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574A -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574A
KR20200022574A KR1020180098318A KR20180098318A KR20200022574A KR 20200022574 A KR20200022574 A KR 20200022574A KR 1020180098318 A KR1020180098318 A KR 1020180098318A KR 20180098318 A KR20180098318 A KR 20180098318A KR 20200022574 A KR20200022574 A KR 2020002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lectronic device
housing
proces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교
이석재
권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574A/ko
Priority to US17/270,329 priority patent/US20210174766A1/en
Priority to PCT/KR2019/009835 priority patent/WO2020040454A1/ko
Publication of KR2020002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VIDED SCREE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folding electronic device)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보다 큰 화면에 대한 수요자가 증가함에 따라 큰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예컨대,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에 실장될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전면을 모두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진, 동영상 등을 보다 큰 화면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상기 사진, 동영상 등을 보다 큰 화면을 통해 감상할 수 있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점점 커질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한 손에 파지하기 쉽지 않고, 주머니 등에도 쉽게 들어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 장치를 일정 크기 이하로 접을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자 장치를 일정 크기 이하로 접을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또한 전자 장치와 함께 접히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출력된 화면을 쉽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접을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은 사용자의 시선과 이루는 각도가 평행하거나 일정 각도 이하가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일부 영역을 쉽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부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사용자는 인식할 수 없어 불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나타낸다.
도 3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4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콘에 의한 전자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콘에 의한 전자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을 통해 제어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및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각종 부품들(예: 디스플레이(12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메탈, 플라스틱, 구부러질 수 있는 고분자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각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디스플레이(120)는 각종 사진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경계선(123)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일면을 밀면 전자 장치(1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 및 디스플레이(120) 또한 경계선(123)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10)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밀면 경계선(123)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도록 분리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제1 영역(121) 및 상기 제1 영역(121)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은 경계선(123)을 기준으로 분리된 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120)는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을 통해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21)은 온 되므로 제1 영역(121)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은 오프 되므로 제2 영역(122)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화면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예: 제2 영역(122)의 반대 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면,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일정 각도(131)로 접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를 테이블 위에 올려 놓으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화면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계선(123) 상에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을 연결하는 힌지(hinge)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 사이의 각도(131)가 90°가 될 때까지 전자 장치(100)를 접으면, 힌지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90°가 되도록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을 온 시키면서 디스플레이(120)의 상단 영역(120b)에 아이콘들(170)을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예: 제2 영역(122)의 반대 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면,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을 온 시키면서 디스플레이(120)의 상단 영역(120b)에 아이콘들(170)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아이콘들(17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아이콘들(170)은 디스플레이(120)의 하단 영역(120a)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아이콘들(170)은 이하에서 설명될 메뉴 키(도 3a의 311), 홈 키(도 3a의 312), 백 키(도 3a의 313), 제1 아이콘(도 3b의 314), 및 제2 아이콘(도 4a의 410) 중 어느 하나로 참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통해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센서(130), 제2 센서(140), 제3 센서(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3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 사이의 각도(131)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130)는 제1 측정 부재(131) 및 제2 측정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 부재(131)는 하우징(110)의 제1 엣지(110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정 부재(132)는 하우징(110)의 제2 엣지(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접힐 경우 제1 측정 부재(131)와 제2 측정 부재(132) 사이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 질 수 있고, 제1 센서(130)는 제1 측정 부재(131)와 제2 측정 부재(132)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 사이의 각도(131)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센서(130)는 6-축 센서(6-axis sensor)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센서(140)는 하우징(110)의 일면(예: 제2 영역(122)의 반대 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일면(예: 제2 영역(122)의 반대 면)이 테이블에 접촉하면 제2 센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물체에 접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2 센서(140)는 하우징(110)의 제1 엣지(110a)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하우징(110)의 타면(예: 제1 영역(121)의 반대 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2 센서(14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로 참조될 수 있다.
제3 센서(150)는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3 센서(150)는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압력의 정도를 게이지(gauge)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센서(150)는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게이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30), 제2 센서(140), 제3 센서(150), 및 디스플레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센서(130)를 통해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21)은 온 되므로 제1 영역(121)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은 오프 되므로 제2 영역(122)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일부 영역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화면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센서(140)를 통해 하우징(110)의 일면(예: 제2 영역(122)의 반대 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예: 제2 영역(122)의 반대 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중 일부 영역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화면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3 센서(150)를 통해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60) (application processor; AP)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서(620)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3c는 사용자가 도 3b에 도시된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한 경우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각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영상, 아이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하단 영역(120a)을 통해 메뉴 키(311), 홈 키(312), 및 백 키(313)를 출력할 수 있다. 메뉴 키(311)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여러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출력할 수 있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홈 키(312)는 홈 스크린을 호출할 수 있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백 키(313)는 전자 장치(100)가 직전 실행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경계선(123)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일면을 밀면 전자 장치(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디스플레이(120) 하단 영역(120a)에 제1 아이콘(314)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제1 아이콘(314)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아이콘(314)은 디스플레이(120)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제1 아이콘(314)은 메뉴 키(311), 홈 키(312), 및 백 키(313)가 위치한 영역(120a)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아이콘(314)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21)은 온 되므로 제1 영역(121)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은 오프 되므로 제2 영역(122)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1 아이콘(314)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하면 일부 영역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화면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120) 하단 영역(120a)에 제1 아이콘(314)을 출력시킬 수 있다. 제1 아이콘(314)은 메뉴 키(311), 홈 키(312), 및 백 키(313)가 위치한 영역(120a)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아이콘(314)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21)은 온 되므로 제1 영역(121)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은 오프 되므로 제2 영역(122)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일면이 외부 물체에 접촉되면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1 아이콘(314)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함으로써 일부 영역을 통해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화면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히지 않은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4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콘에 의한 전자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콘에 의한 전자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는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한 경우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내고, 도 4c는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제2 아이콘(410)을 터치한 경우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키(311), 홈 키(312), 및 백 키(313)는 하단 영역(120a)에 출력될 수도 있고,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과 함께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제1 아이콘(314)과 제2 아이콘(41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은 상단 영역(120b)이나 하단 영역(120a)에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디스플레이(120)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면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이 디스플레이(120)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아이콘(314)을 터치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은 온 시키고 제2 영역(122)은 오프 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21)은 온 되므로 제1 영역(121)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은 오프 되므로 제2 영역(122)을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진 등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이 디스플레이(120)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아이콘(410)을 터치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에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을 통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시키고, 제2 영역(122)을 통해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아이콘(314) 및 제2 아이콘(410)이 디스플레이(120) 상단 영역(120b)을 통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아이콘(410)을 터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에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시키고, 제2 영역(122)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2 영역(12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20) 일부 영역을 오프 시키거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을 통해 제어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영역(122)을 통해 제1 영역(121)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에는 이미지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영역(121)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에는 영상 제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제어 화면 중 재생 버튼(510)을 누르면, 제1 영역(121)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제2 영역(122)을 통해 제1 영역(121)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에는 이미지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영역(121)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였을 경우, 제2 영역(122)을 통해 제1 영역(121)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의 각도(131)가 지정된 범위(예: 90° 내지 170°) 내에 포함되고 하우징(110)의 일면이 외부 물체(예: 테이블)에 접촉하였을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에는 이미지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영역(121)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아이콘을 상기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영역에 홈 키, 백 키, 및 메뉴 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시켜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홈 키, 백 키, 및 메뉴 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시켜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600)에서 전자 장치(601)는 제 1 네트워크(6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6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604) 또는 서버(6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서버(608)를 통하여 전자 장치(6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프로세서(620), 메모리(630), 입력 장치(650), 음향 출력 장치(655), 표시 장치(660), 오디오 모듈(670), 센서 모듈(676), 인터페이스(677), 햅틱 모듈(679), 카메라 모듈(680), 전력 관리 모듈(688), 배터리(689), 통신 모듈(690), 가입자 식별 모듈(696), 또는 안테나 모듈(6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6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660) 또는 카메라 모듈(6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6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6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620)에 연결된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6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676) 또는 통신 모듈(6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6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6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6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메인 프로세서(6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6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623)은 메인 프로세서(6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623)는 메인 프로세서(6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6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6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6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6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621)와 함께, 전자 장치(6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660), 센서 모듈(676), 또는 통신 모듈(6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6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680) 또는 통신 모듈(6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620) 또는 센서모듈(6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휘발성 메모리(6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6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640)은 메모리(6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642), 미들 웨어(644) 또는 어플리케이션(6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650)는, 전자 장치(6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6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6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6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6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6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6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660)는 전자 장치(6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6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6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6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670)은, 입력 장치(6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655), 또는 전자 장치(6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676)은 전자 장치(6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6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77)는 전자 장치(6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6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6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6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6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6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6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6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688)은 전자 장치(6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689)는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6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690)은 전자 장치(6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 전자 장치(604), 또는 서버(6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690)은 프로세서(6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690)은 무선 통신 모듈(6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6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6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92)은 가입자 식별 모듈(6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698)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6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6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6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698)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6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6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6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699)에 연결된 서버(608)를 통해서 전자 장치(601)와 외부의 전자 장치(6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2, 604) 각각은 전자 장치(6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602, 604, or 6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6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6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6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6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636) 또는 외장 메모리(6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6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키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오프 시키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아이콘을 상기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영역에 홈 키, 백 키, 및 메뉴 키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시켜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 시키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홈 키, 백 키, 및 메뉴 키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시켜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엣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Off) 시키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오프 시키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상기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은 온 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오프 시키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98318A 2018-08-23 2018-08-23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022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318A KR20200022574A (ko) 2018-08-23 2018-08-23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7/270,329 US20210174766A1 (en) 2018-08-23 2019-08-07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vided screen
PCT/KR2019/009835 WO2020040454A1 (ko) 2018-08-23 2019-08-07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318A KR20200022574A (ko) 2018-08-23 2018-08-23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574A true KR20200022574A (ko) 2020-03-04

Family

ID=6959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318A KR20200022574A (ko) 2018-08-23 2018-08-23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74766A1 (ko)
KR (1) KR20200022574A (ko)
WO (1) WO20200404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70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US11474692B2 (en) 2018-07-17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on which execution screen for multiple applications is displayed,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31B1 (ko) * 2013-06-19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20150019037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033507A (ko) * 2014-09-18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9547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5605B1 (ko) * 2016-09-20 202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4692B2 (en) 2018-07-17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on which execution screen for multiple applications is displayed,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WO2022030970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EP4177706A4 (en) * 2020-08-04 2024-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454A1 (ko) 2020-02-27
US20210174766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US1092900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20200067567A (ko)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006024B2 (en) Pop-up and rotational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55925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multi-stage display method therefor
US114811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foldable display
KR20210101474A (ko)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44477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보호 케이스 및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52679A (ko)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64616A (ko)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KR20210017282A (ko) 카메라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17038A (ko) 폴딩각을 검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0092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42398B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10065579A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8122A (ko)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방법
KR20200072727A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26232A (ko) 전자 장치 및 그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
KR20200022574A (ko)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140949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표시 제어 방법
KR20190112406A (ko) 입력 수단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829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92611A (ko) 안테나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6143B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