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664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664B1
KR102560664B1 KR1020150137481A KR20150137481A KR102560664B1 KR 102560664 B1 KR102560664 B1 KR 102560664B1 KR 1020150137481 A KR1020150137481 A KR 1020150137481A KR 20150137481 A KR20150137481 A KR 20150137481A KR 102560664 B1 KR102560664 B1 KR 10256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ontent
mobile terminal
inpu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308A (ko
Inventor
강지원
허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64B1/ko
Priority to US15/764,455 priority patent/US10452156B2/en
Priority to PCT/KR2016/000173 priority patent/WO2017057803A1/ko
Publication of KR2017003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길이 및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2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공되는 실행 화면이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폭이 변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에 따라 상이한 시간 개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길이 및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2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공되는 실행 화면이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2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공되는 실행 화면이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이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됨에 따라, 상위 계층(hierarchy)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변경하여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일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일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날씨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날씨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운동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도 18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날씨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이미지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운동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0)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 또는 바디부(10)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를 수용하는 바디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20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되는 바디부(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을 센싱하는 홀더(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홀더(30)를 쥔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를 좌우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롤링(rolling)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이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최소한의 영역만을 외부에 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메세지창(21), 아이콘(22) 또는 시간 표시부(23) 등과 같은 영역만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노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바디부(10)는 일부에 음향 출력부(11) 및 카메라(1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음향 출력부(11) 및 카메라(12)는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최대한의 영역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부를 롤링시킴으로써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확장 또는 축소시에 1회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확장 또는 축소시에 단계적으로 점차 확장하거나 축소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의 노출 영역을 최대화하여 보다 큰 영역에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0)는 확장 또는 축소시에 기 설정된 2 단계에 걸쳐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1단계 또는 3단계를 초과하여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30은 확장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이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길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변화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폭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30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도 1a의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이동 단말기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최소한의 길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최소한의 길이를 단위 길이(unit length)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 또는 기술되는 제 1 컨텐츠, 제 2 컨텐츠 등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는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된 홀더(3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소프트 키 또는 하드웨어 키에 대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상이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는 날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운동 애플리케이션,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A 컨텐츠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를 기준으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B 컨텐츠는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에서,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된 상태에서, C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C 컨텐츠는 제 3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를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는 모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는 각각 상이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컨텐츠의 제 2 시간 정보는 A 컨텐츠의 제 1 시간 정보에 비해 상위 개념의 시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C 컨텐츠의 제 3 시간 정보는 B 컨텐츠의 제 2 시간 정보에 비해 상위 개념의 시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켜 보다 상위 개념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은 상술한 도 5와 상이하게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또는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만큼 확장되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A 컨텐츠를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0)는 단위 길이에서 제 1 길이(w1) 확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길이(w1)은 도 5에서 상술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보다 짧은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확장된 부분에 A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가 우측으로 w1 길이만큼 확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상의 좌측에 확장된 부분에 A1 컨텐츠를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A1 컨텐츠는 A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1 컨텐츠는 A 컨텐츠의 추가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A1 컨텐츠는 A 컨텐츠의 확장 화면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를 기준으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B 컨텐츠는 A 컨텐츠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된 화면에 해당하고, A 컨텐츠에 비해 상위 개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제 2 길이(미도시) 확장되는 경우, 제 2 길이에 대응되는 영역에 B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길이는 도 5에서 상술한 제 2 기 설정된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B1 컨텐츠는 B 컨텐츠와 관련된 추가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도 6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길이(w1)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제 1 길이만큼 확장된 영역에 컨트롤러(7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트롤러(7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1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컨트롤러(71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를 기준으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트롤러(710)를 삭제하고, 디스플레이부(20)의 전체 영역에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제 2 길이(미도시) 확장되는 경우, 제 2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컨트롤러(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은 상술한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를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날씨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9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10은 운동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1일'(1 day)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1일'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길이(w1)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길이(w1) 확장시키기 위한 제 1 입력 신호(미도시)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길이(w1)는 상술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보다 짧은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일'(1 day)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도 8(b)의 실시예의 경우, 도 8(a)의 실시예와 상이하게, '1일'의 날씨를 보다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1일'의 날씨는 도 8(a)에 도시된 '1일'의 날씨와 비교하여 시간대별 기온 변화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가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시키기 위한 제 2 입력 신호(미도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주'(1 week)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d)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가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시키기 위한 제 3 입력 신호(미도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달'(1 month)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확장에 따라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1일의 날씨, 1주의 날씨, 1달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날씨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 및 날씨 컨텐츠의 시간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1일'(1 day)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1일'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은 캡쳐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1주'(1week)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 달'(1 month)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1 달'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의 각각의 크기는 도 9(a)에 도시된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및 제 1 길이(w1)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길이(w1)는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보다 짧은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1 달'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9(c)의 실시예의 경우, 도 9(b)의 실시예에 도시된 썸네일 이미지의 개수보다 가로로 더 많은 개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보다 길고 단위 길이,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길이보다 짤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1 주'(1 week)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d)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 년'(1 year)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1 년'간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의 각각의 크기는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확장에 따라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1일간 촬영된 이미지, 1달간 촬영된 이미지, 1년간 촬영된 이미지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 및 갤러리 컨텐츠의 시간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의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1 일'간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1 일'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길이(w1)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길이(w1)만큼 확장된 영역에 컨트롤러(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10)는 운동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다양한 메뉴 옵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컨트롤러(1010)는 '1일'간의 운동량의 순위를 나타내는 옵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 주'간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1 달'간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확장에 따라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1일의 운동량, 1주의 운동량, 1달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간 정보도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를 결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1일 간의 결제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1주일 간의 결제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제 1 기 설정된 길이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1달 간의 결제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되는 결제 내역에 관련된 시간 정보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확장되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일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입력 신호(1110)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를 A 영역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110)는 홀더(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A 영역의 좌측에 B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1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120)는 홀더(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A 영역 및 B 영역의 좌측에 C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일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입력 신호(1210)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를 A 영역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110)는 도 11에서의 제 1 입력 신호와 반대 방향의 입력 신호로서, 홀더(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A 영역의 우측에 B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2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220)는 홀더(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A 영역 및 B 영역의 우측에 C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를 통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7은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후 다시 원상복귀시키는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먼저, 도 13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된 상태 및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된 상태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3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31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 또는 홀더(30)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바디부(10)에서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B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도 13(a)에서 A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B 컨텐츠는 A 컨텐츠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화면에 해당하고, B 컨텐츠와 A 컨텐츠는 동일한 개념의 정보로서, 상,하위 개념의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B 컨텐츠는 A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3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32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 또는 홀더(30)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바디부(10)에서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C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C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A 컨텐츠 또는 B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C 컨텐츠는 A 컨텐츠 또는 B 컨텐츠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화면에 해당하고, C 컨텐츠와 A 컨텐츠 또는 B 컨텐츠는 동일한 개념의 정보로서, 상,하위 개념의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
즉, 도 13의 실시예를 통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크기로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된 상태에서, 입력 신호가 센싱될때마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동일한 계층(hierarchy)의 정보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의 실시예는 상술한 도 13의 실시예를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4 및 도 15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16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17은 운동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날씨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로 확장된 상태에서 '서울'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서울'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4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41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부산'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4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42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대구'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4(b)에 도시된 '부산'의 날씨 및 도 14(c)에 도시된 '대구'의 날씨는 도 14(a)에 도시된 '서울'의 날씨와 동일한 계층, 등급, 개념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서울'의 날씨, '부산'의 날씨 및 '대구'의 날씨는 하나의 도시의 날씨라는 점에서 모두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다른 도시의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각 도시별 날씨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은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다른 내용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날씨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실시예에서, 도 14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로 확장된 상태에서 '서울'의 '실시간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5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51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서울'을 기준으로 '전국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5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52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서울'의 생활지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5(a)에 도시된 '서울'의 '실시간 날씨', 도 15(b)에 도시된 '서울'을 기준으로 '전국 날씨', 도 15(c)에 도시된 '서울'의 '생활지수'는 모두 동일한 계층(hierarchy), 등급, 개념 등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정보는 모두 '서울'과 관련된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서울'에 관련된 다른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하나의 도시 즉, '서울'의 날씨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은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다른 날씨 컨텐츠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로 확장된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시간'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5월 동안 찍은 사진 및 6월 동안 찍은 사진을 분류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6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61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잇다. 이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주제'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음식과 관련된 사진, 강아지와 관련된 사진, 친구와 관련된 사진 등으로 분류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6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62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위치'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지도 상에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3 입력 신호(163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입력 신호(1630)는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1610) 또는 제 2 입력 신호(1620)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이벤트'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는 여행, 추억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6(a)에 도시된 '시간'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도 16(b)에 도시된 '주제'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도 16(c)에 도시된 '위치'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도 16(d)에 도시된 '이벤트'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는 모두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일한 계층, 등급, 개념 등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주제'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위치'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및 '이벤트'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는 모두 특정 주제에 따라 분류되는 점에서 모두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다른 주제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운동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로 확장된 상태에서 '오늘'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오늘'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17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1710)는 도 13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 또는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오늘'의 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7(a)에 도시된 '오늘'의 운동량 및 도 17(b)에 도시된 '오늘'의 운동 경로는 동일한 계층, 등급, 개념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오늘'의 운동량, '오늘'의 운동 경로는 모두 '오늘'과 관련된 정보로서 정보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도 1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오늘'과 관련된 다른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오늘'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다른 내용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2는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상복귀시키는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도 18 내지 도 22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이동되는 일 방향은 도 13 내지 도 17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이동되는 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1)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8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81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 또는 홀더(30)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바디부(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B 컨텐츠 및 C 컨텐츠의 미리 보기 및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입력 신호(1810)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제 1 길이(w1)에 대응하는 면적에 B 컨텐츠 및 C 컨텐츠의 미리 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0)의 단위 길이에 대응하는 면적에는 A 컨텐츠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810)에 대응하여 제 1 길이(w1)에 대응하는 면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종류 및 개수는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810)에 대응하여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면적에 B 컨텐츠, C 컨텐츠 및 D 컨텐츠의 미리 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8(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8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820)는 디스플레이부를 제 2 길이(w2)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82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 또는 홀더(30)를 터치한 상태에서 바디부(10)로부터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820)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프트 키 또는 하드웨어 키에 대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B 컨텐츠 및 C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입력 신호(1820)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제 2 길이(w2)에 대응하는 영역에 B 컨텐츠 및 C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되는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는 동일한 계층, 개념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20)의 길이다 도 18(c)에 도시된 길이보다 확장되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는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 외의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 각각의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의 내용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도 18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실시예에서 도 18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9의 실시예에서 제 1 입력 신호(1910a) 및 제 2 입력 신호(1910b)는 연속된 입력 신호로서, 도 18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910a)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910a)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가 바디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 신호(1910a)는 홀더(30)가 바디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1910a)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가 바디부(10)를 향하여 접히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신호(1910a)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가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영역에 A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910b)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910b)는 제 1 입력 신호(1910a)에 연속된 신호로서,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가 바디부(10)를 향해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원상복귀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B 컨텐츠 및 C 컨텐츠의 미리 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2 입력 신호(1910b)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는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영역에 B 컨텐츠 및 C 컨텐츠의 미리 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9(a) 및 도 1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영역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부(20) 중 이동되거나 접힌 일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3의 실시예는 상술한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를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0은 날씨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21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22는 운동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날씨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서울'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 확장된 상태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서울' 날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20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도 18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부산' 날씨 미리보기 및 '대구' 날씨 미리 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산' 날씨 미리보기 및 '대구' 날씨 미리보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2010)에 따라, '부산' 및 '대구' 날씨의 미리보기가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서울' 날씨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201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에 대응하는 면적에 '서울' 날씨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 신호(201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에 대응하는 면적에 '서울' 날씨 중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부산' 날씨 미리보기 또는 '대구' 날씨 미리보기는 전체 날씨 정보 중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산' 날씨 미리보기 또는 '대구' 날씨 미리보기는 현재 기온 및 월요일, 화요일 날씨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 도시된 '서울' 날씨, '부산' 날씨 및 '대구' 날씨는 동일한 계층, 등급, 단계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서울' 날씨, '부산' 날씨 및 '대구' 날씨는 모두 하나의 도시의 날씨라는 점에서 모두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2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는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서울' 날씨뿐만 아니라 '부산' 날씨 및 '대구'날씨도 전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잇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의 개수가 2개로 설정된 경우에 해당하며, 입력 신호에 따라 정보가 보다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이미지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 확장된 상태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갤러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21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2110)는 도 18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및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요약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잇다.
또한, 제 1 입력 신호(2110)에 따라,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211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에 대응하는 면적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211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에 대응하는 면적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21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2120)는 도 18에서 상술한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및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입력 신호(2120)의 길이에 따라,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정보는 도 21(b)에 도시된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요약 정보에 비해 각각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옵션을 추가로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 도시된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및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정보는 동일한 단계, 등급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및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의 정보는 모두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에 관련된 컨텐츠라는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2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는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월 단위'의 캡쳐된 이미지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의 개수가 1개로 설정된 경우에 해당하며, 입력 신호에 따라 정보가 보다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운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운동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가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오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및 디스플레이부(20)를 단위 길이만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22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2210)는 도 18에서 상술한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221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 또는 홀더(30)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바디부(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짧게 이동했다가 반대 방향으로 길게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한 길이보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길이가 클 수 있다.
이 경우,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오늘' 운동량, '오늘' 운동 경로 및 '오늘' 운동 랭킹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2(b)에 도시된 '오늘' 운동량, '오늘' 운동의 경로 및 '오늘' 운동의 랭킹은 동일한 계층, 등급, 단계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오늘' 운동량, '오늘' 운동의 경로 및 '오늘' 운동의 랭킹은 모두 '오늘 수행한 운동'과 관련된 정보인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의 개수가 2 개로 설정된 경우에 해당하며, 입력 신호에 따라 정보가 보다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3 및 도 24는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확장시에 제공되는 컨텐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 및 제1 길이(w)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 및 컨트롤러(2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23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2310)는 홀더(3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신호(231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 및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영역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할하여 A 컨텐츠 및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입력 신호(2310)에 따라, A 컨텐츠 및 B 컨텐츠외에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도 23(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영역을 수평으로 분할하여 상단에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23(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영역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좌측에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측에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20)의 영역을 분할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4는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 지점에 따라, 확장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4(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위 길이 및 제 1 길이(w1) 확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 및 컨트롤러(24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단위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A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길이(w1)에 대응하는 영역에 컨트롤러(24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24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2410)는 컨트롤러(2420) 내의 메뉴 옵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가 센싱된 컨트롤러(2420) 내의 메뉴 옵션은 C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옵션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4(b)를 참조하면, 입력 신호(241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A 컨텐츠, C 컨텐츠 및 컨트롤러(24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2410)에 따라 확장된 제 2 길이(w2)에 대응하는 영역에 C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4(b)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에 컨트롤러(2420)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에서 컨트롤러(2420)를 제거 또는 삭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25 내지 도 27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하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은 다이어리, 스케쥴러, 캘린더 등의 일정을 관리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5(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월별(monthly)'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월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25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2510)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길이(w)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길이(w)는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보다 짧은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길이(w)확장하고 제 1 길이(w)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25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2540)은 '월별' 컨텐츠의 '주별(weekly)'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25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2520)는 디스플레이부(20)를 단위 길이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입력 신호(252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2540) 중 첫번째 주에 대응하는 메뉴 옵션에 대한 터치가 센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월별' 컨텐츠 중 첫번째 주의 '주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입력 신호(2520)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첫번째 주의 시간대별 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3 입력 신호(253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입력 신호(2530)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3 입력 신호(2530)는 홀더(30)에 대한 터치가 센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주별' 컨텐츠 중 1일의 '일별(daily)'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의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에 대응하는 영역에 '12월 1일'의 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의 실시예에서 도 25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26(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월별(monthly)'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26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2610)는 디스플레이된 '월별' 컨텐츠 중 특정 날짜를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2610)는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제 1 입력 신호(2610)가 센싱된 날짜의 일정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26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2620)는 홀더(30)에 대한 터치가 센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입력 신호(2620)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2610)가 센싱된 날짜의 일정 리스트를 타임 라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3 입력 신호(263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입력 신호(2630)는 홀더(30)에 대한 터치가 센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3 입력 신호(2630)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th1) 확장된 상태에서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2 기 설정된 길이(th2)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입력 신호(2610)가 센싱된 날짜의 다음 날의 일정 리스트를 타임 라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는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다음 날짜의 일정 리스트를 타임 라인 형식으로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7(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월별(monthly)'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27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2710)는 디스플레이된 '월별' 컨텐츠 중 특정 날짜를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2710)는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2710)가 센싱된 날짜의 일정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27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2720)는 일정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일정을 선택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2720)가 센싱된 일정의 상세 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3 입력 신호(273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입력 신호(2730)는 홀더(30)에 대한 터치가 센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확장시키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제 1 입력 신호(2710)가 센싱된 일정을 포함하는 날짜의 일정 리스트를 타임 라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는 추가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다음 날짜의 일정 리스트를 타임 라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28의 각 단계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810). 예를 들어,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운동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만큼 확장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820). 한편,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보다 짧은 제 1 길이 확장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보다 짧은 제 1 길이 확장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2 기 설정된 길이만큼 확장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3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830).
이와 관련하여,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컨텐츠, 제 2 컨텐츠 및 제 3 컨텐츠는 모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제 1 컨텐츠, 제 2 컨텐츠 및 제 3 컨텐츠는 각각 상이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텐츠의 제 2 시간 정보는 제 1 컨텐츠의 제 1 시간 정보에 비해 상위 개념의 시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3 컨텐츠의 제 3 시간 정보는 제 2 컨텐츠의 제 2 시간 정보에 비해 상위 개념의 시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29의 각 단계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29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내용 중 도 28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910). 도 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길이만큼 확장된 상태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및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된 상태 및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된 상태 및 제 2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S2920). 도 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또는 홀더가 터치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컨텐츠와 동일한 계층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930). 여기에서,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실행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30의 각 단계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30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내용 중 도 28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1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S3020). 도 1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입력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또는 홀더가 터치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바디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컨텐츠의 프리뷰 및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30). 도 1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제 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컨텐츠의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S3040).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컨텐츠 및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50).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 바디부 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30: 홀더

Claims (2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바디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된 홀더(holder);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 길이 및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2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공되는 실행 화면이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서, 동일한 계층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인,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unit length)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비해 상위 계층(hierarchy)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추가 컨텐츠를 상기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2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3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공되는 실행 화면이고, 상기 제 3 시간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와 상이한,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4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서, 동일한 계층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인,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홀더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입력인,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 1 컨텐츠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홀더까지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 3 입력 신호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홀더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제 4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3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미리보기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 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제 3 입력 신호에 따라 확장된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동 단말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단위 길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을 상기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길이 확장을 위한 제 4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길이 확장을 위한 제 4 입력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옵션 중 제 1 옵션에서 센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옵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옵션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하위 계층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1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기 설정된 길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2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공되는 실행 화면이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서, 동일한 계층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인,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단위 길이(unit length)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비해 상위 계층(hierarchy)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37481A 2015-09-30 2015-09-3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81A KR102560664B1 (ko) 2015-09-30 2015-09-3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5/764,455 US10452156B2 (en) 2015-09-30 2016-01-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00173 WO2017057803A1 (ko) 2015-09-30 2016-01-0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81A KR102560664B1 (ko) 2015-09-30 2015-09-3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08A KR20170038308A (ko) 2017-04-07
KR102560664B1 true KR102560664B1 (ko) 2023-07-27

Family

ID=5842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481A KR102560664B1 (ko) 2015-09-30 2015-09-3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52156B2 (ko)
KR (1) KR102560664B1 (ko)
WO (1) WO2017057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327899A (zh) * 2018-10-11 2019-02-12 恒大法拉第未来智能汽车(广东)有限公司 一种车载设备同步时间的方法、装置和同步时间系统
CN109725773B (zh) * 2018-12-29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控制方法及终端
KR20200088997A (ko) 2019-01-16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겨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769755B1 (en) * 2019-04-03 2020-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xtual display of key images
CN110930878B (zh) * 2019-11-11 2021-06-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11026301B (zh) * 2019-11-20 2022-04-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EP4075258A4 (en) 2019-12-13 2023-08-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3067915B (zh) * 2019-12-16 2023-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1815958B2 (en) 2019-12-23 2023-11-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related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30051261A1 (en) * 2020-01-21 2023-02-1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687743A (zh) * 2020-05-18 2021-1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1251525A1 (ko) * 2020-06-11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14740A1 (ko) * 2020-07-15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728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US20230333706A1 (en) * 2020-09-22 2023-10-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2080814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20220048749A (ko) * 2020-10-13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53860A (ko) * 2020-10-23 202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EP4148543A4 (en) 2020-10-23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KR102289369B1 (ko) 2020-11-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935445B2 (en) 2020-11-06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47663B1 (ko) 2020-11-06 2021-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6209978A (zh) * 2020-11-06 2023-06-02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及控制其的方法
WO2022098169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098038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US11741869B2 (en) 2020-11-06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varia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4195629A4 (en) * 2020-11-11 2024-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22102941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
WO2022108096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WO2022119084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2596580B (zh) * 2020-12-14 2023-12-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电子产品
CN112947687A (zh) * 2021-03-02 2021-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893215B2 (en) * 2021-07-21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3821288A (zh) * 2021-09-16 2021-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204439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29B1 (ko) 2005-06-28 2007-09-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스플레이영역 변화에 따른 유동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WO2007145518A1 (en) 2006-06-14 2007-12-21 Polymer Vision Limited User input on rollable display device
EP3734405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30056674A (ko)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64185B1 (ko) * 2011-12-15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모드 변경 방법
KR102014791B1 (ko) * 2012-03-27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된 길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최적화 방법
KR101943435B1 (ko) *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47690B1 (ko) * 2013-01-24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47692B1 (ko) * 2013-02-05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9424790B2 (en) * 2013-04-18 2016-08-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860656B1 (en) * 2013-04-18 2014-10-14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32390B1 (ko) * 2014-02-13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58110B1 (ko) * 2015-03-05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2156B2 (en) 2019-10-22
WO2017057803A1 (ko) 2017-04-06
US20180275770A1 (en) 2018-09-27
KR20170038308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6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8134B1 (ko) 전자장치
KR102400900B1 (ko) 시스템
KR1022929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365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4402B1 (ko)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22347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1599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6415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149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212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8041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811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9168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54301B2 (en) Mobile terminal controlled by at least one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222594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897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85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50057A1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158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8825A (ko) 알림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9758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2328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5250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2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기능 객체 정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