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740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740B1
KR102163740B1 KR1020120110913A KR20120110913A KR102163740B1 KR 102163740 B1 KR102163740 B1 KR 102163740B1 KR 1020120110913 A KR1020120110913 A KR 1020120110913A KR 20120110913 A KR20120110913 A KR 20120110913A KR 102163740 B1 KR102163740 B1 KR 10216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bending
displayed
divid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665A (ko
Inventor
이창수
강경아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740B1/ko
Priority to CN201380062966.1A priority patent/CN104823134B/zh
Priority to EP13187444.8A priority patent/EP2717119B1/en
Priority to PCT/KR2013/008912 priority patent/WO2014054923A1/en
Priority to US14/047,051 priority patent/US9646407B2/en
Publication of KR2014004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태가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유연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형태가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절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벤딩에 의해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된 경우, 각 분할 영역에 화면을 적절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면, 각 분할 영역에 맞는 적절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벤딩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시점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1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접하도록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장치뿐만 아니라, 모니터, TV, 키오스크 등 거치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재생 화면 또는 실행 화면 및, 각종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벤딩(bending)이란,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전면이나 후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딩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드 센서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11-1 내지 1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12-1 내지 1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a)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11-1 내지 11-5, 12-1 내지 1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의 개수 및 길이 등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와 같이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b)는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드 센서(2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서 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c)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c)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2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22)는 제2 면 상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감지부(120)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d)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배치된 도면을 나타낸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d)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부(120)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벤드 센서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벤드 센서는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한다. 즉, 벤드 센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늘어나게 되면, 늘어나는 정도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저항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41-1 내지 41-5)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4(a)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중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중심 영역인 벤드 센서(41-1)의 a3 지점, 벤드 센서(41-2)의 b3 지점, 벤드 센서(41-3)의 c3 지점, 벤드 센서(41-4)의 d3 지점, 벤드 센서(41-5)의 e3 지점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 벤드 센서(41-1 내지 41-5)는 a3 지점, b3 지점, c3 지점, d3 지점 및 e3 지점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벤딩 정도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벤드 센서(4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되며,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a1 지점과 그 좌측 영역, a5 지점과 그 우측 영역은 벤딩되기 전과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다른 벤드 센서들(41-2 내지 41-5)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의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개수,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횟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벤딩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벤딩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반면, 감지부(12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중 그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지점이 존재하면, 이들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벤드 센서(41-1)의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의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의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의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의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벤드 센서(41-1 내지 41-5)에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은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4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4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벤딩 영역은 벤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이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도 4(a)의 경우, 벤딩 센서(41-1)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4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4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4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43)을 벤딩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벤딩 라인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격자 형태의 벤드 센서 중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만을 도시하였다. 즉, 감지부(12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를 통해, 가로 방향으로 벤딩될 때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감지부(12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대각선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감지부(120)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하게 되며,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120)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 중 벤딩된 영역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51-p,..., 51-p+5, 51-r,..., 51-r+5)에 힘이 가해지고,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120)는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위치한 지점들을 모두 포함한 영역(5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부(120)는 벤딩 영역 내에서 원 상태에서와 차이가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따라, 가장 큰 힘이 가해지는 적어도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가장 큰 힘과 다음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적어도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벤딩되어, 원 상태에서와 차이가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51-p+2)와 제2 스트레인 게이지(51-r+3)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스트레인 게이지(51-1,51-2,...)가 내장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51-1,51-2,...)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될 때의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스트레인 게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되어 Z+ 방향 및 Z- 방향으로의 벤딩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는 정도 즉,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벤딩 각도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플랫한 상태일 때와 벤딩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각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별로 벤딩 라인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들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시, 벤딩 라인에 위치한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를 기저장된 저항값과 비교하여, 감지된 저항값의 크기에 매칭되는 벤딩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위치한 벤드 센서 지점(a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출력된다. 이때, 감지부(120)는 벤딩 각도별로 기저장된 저항들을 이용하여, a4 지점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에 매칭되는 벤딩 각도(θ)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 및 7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과 같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에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71, 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71) 및 하위 벤드 센서(72)의 저항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71, 72)의 저항값을 비교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벤딩 방향은 Z+ 방향과 Z-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를 2차원 상의 x-y 평면으로 가정할 때,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 Z 축 상에서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위쪽 벤드 센서(71)보다 아래쪽 벤드 센서(7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되면, 위쪽 벤드 센서(71)에서 아래쪽 벤드 센서(7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120)는 두 벤드 센서(71, 7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20)는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 중 하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Z+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 중 상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하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Z-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 영역, 상측 영역, 하측 영역 등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에도 감지부(120)는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벤딩된 경우에도,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벤딩될 때,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 중 상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하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부분이 Z+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벤딩될 때, 중첩된 두 개의 벤드 센서 중 하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부분이 Z-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6(c)와 같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c)는 두 벤드 센서(73, 74)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c)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될 때 벤딩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73)와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74)는 동일한 지점에서 서로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73)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74)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120)는 두 벤드 센서(73, 74)의 동일한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74)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73)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73)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74)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 또는 우측이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벤딩된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벤딩될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Z+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벤딩될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동일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보다 큰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Z-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 방향에 따라 두 벤드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은 서로 다르게 검출되며, 감지부(120)는 그 값의 검출 특성에 따라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원 상태와 다른 저항값이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내장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원 상태와 다른 저항값이 출력되는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가 Z- 방향으로 벤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스트레인 게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되어 Z+ 방향 및 Z- 방향으로의 벤딩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벤딩 방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는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즉, 중력 센서, G 센서)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81-1, 81-2)를 각각 배치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될 때 가속도 센서(81-1, 81-2) 각각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81-1, 81-2) 각각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81-1, 81-2) 각각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 양 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81-1, 81-2)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7(b)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세로 방향의 가속도 센서(81-3, 81-4) 각각에서 감지한 측정값에 따라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측 가장자리 또는 상하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가속도 센서는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벤딩 영역 및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감지부(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감지부(12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할 때 생성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한 지점의 좌표, 터치한 영역의 크기, 터치한 압력의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여부,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개수,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횟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바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로드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뷰 데이터는 전국 각지의 실제 거리 모습이 360°로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로 구성되며, 촬영 골목 구석 구석까지 생생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서비스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로드뷰 데이터는 카메라 앵글이 180°이상으로 촬영할 수 있게 설계된 특수 렌즈인 어안 렌즈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되거나, 미리 촬영된 수많은 이미지를 파노라마 형태로 재구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로드뷰 데이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벤딩 상태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데이터는, 로드뷰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노라마 이미지 중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한(또는, 생성된) 파노라마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8 내지 도 18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벤딩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8(a)는 로드뷰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과 같이, 로드뷰 데이터는 카메라의 위치인 기준 위치(210) 및 카메라가 바라보는 촬영 방향(220)을 변수로 하여 결정된다. 여기에서, 촬영 방향(220)은 기준 위치(210)를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 좌표계(X, Y, Z)에서 정의되는 방향 벡터로, 로드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기준 위치(210)에서 영상을 촬영한 시점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촬영 방향(22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준 위치(210)를 시작점으로 하여 촬영 방향(22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의 접면의 영상을 로드뷰 데이터(230)로 검출하고, 검출된 로드뷰 데이터(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즉, 3차원 직교 좌표계(x, y, z) 상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x-y 평면으로 가정할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벤딩에 의해 Z축의 (+)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거나 Z축의 (-)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을 기준으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벤딩 라인을 z축으로 하며, 벤딩 라인과 디스플레이부(110)의 교차점 중 하나를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직교 좌표계(x, y, z) 상에서, 벤딩에 의해 이동되지 않은 영역이 이루는 영역(즉, x-y 평면에 위치한 영역)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라인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를 산출하고(도 5 참조), 산출된 벤딩 각도를 x-y 평면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이루는 각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이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벤딩 각도가 θ1으로 산출된 경우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과 x-y 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θ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벤딩 각도가 θ2로 산출된 경우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과 x-y 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θ2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을 산출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x-y 평면에서 속하는 분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에서 산출된 각도를 더하거나 빼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도 8(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이 Z+ 방향으로 벤딩되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x-y 평면의 x(-)y(+) 분면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에서 산출된 각도를 빼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8(a)와 같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 즉,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1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시점을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판단된 시점에 대응되는 촬영 방향(24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기준 위치(210)를 시작점으로 하여 촬영 방향(24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의 접면의 영상을 로드뷰 데이터(250)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Z+ 방향으로 벤딩되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x-y 평면의 x(+)y(+) 분면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에서 산출된 각도를 더해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8(a)와 같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 즉,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2만큼 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시점을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판단된 시점에 대응되는 촬영 방향(26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기준 위치(210)를 시점으로 하여 촬영 방향(26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의 접면의 영상을 로드뷰 데이터(270)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 각각에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6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로드뷰 데이터는 복수의 파노라마 이미지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 내지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장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 영역에서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이 Z+ 방향으로 θ1만큼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해당 영역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에서 θ1만큼 뺀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9(a)와 같은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촬영 방향(22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도 9(b) 참조). 이후,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이 Z+ 방향으로 θ1만큼 벤딩되면, 벤딩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는 벤딩 라인(1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1)와 벤딩 라인(1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2)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c)와 같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라인(1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1)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1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4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50)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 모두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전보다 화면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므로, 제어부(130)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의 화면 사이즈에 맞도록 조정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되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1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4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5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중 일부만을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해당 시점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사이에 중복되는 로드뷰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와 해당 시점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사이에 중복되는 영상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벤딩되기 이전에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와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사이에서 중복되는 영상을 판단하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에서 중복된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11(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라인(1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1)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4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50)와 벤딩 이전에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1)는 데이터(252)만큼 중복된다. 따라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로드뷰 데이터(250)에서 중복되는 데이터(252)만큼 제거된 로드뷰 데이터(25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와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에서 중복되는 영상을 판단하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에서 중복된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4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50)와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는 데이터(254)만큼 중복된다. 따라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로드뷰 데이터(250)에서 중복되는 데이터(254)만큼 제거된 로드뷰 데이터(25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Z+ 방향으로 θ2만큼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해당 영역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에서 θ2만큼 더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13(a)와 같은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촬영 방향(22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도 13(b) 참조). 이후,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Z+ 방향으로 θ2만큼 벤딩되면, 로드뷰 데이터(2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2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3)와 벤딩 라인(2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4)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c)와 같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라인(2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3)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2만큼 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6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70)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 모두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전보다 화면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므로, 제어부(130)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의 화면 사이즈에 맞도록 조정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되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2만큼 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6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7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중 일부만을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해당 시점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사이에 중복되는 로드뷰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와 해당 시점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 사이에 중복되는 영상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벤딩되기 이전에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와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사이에서 중복되는 영상을 판단하고,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에서 중복되는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 내지 도 15(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라인(2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된 로드뷰 데이터(233)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6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70)와 벤딩 이전에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는 데이터(272)만큼 중복된다. 따라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로드뷰 데이터(270)에서 중복되는 데이터(272)만큼 제거된 로드뷰 데이터(27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와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에서 중복되는 영상을 판단하고,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에서 판단된 영상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16(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에는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 즉, 촬영 방향(26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70)와 벤딩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로드뷰 데이터(230)는 데이터(274)만큼 중복된다. 따라서,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에는 로드뷰 데이터(270)에서 중복되는 데이터(274)만큼 제거된 로드뷰 데이터(27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를 촬영한 시점을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면 회전된 방향 및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된 각 분할 영역이 x-y 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17(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이 Z+ 방향으로 θ1만큼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은 촬영 방향(220)이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은 촬영 방향(240)이 될 수 있다.
이때,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가 θ3만큼 회전된 경우, 제어부(130)는 회전된 방향 및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가 좌측으로 θ3만큼 회전된 경우, 제어부(130)는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3만큼 더하여 촬영 방향(22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산출하고, 촬영 방향(24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3만큼 더하여 촬영 방향(240)으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은 촬영 방향(225)이 향하는 시점 및 촬영 방향(245)이 향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회전된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로드뷰 데이터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17(b) 내지 도 17(d)와 같이,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에는 촬영 방향(225)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35)를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방향(240)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50)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에는 촬영 방향(245)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5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8(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Z+ 방향으로 θ2만큼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은 촬영 방향(220)이고, 벤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은 촬영 방향(260)이 될 수 있다.
이때,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가 θ4만큼 회전된 경우, 제어부(130)는 회전된 방향에 기초하여,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a)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가 우측으로 θ4만큼 회전된 경우, 제어부(130)는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4만큼 빼서 촬영 방향(220)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산출하고, 촬영 방향(260)이 향하는 시점에서 θ4만큼 빼서 촬영 방향(260)으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은 촬영 방향(227)이 향하는 시점 및 촬영 방향(267)이 향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로드뷰 데이터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18(b) 내지 도 18(d)와 같이, 촬영 방향(220)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에는 촬영 방향(227)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37)를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방향(260)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70)가 디스플레이되던 영역에는 촬영 방향(267)이 향하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277)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도 17(c)에는 각 분할 영역에 도 10(c)에서 설명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도 18(c)에는 도 14(c)에서 설명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에에 불과할 뿐, 도 17(c)의 각 분할 영역에 도 9(c), 도 11(c) 및 도 12(c)와 같은 로드뷰 데이터가 각각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도 회전 상태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도 18(c)의 각 분할 영역에 도 13(c), 도 15(c) 및 도 16(c)와 같은 로드뷰 데이터가 각각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도 회전 상태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도 17(d) 및 도 18(d)에서는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9 내지 도 16과 같이 벤딩 라인을 고려하여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중복되는 부분이 제거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안쪽으로 벤딩된 경우(즉,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한 로드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가 바깥쪽으로 벤딩된 경우(즉,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Z-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Z+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로드뷰 데이터 중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2차원 이미지 중,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2차원 이미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된 각도만큼 기준 위치를 회전시켜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이 θ5만큼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촬영 방향(23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기준 위치(210)를 바라보는 방향 벡터를 θ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된 방향 벡터가 x-y 평면과 만나는 지점을 새로운 기준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새롭게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 촬영 방향(23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을 향하는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의 접면을 로드뷰 데이터로 검출하여 위치가 변경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로드뷰 데이터(23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θ만큼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촬영 방향(23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기준 위치(210)를 바라보는 방향 벡터를 θ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된 방향 벡터가 x-y 평면과 만나는 지점을 새로운 기준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새롭게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 촬영 방향(230)에 대한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을 향하는 방향 벡터의 종점과 구(200)가 만나는 지점의 접면을 로드뷰 데이터로 검출하여 위치가 변경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는 3차원 형상을 갖는 사물, 사람, 건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3차원 형상을 갖는 객체를 촬영한 다양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시점 이미지란, 3차원 형상을 갖는 객체를 복수의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시점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9 및 도 20에서 다시점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을 갖는 사물을 복수의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인 것으로 상정한다.
다시점 이미지는, 객체를 중심으로, 객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을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구면을 따라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시점 이미지는 가상의 구면을 따라 다양한 시점에서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다시점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을 갖는 사물을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310)와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객체를 순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들(320 내지 3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0과 같이, 다시점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을 갖는 사물을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410)와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객체를 순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들(420 내지 4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이미지들은 다시점 이미지에 포함된 일 예일 뿐이다. 즉, 다시점 이미지는 가상의 구면을 따라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들이라는 점에서, 객체를 정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객체를 순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다시점 이미지 중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이미지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즉, 중력 센서, G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세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방향 및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0)의 기울어진 정도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10)가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의 센싱 결과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 및 벤딩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도 21과 같은 벤딩 상태를 갖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분할 영역(110-1)은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배치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은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도 22와 같은 벤딩 상태를 갖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분할 영역(110-1)은 세로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배치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은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각 분할 영역이 3차원 객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며, 각 분할 영역에 수직인 가상의 직선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3차원 객체를 배치시켰을 때, 각 분할 영역이 3차원 객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각 분할 영역이 3차원 객체를 바라보는 시점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각 분할 영역이 3차원 객체를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3차원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이미지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과 같이, 제1 분할 영역(110-1)이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배치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이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상태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분할 영역(110-1)이 3차원 객체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분할 영역(110-2)이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90°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3차원 객체를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3차원 객체를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하고, 3차원 객체를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90°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제2 분할 영역(11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은 다시점 이미지의 경우, 도 23과 같이 제어부(130)는 이미지(310)를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미지(330)를 제2 분할 영역(11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객체를 복수의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디스플레이부(100)의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나머지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판단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벤딩되기 전의 디스플레이부(110)가 3차원 객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하고,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벤딩되기 전의 디스플레이부(110)가 3차원 객체를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배치된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3차원 객체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도 19와 같은 다시점 이미지 중 이미지(310)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제어부(130)는 벤딩 각도 및 벤딩 방향을 고려하여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판단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이전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분할 영역에는 벤딩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나머지 분할 영역에 대해서는,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해당 분할 영역의 벤딩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어 제1 분할 영역(110-5)은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기 이전과 동일한 배치 상태를 갖고, 제2 분할 영역(110-6)은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되기 이전의 디스플레이부(110)와 동일한 배치 상태를 갖는 제1 분할 영역(110-5)에는 이미지(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2 분할 영역(110-6)은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90°만큼 벗어난 3차원 객체를 바라본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90°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3차원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제2 분할 영역(110-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은 다시점 이미지의 경우, 도 24와 같이 제어부(130)는 이미지(370)를 제2 분할 영역(110-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는 지자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되면,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를 변경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판단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이, 제1 분할 영역(110-1)이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배치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이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상태로 배치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9의 이미지(310) 및 이미지(330)를 제1 분할 영역(110-1) 및 제2 분할 영역(110-2)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면, 제어부(130)는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의 배치 상태를 다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4와 같이 제1 분할 영역(110-1) 및 제2 분할 영역(110-2)이 우측으로 45°만큼 회전되면,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110-1, 110-2)이 회전되기 이전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45°만큼 회전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회전에 의해 변경된 배치 상태를 갖는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하고,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검출하여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던 시점을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된 방향으로 회전된 각도만큼 이동시켜, 회전된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의 경우, 각 분할 영역이 우측으로 45°만큼 회전되었다는 점에서, 제어부(130)는 이미지(310) 및 이미지(330)를 촬영한 방향에서 각각 우측으로 45°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3차원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검출하여 각 분할 영역(110-1, 110-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제1 분할 영역(110-1)에는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45°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3차원 사물을 촬영한 이미지(320)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에는 우측 90°지점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45°만큼 벗어난 지점 즉,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135°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3차원 사물을 촬영한 이미지(3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와 같이, 각 분할 영역(110-1, 110-2)이 우측으로 45°만큼 다시 회전되면, 제1 분할 영역(110-1)에는 우측 90°지점에서 3차원 사물을 촬영한 이미지(330)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에는 후면에서 3차원 사물을 촬영한 이미지(35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바깥쪽으로 벤딩된 경우(즉,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다시점 이미지 중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가 안쪽으로 벤딩된 경우(즉,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Z-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1회 벤딩되는 경우, 각 분할 영역의 배치 형태에 따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부가 2회 벤딩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이 3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에도, 다시점 이미지 중에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에 따라 형성된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입체 UI를 구성하는 복수의 UI 면에서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UI 면을 판단하고, 판단된 UI 면에 대한 그래픽 정보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체 UI는 다면체 형상을 갖는 입체 UI로, 각 면에는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UI는 도 26과 같이 입체 UI는 육면체로 구현되고, 각 UI 면에서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6(a)는 입체 UI를 정면 상단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6(b)는 입체 UI를 후면 하단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UI(400)의 각 UI 면은 다양한 UI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UI 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정보 즉,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면체 UI(4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들로 구성된 제1 UI 면(410),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서 재생 가능한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로 구성된 제2 UI 면(420), 각종 위젯으로 구성된 제3 UI 면(430),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재생 가능한 이미지로 구성된 제4 UI 면(440),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캘린더로 구성된 제5 UI 면(450), 음악 어플레케이션에서 실행 가능한 음악 파일에 대한 앨범 이미지로 구성된 제6 UI 면(4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6에 도시된 육면체 UI에서 각 UI 면을 구성하는 UI 화면을 일 예일 뿐,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입체 UI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네트워크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각 UI면에 대한 그래픽 정보(즉,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세를 감지하고, 벤드 센서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 및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이러한 감지부(120)의 센싱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기울어짐에 따라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방향(즉,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및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체 UI을 구성하는 복수의 UI 화면 중에서 적어도 2개의 UI 화면을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육면체 UI에서 각 분할 영역에 매칭되는 UI 면을 판단하고, 판단된 UI 면을 구성하는 UI 화면을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과 같이, 제2 분할 영역(110-2)은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배치된 상태이고, 제1 분할 영역(110-1)은 제2 분할 영역(110-2)의 좌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분할 영역(110-1)은 육면체의 좌측면(즉, 도 26의 제6 UI 면(460))에 매칭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은 정면을 기준으로 육면체의 뒷면(즉, 도 26의 제4 UI 면(440))에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음악 어플레케이션에서 실행 가능한 음악 파일에 대한 앨범 이미지로 구성된 UI 화면(460)을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재생 가능한 이미지로 구성된 UI 화면(440)을 제2 분할 영역(11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면, 회전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UI 면 중에서 회전된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UI 면을 판단하고, 판단된 UI 면에 대응되는 그래픽 정보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지자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면 회전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를 다시 판단하고, 입체 UI에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UI 면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회전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매칭되는 UI 면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각 분할 영역(110-1, 110-2)이 90°만큼 회전되어 도 28과 같이 세워진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분할 영역(110-1)은 세로 방향으로 지면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이고, 제2 분할 영역(110-2)은 제1 분할 영역(110-1)의 상측에서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회전된 제1 분할 영역(110-1)은 육면체의 밑면(즉, 도 26의 제5 UI 면(450))에 매칭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은 육면체의 뒷면(즉, 도 26의 제5 UI 면(440))에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음악 어플레케이션에서 실행 가능한 음악 파일에 대한 앨범 이미지로 구성된 UI 화면(460)을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캘린더로 구성된 UI 화면(450)을 제2 분할 영역(11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판단된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의 표시 방향을 회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UI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UI 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안쪽으로 벤딩된 경우(즉,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각 분할 영역에 매칭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가 바깥쪽으로 벤딩된 경우(즉,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Z+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29는 게임 화면이 복수의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9(a)와 같이 레이싱 게임이 실행되어 자동차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게임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가 2회 벤딩되면 도 29(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없는 상태로 배치된 제1 분할 영역(110-1),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Z+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제2 분할 영역(110-2), 제1 분할 영역(110-1)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Z+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제3 분할 영역(11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3차원 공간상의 한 지점(500)을 기준으로 제1 분할 영역(110-1)은 정면에 위치하며 제2 분할 영역(110-2)은 좌측에 위치하며, 제3 분할 영역(110-3)은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분할 영역(110-1)에는 정면을 바라본 게임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에는 좌측을 바라본 게임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분할 영역(110-3)에는 우측을 바라보는 게임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폴리머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계열의 유전 탄성체(dielectric elastomer)로서, 일측과 타측 각각에 전극이 도포되고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전위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된다.
예를 들어, 도 30(a)와 같이 폴리머 필름(121)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폴리머 필름(121)의 위쪽 부분은 수축되고 아래쪽 부분은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폴리머 필름(121)에 전압을 인가하여 폴리머 필름(121)의 형상을 변형시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일정한 상태로 벤딩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에 배치된 폴리머 필름 중 어떠한 폴리머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여야 하는지, 얼마만큼의 전압을 폴리머 필름에 인가하여야 하는지, 어떠한 순서로 폴리머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야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이하, 제어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기저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폴리머 필름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감지부(12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각도 및 벤딩 방향 등의 벤딩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저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는 폴리머 필름의 위치,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전압 인가 순서 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폴리머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b)와 같이, 디스플에이부(110)의 좌측이 Z+ 방향으로 45°만큼 벤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에 위치한 폴리머 필름(121-1 내지 121-5)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좌측이 Z+ 방향으로 45°만큼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폴리머 필름이 5개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 뿐이고, 폴리머 필름의 개수 및 크기 등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줄(string),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가령, 바이모프 압전소자(series bimorph piezoelectric element, parallel bimorph piezoelectric element)), EAP(electro active polymer), EMP(electro mechnical polymer) 등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줄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줄의 인장력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형상이 변형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자체 탄성에 의해 플랫한 상태로 돌아가려는 역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역방향 힘에 대응하는 만큼의 물리적인 힘을 줄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기억합금(미도시)은 전이온도(轉移溫度) 온도 이하에서 변형하여도, 전이온도 이상이 되면 변형 이전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합금을 말한다. 여기에서, 전이온도는 물질의 상태가 전이할 때 그 물질 고유의 일정한 온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형상기억합금(미도시)은 전기적 신호가 제공되면 금속 내부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모양을 변형시킨다. 즉, 형상기억합금(미도시)은 구부러진 형상을 기억하도록 제작되어, 보통 상태에서는 플랫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제공되면 내부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내부 온도가 전이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본래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기억합금은 니켈-티타늄 합금, 구리-아연-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형상기억합금(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형상기억합금(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형상기억합금(미도시)은 서로 다른 각도만큼 구부러진 형상을 기억하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각도만큼 구부러진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 각도별로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30)는 벤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일정한 각도로 벤딩 사태가 유지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이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복수의 분할 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할 영역 중 하나가 지지면에 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되면,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나머지 분할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할 영역 전체가 지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되면, 복수의 분할 영역 전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하측, 좌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이 지지면에 접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분할 영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면은, 테이블, 바닥,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령, 손바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영역 각각에 배치된 근접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1을 참조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접하도록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면 각 분할 영역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 및 근접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분할 영역이 지지면에 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분할 영역이 지지면에 근접하거나 접촉되어 있고 분할 영역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지지면(즉,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해당 분할 영역이 지지면에 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지지면에 접하고 있는 분할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지지면에 접하고 있지 않은 분할 영역을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이 형성되었으나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분할 영역을 활성화시켜 각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에 의해 제1 분할 영역(110-1)과 제2 분할 영역(110-2)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2 분할 영역(110-2)은 테이블 표면(600)과 접하도록 놓여져 테이블 표면(600)과 근접하거나 접촉되어 있으며, 제2 분할 영역(110-2)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지지면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30)는 제2 분할 영역(110-2)이 지지면에 접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를 판단하고, 제1 분할 영역(110-1)을 활성화시키고 제2 분할 영역(110-2)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에 의해 제1 분할 영역(110-3)과 제2 분할 영역(110-4)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분할 영역(110-3, 110-4) 모두 테이블 표면(600)에 접하지 않으며 지지면 방향으로 벤딩된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제어부(130)는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및 제2 분할 영역(110-3, 110-4)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1(a) 및 도 31(b)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로 테이블 표면 상에 놓여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0과 함께 설명한바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중복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상하좌우측 각각에 근접 센서 및 가속도 센서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근접센서 대신 압력 센서 등이 구비되어 지지면에 접촉시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지지면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하는 경우, 터치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분할 영역이 지지면과 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지지면에 접하게 되는 분할 영역은 지지면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빛이 입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이 이루어져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된 후,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빛이 입사되지 않는 분할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분할 영역이 지지면과 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분할 영역이 지지면과 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지지면에 접하게 되는 분할 영역은 지지면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해당 분할 영역에 배치된 카메라로 촬상하게 되면 블랙 이미지가 촬상된다. 따라서,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블랙 이미지를 촬상한 분할 영역을 지지면과 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하나만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가 배치된 분할 영역이 향하는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분할 영역의 방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를 이용하여 나머지 분할 영역이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a)에서 제1 분할 영역(110-1)에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제1 분할 영역(110-1)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판단된 제1 분할 영역(110-1)의 각도와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각도(즉, 제1 분할 영역(110-1)과 제2 분할 영역(110-2)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제2 분할 영역(110-2)이 중력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분할 영역이 지지면 방향을 향하는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1회 벤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으로 2회 이상 벤딩되는 경우,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는 경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분할 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분할 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음악, 텍스트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재생화면, 각종 웹 페이지 화면, UI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에 분포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중에서 비활성된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이는, 비활성화된 분할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 중 지지면에 접하는 영역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어부(13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분포된 디스플레이 소자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경우 각 픽셀별로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각 픽셀 단위로 온/오프되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비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배치된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LCD로 구현되는 경우 별도의 백라이트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비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배치된 백라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는 그리드 방식 등과 같이 영역별로 LCD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어부(130)는 비활성된 분할 영역에 블랙 영상(black image)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아무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블랙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비활성된 분할 영역에 배치된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블랙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2 내지 도 3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2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2 내지 도 37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일정한 벤딩 각도를 유지하며, 지지면에 놓여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먼저,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플랫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 배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는 아이콘, 위젯,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710 내지 760)을 포함하는 홈 화면(700)이 디스플레이부(110)이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에 의해 제1 분할 영역(110-1)과 제2 분할 영역(110-2)으로 구분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이 지지면에 접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아이콘(710 내지 760)의 배치 위치가 변경된 홈 화면(700-1)을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화면의 레이아웃을 서로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일일 캘린더(81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후,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이 지지면에 접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화면의 레이아웃이 변경되어 월별 캘린더(820)를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플랫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크기를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스케일링하여,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와 같이, 이미지(91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에 의해 제1 분할 영역(110-1)과 제2 분할 영역(110-2)으로 구분되고 제2 분할 영역(110-2)이 지지면에 접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910)의 크기를 축소하여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화면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30)는 화면을 기설정된 비율을 갖도록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크기(가령, 해상도)가 1920*1200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30)가 4:3 비율의 화면을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산출하게 된다. 즉, 가로해상도는 1200이 되고, 세로해상도는 1200*4/3인 1600이므로, 제어부(130)는 화면을 1600*1200 크기를 갖도록 조정하여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분할 영역의 배치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된 후 회전되어 분할 영역 중 하나가 지지면에 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화면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중력 방향과의 관계에서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자세를 판단하고, 화면을 중력 방향으로 회전시켜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와 같이,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전자책 화면(1010)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이 Z- 방향으로 90°만큼 벤딩된 후 90°만큼 회전되어 분할 영역 중 제2 분할 영역(110-2)이 지지면에 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회전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전자책 화면(1010)의 사이즈를 제1 분할 영역(110-1)의 크기에 맞게 조정하고, 90°만큼 회전시켜, 회전된 전자책 화면(1020)을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분할 영역 모두 지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된 경우,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의 면적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이면 동일한 화면을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의 면적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서로 다른 화면을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오차 범위는 제조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표시 방향을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중력 방향과의 관계에서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이 배치된 방향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화면을 중력 방향으로 회전시켜 활성화된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 및 도 37과 같이, 이미지(1110)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고, 제1 분할 영역(110-1) 및 제2 분할 영역(110-2) 모두가 지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배치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도 36과 같이 제1 분할 영역(110-1) 및 제2 분할 영역(110-2)의 면적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제어부(130)는 벤딩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1110)와 동일한 이미지(1120, 1130)가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분할 영역(110-1, 110-2)의 크기에 따라 이미지(1020, 1030)의 사이즈는 축소될 수 있으며, 이미지(1020, 1030)는 각 분할 영역(110-1, 110-2)의 배치 방향에 맞도록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37과 같이 제1 분할 영역(110-1) 및 제2 분할 영역(110-2)의 면적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초과하면, 제어부(130)는 벤딩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1010)와 동일한 이미지(1140)를 제1 분할 영역(110-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분할 영역(110-2)에는 날씨 관련 위젯(1151)과 시계 관련 위젯(1152)을 포함하는 위젯 화면(11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분할 영역의 크기와 배치 방향에 맞도록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분할 영역 중 크기가 큰 분할 영역에 벤딩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하는 단면 디스플레이부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디스플레이 표면 및 제2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하는 양면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 중에서 하나인 제1 면의 일부 영역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면, 양면 상에 지지면과 접하지 않는 나머지 영역들 중에서 활성화 영역을 결정하고 활성화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양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면의 전체 영역, 제2 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지지면에 접하는 영역과 대향 배치된 영역, 제1 면의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활성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의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영역 및 제2 면의 상하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과 제2 면 중에서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의 일 면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지지면에 접하지 않는 분할 영역의 타 면, 나머지 분할 영역의 일 면과 타 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 조작이 입력된 면을 활성화 영역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활성화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1회 벤딩에 의해 2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적어도 2회 벤딩에 의해 적어도 3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지지면에 접하지 않는 나머지 분할 영역을 활성화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2회 벤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이 3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되고 3개의 분할 영역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이 지지면에 접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3개의 분할 영역 중 나머지 분할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부(110)에 9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2회 벤딩되어 구분된 3개의 분할 영역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이 지지면에 접하게 되면,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을 비활성화되고, 9개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되어 2개의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통신부(150), GPS 모듈(160), DMB 수신부(165),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75), 전원부(180), 스피커(185),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감지부(120)는 지자기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터치 센서(124), 벤드 센서(125), 압력 센서(126), 근접 센서(127)를 포함한다. 감지부(120)는 벤딩 제스쳐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121) 및 자이로 센서(122)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그 밖에, 가속도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24)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터치 센서(12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벤드 센서(125)는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6)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6)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8에서는 터치 센서(124) 및 압력 센서(126)가 별개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센서(124)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26)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27)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27)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근접 센서(127)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하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지면과 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여부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 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30)는 터치 조작, 모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방식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조작에는 단순 터치, 탭, 터치 앤 홀드, 무브, 플릭, 드래그 앤 드롭, 핀치 인, 핀치 아웃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이 있을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란, 이미지, 텍스트,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지도 화면, 로드뷰 데이터, 다시점 이미지, 입체 UI의 각 UI 면에 대응되는 그래픽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칩(151), 블루투스 칩(152), NFC칩(153), 무선 통신 칩(154)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받고,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지도 화면, 로드뷰 데이터, 다시점 이미지, UI 화면에 대한 그래픽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도록 외부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NFC 칩(15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153)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무선 통신 칩(154)은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GPS 모듈(160)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GPS 모듈(160)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S 모듈(160)은 복수 개의 GPS 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시간 및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위성들 각각 과의 사이에서 연산된 거리와, 위성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삼변 측량과 같은 연산 방법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DMB 수신부(165)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180)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가능한 특정을 가진다는 점에서,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처리부(175)는 활성화된 분할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화면을 스케일링하거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화면 또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을 오디오 처리부(170) 및 비디오 처리부(17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다시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등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GPS 모듈(160)에서 산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내를 나타내는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지도 화면의 특정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 상태에 따라 각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피커(185)는 오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9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191)을 통해 전원 온/오프 명령 등과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메모리나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각종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전원 온 오프 등과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메인 CPU(133)의 제어에 따라 각종 화면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처리부(134)는 화면에 대한 표시 상태 값을 계산하고, 산출된 표시 상태 값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여,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상태 값이란 화면상에서 객체가 표시될 위치의 좌표값, 객체의 형태, 크기, 컬러 등을 나타내는 속성값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3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은 일 예일 뿐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8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컨텐츠 처리 모듈(146)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위치 기반 모듈(141-2), 보안 모듈(141-3), 네트워크 모듈(14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리딩(reading)할 수 있다. 위치 기반 모듈(141-2)이란 GPS 칩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4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회전 인식 모듈(Rotation Recognition), 음성 인식 모듈(Voice Recognition), 터치 감지 모듈(Touch Recognition), 제스쳐 인식 모듈(Gesture Recognition)을 포함한다. 회전 인식 모듈이란 지자기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 등과 같은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 값을이용하여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이다. 음성 인식 모듈은 마이크(194)에서 수집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추출하는 프로그램이며, 터치 감지 모듈은 터치 센서(124)에서 감지된 센싱 값을 이용하여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며, 제스쳐 인식 모듈은 카메라(194)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이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모듈(146)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재생 능력 판단 모듈(146-1)은 재생 능력 정보와 컨텐츠 속성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파서(146-2) 및 코덱(146-3)은 컨텐츠 처리를 위해서 비디오 처리부(175)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파서(146-2)는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로만 구현되고, 코덱(146-3)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고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 네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도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라면, 전자책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9의 프로그램 모듈들 중에서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1200), 디스플레이부(110), 그립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담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본체(12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롤링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 롤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본체(120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1210)를 파지하여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 롤러가 롤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링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120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회전 롤러에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1210)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당기면, 스토퍼에 의해 회전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해 본체(1200)에 구비된 버튼(미도시)를 누르면,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회전 롤러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1200) 내로 다시 롤링될 수 있다. 스토퍼는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롤러 및 스토퍼에 대해서는 통상의 롤링 구조체에서 사용되는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120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전원부(미도시)는 1회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연결부, 사용자가 복수 횟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120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부(미도시)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0에서는 원통형 구조의 본체(1200)가 도시되었으나, 본체(120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에 따르면,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부(180)는 음극 집전체, 음극 전극, 전해질부, 양극 전극, 양극 집전체 및 이들을 덮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전체는 탄성 특성이 좋은 TiNi계와 같은 합금류,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순금속류, 탄소가 코팅된 순금속, 탄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극 전극은 리튬,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카드늄, 수소저장합금, 납 등의 금속류와 탄소 등의 비금속류 그리고 유기황과 같은 고분자 전극 물질과 같은 음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은 황 및 금속 황화물, LiCoO2 등 리튬천이금속산화물, SOCl2, MnO2, Ag2O, Cl2, NiCl2, NiOOH, 고분자 전극 등의 양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해질부는 PEO, PVdF, PMMA, PVAC 등을 이용한 겔(g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복부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C, HDPE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실 형태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피복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180) 내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1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원부(18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커넥터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홈의 결합에 의해 전원부(18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원부(180)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전원 연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1에서는 전원부(18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부(2400)의 위치 및 형태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전원부(24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와 같이, 본 시스템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서버(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130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1300)는 각종 지도 화면, 로드뷰 데이터, 다시점 이미지, 입체 UI의 각 UI 면에 대한 그래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서버(1300)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외부 서버(1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지도 화면의 전송을 외부 서버(1300)로 요청하고, 외부 서버(1300)로부터 지도 화면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지도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1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선택한 지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되면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1300)로 전송하고, 각 분할 영역이 바라보는 시점에서 촬영된 로드뷰 데이터를 외부 서버(13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각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로드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한다(S1410).
이후,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되면,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벤딩 상태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S14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되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가 회전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한다(S1510).
이후,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되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520).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던 객체를 복수의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나머지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가 회전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되면,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를 변경된 각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판단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한다(S1610).
이후, 디스플레이부가 벤딩되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상태에 따라 복수의 분할 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분할 영역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620).
구체적으로, 복수의 분할 영역 중 하나가 지지면에 접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면, 지지면에 접하는 분할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나머지 분할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 영역 전체가 지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면, 복수의 분할 영역 전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의 면적 차이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이면 동일한 화면을 분할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의 배치 방향에 따라 화면의 표시 방향을 상이하게 조정하여 활성화된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각 분할 영역의 자세에 따라, 화면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1 내지 도 37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있다.
한편,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입체 UI의 각 UI 면에 대응되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UI 면 중에서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UI 면을 판단하고, 판단된 UI 면에 대응되는 그래픽 정보를 복수의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26 내지 도 2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분할 영역의 배치 상태에 따라, 입체 UI를 구성하는 UI 면 중 각 분할 영역에 매칭되는 UI 면을 판단하고, 판단된 UI 면을 구성하는 UI 화면을 각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Claims (14)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이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점들을 판단하고, 상기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판단된 서로 다른 시점들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3차원 공간에 대한 변경된 시점들을 판단하고, 상기 변경된 시점들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이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점들을 판단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상기 판단된 서로 다른 시점들 각각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던 객체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나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각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상기 판단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벤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이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점들을 판단하는 단계; 및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판단된 서로 다른 시점들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3차원 공간에 대한 변경된 시점들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시점들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배치 상태가 변경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벤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이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점들을 판단하는 단계; 및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상기 판단된 서로 다른 시점들 각각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던 객체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 각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나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배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던 이미지를 상기 변경된 각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다시점 이미지 중 상기 판단된 배치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110913A 2012-10-05 2012-10-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6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13A KR102163740B1 (ko) 2012-10-05 2012-10-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201380062966.1A CN104823134B (zh) 2012-10-05 2013-10-04 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装置控制方法
EP13187444.8A EP2717119B1 (en) 2012-10-05 2013-10-04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PCT/KR2013/008912 WO2014054923A1 (en) 2012-10-05 2013-10-04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US14/047,051 US9646407B2 (en) 2012-10-05 2013-10-07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13A KR102163740B1 (ko) 2012-10-05 2012-10-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65A KR20140044665A (ko) 2014-04-15
KR102163740B1 true KR102163740B1 (ko) 2020-10-12

Family

ID=4927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13A KR102163740B1 (ko) 2012-10-05 2012-10-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46407B2 (ko)
EP (1) EP2717119B1 (ko)
KR (1) KR102163740B1 (ko)
CN (1) CN104823134B (ko)
WO (1) WO20140549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977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065A (ko) * 2012-06-0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28157B1 (ko) * 2012-11-20 2019-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56898B1 (ko) * 2013-01-22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각도 측정 방법
USD819628S1 (en) * 2014-02-22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GB2525174A (en) * 2014-04-14 2015-10-21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CN105094288B (zh) * 2014-04-16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10656799B2 (en) 2014-05-02 2020-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5228207A (ja) * 2014-05-02 2015-12-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
KR102495922B1 (ko) 2014-05-06 2023-02-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장치
KR102262721B1 (ko) *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692860B2 (en) * 2014-05-15 2017-06-27 Apple Inc. One layer metal trace strain gauge
KR102207106B1 (ko) * 2014-06-10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5066B1 (ko) * 2014-07-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197382B1 (ko) * 2014-08-14 2020-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0619B1 (ko) * 2014-12-05 2023-01-2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811873B1 (en) 2014-12-05 2023-11-01 Samsung Medison Co., Ltd.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4273665A3 (en) * 2014-12-05 2024-01-10 Samsung Medison Co., Ltd.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72165B2 (en) 2014-12-23 2019-08-0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4464540B (zh) * 2014-12-25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198473B1 (ko) * 2014-12-30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11561A1 (en) * 2015-01-07 2016-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34779B2 (en) 2015-02-12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of wearable displays
US9747015B2 (en) 2015-02-12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CN104751744B (zh) * 2015-03-02 2017-07-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方法及电子设备
CN104915057A (zh) * 2015-05-25 2015-09-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65173B1 (ko) 2015-06-10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69842B2 (en) * 2015-07-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nt adjustment on a bendable transparent display
CN105096752B (zh) * 2015-08-25 2018-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9880641B2 (en) 2015-08-27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a reshaped flexible display
EP3144774A1 (en) * 2015-09-15 2017-03-22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 rotation angle information to a set of actuators associated with a surface
WO2017054114A1 (zh) * 2015-09-28 2017-04-06 神画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KR102560664B1 (ko) * 2015-09-30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3468B1 (ko) * 2015-10-30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803282B (zh) * 2015-11-26 2020-01-31 重庆江增船舶重工有限公司 一种三维空间异形薄曲板展开建模方法
WO2017107204A1 (zh) * 2015-12-25 2017-06-2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系统
CN106168921B (zh) * 2016-06-30 2018-11-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柔性屏的低温保护方法及移动终端
US11243567B2 (en) * 2016-07-13 2022-02-08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US10372892B2 (en) 2016-07-13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878771B2 (en) * 2016-07-13 2020-12-29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remediation to compensate performance degradation
US10251056B2 (en) 2016-07-13 2019-04-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JP6762174B2 (ja) * 2016-09-05 2020-09-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18319B1 (ko) * 2016-09-20 202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80164850A1 (en) 2016-12-08 2018-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bend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6322135U (zh) * 2016-12-26 2017-07-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触摸构件以及显示设备
US10396272B2 (en) * 2017-05-04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distortion for alignment with a user gaze direction
CN107068055B (zh) * 2017-05-17 2019-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面板的伽马电压调整方法及装置
US20190012000A1 (en) * 2017-07-05 2019-01-10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he Deformed User Interface
CN107659711B (zh) * 2017-08-31 2021-01-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143497B2 (en) * 2017-09-22 2021-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 flexible display
CN107748656B (zh) * 2017-10-19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画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19127158A1 (zh) * 2017-12-27 2019-07-0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图形用户界面以及图形用户界面的控制方法
CN111433724A (zh) * 2017-12-27 2020-07-1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图形用户界面以及图形用户界面的控制方法
CN109933232A (zh) * 2018-01-16 2019-06-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传感器及电子装置
KR102583233B1 (ko) * 2018-02-12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TWI652529B (zh) * 2018-03-07 2019-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與劃分可撓式顯示器的方法
KR102330027B1 (ko) * 2018-03-20 2021-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JP7037177B2 (ja) * 2018-03-29 2022-03-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EP3839423A4 (en) * 2018-08-17 2021-08-0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TILT ANGLE
CN109661816A (zh) * 2018-11-21 2019-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渲染引擎生成和显示全景图像的方法和显示装置
KR20200120837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266936B (zh) * 2019-04-25 2021-01-2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终端设备
KR20200142394A (ko) * 2019-06-12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CN110347311A (zh) * 2019-07-02 2019-10-1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三维虚拟对象显示方法与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11093262B2 (en) 2019-07-29 2021-08-1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normal and privacy modes of operation
CN110806829B (zh) 2019-09-05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设备的显示方法及折叠屏设备
US11113375B2 (en) 2019-09-09 2021-09-0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proximity authentication and gaze actuation of companio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10751905A (zh) * 2019-09-29 2020-02-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10726363B (zh) * 2019-10-14 2021-11-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JP2023500450A (ja) * 2019-11-01 2023-01-06 ループ ナウ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回転メトリックに基づく音声および映像ストリームのレンダリング修正
CN110879671B (zh) * 2019-11-07 2021-09-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1562549B2 (en) * 2019-12-20 2023-01-24 Shenzhen Jingtai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action in complex web 3D scenes
KR20210089377A (ko) 2020-01-08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프리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163335B1 (en) 2020-05-01 2021-11-02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aving a bendable integrated display
CN112133813B (zh) * 2020-09-24 2021-1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电子设备
TWI814048B (zh) * 2021-08-04 2023-09-01 動顏有限公司 軟性發光顯示幕的應用結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1211A (ja) * 2010-03-24 2010-09-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0957B1 (en) * 1997-08-29 2002-01-22 Xerox Corporation Dynamically relocatable tileable displays
JP2002132242A (ja) * 2000-07-31 2002-05-09 Hewlett Packard Co <Hp> 自動適合式デジタルピクチャフレームディスプレイ
JP4671196B2 (ja) * 2006-10-31 2011-04-13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ゲーム用端末装置、ゲーム画面の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059018A1 (en) * 2007-09-05 2009-03-05 Micron Technology, Inc. Navigation assisted mosaic photography
JP5011572B2 (ja) * 2008-04-30 2012-08-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移動端末および接続先切り替え方法
US20090275366A1 (en) * 2008-05-05 2009-11-05 Schilling Donald L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deployable display systems for three dimensional visual representations and/or privacy and methods of use
KR101540093B1 (ko) 2009-01-05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63882B1 (ko) 2009-03-13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5809B1 (ko) * 2009-10-09 201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640365B2 (ja) * 2009-12-07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TW201123071A (en) * 2009-12-28 2011-07-0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Stereo presentation method of displaying images and spatial structure
KR101067587B1 (ko) * 2010-01-29 2011-09-27 주식회사 팬택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단말기,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KR20110105574A (ko) 2010-03-19 201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649156B1 (ko) * 2010-06-07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258327B1 (ko) * 2010-10-13 2013-04-2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89838B1 (ko) * 2011-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54961B2 (en) * 2011-08-17 2014-06-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data from overlapping regions of images
US9116599B2 (en) * 2012-03-19 2015-08-25 Autodes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 3D scene using a flexible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1211A (ja) * 2010-03-24 2010-09-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977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47528B1 (ko) 2015-01-14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6407B2 (en) 2017-05-09
EP2717119A1 (en) 2014-04-09
EP2717119B1 (en) 2023-04-05
CN104823134A (zh) 2015-08-05
KR20140044665A (ko) 2014-04-15
WO2014054923A1 (en) 2014-04-10
CN104823134B (zh) 2018-08-24
US20140098095A1 (en)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7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98368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288972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919848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
US957570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1905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KR102145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045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563279B2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25471A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2306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KR10232783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61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