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86A -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86A
KR20210120386A KR1020200037034A KR20200037034A KR20210120386A KR 20210120386 A KR20210120386 A KR 20210120386A KR 1020200037034 A KR1020200037034 A KR 1020200037034A KR 20200037034 A KR20200037034 A KR 20200037034A KR 20210120386 A KR20210120386 A KR 2021012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housing
state
us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현
오영일
박선영
오영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386A/ko
Priority to PCT/KR2021/001138 priority patent/WO2021194080A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86A/ko
Priority to US17/951,663 priority patent/US202300269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3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제1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에 대한 제2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폴딩 상태 및 상기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CERTIFICATION}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 용이성을 위해 가볍고 얇아지고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발전을 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장치는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의 전자 장치보다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전자 장치를 접게(folding) 되면 그 크기가 줄어들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업체는 유기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가요성 소재를 이용하여 폴더블 전자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사용 중 보안이 필요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대기 화면에서 잠금 해제를 하려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요구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사용 중 보안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 인증이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에 탑재된 복수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하나를 결정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전자 장치의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 장치와 달리 힌지의 폴딩에 따라 복수의 폴딩 상태가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폴딩 상태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는 영역이 상이할 수 있다. 즉, 폴더블 전자 장치의 경우 폴딩 상태에 따라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 장치(예: 지문 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의 활성화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입력 장치가 비활성화된 경우 사용자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딩 상태를 고려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 및/또는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3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제1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폴딩 감지 센서,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에 대한 제2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폴딩 감지 센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제1 폴딩 감지 센서와 상기 제2 폴딩 감지 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폴딩 상태 및 상기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하우징에 대한 제1 폴딩 상태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3 하우징에 대한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 및/또는 폴딩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각각의 폴딩 상태에 적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시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최적의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전자 장치에 설정된 보안 레벨과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Ⅰ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Ⅰ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Ⅰ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Ⅰ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인증 방식이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의존적인지 여부에 따라,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Ⅱ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Ⅱ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Ⅲ 분류 또는 Ⅳ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Ⅲ 분류 또는 Ⅳ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키보드가 연결된 경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안 레벨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를 뒤집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일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폴더블 하우징(210)(또는 “하우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220)(또는 “디스플레이”), 제1 힌지 조립체(hinge assembly)(231), 제2 힌지 조립체(232), 카메라(241), 및 지문 입력 장치(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더블 하우징(210)은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은 전자 장치(101)의 전자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배터리, 프로세서)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전자 장치(10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리시버(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관성 센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와 같은 전자 부품들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전자 부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opening) 또는 리세스(recess)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가 배치되는 면을 전면으로, 그 반대 면을 후면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완전 펼침 상태(unfolded state)일 때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은 동일 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완전 접힘 상태(folded state)일 때, 제1 하우징(211)의 일면과 제2 하우징(212)의 일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12)의 다른 일면과 제3 하우징(213)의 일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완전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완전 접힘 상태가 아닌, 소위 중간 상태일 경우,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1) 또는 제2 하우징(212)은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1 힌지 조립체(231)를 통해 회동(또는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제2 하우징(212) 또는 제3 하우징(213)은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2 힌지 조립체(232)를 통해 회동(또는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폴딩 센서에서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의 배치 상태 및/또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의 배치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리세스에 안착되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와 폴더블 하우징(210)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제3 하우징(2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지지하기 위해 지정된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 제3 하우징(213) 상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1)가 완전 펼침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제1 하우징(211)의 일 영역에서부터 제1 힌지 조립체(231)를 가로 질러 제2 하우징(212)의 적어도 일 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2 하우징(212)의 일 영역에서부터 제2 힌지 조립체(232)를 가로 질러 제3 하우징(213)의 적어도 일 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또는 제3 하우징(213)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에 안착되어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및/또는 제3 하우징(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제1 하우징(211)의 적어도 일 영역과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하우징(212)의 적어도 일 영역과 대응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및 제3 하우징(213)의 적어도 일 영역과 대응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사이에 위치하고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갖는 제1 폴딩 영역(미도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 사이에 위치하고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갖는 제2 폴딩 영역(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모두 폴딩 영역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 제1 폴딩 영역, 및 제2 폴딩 영역은 전자 장치(101)가 완전 펼침 상태일 때,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 장치(101)가 완전 접힘 상태일 때에는, 제1 폴딩 영역이 구부러져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이 서로 후면을 맞대고 반대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2 폴딩 영역이 구부러져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적어도 일 영역(예: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제1 하우징(211)의 일면에 부착되고, 다른 영역(예: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은 제2 하우징(212)의 일면에 부착되고, 또 다른 영역(예: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제3 하우징(213)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와 폴더블 하우징(21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제1 하우징(211)의 일면, 제2 하우징(212)의 일면, 및 제3 하우징(213)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는 제1 하우징(211)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하우징(212)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제3 하우징(213)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을 지지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지지할 수 있고, 제3 지지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지지 플레이트, 및/또는 제3 지지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힌지 조립체(231)는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을 연결할 수 있고, 제2 힌지 조립체(232)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 또는 제2 하우징(212)은 제1 힌지 조립체(231)를 중심으로 각각 제2 하우징(212) 또는 제1 하우징(211)에 대해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 또는 제3 하우징(213)은 제2 힌지 조립체(232)를 중심으로 각각 제3 하우징(213) 또는 제2 하우징(212)에 대해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힌지 조립체(231)와 제2 힌지 조립체(232)가 지정된 회동 범위(예: 180도) 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예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회동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힌지 조립체(231)와 제2 힌지 조립체(232)가 지정된 회동 범위 내에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폴딩 영역이 구부러져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이 서로 마주보고, 제2 폴딩 영역이 구부러져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이 서로 후면을 맞대고 반대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회동할 수 있으며, 회동 범위의 한계 없이 제1 힌지 조립체(231)와 제2 힌지 조립체(232)가 모두 360도로 회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힌지 조립체(231) 및 제2 힌지 조립체(232)는 각각 힌지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은 폴더블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101) 외부로 노출되거나, 폴더블 하우징(21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예시로, 힌지 하우징은 전자 장치(101)가 완전 펼침 상태일 때에는 폴더블 하우징(210)에 의해 가려져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힌지 하우징은 전자 장치(101)가 완전 접힘 상태일 때에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보일 수 있고, 전자 장치(101)가 완전 펼침 상태나 완전 접힘 상태가 아닐 때에는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의 사이 또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의 사이에서 일부가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하우징이 전자 장치(101)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은, 전자 장치(101)가 완전 접힌 상태일 때 노출되는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전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가장자리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에 인접한 제1 하우징(211)의 일부 영역,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에 인접한 제2 하우징(212)의 일부 영역,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에 인접한 제3 하우징(213)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241)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배치되어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 전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입력 장치(242)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배치되어 지문 인식을 위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 전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아래쪽에 배치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카메라(241)는 제1 하우징(211) 전면의 위쪽 모서리 근처에 배치되고, 지문 입력 장치(242)는 제1 하우징(211) 전면의 아래쪽 모서리 근처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는 제1 하우징(211) 전면의 좌우측 모서리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하우징(213)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카메라(241)들과 지문 입력 장치(242)들이 폴더블 하우징(210) 전면의 여러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i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한 제1 폴딩 상태,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한 제2 폴딩 상태, 및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에 기초한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접힘 상태, 펼침 상태, 및 중간 상태는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이 이루는 각도 또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상태 또는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unfolded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 또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은 실질적으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의 표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펼침 상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의 표면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표면이 정확히 180도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180도에 근접한 각도(예: 170도)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상태 또는 제2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 또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의 표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표면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거나 실질적으로 완전히 펼쳐지거나 완전히 접힌 것으로 보이지 않는 각도(예: 10도 이상 170도 이하)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폴딩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상태 또는 제2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 또는 제2 하우징(212)과 제3 하우징(213)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힘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의 표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은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표면은 서로 면을 맞대고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힘 상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의 표면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의 표면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표면이 0도에 근접한 각도(예: 10도 이하)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폴딩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곡률은 중간 상태인 경우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상태 또는 제2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인 경우 보호 부재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경우, 외부 충격(예: 낙하)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디스플레이 영역들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들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및/또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보호 부재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서로 맞닿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일부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i에서 표시된 디스플레이 활성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 중에서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상태인 영역을 표시한 것으로서, 활성화 상태는 전원이 on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i에서 표시된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하는 입력 장치(예: 카메라(241), 지문 입력 장치(242))가 배치된 영역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제1 하우징(211)에 배치된 경우,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제1 하우징(211)의 전면일 수 있다.
도 3a는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가 모두 펼침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 모두 활성화 영역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도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가 모두 펼침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상태는 완전 펼침 상태일 수 있으며, 이하 이를 A 펼침 상태라 한다.
도 3b는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가 모두 접힘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가 모두 접힘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는 완전 접힘 상태일 수 있으며, 이하 이를 B 폴딩 상태라 한다.
도 3c는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가 모두 중간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c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와 제2 폴딩 상태가 모두 중간 상태인 경우를 C 폴딩 상태라 한다.
도 3d는 제1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d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인 경우를 D 폴딩 상태라 한다.
도 3e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e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인 경우를 E폴딩 상태라 한다.
도 3f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비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f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인 경우를 F 폴딩 상태라 한다.
도 3g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비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g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인 경우를 G 폴딩 상태라 한다.
도 3h는 제1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비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h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가 접힘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인 경우를 H 폴딩 상태라 한다.
도 3i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1)의 폴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은 비활성화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카메라(241)와 지문 입력 장치(242)가 위치하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3i와 같이 사용되는 제1 폴딩 상태가 중간 상태이고 제2 폴딩 상태가 펼침 상태인 경우를 I 폴딩 상태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 펼침 상태 또는 H 폴딩 상태는 별개의 액세서리(예: 거치대) 없이 전자 장치(101) 자체로는 세워지지 않는 구조로써,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사용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B 폴딩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접혀서 가려진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을 보호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 용이한 상태일 수 있다. B 폴딩 상태에서 사용자는 좁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보다 간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접혀진 전자 장치(101)를 펼침으로써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완전 접힘 상태에서 완전 펼침 상태로 폴딩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면, 요약 형태로 출력된 메시지를 상세 정보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C 폴딩 상태 내지 G 폴딩 상태, 및/또는 I 폴딩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탁상 모드(tabletop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탁상 모드란 별개의 액세서리(예: 거치대) 없이 전자 장치(101) 자체로 세워질 수 있는 구조로써, 지표면 또는 물체 위에 놓여져 사용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전자 장치(101)가 C 폴딩 상태 내지 G 폴딩 상태, 및/또는 I 폴딩 상태인 경우, 별도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지 않고서도 전자 장치(101)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기상태 중 전자 장치(101)를 응시하기 용이하며 사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성(예: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통화 또는 개인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탁상 모드(tabletop mode)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AOD(always on display) 모드의 UI(예: 시계 UI, 알림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분류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
Ⅰ 분류 A 펼침 상태, B 폴딩 상태
Ⅱ 분류 C 폴딩 상태 내지 E 폴딩 상태
Ⅲ 분류 F 폴딩 상태, G 폴딩 상태
Ⅳ 분류 H 폴딩 상태, I 폴딩 상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 펼침 상태 내지 I 폴딩 상태는 상기의 표 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A 펼침 상태와 B 폴딩 상태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활성화 상태이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손에 들고 사용 중인 것으로 가정된 상태 즉, 사용자와 전자 장치(101)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 제약에 없는 경우일 수 있고, 이들을 Ⅰ 분류로 묶을 수 있다. C 폴딩 상태 내지 E 폴딩 상태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활성화 상태이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지표면 또는 물체 위에 두고 사용 중인 것으로 가정된 상태 즉, 사용자와 전자 장치(101)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 일부 제약이 있는 경우일 수 있고, 이들을 Ⅱ 분류로 묶을 수 있다. F 폴딩 상태와 G 폴딩 상태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실제 사용면이 아니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 장치(예: 카메라(241), 지문 입력 장치(242))가 off인 경우일 수 있고, 이들을 Ⅲ 분류로 묶을 수 있다. H 폴딩 상태와 I 폴딩 상태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완전히 가려져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이 off인 경우일 수 있고, 이들을 Ⅳ 분류로 묶을 수 있다.
표 1의 분류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 사용자와 전자 장치(101)의 상호작용에 제약 여부, 및/또는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완전히 가려진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전자 장치(10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410)(예: 도 2의 폴더블 하우징(210)), 센서(42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프로세서(43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44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20)), 및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센서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또는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410)은 도 2의 하우징(210)과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4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를 구성하는 부품(예: 센서 등)들을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410)은 제1 하우징(411)과 제1 하우징(411)에 대해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2 하우징(412)과 제2 하우징(412)에 대해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3 하우징(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410)은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2 하우징(412)과 제3 하우징(4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420)는 제1 폴딩 감지 센서(421), 제2 폴딩 감지 센서(422), 파지 감지 센서(423), 및 회전 감지 센서(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감지 센서(421)는 제1 하우징(411) 및 제2 하우징(412)에 대한 제1 폴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폴딩 감지 센서(422)는 제2 하우징(412) 및 제3 하우징(413)에 대한 제2 폴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폴딩 감지 센서(421) 및/또는 제2 폴딩 감지 센서(422)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계 센서(geomagnetic sensor), 및 홀(hall)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폴딩된 상태를 검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하우징이 접혀진 각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는, 전자 장치(400)의 선형 움직임 및/또는 전자 장치(400)의 3축에 대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전자 장치(40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고, 지자계 센서는 전자 장치(400)의 절대 좌표계 내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자성 센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400)의 힌지 영역(예: 도 2의 힌지 조립체) 또는 전자 장치(400)가 접힐 때 맞닿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 센서 중 디지털 홀 센서는 지자기 센서일 수 있으며, 디지털 홀 센서는 자성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전자 장치(400)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보(예: 접힌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 센서(예: 디지털 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계 센서와 함께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지 감지 센서(423)는 전자 장치(400) 하우징(4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400)의 하우징(410)에 사용자 신체가 접촉된 상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여부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지 감지 센서(423)는 그립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그립 센서에서 전자 장치(400) 하우징(410)을 감싸는 제스처가 인식된 경우,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파지 감지 센서(423)는 터치 패널을 이용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에서 전자 장치(400) 하우징(410)과 사용자 신체 사이 넓은 면적의 접촉을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감지 센서(424)는 전자 장치(40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400)가 가로 모드로 사용되는지 또는 세로 모드로 사용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감지 센서(424)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전자 장치(400)의 각속도 변화 즉, 전자 장치(400)가 회전한 정도에 기반하여,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가 사용되는 모드의 종류(예: 가로 모드, 세로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전자 장치(400)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및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프로그램)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1 폴딩 상태 및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전자 장치(40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440)는 디스플레이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와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예: DDI(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해당 영역은 힘이 가해지면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442)(예: 도 2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443)(예: 도 2의 제3 디스플레이 영역(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44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442)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44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440)가 제공하는 화면의 형태는 직사각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400)의 종류나 디자인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원형, 노치 영역을 가지는 사각형, 일부 영역에 원형 홀을 가지는 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440)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400)의 가로가 세로보다 긴 직사각형인 상황을 가정하지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또는 “입력 장치”)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고유 정보(예: 얼굴의 형태, 홍채의 패턴, 얼굴의 깊이, 얼굴에 흐르는 혈관 모양)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는 카메라(451)(예; 도 2의 카메라(241)), 지문 입력 장치(452)(예: 도 2의 지문 입력 장치(242)), 및 목소리 입력 장치(45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는 프로세서(430)의 제어 하에 카메라(451), 지문 입력 장치(452), 또는 목소리 입력 장치(45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사용자의 고유 정보와 사전에 저장된 기준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451)는 이미지 센서, RGB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또는 depth 카메라(예: ToF(time of flight) 카메라, SL(structured 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 거리 내 사용자 얼굴이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의 고유 정보(예: 얼굴의 형태, 홍채의 패턴, 얼굴의 깊이, 얼굴에 흐르는 혈관 모양, liveness)를 획득하기 위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획득된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얼굴의 형태 및/또는 얼굴의 깊이에 기반한 사용자 식별, 홍채의 패턴에 기반한 사용자 식별, 얼굴의 혈관 모양에 기반한 사용자 식별, 및/또는 얼굴에서의 맥박과 얼굴의 움직임에 기반한 사용자 식별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입력 장치(452)에 손가락의 지문 영역이 접촉되는 경우, 지문 입력 장치(452)는 지문을 인식하여 획득된 지문의 정보와 전자 장치(40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지문에 대한 고유 정보(예: 지문의 형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목소리 입력 장치(453)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리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목소리 입력 장치(453)는 목소리를 인식하여 획득된 목소리 정보와 전자 장치(400)에 기 저장된 사용자 목소리에 대한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4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예: 감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예: 도 1의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400)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는 충전 회로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동작은 도 4의 전자 장치(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30)는 제1 폴딩 상태 및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510),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450)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52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400)의 제1 하우징(411) 및 제2 하우징(412)에 대한 제1 폴딩 상태 및 전자 장치(400)의 제2 하우징(412) 및 제3 하우징(413)에 대한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상태(예: A 펼침 상태 내지 I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은 전자 장치(400)의 입력 장치(450)에서 획득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전자 장치(400)가 제조될 때 기 탑재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은 지문 인증, 얼굴 인증, 홍채 인증,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번호 인증, 및/또는 패턴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에 탑재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편의성 및/또는 보안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사용자 인증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400)에 탑재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지문 인증, 얼굴 인증, 홍채 인증,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이라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5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450) 중에서 상기 동작 510에서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450)를 제어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510에서 지문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430)는 지문 입력 장치(45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지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520에서 얼굴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430)는 카메라(451)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530에서 목소리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430)는 목소리 입력 장치(45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목소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510의 흐름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동작 510은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610) 및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400)에 탑재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이란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의 발생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기 화면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중 보안이 필요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은, 이벤트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 화면 잠금 해제 이벤트의 경우, 지문 인증, 얼굴 인증, 또는 패턴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이용 가능한 후보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사용 중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보안 레벨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후보 인증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은행 어플리케이션에서 보안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 인증 또는 지문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이용 가능한 후보 인증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고,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서 보안이 필요한 경우 지문 인증, 얼굴 인증, 홍채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또는 패턴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이용 가능한 후보 인증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상기 동작 610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표 2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예시이다.
분류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 결정되는 사용자 인증 방식
Ⅰ 분류 A 펼침 상태, B 폴딩 상태 얼굴 인증, 홍채 인증, 지문 인증,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패턴 인증
Ⅱ 분류 C 폴딩 상태 내지 E 폴딩 상태 얼굴 인증, 홍채 인증, 목소리 인증
Ⅲ 분류 F 폴딩 상태, G 폴딩 상태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패턴 인증
Ⅳ 분류 H 폴딩 상태, I 폴딩 상태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패턴 인증
표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가 Ⅰ 분류(예: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활성화 상태이고 전자 장치(400)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제약이 없는 경우)에 속하는 경우, 얼굴 인증, 홍채 인증, 지문 인증,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및/또는 패턴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가 Ⅱ 분류(예: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활성화 상태이고 전자 장치(400)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일부 제약이 있는 경우)에 속하는 경우, 얼굴 인증, 홍채 인증, 및/또는 목소리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가 Ⅲ 분류(예: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실제 사용면이 아닌 경우)에 속하는 경우,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및/또는 패턴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가 Ⅳ 분류(예: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완전히 가려져 전원 off된 경우)에 속하는 경우, 목소리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및/또는 패턴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표 2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은 일 예시이며, 이 외에도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를 고려한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알고리즘은 도 6의 동작들을 설명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701에서 보안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동작 701의 요청에 따라 동작 702에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703에서 상기 확인된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지 판단할 수 있고, 확인된 후보 인증 방식이 하나인 경우(703-아니오), 동작 704에서 단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703에서 확인된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703-예),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706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하나인 경우(706-아니오), 동작 707에서 단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706에서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706-예), 동작 708에서 사용자 편의성 및/또는 보안성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 중 하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708에서 프로세서(430)는 상기 동작 705에서 결정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보안 레벨에 가장 높은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동작 708에서 프로세서(430)는 상기 동작 705에서 결정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사용자 편의성에 따른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대기 화면의 잠금 해제 이벤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프로세서(430)는 대기 화면에서 보안 인증 요청을 획득한 경우, 잠금 해제 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얼굴 인증, 목소리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의 후보 인증 방식들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이므로,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폴딩 상태가 C 폴딩 상태인 경우, 얼굴 인증, 목소리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의 후보 인증 방식들 중 얼굴 인증, 및 목소리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표 2 참조)할 수 있다.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이므로, 프로세서(430)는 보안성을 고려하여 얼굴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폴딩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인증 방식들이 사용자 편의성에 따른 우선 순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 프로세서(430)는 순위가 높은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30)는 얼굴 인증 및 목소리 인증 중 사용자 인증 방식을 랜덤으로 최종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707 또는 동작 708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한 경우,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여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예: 도 5의 동작 520)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의 동작 702는 도 6의 동작 6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7의 동작 703 및 동작 705는 도 6의 동작 620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8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Ⅰ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전자 장치(400)가 A 펼침 상태이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400)를 가로 모드(전자 장치(400)의 모서리 중 긴 모서리를 가로 방향으로 사용)로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440)에서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시이고, 도 8c는 전자 장치(400)가 A 펼침 상태이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400)를 세로 모드(전자 장치(400)의 모서리 중 긴 모서리를 세로 방향으로 사용)로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440)에서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시이고, 도 8d는 전자 장치(400)가 B 폴딩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440)에서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시이다.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 중 카메라(451)와 지문 입력 장치(452)의 경우 하우징(4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직접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451) 및/또는 지문 입력 장치(452)가 전자 장치(400)의 모든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실직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카메라(451) 및/또는 지문 입력 장치(452)를 이용하는 얼굴 인증, 홍채 인증, 및 지문 인증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440) 상에서 카메라(451)와 지문 입력 장치(452)의 위치에 의존적일 수 밖에 없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인증 방식이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의존적인지 여부에 따라,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910에서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고, 동작 920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의존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위치에 의존적이지 않는 경우(920-아니오), 프로세서(430)는 동작 930에서 디스플레이(440)의 기본 위치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기본 위치는 예를 들면, 활성화된 디스플레이(440) 영역의 중앙이거나 아래쪽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방식이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의존적인 경우(920-예), 프로세서(430)는 동작 940에서 위치에 의존적인 인증 정보 획득 입력 장치(450)(예: 지문 입력 장치(452))가 전자 장치(400) 내 배치된 영역을 확인할 수 있고, 동작 950에서 상기 확인된 영역 중 메시지 표시 영역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표시 영역은, 예를 들면 지문 입력 장치(452)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하좌우 방향 근처일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위치에 의존적인 지문 인증 방식이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에 배치된 지문 입력 장치(810a)의 위쪽 가까이에 지문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예: 지문을 입력하세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b에서와 달리, 도 8a에서 메시지가 표시된 영역은, 디스플레이(440)가 활성화된 영역 내에서 한쪽(왼쪽)으로 치우쳐 있을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가 Ⅱ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가 C 폴딩 상태 내지 E 폴딩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430)는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인 얼굴 인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 획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가 C 폴딩 상태 내지 E 폴딩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430)는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인 목소리 인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 획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a 와 도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가 Ⅲ 분류 또는 Ⅳ 분류에 속하는 경우, 인증 정보 획득을 위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가 F 폴딩 상태 내지 I 폴딩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430)는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인 패턴 인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 획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가 F 폴딩 상태 내지 I 폴딩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430)는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인 목소리 인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 획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5의 동작 510은,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1210),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1220), 및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의 동작 1210 내지 1230에서 동작 1220은 생략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30)는 동작 1210에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 동작 1230에서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1220에서 전자 장치(400)의 상태가 A 펼침 상태 또는 B 폴딩 상태인 경우, 모든 사용자 인증 방법이 우선 지원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작 1220이 생략된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의 동작 1210은 도 6의 동작 6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2의 동작 1220은 도 6의 동작 620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12의 동작 1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상기 동작 1220에서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400)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파지 감지 센서(423)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 회전 감지 센서(424)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 및/또는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1220에서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따라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판단한 후에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400)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한번 더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1230에서 파지 감지 센서(423)를 통하여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전자 장치(400)와 사용자 신체 접촉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와 사용자 신체 접촉에 기반한 인증 방식은 지문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핀 번호 인증, 및/또는 패턴 인증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1230에서 회전 감지 센서(424)를 통하여 전자 장치(400)의 사용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결정된 사용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 방향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가로로 사용되어지는 가로 모드 또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세로로 사용되어지는 세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액세서리를 인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인지된 액세서리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서리는 전자 장치(400)에 연결될 수 있는 키보드 또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의 알고리즘은 도 12의 동작들을 설명할 수 있다.
도 13의 동작 1301 내지 동작 1304는 도 7의 동작 701 내지 동작 704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동작 1304 이후부터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1303에서 확인된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1303-예), 동작 1305에서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1306에서 상기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지 판단할 수 있고,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하나인 경우(1306-아니오), 동작 1307에서 단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1306에서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1306-예), 동작 1308에서 전자 장치(400)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1309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지 판단할 수 있고,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하나인 경우(1309-아니오), 동작 1310에서 단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동작 1309에서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1309-예), 동작 1311에서 사용자 편의성 및/또는 보안성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 중 하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1311에서 프로세서(430)는 상기 동작 1308에서 결정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보안 레벨에 가장 높은 방식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동작 1311에서 프로세서(430)는 상기 동작 1308에서 결정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사용자 편의성에 따른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방식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3의 동작 1302는 도 12의 동작 12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3의 동작 1303 및 동작 1305는 도 12의 동작 122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3의 동작 1306 및 동작 1308은 도 12의 동작 1230에 대응될 수 있다.
대기 화면의 잠금 해제 이벤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프로세서(430)는 대기 화면에서 보안 인증 요청을 획득한 경우, 잠금 해제 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의 후보 인증 방식들 중에서 전자 장치(400)의 A 펼침 상태에 기초하여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 방식 전부를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으로 결정(표 2 참조)할 수 있다.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이므로, 프로세서(430)는 파지 감지 센서(423)를 통하여 전자 장치(400)가 파지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가 파지된 상태인 경우,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이므로, 프로세서(430)는 보안성을 고려하여 지문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편의성에 따른 우선 순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 프로세서(430)는 순위가 높은 인증 방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30)는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 방식 중 사용자 인증 방식을 랜덤으로 최종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430)는 대기 화면에서 보안 인증 요청을 획득한 경우, 잠금 해제 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의 후보 인증 방식들 중에서 전자 장치(400)의 A 펼침 상태에 기초하여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 방식 전부를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으로 결정(표 2 참조)할 수 있다.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이므로, 프로세서(430)는 파지 감지 센서(423) 및 회전 감지 센서(424)를 통하여 전자 장치(400)가 파지되어 사용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가 세로 모드로 파지된 경우 사용자 편의성 및 보안성을 고려하여 얼굴 인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가 가로 모드로 파지된 경우 사용자 편의성 및 보안성을 고려하여 지문 인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430)는 대기 화면에서 보안 인증 요청을 획득한 경우, 잠금 해제 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의 후보 인증 방식들 중에서 전자 장치(400)의 A 펼침 상태에 기초하여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비밀번호 인증, 및 패턴 인증 방식 전부를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으로 결정(표 2 참조)할 수 있다. 결정된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이므로,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키보드가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 및 보안성을 고려하여 비밀번호 인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거치대가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것을 인지한 경우,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편의성 및 보안성을 고려하여 얼굴 인증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에 키보드가 연결된 경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4에서 1410은 도 12에서 동작 1220까지 즉, 도 7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 획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440)에 표시한 예시이고, 1420은 도 12에서 동작 1230까지 즉, 도 13에 의해 결정된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 획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440)에 표시한 예시이다. 즉, 전자 장치(400)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방식을 한번 더 결정하는 경우, 결정되는 사용자 인증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30)가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한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지문 인증의 보안 레벨이 높더라도, 프로세서(430)는 액세서리가 전자 장치(400)에 연결된 것으로 인지하면, 비밀 번호 인증 방식을 최종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5의 동작 510은,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1510),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1520), 전자 장치(400)에 대해서 설정된 보안 레벨을 확인하는 동작(1530), 및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확인된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보다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여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15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5의 동작 1510은 도 6의 동작 6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5의 동작 1520은 도 6의 동작 620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12의 동작 1530 및 15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1530에서 전자 장치(400)에 대해서 설정된 보안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동작 1540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과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더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통하여,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낮은 경우, 사용자에게 폴딩 상태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알고리즘은 도 15의 동작들을 설명할 수 있다.
도 16의 동작 1601 내지 동작 1605는 도 7의 동작 701 내지 동작 705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동작 1605 이후부터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1606에서 전자 장치(400)에 설정된 보안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동작 1607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보다 모두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 중에서 확인된 전자 장치의 보안 레벨보다 높은 것이 없는 경우(1607-예), 프로세서(430)는 동작 1608에서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 중에서 확인된 전자 장치의 보안 레벨보다 높은 것이 있는 경우(1607-아니오), 프로세서(430)는 동작 1609에서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보다 높은 보안 레벨을 가진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보다 높은 보안 레벨을 가진 사용자 인증 방식이 단수개인 경우(1609-아니오), 프로세서(430)는 동작 1611에서 단수개의 높은 보안 레벨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최종 결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보다 높은 보안 레벨을 가진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1609-예), 프로세서(430)는 동작 1610에서 사용자 편의성 및/또는 보안성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높은 보안 레벨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하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6의 동작 1602는 도 15의 동작 15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6의 동작 1603 및 동작 1605는 도 15의 동작 152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6의 동작 1606은 도 15의 동작 153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6의 동작 1607 및 1608은 도 15의 동작 154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400)의 보안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레벨은 복수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높은 보안(high security)(1710), 중간 보안(medium security)(1720), 낮은 보안(low security)(1730), 및 보안 미설정(none)(1740)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 3을 이용하여 각 보안 단계 별 포함되는 인증 방식의 종류를 설명한다.
인증 방식 보안 레벨
홍채 인증, 지문 인증 high security medium security low security
패스워드 인증
얼굴 인증
목소리 인증
핀 번호 인증
패턴 인증
표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에 높은 보안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 홍채 인증, 지문 인증, 및 패스워드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포함될 수 있고, 중간 보안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 높은 보안 레벨에 속하는 사용자 인증 방식 뿐만 아니라 얼굴 인증, 목소리 인증, 및 핀 번호 인증의 사용자 인증 방식이 포함될 수 있고, 낮은 보안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 중간 레벨에 속하는 사용자 인증 방식 뿐만 아니라 패턴 인증 방식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전자 장치(400)에 설정된 보안 레벨 보다 모두 낮은 경우, 즉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 중 전자 장치(400)에 설정된 보안 레벨보다 높은 것이 없는 경우,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에서 1810은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가 H 폴딩 상태인 경우, 가로 모드로 사용되는 예시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 폴딩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H 폴딩 상태의 전자 장치(4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보안 인증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지문 인증 방식인 경우, 프로세서(430)는 1820에서 지문 입력 장치(452)가 포함된 접혀진 하우징(예: 제1 하우징(411))을 펼치기 위한 메시지(1821)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1830은 접혀진 제1 하우징(411)이 사용자에 의해 펼쳐진 예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혀진 제1 하우징(411)이 펼쳐진 경우, 프로세서(4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을 활성화하고 지문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1831)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에 표시할 수 있다. 지문 인증이 완료된 경우, 1840에서 프로세서(430)는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할지 묻는 메시지(1841)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1851에서 상기 메시지(1841)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승인 버튼 터치)에 대응하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까지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고, 1852에서 제1 하우징(411)이 접혀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을 다시 off하고 처음의 상태(1810)로 돌아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전자 장치(400)에 설정된 보안 레벨 보다 모두 낮은 경우, 전자 장치(400)의 폴딩 상태 변경을 유도하는 방법 외에, 전자 장치(400)를 뒤집어 인증 정보 획득 영역이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400)를 뒤집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태 1910에서 전자 장치(400)가 H 폴딩 상태로 사용(1912)되는 중에 보안 인증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이 얼굴 인증 방식인 경우, 프로세서(43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400)를 뒤집도록 요청하는 메시지(1911)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뒤집어 off 상태인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1922)한 경우, 프로세서(430)는 상태 1920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을 활성화하고 얼굴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1921)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에 표시할 수 있다. 얼굴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태 1930에서 프로세서(430)는 뒤집어진 전자 장치(1932)를 다시 원상태로 뒤집도록 요청하는 메시지(193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400)를 다시 원상태로 뒤집는 경우(1941), 프로세서(430)는 상태 1940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441)을 다시 off 하고 처음의 상태(1910)로 돌아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태 1920과 상태 1930에서 얼굴 인증이 진행되는 동안 제2 디스플레이 영역(44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443)은, 상태 1910에서와 마찬가지인 활성화 상태일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금지된 상태일 수 있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 비활성화 상태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활성화 상태는 디스플레이(440)의 전원이 on이고 디스플레이(440)에서 지원되는 모든 기능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고, 비활성화 상태는 저전력 모드의 상태로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능을 최소화하고 화면을 검게 처리한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은,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하우징에 대한 제1 폴딩 상태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3 하우징에 대한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5의 동작 510),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예: 도 5의 동작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5의 동작 510)은,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상기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5의 동작 510)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보안 레벨을 확인하는 동작(예: 도 15의 동작 1530);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보안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예: 도 15의 동작 1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10)은,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5의 동작 510)은,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상기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30)은,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신체 접촉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회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30)은, 상기 회전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30)은,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를 인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인지된 액세서리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20)은, 상기 폴딩 상태 및 상기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일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일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일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일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제1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제2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제3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한 제1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에 대한 제2 폴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폴딩 상태 및 상기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상기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보안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보안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상기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3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신체 접촉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제4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4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를 인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인지된 액세서리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시, 상기 폴딩 상태 및 상기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하우징에 대한 제1 폴딩 상태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3 하우징에 대한 제2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에 상응하는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상기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보안 레벨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 인증 방식의 보안 레벨이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보안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폴딩 상태 변경을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 방식 중 상기 인증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3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3 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신체 접촉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4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4 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서리를 인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우선 지원되는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인지된 액세서리에 기반한 인증 방식을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폴딩 상태 및 상기 폴딩 상태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후보 인증 방식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37034A 2020-03-26 2020-03-26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20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34A KR20210120386A (ko) 2020-03-26 2020-03-26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21/001138 WO2021194080A1 (ko) 2020-03-26 2021-01-28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7/951,663 US20230026952A1 (en) 2020-03-26 2022-09-23 Method for determining user authentication schem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34A KR20210120386A (ko) 2020-03-26 2020-03-26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86A true KR20210120386A (ko) 2021-10-07

Family

ID=7789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34A KR20210120386A (ko) 2020-03-26 2020-03-26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26952A1 (ko)
KR (1) KR20210120386A (ko)
WO (1) WO20211940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102043810B1 (ko) * 2012-08-20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87099B1 (ko) * 2014-09-22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801192B1 (ko) * 2016-03-03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6952A1 (en) 2023-01-26
WO2021194080A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6754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72446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389540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based on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114811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foldable display
US117206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fingerprint sensor
US10852858B2 (en)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ver device
KR20210101698A (ko)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45241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US114450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peration thereof
KR2020010092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303473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able camera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thereby
US20230014641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023072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andwriting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0010120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방법
US1114410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panding inner space of main body of the same
US11940850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execution scre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1870928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electronic apparatus through hologram
KR202100829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22574A (ko)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120386A (ko)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068043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KR102458719B1 (ko)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32546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US11294496B2 (en) Operation method based on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128797A (ko)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