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69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69B1
KR102370169B1 KR1020150143061A KR20150143061A KR102370169B1 KR 102370169 B1 KR102370169 B1 KR 102370169B1 KR 1020150143061 A KR1020150143061 A KR 1020150143061A KR 20150143061 A KR20150143061 A KR 20150143061A KR 102370169 B1 KR102370169 B1 KR 10237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il
area
scree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374A (ko
Inventor
강신녀
허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69B1/ko
Priority to US15/767,948 priority patent/US10860201B2/en
Priority to PCT/KR2016/001345 priority patent/WO2017065361A1/ko
Publication of KR2017004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제2 영역만큼 확장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등, 사용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요구와 휴대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또는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상황의 필요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같이, 표시 영역이 고정된 경우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간단한 동작만으로 화면이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화면의 확장된 영역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제2 영역만큼 확장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전에 전송되었던 또는 수신되었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제1 메일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일의 수신 이전에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한 제2 메일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일 및 상기 제2 메일 각각은 첨부 파일이 있음을 나타내는 첨부 파일 항목, 메일을 보낸 사람을 식별하는 발신인 항목 및 메일에 대한 회신을 위한 회신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일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선택된 첨부 파일 항목의 미리 보기 정보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일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을 제3 거리에 대응하는 제3 영역만큼 확장한 경우, 선택된 첨부 파일 항목의 미리 보기 정보를 상기 제3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일에 포함된 발신인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선택된 발신인 항목에 대응하는 발신인이 보낸 다른 메일을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일에 포함된 회신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메일을 전송한 상대방에게 회신을 위한 회신 메일 창을 제2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일은 첨부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첨부 파일을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 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첨부 파일을 상기 회신 메일 창에 첨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최대로 확장된 후, 상기 화면의 확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표시되지 않았던 다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제1 정보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표시되지 않았던 다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을 제3 거리에 대응하는 제3 영역만큼 확장시키고,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제2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3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정보가 선택되고, 상기 화면이 제3 영역만큼 축소된 경우,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된 제2 정보를 상기 제3 정보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정보가 선택되고, 상기 화면이 축소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화면의 확장된 영역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정보 이용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센싱부를 구성하는 압력 센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센싱부가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f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상에 표시된 제1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2 정보를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메일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기존의 표시 영역 또는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첨부 파일의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메일에 포함된 발신인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발신인이 보낸 메일들을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메일에 포함된 회신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발신인이 보낸 메일들을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수신 메일 정보 또는 발신 메일 정보가 선택된 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화면 상에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메일들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최대 크기로 확장되고, 화면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숨겨진 영역에 위치한 정보가 스크롤되어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확장된 영역에서 위치한 특정 정보를 메인 화면의 주위에 배치시키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후, 확장된 영역이 축소됨에 따라 선택된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 또는 보관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1b는 센싱부(210)를 구성하는 압력 센서(211)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c는 센싱부(210)가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213-1 내지 213-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deformable display device, 200)는 유리나 실리콘 등의 딱딱한 물질에서만 구현되던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휘어질 뿐만 아니라 신축이 가능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놓으면 다시 원래 상태로 줄어들 수 있는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stretcha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늘어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늘어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축소시키는 힘이 가해지면, 원래의 상태로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종이처럼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변경 가능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일 수도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센싱부(210), 디스플레이부(250), 저장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210)가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각 압력 센서(21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힘)이 인가되는 영역의 양 끝단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 또는 저항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 센서(211)는 검출된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커패시턴스 변화 신호 또는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저항 변화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제어부(290)로 전달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 변화 신호 또는 저항 변화 신호는 압력 센서(211)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압력 센서(211)로부터 수신된 커패시턴스 변화 신호 또는 저항의 변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213-1 내지 213-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경우, 직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가 후술할 플렉서블 기판 및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213-1 내지 213-4)은 플렉서블 기판의 하단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부는 플렉서블 기판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플렉서블 기판 또는 영상 표시부에 내장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물체가 이동할 때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운동 상태가 상세히 감지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서로 수직하는 3축(x축, y축, z축) 각각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50)의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3축 방향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획득된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3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된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획득된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복수의 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 센서들은 디스플레이부(25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210)가 복수의 홀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홀 센서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플렉서블 기판 및 영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은 신축성이 좋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잡아당기는 힘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고, 플렉서블 기판이 확장됨에 따라 함께 확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및 힘의 세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 정도 또는 축소 정도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 정도는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되는 길이를 나타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0)의 축소 정도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축소되는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90)는 센싱부(210)를 통해 감지된 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됨은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가 확대됨을 나타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0)가 축소됨은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가 축소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됨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또는 영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의 도면에서 후술한다.
도 2a 및 2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부(200_1)가 신축되기 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250_1)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_1)에 +x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29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_1)를 +x축 방향으로 확장 거리 d1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_1)가 확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는 확장 거리(d1)에 대응하는 확장 영역(251_1)만큼 확장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는 확장 영역(251_1)만큼 확대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x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50_1)에 ??x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_1)를 원래의 크기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동작 상태에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동작 상태에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d는 도 3a에서 A1-A2를 기준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홀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길이, 감겨진 길이 및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량을 센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는 상측 케이스(240), 중간 케이스(220), 하측 케이스(260), 디스플레이부(250), 제1 홀더(223) 및 제2 홀더(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 하측 케이스(260) 및 중간 케이스(22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_2)의 외관을 형성한다. 중간 케이스(2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육면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케이스(22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개방되어,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 및 하측 케이스(260)는 중간 케이스(220)를 상측 및 하측에서 덮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 및 하측 케이스(260)는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에 구비된 다양한 부품들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상측 케이스(240)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된(recessed) 리세스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46)에는 카메라(241) 및 음향 출력부(242)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223, 도 3d에 도시)는 디스플레이부(25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제2 홀더(224)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홀더(223)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50)가 중간 케이스(220)의 내 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2 홀더(224)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중간 케이스(220)의 내측으로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홀더(224)를 특정 방향으로 잡아당겨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중간 케이스(220) 내 측으로 말려들어가거나(roll-in), 중간 케이스 외 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roll-out).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중간 케이스(220) 내 측으로 권취(wind, roll, coil)되거나, 중간 케이스(220) 외 측으로 권출 (unwind, unroll, uncoil)될 수 있다.
도 3b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가 제1 동작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c는 제2 동작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50)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동작 상태라 한다)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하는 영역은 평면일 수 있다. 제1 동작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동작 상태라 한다)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하는 영역은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1 동작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50)에 외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250)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290)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제1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제2 동작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는 디스플레이부(25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21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변형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250) 또는 중간 케이스(220)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25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디스플레이부(250)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디스플레이부(250)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제1 동작 상태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기본적인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최소한의 디스플레이 영역만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제2 동작 상태는 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된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됨은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하는 화면이 확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의 확장은 단계적인 확장을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부(250)를 롤링시킴으로써 확장 또는 축소되는데 확장 또는 축소시에 1회에 걸쳐 구현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점차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동작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태는 제2 동작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제2 동작 상태는 확장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상태에서는 메세지창(225), 아이콘(226) 또는 시간 표시부(227) 등과 같은 영역만이 표시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50)의 노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동작 상태에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노출 영역을 최대화하여 보다 큰 화면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c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최대로 확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제어부(290, 도 1a에 도시)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출되는 길이를 감지할 수 있고, 권출된 길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중간 케이스(220)의 개방된 영역 외측으로 권출된 길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중간 케이스(220)의 내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250)를 오프 시키고, 중간 케이스(220)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권출된 디스플레이부(250)를 온 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온 됨은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원이 인가됨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오프됨은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케이스(220)의 외부로 권출되지 않은 일부의 디스플레이부(250)는 오프 상태로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발열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되는 부분을 온 시키고, 분리되지 않은 부분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내부 케이스(238)의 내주면에 배치된 길이 센싱부(211) 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됨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리되는 부분을 온 시키고, 분리되지 않은 부분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에는 샤프트(281), 내부 케이스(238), 길이 센싱부(211), 회전량 센싱부(213), 복수의 회로기판들(280), 연성회로기판(283), 지지 프레임(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81)는 내부 케이스(238)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38)는 롤러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하며,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를 권출 또는 권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38)는 중간 케이스(220)와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다.
길이 센싱부(211)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된 길이 또는 권출된 길이를 센싱할 수 있다. 길이 센싱부(211)는 자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 센싱부(211)는 하나 이상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센싱부(211)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권취되는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즉, 회전량 센싱부(213)는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말려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가 몇 번 권취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자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하나 이상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복수의 회로기판(280)들 각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전자 회로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83)은 내부 케이스(238)에 실장된 전자회로 부품들과 디스플레이부(250)를 연결할 수 있다. 전자회로 부품은 도 1a에 도시된, 센싱부(210), 저장부(270) 및 제어부(29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62)은 회로 기판(280)을 지지하고, 내부 케이스(238)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38)는 길이 센싱부(211)와 디스플레이부(25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롤링 센싱부(234) 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롤링 센싱부(234) 또한, 자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자력에 의해 내부 케이스(238) 상에 말리면서, 내부 케이스(238)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는 롤링 센싱부(234)와 길이 센싱부(211) 간의 인력에 의해 롤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 센싱부(211) N극의 자기부재로 구성되고, 롤링 센싱부(234)가 S극의 자기부재로 구성된 경우, 서로의 인력에 의해 서로 이끌리게 된다. 길이 센싱부(211)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롤링 센싱부(234)가 길이 센싱부(211)를 향하여 직선 운동을 하면서 이끌려지게 되고, 연속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롤링 센싱부(234)가 계속하여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미 유입된 롤링 센싱부(234)는 계속하여 길이 센싱부(211)와 인력이 작용하므로, 새로 유입되는 롤링 센싱부(234)와 길이 센싱부(211)와의 인력과 균형을 이루면서 롤링 센싱부(234)가 길이 센싱부(2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50)가 롤링하면서 감겨지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하면에는 롤링 센싱부(234)들이 구비되는 시트(222)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222)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250)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시트(222)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222)는 실리콘 또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일 수 있다. 시트(222)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하면에 시트 프레임(sheet frame)의 형태로 붙여지고, 시트(222)는 롤링 센싱부(234)를 순차적으로 고정하게 되며, 본딩(bonding), 테이프(tape) 또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222)는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져야 하고, 탄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롤링 센싱부(234)들이 동일한 자극을 갖도록 하여 척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50)가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동일 자극을 갖는 롤링 센싱부(234)들은 척력이 작용하여 인접하여 형성되는 롤링 센싱부(234)를 밀어내게 되어 디스플레이부(250)가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길이 센싱부(211)는 롤링 센싱부(234)와의 자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는 길이 또는 권출되는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에 권취된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길이 센싱부(211)는 4 개의 홀 센서 (H1, H2, H3, H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홀 센서들은 내부 케이스(238)의 내주면 또는 내부 공간에 내부 케이스(238)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는 롤링 센싱부(234)가 내부 케이스(238)의 원주 방향으로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여 롤링 센싱부(234)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도 3e 및 도 3f에서의 화살표는 내부 케이스(238)의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는 내부 케이스(238)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가 최대로 노출된 제2 동작 상태에서는 제1 홀 센서(H1)만 롤링 센싱부(234)를 감지한다. 이후, 내부 케이스(23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권취되고, 제2 홀 센서(H2), 제3 홀 센서(H3) 및 제4 홀 센서(H4)가 순차적으로 롤링 센싱부(234)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거나 권출시에 마지막으로 롤링 센싱부(234)를 감지한 센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다수 회 권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에 2층 이상으로 권취되는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238)의 반경 방향으로의 자력의 변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구비하면 보다 정확하게 디스플레이부(250)의 권취되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f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 이상의 홀 센서들이 내부 케이스(238)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면,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 상에서 2회 이상 적층되는 롤링 센싱부(234)의 자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디스플레이부(250)의 권취 길이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f에서는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의 세 개의 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는 롤링 센싱부(234)에 의한 내부 케이스(238)의 반경 방향으로의 자력 변화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90)는 제2 동작 상태(즉, 도 3d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1층으로 권취되는 동안에는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에 의해 권취되는 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2층으로 적층되는 상태로 권취되는 경우,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는 반경 방향으로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290)는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를 통해 감지된 자력 변화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는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의 권취되는 길이는 다시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에 의해 산정될 수 있으며,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가 형성되는 반경 방향에 3층으로 적층되면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에 의해 자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290)는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를 통해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 상에서 권취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고,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83)의 외주면 상에 권취되는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타측 단부에 상측 케이스(240), 중간 케이스(220), 하측 케이스(2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중간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도 3d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를 양손으로 잡아,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4에서 후술할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센싱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저장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 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6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3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ㅇ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 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 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36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송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a 내지 2b에서 설명된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200_1) 및 도 3a 내지 3f에서 설명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_2)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의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한다(S501).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인 경우, 제어부(290)는 도 3b에 도시된 제1 동작 상태의 화면 상에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제1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 상에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거리는 기준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 거리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거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기준 거리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된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거리일 수 있다. 즉, 기준 거리 이상 화면이 확장된 경우, 후술할 제2 정보 또는 제3 정보가 확장된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200-1)인 경우, 제어부(290)는 변형되기 전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상에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정보는 복수의 메일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일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일 항목들 각각은 메일을 전송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메일의 제목, 메일을 수신한 시점, 메일의 상세 정보 중 일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정보는 메일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제공되는 메일의 상세 정보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정보는 복수의 문자 메시지 항목들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을 센싱부(210)를 통해 감지하고(S503),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제2 거리만큼 확장한다(S505). 일 실시 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거리는 기준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제1 거리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 크기와 제2 거리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90)는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과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과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 각각은 마치, 하나의 화면처럼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른 동작은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른 동작은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확장하면서, 확장되는 영역 상에 제2 정보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고,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화면의 확장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확장되는 영역 상에 제2 정보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고,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제1 정보와 시계열적으로연관된 제2 정보를 표시한다(S507). 일 실시 예에서 제2 정보는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정보는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에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일인 경우, 제2 정보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일 이전에 자신이 상대방에게 전송한 메일이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일 이전에 수신된 다른 메일일 수 있다. 여기서는 메일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문자 메시지 등, 상대방과 주고 받은 어떠한 형태의 정보이든지 상관없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정보는 제1 정보와 연결된 정보이나, 제1 영역(610) 상에 표시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 즉, 제2 정보는 제1 영역(610) 크기의 한계로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 제2 정보는 스크롤 기능을 통해 제2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이다.
단계 S501 내지 S507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200-1)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상에 표시된 제1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2 정보를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e를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디스플레이부(250)는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25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이 중간 케이스(2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6a 또는 도 6b의 상태에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을 감지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리(d1)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0)만큼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제1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홀더(224)를 제1 방향으로 잡아 당겨,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제1 거리(d1)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0)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영역(610) 상에 복수의 메일 항목들(611, 613, 615)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메일 항목들(611, 613, 615) 각각은 수신된 메일의 요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일의 요약 정보는 메일을 수신한 시점, 메일의 제목 및 메일을 전송한 상대방의 정보(이름, 이메일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영역(610) 상에 표시된 메일 항목(613)이 선택되거나, 선택이 유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을 감지한 경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제2 거리(d2)에 대응하는 제2 영역(630)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 각각은 기준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1 영역(610)의 크기 및 제2 영역(630)의 크기 또한 동일할 수 있다.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30) 각각은 독립적인 화면처럼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30) 각각에 선택된 메일 항목(613)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선택된 메일 항목(613)을 전송한 상대방과 교환한 메일들을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3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선택된 메일 항목(613)에 대응하는 제1 메일(621)을 제1 영역(610) 상에, 메일(621)을 수신하기 전에, 자신이 상대방에게 발송한 제2 메일(623)을 제2 영역(6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영역 상(630)에 표시된 제2 메일(623)은 제1 메일(621)을 수신하기 직전,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발송한 메일일 수 있다. 즉, 제2 메일(623)은 제1 메일(621)과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메일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메일(621) 및 제2 메일(623) 각각이 포함하는 정보의 양은 서로 다르더라도, 각 영역의 크기에 맞게 각 메일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6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30)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제3 거리(d3)에 대응하는 제3 영역(650)만큼 확장될 수 있다. 제3 거리는 기준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제3 거리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2 메일(623)의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제3 메일(625)을 제3 영역(6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메일(625)은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제2 메일(623)을 발송 하기 전,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일일 수 있다. 제1 메일(621), 제2 메일(623) 및 제3 메일(625)은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각 메일의 발송인 및 발신 시점 또는 각 메일의 수신인 및 수신 시점을 이용하여 각 메일을 구분할 수 있다. 즉, 각 메일은 해당 메일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90)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메일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구분된 메일을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b를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제1 거리(d1)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0) 상에 제1 메일(621)을 표시하고 있다. 제1 영역(610)은 화면이 확장된 영역일 수도 있고, 변형이 가해지기 전 상태의 화면 영역일 수 도 있다. 제1 메일(621)은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일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을 감지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를 제2 거리(d2)에 대응하는 제2 영역(630)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2 영역(630) 상에 제2 메일(623)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메일(623)은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제1 메일(621)을 수신하기 전, 사용자가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한 메일일 수 있다. 한편, 도 7b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도 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거리(d3)에 대응하는 제3 영역(650)만큼 확장될 수 있고, 제3 영역(650)에 제3 메일(625)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일 항목(613)을 잡아당겨, 해당 메일 항목(613)에 대응하는 상대방과 교환한 메일들의 히스토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S509), 수신된 요청에 따라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511). 일 실시 예에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메일인 경우, 각 메일은 복수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들은 첨부 파일 항목, 수신인 항목, 발신인 항목 및 회신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복수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기존의 표시 영역 상에 또는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메일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기존의 표시 영역 또는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첨부 파일의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는 화면에 포함된 제1 거리(d1)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0)에 제1 메일(621)을 표시하고, 제2 거리(d2)에 대응하는 제2 영역(630)에 제2 메일(623)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메일(621)은 해당 메일에 첨부 파일이 첨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첨부 파일 항목(8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일(623)은 해당 메일에 첨부 파일이 첨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첨부 파일 항목(8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30) 각각은 화면이 확장된 상태의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2 영역(630)만이 화면이 확장된 영역이고, 제1 영역(610)은 확장 전 상태의 영역일 수도 있다. 제어부(290)는 제2 메일(623)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830)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부 파일 항목(830)에 대응하는 첨부 파일의 미리 보기 정보(831)를 제2 영역(6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첨부 파일 항목(830)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제2 메일(623)을 미리 보기 정보(831)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630)을 통해 제2 메일(623)에 첨부된 첨부 파일의 미리 보기 정보(831)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 메일(621)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81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첨부 파일 항목(810)의 미리 보기 정보를 제1 영역(610)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어부(290)는 첨부 파일 항목(830)을 선택하는 요청이 유지되면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제3 거리(d3)에 대응하는 제3 영역(650)만큼 확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3 영역(650) 상에 첨부 파일 항목(830)에 대응하는 첨부 파일의 미리 보기 정보(831)를 제3 영역(6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메일(623)의 내용을 보면서, 제2 메일(623)에 첨부된 첨부 파일에 대한 미리 보기 정보(831)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9b를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메일에 포함된 발신인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발신인이 보낸 메일들을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에서 8a와 비교하여,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메일(621)은 발신인 항목(9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신인 항목(910)은 사용자에게 제1 메일(621)을 발송한 상대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인 항목(910)은 상대방 이미지, 상대방의 이름(Mr. Lee),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발신인 항목(910)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발신인 항목(910)에 대응하는 발신인이 보낸 메일들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발신인 항목(910)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제2 영역(630) 상에 표시된 제2 메일(623)을 다른 메일(930)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메일(930)은 발신인(Mr. Lee)이 제1 메일(621)을 보내기 전 사용자에게 보낸 메일일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610) 상에 표시된 제1 메일(621)은 선택된 발신인(Mr. Lee)이 보낸 메일이므로, 표시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신인 항목(910)을 선택하여, 특정 발신인이 보낸 메일들만을 필터링하여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서 메일 필터링 기능이 수행된 경우, 다른 메일(930)은 메일 필터링 해제 항목(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메일 필터링 해제 항목(950)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메일 필터링 기능을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250)를 도9a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서는 발신인 항목(910)을 선택하여 메일들이 필터링되는 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수신인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수신인이 전송한 메일들도 필터링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 내지 10b를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메일에 포함된 회신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에 따라 확장된 표시 영역 상에 발신인이 보낸 메일들을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 9a와 비교하여,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메일(621)은 회신 항목(10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신 항목(1010)은 제1 메일(621)을 전송한 상대방에게 회신을 위해 회신 메일 창을 제공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회신 항목(1010)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030) 상에 회신 메일 창(103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610)에 표시된 제1 메일(621)에 첨부 파일(1020)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290)는 첨부 파일(1020)을 제2 영역(630)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신된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따라 제1 메일(621)에 첨부된 첨부 파일(1020)을 회신 메일 창(1030)에 첨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메일(621)의 내용을 보면서, 제1 메일(621)의 텍스트 또는 첨부 파일(1020)을 회신하는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a 및 도 11b를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수신 메일 정보 또는 발신 메일 정보가 선택된 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화면 상에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메일들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제1 거리(d1)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0)에 제1 정보(1100)를 표시하고 있다. 제1 정보(1100)는 수신 메일 정보(1110) 및 발신 메일 정보(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메일 정보(1110)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발신 메일 정보(1130)는 사용자가 상대방에서 전송했던 메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메일 정보(1110)이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에 수신된 메일에 대한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b를 참조하면, 제어부(290)는 제2 거리(d2)에 대응하는 제2 영역(630)에 발신 메일 정보(1130)가 아닌 발신 메일 정보(1130) 이전에 수신한 메일(1150)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290)는 제1 영역(610) 상에 표시되었던 발신 메일 정보(1100)를 사라지게 하고, 수신 메일 정보(111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수신 메일 정보(1110)는 제1 영역(610) 상에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제3 거리(d3)에 대응하는 제3 영역(650)만큼 추가적으로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메일(1150) 이전에 수신했던 메일(1170)을 제3 영역(6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1a에서 발신 메일 정보(1130)가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에 사용자가 발신한 메일에 대한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영역(610) 상에는 수신 메일 정보(1110)가 사라지고, 발신 메일 정보(1130)만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 메일 정보 또는 발신 메일 정보를 선택 후, 화면을 확장시키는 동작을 통해 수신한 메일들 또는 발신한 메일들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 크기로 확장된 경우, 숨겨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들이 스크롤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최대 크기로 확장되고, 화면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숨겨진 영역에 위치한 정보가 스크롤되어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도 6e와 동일한 도면으로,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다만, 도 12a는 도 6와 다르게,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 크기로 확장된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특정 방향으로 최대 크기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화면을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지 않았던 정보(627, 629)를 순차적으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면을 확장시키는 입력은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 크기로 확장된 상태에서 제2 홀더(224)를 특정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감지된 화면 확장 입력에 따라 메일들(627, 629)을 확장된 영역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영역 상(610)에 표시된 제1 메일(621)을 그대로 표시하면서, 나머지 영역들(630, 650) 상에 표시되지 않았던 정보(627, 629)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제1 영역 상(610)에 표시된 제1 메일(621)을 표시하면서, 제2 영역(630) 상에는 제3 영역(650)에 표시되었던 제3 메일(623)을 표시하고, 제3 영역(650) 상에는 표시되지 않았던 메일들(627, 629)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일(627)은 제3 메일(625) 이전에 상대방과 주고 받았던 메일이고, 메일(629)은 메일(627) 이전에 상대방과 주고 받았던 메일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제2 홀더(224)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따라 스크롤 기능이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 확장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찾은 후, 메인 화면 옆에, 찾은 정보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확장된 영역에서 위치한 특정 정보를 메인 화면의 주위에 배치시키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도 6e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3a에서 제1 영역(610)은 메인 화면 영역임을 가정한다. 메인 화면 영역은 다른 영역과는 달리, 표시하는 정보가 고정된 영역일 수 있다.
도 13a에서 제3 영역(650) 또는 제3 메일(625)이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제3 거리(d3)에 대응하는 제3 영역(650)만큼 축소됨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650)에 표시되어 있던 제3 메일(625)을 제2 영역(6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영역(650)이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제3 메일(625)이 사라지지 않고, 제2 영역(6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메일(625)을 선택하면서, 화면 크기를 제2 영역(630)만큼 축소시키는 경우, 제1 메일(621) 옆에 제3 메일(625)을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확장을 확장시켜, 원하는 정보를 찾고, 찾은 정보를 메인 영역의 바로 옆에 위치시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정보가 선택된 후, 확장된 영역이 축소됨에 따라 선택된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 또는 보관될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후, 확장된 영역이 축소됨에 따라 선택된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 또는 보관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도 6e와 동일한 도면이므로,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4a에서 제3 메일(625)이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후, 제3 영역(650)이 축소됨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메일(625)을 저장 또는 보관하면서, 제3 메일(625)이 저장 또는 보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창(140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영역 상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보고 있다가, 필요한 정보를 선택 후, 화면을 접는 동작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 또는 보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송신)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화면의 확장 또는 축소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을 제2 거리에 대응하는 제2 영역만큼 확장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에 포함된 첨부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첨부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동안 제3 거리에 대응하는 제3 영역만큼 상기 화면이 확장됨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첨부 파일 항목의 미리 보기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전에 전송되었던 또는 수신되었던 정보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제1 메일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일의 수신 이전에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한 제2 메일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일 및 상기 제2 메일 각각은
    첨부 파일이 있음을 나타내는 첨부 파일 항목, 메일을 보낸 사람을 식별하는 발신인 항목 및 메일에 대한 회신을 위한 회신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일에 포함된 발신인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선택된 발신인 항목에 대응하는 발신인이 보낸 다른 메일을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일에 포함된 회신 항목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메일을 전송한 상대방에게 회신을 위한 회신 메일 창을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일은 첨부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첨부 파일을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 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첨부 파일을 상기 회신 메일 창에 첨부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최대로 확장된 후, 상기 화면의 확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표시되지 않았던 다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제1 정보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상기 표시되지 않았던 다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을 제3 거리에 대응하는 제3 영역만큼 확장시키고,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제2 정보와 시계열적으로 연관된 제3 정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정보가 선택되고, 상기 화면이 제3 영역만큼 축소된 경우, 상기 제2 영역 상에 표시된 제2 정보를 상기 제3 정보를 전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정보가 선택되고, 상기 화면이 축소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정보를 저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43061A 2015-10-13 2015-10-1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61A KR102370169B1 (ko) 2015-10-13 2015-10-1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5/767,948 US10860201B2 (en) 2015-10-13 2016-02-05 Flexible display apparatus
PCT/KR2016/001345 WO2017065361A1 (ko) 2015-10-13 2016-02-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61A KR102370169B1 (ko) 2015-10-13 2015-10-1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74A KR20170043374A (ko) 2017-04-21
KR102370169B1 true KR102370169B1 (ko) 2022-03-04

Family

ID=5851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061A KR102370169B1 (ko) 2015-10-13 2015-10-1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60201B2 (ko)
KR (1) KR102370169B1 (ko)
WO (1) WO2017065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060B1 (ko) *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87115B1 (ko) 2015-11-18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31886A (ko) * 2016-09-20 2018-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7995971A (zh) * 2016-12-29 2018-05-0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控制方法
CN111165072B (zh) * 2017-09-29 2022-10-04 夏普株式会社 柔性显示器用的弹性支撑基板、柔性显示器及柔性显示器层叠体
KR102129440B1 (ko) * 2017-11-29 2020-07-08 주식회사 후본 연성회로기판에 기반한 통신 장치
CN108230937A (zh) * 2018-03-26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JP7037177B2 (ja) * 2018-03-29 2022-03-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200088997A (ko) * 2019-01-16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겨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6795465A (zh) * 2019-05-14 2023-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应用的方法及电子设备
TWI710938B (zh) * 2019-07-24 2020-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器
CN110853513B (zh) * 2019-11-15 2022-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EP4071595A4 (en) 2019-12-03 2023-08-1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CONTENT PROVI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48749A (ko) * 2020-10-13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56681B1 (ko) * 2020-10-19 2021-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148543A4 (en) 2020-10-23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220061350A (ko) * 2020-11-06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19137A1 (ko)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CN114690991A (zh) * 2020-12-28 2022-07-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30085995A (ko) * 2021-12-07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87689A (ko) * 2021-12-09 2023-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410A (ja) * 2010-11-17 2013-12-12 ゼット124 マルチスクリーン電子メールクライアント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O799197A0 (en) * 1997-07-15 1997-08-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RT01)
US8032597B2 (en) * 2002-09-18 2011-10-04 Advenix, Corp. Enhancement of e-mail client user interfaces and e-mail message formats
US7421690B2 (en) * 2003-06-23 2008-09-02 Apple Inc. Threaded presentation of electronic mail
US7631276B2 (en) * 2003-12-29 2009-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indication and navigating related items
US8269774B2 (en) * 2004-03-31 2012-09-18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Graphical display with integrated recent period zoom and historical period context data
US20080098402A1 (en) * 2005-08-05 200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 screens
US8200762B2 (en) * 2006-06-01 2012-06-12 Aol Inc. Displaying complex messaging threads into a single display
JP2008158452A (ja) * 2006-12-26 2008-07-10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ペーパ、電子ペーパを用いた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
US8413059B2 (en) * 2007-01-03 2013-04-02 Social Concepts, Inc. Image based electronic mail system
US8255411B1 (en) * 2008-06-19 2012-08-28 Boopsie, Inc. Dynamic menus for multi-prefix interactive mobile searches
US8774767B2 (en) * 2007-07-19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honebook us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KR101406235B1 (ko) 2007-09-19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68909B2 (en) * 2008-06-19 2014-07-01 Tropare, Inc. Dynamic menus for multi-prefix interactive mobile searches using predictive text to yield targeted advertisements
US9104738B2 (en) * 2008-06-19 2015-08-11 Tropare, Inc. Leveraging collaborative cloud services to build and share apps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10664B2 (en) * 2008-09-06 2013-08-13 Steven L. Rueb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mail thread information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8600446B2 (en) * 2008-09-26 2013-12-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interface with dual windows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8443303B2 (en) * 2008-12-22 2013-05-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esture-based navigation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767438B2 (en) * 2009-07-14 2017-09-19 Bitvore Corp. Presentation and sorting of email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US20150309316A1 (en) * 2011-04-06 2015-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 glasses with predictive control of external device based on event input
US9178981B2 (en) * 2010-12-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erein
US9423878B2 (en) * 2011-01-06 2016-08-2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89625B1 (ko) *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869041B2 (en) * 2011-11-11 2014-10-21 Apollo Education Group, Inc. Dynamic and local management of hierarchical discussion thread data
US9383775B2 (en) * 2012-02-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KR102014791B1 (ko) 2012-03-27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된 길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최적화 방법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3810B1 (ko) * 2012-08-20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47692B1 (ko) * 2013-02-05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135404A (ko) * 2013-05-16 201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26095A1 (ko) *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EP4064663A1 (en) * 2014-03-03 2022-09-28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35037B2 (en) * 2014-12-30 2019-03-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48980B1 (ko) * 2015-07-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560664B1 (ko) * 2015-09-30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410A (ja) * 2010-11-17 2013-12-12 ゼット124 マルチスクリーン電子メールクライア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74A (ko) 2017-04-21
US10860201B2 (en) 2020-12-08
WO2017065361A1 (ko) 2017-04-20
US20180284964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16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4880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955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846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50742B2 (en)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5361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31124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09880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11586B2 (en) Mobile termina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7009134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4800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09561B2 (en) Transforma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60113872A (ko)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42172A (ko)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