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유지한 채,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화면을 OSD 또는 팝업 형태로 원래 영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벤딩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 상에 제1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의 나머지 영역 상에 제2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액세서리는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형태로 폴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커버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정도, 벤딩 방향,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영역이 벤딩된 경우와 일부 영역이 벤딩된 경우,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와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벤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기능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기능들 중에서 수행된 벤딩에 기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폰인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전화 연결, 수신 거부, 메뉴 표시, 문자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선택 및 실행, 웹 브라우저 실행 및 종료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인 경우, 채널 선택, 볼륨 조절, 휘도 조정, 컬러 조정, 콘트라스트 조정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DA, 전자 액자, 전자 책, 전자 수첩,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니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장치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와 관계없이, 잠금 동작, 잠금 해제 동작, 턴 온 동작, 턴 오프 동작 등과 같은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벤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기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컨텐츠에 대응되는 관련 컨텐츠 또는 메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위젯 화면, 메뉴 화면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컨텐츠 및 컨텐츠 첨부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제1 화면 또는 전체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재구성하여 컨텐츠가 첨부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화면 각각에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 e-mail 작성 화면 등의 컨텐츠 첨부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컨텐츠 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두 화면이 맞대어 벤딩된 후 해제되는 벤딩 플랩 조작이 수행되면,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 또는 e-mail 작성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첨부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제1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제3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반으로 벤딩하는 1차 벤딩에 기초하여 좌측 1/2 영역에 제1 화면이 생성되고, 우측 1/2 영역에 제2 화면이 생성된 상태에서 제1 화면을 반으로 벤딩하는 2차 벤딩이 있는 경우, 좌측 1/4 영역에 제3 화면을 생성하고, 인접한 1/4 영역에 제4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화면에는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기능이 수행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컨텐츠가 복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특정 컨텐츠 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텍스트 문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수행되면, 해당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벤딩 플랩 조작이 감지되면, 메인 웹페이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수행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하나에는 멀티 태스킹 중인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을 필요로 하는 특정 컨텐츠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감지되면, 해당 컨텐츠 실행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레벨에 따른 제어 화면이 요구되는 경우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에 대응되는 제어 화면을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대한 정보는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수행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하나에는 해당 컨텐츠 타입과 관련하여 기설정된 기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수행되면, 이미지 편집 기능 화면이나, 이미지 파일 전송이 가능한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벤딩 플랩 조작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의 대상이 swapping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다양한 복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생성된 화면 중 하나에는 원본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원본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웹 링크 주소를 복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 웹 링크 주소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에 해당 웹 링크 주소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어플레이케이션, 이미지 파일, 일반 파일 등을 복사하는 어플리케이션 복사, 이미지 파일 복사, 일반 파일 복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를 그대로 캡쳐하여 분할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지 캡쳐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화면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화면을 크기를 산출하여 산출된 화면 크기에 부합되도록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 UI 요소 등을 재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산출된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대상 컨텐츠, UI 구성요소 등을 리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에 표시된 UI, 컨텐츠 등의 크기, 비율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산출된 화면 크기 내에 대상 영상이 모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비율은 유지한 채로 크기 만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생성된 화면 크기에 따라 일부 컨텐츠의 크기를 스케일링하거나, 일부 컨텐츠를 제외한 형태로 화면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생성된 화면 크기에 부합하는 대상 영상의 일부 영역만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생성된 화면 각각에 표시되는 컨텐츠, 예를 들어 원본 컨텐츠 및 편집 컨텐츠를 각 화면에 동일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원본 컨텐츠가 비율은 유지한 채 분할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크기만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편집 컨텐츠로 동일한 형태로 크기만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저장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의 크기에 맞게 디스플레이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즉,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 각각에 표시될 컨텐츠 또는 UI 화면 영상은 저장부(미도시)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영역의 크기에 따라 UI 화면에 포함될 컨텐츠 목록의 개수 및 배열, 컨텐츠 목록에 포함될 구성에 관한 사항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벤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감지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그에 대한 벤딩 감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조 및 그 벤딩 감지 방법의 예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형태 변형, 즉,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벤딩에는 일반 벤딩, 폴딩, 롤링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벤딩 각도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영역에 걸쳐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일정 벤딩 각도 미만의 벤딩이 롤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 벤딩, 폴딩, 롤링 등은 벤딩 각도 이외에 곡률 반경을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또한, 곡률 반경과 상관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말려진 단면이 거의(substantially) 원이나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과 배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벤딩 및 그 밖의 벤딩 형태를 총괄하여 벤딩이라 칭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나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벤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딩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한 장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1-1 내지 21-5)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120)는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중심 영역이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아래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윗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가로 방향의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출력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가 상하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장력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2-1 내지 22-5)에 가해지게 된다. 감지부(12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Z+ 방향의 벤딩을 도시하였으나, Z-방향의 벤딩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인 경우,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벤딩, 폴딩 및 롤링 등의 각 변형 형태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벤딩 조작에 따른 벤딩 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3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6과 같이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가장자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a1 및 a5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31)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영역에 배치된 벤드 센서(31)이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감지부(120)는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판단하고, 저항값이 일정 크기 이상 변한 영역은 벤딩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진 벤딩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정도가 증가할수록 a1 및 a5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31)의 저항값 또한 증가하게 되고, 벤딩이 이루어진 a2, a3 및 a4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31)의 저항값 또한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 벤딩으로 인한 벤딩 반경 R 값은 벤딩 정도가 커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벤딩 조작에 따른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에서 일정한 간격마다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정도 즉, 벤딩 각도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의 저항값과 그 지점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사이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를 이용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마다 일정한 범위를 갖는 저항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벤딩된 정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속하는 레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뒷면에 구비된 벤드 센서(41)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 a5 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a4에서 출력된 저항값 차이에 기초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저장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속하는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레벨에 대응되는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정도는 벤딩 각도 또는 벤딩 강도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정도가 커지게 되면, 벤딩 센서 a5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a4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의 차이는 기존 저항값 차이에 비해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벤딩 정도가 더 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일 예로는, 벤드 센서를 두 개로 중첩시켜 배치하여,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의 크기 변화의 차이에 따라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에는 두 개의 벤드 센서(51, 52)가 서로 중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51) 및 하위 벤드 센서(52)의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51, 52)의 저항 값을 비교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51)보다 하위 벤드 센서(5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상위 벤드 센서(51)에서 하위 벤드 센서(5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두 벤드 센서(51, 5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두 벤드 센서(51, 52)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으로부터 수직한 제1 방향(이하, Z+ 방향)으로 벤딩될 때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 중에서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반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이하,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될 때는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벤딩 방향에 따라 두 벤드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은 서로 다르게 검출되며, 제어부(130)는 그 값의 검출 특성에 따라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임 게이지 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즉,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그 벤딩 방향에 따라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그 출력 값의 특성을 확인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이 폴딩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이 중앙을 향하는 형태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6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즉, 벤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벤드 센서(61-1)는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가 가장 큰 a3 지점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되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즉, 벤드 센서(6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는 폴딩이 이루어지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지점에서는 저항 값이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로 센싱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폴딩인지 일반 벤딩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제어부(130)는 터치가 이루어지는지까지 고려하여 폴딩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11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앞면으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면에서 서로 이격된 영역이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의 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며, 저항 값의 변화 정도도 일반 벤딩의 경우보다 더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벤딩이 이루어진 가장자리 경계로부터 벤딩 라인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산출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폴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폴딩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폴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폴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부러진 영역으로, 벤딩의 경우와 같이 벤드 센서가 구부러짐에 따라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라인은 폴딩이 이루어져 폴딩 영역이 형성된 부분에서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영역으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잇다.
폴딩 영역 및 폴딩 라인을 정의 및 구분하는 방식은 벤딩 영역 및 벤딩 라인에서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출력되는 저항값이 원 상태에서와 다른 지점들 즉, 벤드 센서(6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6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6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6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6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62)을 하나의 폴딩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두 개로 구분된다. 폴딩 라인은 각 폴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라인은 벤딩 라인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의 경우, 폴딩 영역(62)에서 벤드 센서(6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6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6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6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6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63)이 폴딩 라인이 된다.
폴딩이 감지되었을 경우,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영역이 폴딩되었을 경우에도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폴딩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이처럼 롤링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롤링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 벤드 센서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는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역시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게 된다.
롤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벤딩이 일정 곡률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롤링이 이루어지면, 일반 벤딩이나 폴딩의 경우보다 벤딩 영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크기 이상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졌다고 감지되면, 롤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또한, 롤링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표면 내측으로 롤링되면, 디스플레이 표면, 즉, 앞면과 벤드 센서(71-1)가 배치된 뒷면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다른 예에서는,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 및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따라 롤링 상태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 및 뒷면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에서 각각 터치가 감지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들 간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따르면, 벤드 센서(71)는 원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폐곡선 상에서 출력값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을 벤딩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벤드 센서는 S자나 Z자, 기타 지그재그(zigzag)와 같은 개곡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5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5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2 면에 배치된다.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제2 면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각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중앙부가 벤딩되는 경우, 폴딩 또는 롤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조건 별로 제1 및 제2 벤드 센서(71,72)의 출력값 및 출력 지점이 달라지게 되는 바, 제어부(130)는 이러한 출력값 특성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단편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과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지점을 임의의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1 ~ 80-n) 중에서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해당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이 타 스트레인 게이지들의 출력값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n, 80-n+1, ~~ 80-m) 중에서도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하여,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출력값이 변한 두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하는 라인을 벤딩 라인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7은 이러한 센서들의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81-1, 81-2)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81-1, 81-2)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81-1, 81-2)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81-1, 81-2)를 각각 배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될 때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제어부(130)는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81-1, 81-2)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가속도 센서(81-1, 81-2)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세로 방향의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감지한 측정값에 따라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는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벤딩 영역 및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벤딩 이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가령,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내의 기판(111) 상에 증착된 ITO(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막 및 그 상측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상하판이 접촉되어 전기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제어부(13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전극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한다. 터치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행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 예 >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음성 인식부(160), 모션 인식부(170), 스피커(180), 외부 입력 포트(190-1 ~ 190-n), 전원부(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자 조작 내용에 대응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비롯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의 조작 상태, 예를 들어, 벤딩 상태, 터치 상태 등을 감지한다. 도 18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121), 지자기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벤드 센서(124), 압력 센서(125), 근접 센서(126), 그립 센서(12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2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122) 및 가속도 센서(123)는 각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5)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5)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압력 센서(125)가 터치 센서(121)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센서(121)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50)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26)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26)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125)와 별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벤딩 플랩 조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벤딩 플랩 조작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일 예로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10) 및 스피커(180) 등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방송 수신 모듈(15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 GPS 모듈(153), 무선 통신 모듈(15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151)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이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GPS 모듈(153)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154)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 모듈(152)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통신부(150)의 각 구성 요소 중 사용자에 의한 폴딩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 조작이나 터치 조작 이외에 음성 입력이나 모션 입력을 인식하여, 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160) 또는 모션 인식부(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부(160)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음성 취득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음향을 수집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기 설정된 음성 코맨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태스크로는, 볼륨 조절, 채널 선택, 채널 재핑, 표시 속성 조절,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선택, 장치 턴온, 턴오프 등과 같이 다양한 태스크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부(17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상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 코맨드에 대응되는 모션 제스쳐를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모션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채널 재핑, 장치 턴온, 턴오프, 일시 정지,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음소거 등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가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음성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모션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등에 대한 상술한 예들은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밖에, 외부 입력 포트 1, 2 ~ n(190-1 ~ 190-n)들은 각각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 헤드셋 포트, 마우스 포트, LA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전원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500)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전원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50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재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18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드시 전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구성요소만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품 종류에 따라 구성요소들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또는, 타 구성요소들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감지부(120), 음성 인식부(160), 모션 인식부(170) 등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도 19는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시스템 메모리(131), 메인 CPU(132), 이미지 프로세서(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 저장부 인터페이스(13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오디오 처리부(137), 시스템 버스(140)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131), 메인 CPU(132), 이미지 프로세서(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 저장부 인터페이스(13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오디오 처리부(137)들은 시스템 버스(14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는 감지부(12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제어부(130) 내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도 19에서는 감지부(120)가 제1 인터페이스(136-1)로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20)가 다양한 유형의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센서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 부분에 마련된 버튼이나, 외부 입력 포트 1 내지 n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131)는 ROM(131-1) 및 RAM(131-2)을 포함한다. ROM(131-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2)는 ROM(131-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2)에 복사하고, RAM(131-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메인 CPU(1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는 저장부(140)와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이나 벤딩 조작을 수행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 후, 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조작 또는 벤딩 조작을 수행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 화면을 구성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디코더, 렌더러, 스케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처리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 밖에, 오디오 처리부(137)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180)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137)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나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노이즈 필터링한 후, 적정 데시벨로 증폭하는 등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37)는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디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부(133)와 동기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180)로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령, 메인 CPU(132)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를 통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벤딩 플랩 조작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기능과 같은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한 후, 그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14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2010), 디바이스 관리 모듈(2020), 통신 모듈(2030), 프리젠테이션 모듈(2040), 웹 브라우저 모듈(2050), 서비스 모듈(20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2010)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2010)은 스토리지 모듈(2011), 위치 기반 모듈(2012), 보안 모듈(2013), 네트워크 모듈(20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20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위치 기반 모듈(2012)이란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20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20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2020)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2020)은 센싱 모듈(2021), 디바이스 정보관리 모듈(2022), 원격 제어 모듈(20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2021)은 감지부(120) 내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물체의 위치나 사용자의 위치, 색상, 형태, 크기 및 기타 프로필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센싱 모듈(2021)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 모듈(2022)은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며, 원격 제어 모듈(2023)은 전화기나 TV, 프린터, 카메라, 에어컨 등과 같은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통신 모듈(2030)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2030)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20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20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04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0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0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20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20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20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2042-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2042-2),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2042-3),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204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 그래픽 모듈(2042)은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2050)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2050)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비스 모듈(2060)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모듈(2060)은 지도나 현재 위치, 랜드 마크, 경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광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 내의 메인 CPU(13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모듈들을 RAM(131-2)에 복사하고, 복사된 모듈의 동작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CPU(132)는 센싱 모듈(2021)을 이용하여 감지부(120) 내의 각종 센서들의 출력값을 분석하여, 벤딩 영역,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벤딩 횟수, 벤딩 각도, 벤딩 속도, 터치 영역, 터치 횟수, 터치 강도, 압력 크기, 근접 정도, 사용자 그립 여부 등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벤딩 플랩 조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메인 CPU(132)는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 모듈(2010)의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벤딩 플랩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모듈을 구동시켜,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벤딩 플랩 조작이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동작에 대응되는 경우라면, 메인 CPU(132)는 프리젠테이션 모듈(2040) 내의 이미지 조합 모듈(2042-1)을 이용하여,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 크기에 대응되는 GUI 화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좌표 조합 모듈(2042-2)을 이용하여, GUI 화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에 GUI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또는 벤딩 플랩 조작이 메시지 수신에 대응되는 경우라면, 메인 CPU(132)는 메시징 모듈(2041)을 실행시켜, 메시지 관리 서버로 액세스한 후,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 CPU(132)는 프리젠테이션 모듈(2040)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화면을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이 밖에, 벤딩 플랩 조작이 전화 기능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메인 CPU(132)는 전화 모듈(2032)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저장부(140)에는 다양한 구조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2110). 이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여부를 감지한다(S2120).
S2120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것으로 판단되면(S2120:Y),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벤딩 상태가 원 상태로 복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30).
S2130 단계에서 폴딩 상태가 원 상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S2130:Y), 벤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140).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에는 제1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관련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컨텐츠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관련 컨텐츠는 복사 이미지, 편집 이미지 등이 될 수 있으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웹 페이지인 경우 관련 컨텐츠는 이전 웹 페이지, 메인 웹 페이지 등이 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우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대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분할 화면 및 편집 조건을 포함하는 제2 분할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210). 여기서, 제1 분할 화면의 편집 대상 컨텐츠 및 제2 분할 화면의 편집 조건은 터치 조작, 벤딩 조작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여부를 감지한다(S2220).
S2220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된 것으로 판단되면(S2220:Y), 제2 분할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편집 조건에 따라 제1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편집 대상 컨텐츠를 편집한다(S2030).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화면 상에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원본 컨텐츠(23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요소(230)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컨텐츠가 사진 컨텐츠이며, 사진 컨텐츠가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면 사진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메뉴 요소가 프로그램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어서,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 원본 컨텐츠(231) 및 프로그램 요소(230)가 화면 크기에 맞게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복사본 컨텐츠(232) 및 프로그램 요소(2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개체 요소들이 폴딩 조작에 의해 복사될 수 있다.
한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폴딩시 상대적으로 적게 움직이게 되는 분할 화면을 고정부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많이 움직이게 되는 분할 화면을 변형부라고 한다면, 고정부에는 원본 컨텐츠(231)가 디스플레이되고 변형부에는 복사본 컨텐츠(23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변형부 및 고정부의 개념은 모든 실시 예에 있어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 화면에는 원본 컨텐츠가 우측 화면에는 복사본 컨텐츠와 같은 변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일 영역에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원본 컨텐츠(24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요소(241, 242)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았다.
이어서,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는 원본 컨텐츠(241) 및 프로그램 요소(242, 243)를 포함하는 원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원본 화면에 포함된 원본 컨텐츠(241)에 대한 복사본 컨텐츠(244) 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개체 요소들 중 컨텐츠 요소만이 폴딩 조작에 의해 복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컨텐츠만이 복사되고,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 요소들은 복사되지 않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에 웹페이지(25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는 원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웹페이지(251)가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메인 웹페이지(25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웹페이지(252)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반으로 폴딩하는 경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메인 웹페이지(252) 및 새로운 메인 웹페이지(253)가 각 분할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폴딩 조작으로 새로운 웹페이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피드백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에 쇼핑몰 웹페이지(26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는 원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쇼핑몰 웹페이지(261)가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이전 웹페이지(26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전 웹페이지(262)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반으로 폴딩하는 경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이전 웹페이지(262) 및 이이전 웹페이지(26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좌측 화면에 이미지 컨텐츠(271)가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 메시지 작성 화면(272)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좌측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컨텐츠(271)가 우측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 작성 화면(272)의 내용 기입란(272-1)에 첨부된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폴딩 조작으로 인해 파일 첨부와 같은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좌측 화면에 웹페이지(281)가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 메시지 작성 화면(282)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좌측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 (281)의 링크 주소(281-1)가 우측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 작성 화면(282)의 내용 기입란(282-1)에 첨부될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웹페이지의 경우에도 벤딩 플랩 조작으로 인해 웹 페이지 이미지 자체가 첨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좌측 화면에 이미지 컨텐츠(291)가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 이미지 컨텐츠(291)를 첨부할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29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우측 화면(292)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292)는 이미지 컨텐츠(291)를 첨부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항목, 예를 들어, message(292-1), e-mail(292-2), SNS(29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292-1 내지 292-3) 중 message(292-1)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후, 폴딩 해제 조작이 수행되면, 좌측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컨텐츠(281)가 우측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 작성 화면(293)의 내용 기입란(293-1)에 첨부된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좌측 화면에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 복수의 이미지 편집 방식(302 내지 305)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좌측 화면에서 하나의 컨텐츠(301)이 선택되고, 우측 화면에서 로모 방식(302)이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으로 폴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좌측 화면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 원본(301)이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는 컨텐츠 원본(301)에 로모 방식이 적용되어 편집된 편집 컨텐츠(306)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벤딩 플랩 조작을 컨텐츠 편집 기능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S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화면에 복수의 문서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 복수의 문서 편집 방식, 예를 들어 복수의 글씨체 항목(312 내지 314)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좌측 화면에서 하나의 컨텐츠(311)가 선택되고, 우측 화면에서 바탕체 항목(312))이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으로 폴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좌측 화면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 원본(311)이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화면에는 컨텐츠 원본(311)의 글씨체가 바탕체로 변경되어 편집된 편집 컨텐츠(31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컨텐츠 뿐 아니라 텍스트를 포함하는 문서 컨텐츠에 대한 편집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ail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으로 폴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영역 중 하나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e-mail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e-mail 화면과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화면에는 해당 e-mail에 대한 답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화면(322) 및 해당 화면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32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문자 메시지 화면 등에도 해당 기능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즐겨찾기 메뉴(332)를 통해 즐겨찾기로 등록된 웹 주소(332-1)가 선택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으로 폴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즐겨찾기 메뉴(332)를 통해 선택된 웹 주소(332-1)에 대응되는 웹페이지가(33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컨텐츠 재생 화면,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화면(34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아이콘(342-1 내지 342-5)가 화면 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타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아이콘(342-1 내지 342-5) 중 하나의 아이콘(342-5)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342-5) 만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으로 폴딩된 후 원 상태로 복원되는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 재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선택된 아이콘 (342-5)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화면(34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영역에 특정 기능, 어플리케이션 등을 맵핑시켜 두고, 해당 영역을 벤딩 플랩하는 조작을 통해 해당 영역에 맵핑된 기능,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웹페이지(35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상부 모서리 및 우측 하부 모서리를 내측으로 벤딩 플랩하는 조작이 발생하면, 해당 영역에 맵핑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기 맵핑된 입력 화면(352) 및 대응되는 입력 도구(35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일한 영역, 즉 좌측 상부 모서리 및 우측 하부 모서리를 외측으로 벤딩 플랩하는 조작이 발생하면,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화면(351)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벤딩 플랩 조작과 반대 방향의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원래 화면으로 복귀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벤딩 플랩 조작과 동일한 방향의 벤딩 플랩 조작을 통해 원래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폴딩 방향, 폴딩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 어플리케이션 등을 맵핑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인식될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특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멀티태스킹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웹페이지(36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우측 화면에는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웹페이지(361)가 디스플레이되고, 좌측 화면에는 멀티 태스킹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예를 들어 뮤직 어플리케이션 화면(36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특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과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동영상(371)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벤딩 플랩 조작이 발생하면, 우측 화면에는 재생 중인 동영상 화면과 관련된 화면,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정보 예를 들어, 동영상 리스트(373)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폴딩 가능한 커버(380)와 같은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380)에서 제공되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80)가 두번 폴딩되는 구조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자치(100) 또한, 커버 구조에 따라 두번 벤딩 또는 폴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벤딩된 상태에서 생성된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을 재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 표시되었던 커텐츠가 우측 영역에 생성된 화면에 리스케일링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중앙 영역에 생성된 화면에는 우측 영역에 생성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영역에 생성된 화면에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기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화면의 1/3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 UI 화면은 기저장되어 잇을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91)가 반으로 한 번 폴딩되는 구조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커버(391)와 결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반으로 한 번 폴딩될 수 있다.
또한,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92)가 두번 폴딩되는 구조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커버(391)와 결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한, 두 번 폴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변에 수직인 상태로 벤딩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변과 비스드한 상태로 벤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a) 및 도 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0(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가 아니라 입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0(a)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 측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마련되고, 다른 표면에는 버튼이나 스피커, 마이크, IR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가 마련된다.
도 40(a)과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장 케이스 전체 또는 일부분이 고무나 기타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어 플렉서블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 또는 일부분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에 따라, 이전 동작과 상이한 새로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평상시에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다가, 일 영역에서 벤딩 제스쳐가 이루어지면 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모콘 기능이 수행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리모콘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전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다이얼 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형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놓여진 형태나 접혀진 형태에 따라 시각적, 기능적으로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져 있을 때는 사진이나 기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다가, 바닥에 수직하게 세워지면 탁상 시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중심부가 90도 정도 벤딩되면 노트북 P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혀진 영역 중 하나에는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1은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410), 디스플레이부(110), 그립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담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18과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일부 센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체(410)에 탑재될 수 있다. 본체(39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롤링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 롤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본체(41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411)를 파지하여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 롤러가 롤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링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41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회전 롤러에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411)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당기면, 스토퍼에 의해 회전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회전 롤러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410) 내로 다시 롤링될 수 있다. 스토퍼는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롤러 및 스토퍼에 대해서는 통상의 롤링 구조체에서 사용되는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410)에는 전원부(500)가 포함된다. 전원부(500)는 1회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연결부, 사용자가 복수 횟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41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부(5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1(a)에서는 원통형 구조의 본체(410)가 도시되었으나, 본체(410)의 형상은 도 41(b)와 같이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410)로부터 내장된 상태에서 풀링(pulling)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본체 외부를 감싸는 형태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42는 전원부(5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에 따르면, 전원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부(500)는 음극 집전체, 음극 전극, 전해질부, 양극 전극, 양극 집전체 및 이들을 덮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전체는 탄성 특성이 좋은 TiNi계와 같은 합금류,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순금속류, 탄소가 코팅된 순금속, 탄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극 전극은 리튬,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카드늄, 수소저장합금, 납 등의 금속류와 탄소 등의 비금속류 그리고 유기황과 같은 고분자 전극 물질과 같은 음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은 황 및 금속 황화물, LiCoO2 등 리튬천이금속산화물, SOCl2, MnO2, Ag2O, Cl2, NiCl2, NiOOH, 고분자 전극 등의 양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해질부는 PEO, PVdF, PMMA, PVAC 등을 이용한 겔(g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복부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C, HDPE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실 형태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피복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500) 내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2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원부(5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커넥터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홈의 결합에 의해 전원부(50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원부(500)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전원 연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2에서는 전원부(5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부(500)의 위치 및 형태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전원부(5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는 플렉서블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플렉서블 장치에 대한 벤딩 플랩 조작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걸된 플렉서블 장치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플렉서블 장치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제1 화면이 생성되고,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가 재구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과 플렉서블 장치의 전체 영역은 일대일 매칭 상태가 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화면과 플렉서블 장치의 전체 영역이 매칭되어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벤딩 플랩 조작을 다양한 기능 실행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방법들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벤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 감지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술한 프로그램이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벤딩 플랩 조작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Claims (2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형태에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상기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상기 벤딩되기 전에 표시되던 상기 편집 조건을 대신하여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상기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된 이후에 편집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벤딩되기 전에 상기 편집 조건이 표시되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나머지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벤딩이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상태이며, 상기 제2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벤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제3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설정된 벤딩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상기 제1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벤딩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형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 조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벤딩된 후 상기 제1 형태로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벤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생성된 제1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 상에 생성된 제2 화면에 상기 벤딩되기 전에 표시되던 상기 편집 조건을 대신하여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상기 편집 조건에 따라 편집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된 이후에 편집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벤딩되기 전에 상기 편집 조건이 표시되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나머지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벤딩이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상태이며, 상기 제2 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벤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제3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설정된 벤딩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액세서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상에 상기 제1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상기 제1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UI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090722A 2012-08-20 2012-08-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22A KR102043810B1 (ko) 2012-08-20 2012-08-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3/969,845 US9122319B2 (en) 2012-08-20 2013-08-19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3830726.9A EP2885689A4 (en) 2012-08-20 2013-08-20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7155744.0A EP3206108B1 (en) 2012-08-20 2013-08-20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3/007471 WO2014030912A1 (en) 2012-08-20 2013-08-20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380044467.XA CN104583911B (zh) 2012-08-20 2013-08-20 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RU2015109723A RU2652459C2 (ru) 2012-08-20 2013-08-20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IN1208DEN2015 IN2015DN01208A (ko) 2012-08-20 2015-02-13
US14/807,175 US9678582B2 (en) 2012-08-20 2015-07-23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606,878 US10120458B2 (en) 2012-08-20 2017-05-26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22A KR102043810B1 (ko) 2012-08-20 2012-08-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12A Division KR101935029B1 (ko) 2018-04-16 2018-04-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45A KR20140024145A (ko) 2014-02-28
KR102043810B1 true KR102043810B1 (ko) 2019-11-12

Family

ID=5009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722A KR102043810B1 (ko) 2012-08-20 2012-08-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122319B2 (ko)
EP (2) EP2885689A4 (ko)
KR (1) KR102043810B1 (ko)
CN (1) CN104583911B (ko)
IN (1) IN2015DN01208A (ko)
RU (1) RU2652459C2 (ko)
WO (1) WO20140309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3962B2 (en) 2020-06-29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St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53539S (en) * 1990-07-20 1994-12-20 Norden Pac Development Ab Combined tube and cap
KR102056898B1 (ko) 2013-01-22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각도 측정 방법
TWI514219B (zh) * 2013-12-17 2015-12-21 Ind Tech Res Inst 運用於軟性顯示面板的撓曲感測器及相關感測方法與系統
KR101510021B1 (ko) * 2013-12-19 2015-04-16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9866669B2 (en) * 2014-03-03 2018-01-09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83997B2 (en) 2014-03-10 2016-11-01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infrared signaling
KR102384830B1 (ko) * 2014-03-12 2022-04-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US9377412B2 (en) * 2014-04-16 2016-06-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components with stress visualization features
USD777131S1 (en) * 2014-04-18 2017-01-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7132S1 (en) * 2014-04-18 2017-01-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5601S1 (en) * 2014-04-18 2017-01-03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KR102262721B1 (ko) *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696414B2 (en) 2014-05-15 2017-07-04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sonic signaling
US10070291B2 (en) 2014-05-19 2018-09-04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low energy bluetooth
KR20150135038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6108B1 (ko) * 2014-05-26 2021-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표시부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USD769209S1 (en) * 2014-05-30 2016-10-18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88726S1 (en) * 2014-06-0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10975603B2 (en)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US9684343B2 (en) 2014-06-12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us hinge
USD763848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USD763849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KR101785066B1 (ko) 2014-07-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WO2016017948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KR102242319B1 (ko) * 2014-08-22 202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60033507A (ko) 2014-09-18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7099B1 (ko) * 2014-09-22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254671B1 (ko) 2014-09-25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542364B2 (en) 2014-10-23 2017-01-10 Google Inc. Tearable displays with partial tears defined by extrapolated paths
KR102186843B1 (ko) * 2014-11-24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7700B1 (ko) * 2014-12-01 2019-02-13 광주과학기술원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장치,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수록되는 기록매체
CN105786420B (zh) * 2014-12-22 2019-06-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235037B2 (en) * 2014-12-30 2019-03-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043345B1 (en) 2015-01-07 2020-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41918B2 (en) *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KR20160089164A (ko)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US9727087B2 (en) * 2015-03-25 2017-08-08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dynamic detection and intelligent use of segmentation on flexible display screens
KR102406091B1 (ko) 2015-04-0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19310B1 (ko) * 2015-05-27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22980B1 (ko) * 2015-06-25 2017-04-06 (주)피엔아이시스템 입체 광고장치
CN106325373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9880729B2 (en) * 2015-07-13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sion of extended content on a flexible display
CN105137632B (zh) * 2015-09-0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46879A (ko) * 2015-10-21 2017-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4860B1 (ko) * 2015-11-04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D822633S1 (en) 2015-11-04 2018-07-10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9661271B1 (en) 2015-11-30 2017-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display planes for participant collaboration
CN106873814B (zh) * 2015-12-14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503937B1 (ko) * 2015-12-16 2023-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51959B1 (ko) * 2015-12-17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7670A (ko) * 2015-12-28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632345B (zh) * 2016-01-14 2018-05-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89011B1 (ko) 2016-02-15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D821347S1 (en) * 2016-02-19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10911742B2 (en) * 2016-03-08 2021-02-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louvered filter,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KR102505478B1 (ko) * 2016-04-12 202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344120A1 (en) * 2016-05-24 2017-11-30 Intel Corporattion User-input interaction for movable-panel mobile device
US20170345396A1 (en) * 2016-05-24 2017-11-30 Lenovo (Singapore) Pte. Ltd. Configuring virtual display zones within one flexible display
JP6625742B2 (ja) * 2016-06-01 2019-12-25 株式会社Nttドコモ 携帯端末
CN106201427A (zh) * 2016-07-15 2016-12-07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及终端设备
KR20180132847A (ko) * 2016-07-27 2018-12-12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오동작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단말기
KR102649254B1 (ko) 2016-08-03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571369B1 (ko) 2016-08-03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574183B1 (ko) 2016-08-19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31202B1 (ko) * 2016-08-23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형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231B1 (ko) * 2016-09-01 2023-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628240B1 (ko) * 2016-09-07 2024-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45605B1 (ko) * 2016-09-20 202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11455B1 (ko) * 2016-09-23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8060404A (ja) * 2016-10-06 2018-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操作の補正方法
WO2018071027A1 (en) 2016-10-13 2018-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sk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187668B1 (ja) * 2016-11-25 2017-08-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8117277A1 (ko) * 2016-12-19 2018-06-28 (주)피엔아이시스템 입체 광고장치
CN106686423B (zh) 2016-12-30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6990888B (zh) * 2017-02-27 2021-07-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显示控制方法及装置
WO2018216923A1 (en) * 2017-05-23 2018-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device
KR20190021016A (ko) * 2017-08-22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946857B2 (ja) * 2017-08-24 2021-10-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D885381S1 (en) *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765916A (zh) * 2017-10-16 2018-03-06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感应模组、三维曲面触控面板与触控显示装置
CN107656792B (zh) * 2017-10-19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7728885B (zh) * 2017-10-24 2020-04-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多任务的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7765959B (zh) * 2017-11-07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后台应用程序显示方法和终端
USD920967S1 (en) * 2017-11-30 2021-06-01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detachable keyboard
CN108108137B (zh) * 2017-12-15 2021-0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7957843B (zh) * 2017-12-20 2020-0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08196776B (zh) * 2017-12-26 2020-11-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分屏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79822B (zh) * 2017-12-26 2021-06-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中相机应用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8572777A (zh) * 2018-03-30 2018-09-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对象整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04138A (zh) * 2018-04-24 2018-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USD914672S1 (en) * 2018-06-04 2021-03-30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cover and screen
CN109521916B (zh) * 2018-08-31 2021-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屏的文件处理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0874198B (zh) * 2018-08-31 2023-08-22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门户信息展示方法和装置
US10795499B2 (en) * 2018-11-13 2020-10-0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images of display device
CN109542328B (zh) 2018-11-30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671107A1 (en) * 2018-12-19 2020-06-24 Universität Wien Strain gauge curvature measurement tool for 3d precision position control of thin foils
EP3894984B1 (en) 2019-02-19 2023-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including detent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CN109947315A (zh) * 2019-03-04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51733B (zh) * 2019-04-18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036260B2 (en) * 2019-04-21 2021-06-15 Lenovo (Singapore) Pte. Ltd. Keyboard attachment to foldable device
EP3970210A1 (de) 2019-05-13 2022-03-23 LPKF Laser & Electronic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 trägersubstrat aufweisenden displays, ein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trägersubstrat sowie ein für ein flexibles display bestimmtes deckglas
CN110324464A (zh) * 2019-05-17 2019-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221755A (zh) * 2019-05-31 2019-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选取方法及柔性终端
AU2019452477B2 (en) * 2019-07-01 2023-02-1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CN112416190B (zh) * 2019-08-23 2022-05-06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显示文档的方法及装置
CN111078091A (zh) * 2019-11-29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100695A (ko) * 2019-12-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58038A1 (en) * 2020-02-04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a flexible apparatus managing a folding thereof
KR20210120386A (ko) * 2020-03-26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722754A (zh) * 2020-06-19 2020-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检测方法及显示装置
TWI819340B (zh) * 2020-07-20 2023-10-2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可撓性觸控螢幕
CN115989203A (zh) 2020-07-28 2023-04-18 Lpkf 激光电子欧洲股份公司 由玻璃制成的基板及其制造方法
CN111785208B (zh) * 2020-08-05 2022-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面板驱动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及面板驱动方法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US11574569B2 (en) * 2021-01-20 2023-02-07 Salesforce.Com, Inc. Multiple viewport flexible screen
US11693558B2 (en) *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302711L (sv) * 2003-10-13 2005-03-22 Anders Swedin Beröringskänslig bildskärmsenhet, samt metod för avkänning av en beröring på bildskärmsenheten
US20070097014A1 (en) * 2005-10-31 2007-05-03 Solomon Mark 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US20100045705A1 (en)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011291A1 (en)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101472021B1 (ko)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47A (ja) * 2008-12-26 2010-07-15 Brother Ind Ltd 入力装置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EP2315186B1 (en)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JP5640365B2 (ja) * 2009-12-07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462106B2 (en) *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CN106293580B (zh) * 2011-02-10 2020-06-09 三星电子株式会社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US9812074B2 (en) * 2011-03-18 2017-11-0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KR102014776B1 (ko) * 2012-08-23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3962B2 (en) 2020-06-29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St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94174B2 (en) 2020-06-29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St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09723A (ru) 2016-10-10
CN104583911B (zh) 2018-10-02
WO2014030912A1 (en) 2014-02-27
IN2015DN01208A (ko) 2015-06-26
US20140049464A1 (en) 2014-02-20
US20170262070A1 (en) 2017-09-14
EP3206108A2 (en) 2017-08-16
EP2885689A1 (en) 2015-06-24
CN104583911A (zh) 2015-04-29
EP3206108A3 (en) 2018-03-28
US9678582B2 (en) 2017-06-13
US9122319B2 (en) 2015-09-01
EP3206108B1 (en) 2019-03-27
RU2652459C2 (ru) 2018-04-26
US10120458B2 (en) 2018-11-06
US20150331496A1 (en) 2015-11-19
KR20140024145A (ko) 2014-02-28
EP2885689A4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8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8368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83129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161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641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01905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KR1021045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37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9295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39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2014004422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05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3502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636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08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0004336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23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61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583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5092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6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16

Effective date: 2019080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