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066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066A
KR20140023066A KR1020120089641A KR20120089641A KR20140023066A KR 20140023066 A KR20140023066 A KR 20140023066A KR 1020120089641 A KR1020120089641 A KR 1020120089641A KR 20120089641 A KR20120089641 A KR 20120089641A KR 20140023066 A KR20140023066 A KR 2014002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eedback
flexible display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규
이창수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066A/ko
Priority to RU2015108909A priority patent/RU2617385C2/ru
Priority to PCT/KR2013/007174 priority patent/WO2014027796A1/en
Priority to EP13879639.6A priority patent/EP2885691B1/en
Priority to CN201380043093.XA priority patent/CN104583905A/zh
Priority to IN1904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1904A/en
Priority to US13/965,675 priority patent/US20140049463A1/en
Publication of KR2014002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7/29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adius of curv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벤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및,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EEDBACK PROVID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태 변형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형 상태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을 주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성 피드백을 제공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벤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피드백 제공 형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벤딩 정도에 따른 피드백 제공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거나 그래픽 메시지를 출력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소리 피드백,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피드백은, 상기 화면의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상기 화면을 깜박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벤딩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벤딩과 관련된 정보는, 벤딩 위치, 벤딩 유지 시간, 벤딩 정도 및 벤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는, 기설정된 곡률 반경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영역에 장착되며,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갖는 소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부는, 상기 소자부가 장착된 영역에 상기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초과하는 벤딩 조작이 있는 경우 부러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드백 제공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벤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피드백 제공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거나 그래픽 메시지를 출력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소리 피드백,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벤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전원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피드백 제공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감지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벤드 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방향 또는 일부 방향에 대한 벤딩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벤딩이 발생된 영역의 위치, 벤딩 반경, 벤딩 각도 등을 인식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30)는 벤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특히, 피드백 제공부(130)는 소리, 화면 변경, 햅틱(haptic) 형태 등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과도한 벤딩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구적으로 무리가 가는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성 피드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리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벤딩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소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프음 형태, "그만 구부리요", "더 구부러지는 경우 파손될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 형태의 소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화면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벤딩 정도에 따라 화면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을 깜박이거나, 주변 테두리를 붉은 색상으로 변경시키거나, 화면을 페이드 아웃(fade out)시키거나 화면을 검게 변경시키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그만 구부리요", "더 구부러지는 경우 파손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그래픽 메시지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벤딩 정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세기를 다르게 하거나, 진동 발생 영역을 다르게 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소리, 화면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두 개의 피드백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준이 되는 기설정된 임계치는 기기 제작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공되는 피드백 종류도 기기 제작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피드백 제공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정도에 따라 경고음 크기를 증가키거나, 경고음 간격이 빨라지는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화면 색상을 점차 어둡게 하는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벤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점부터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피드백 제공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정도에 따라 경고음 간격이 빨라지는 형태로 피드백을 제공하다가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연속적인 경고음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삐~~~삐~~~삐~~~삐" → "삐~~삐~~삐~~" → "삐~삐~삐~" → "삐삐삐삐..." 형태로 경고음 간격이 빨라지다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삐......"형태의 경고음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의 상태 예를 들어, 벤딩 각도, 벤딩 반경 등이 기설정된 벤딩 각도, 벤딩 반경 등에 대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반경은 벤딩으로 인한 곡률 반경 R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벤딩 각도는 기설정된 기준면과 벤딩 상태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위치가 이루는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 정도를 갖는 벤딩 조작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영역에서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내용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벤딩인 경우에도 벤딩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벤딩으로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발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벤딩 발생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상부 모서리 영역에 대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 좌측 상부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상부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란, 좌측 상부 모서리 영역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 해당 영역에서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 해당 영역의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 등 사용자가 좌측 상부 모서리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특정 영역에서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 횟수가 증가할수록 더 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약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두 번째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중간 정도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세 번째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강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 횟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종류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음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화면 피드백을 제공하고, 두 번째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화면 피드백 및 소리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고, 세 번째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화면 피드백, 소리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유지되는 벤딩 조작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영역에서 벤딩 조작이 기설정된 미만인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를 구별하여 서로 다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 마다 상또한, 벤딩 정도는 특히, 벤딩 라인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벤딩 정도가 될 수 있으며, 벤딩 반경, 벤딩 각도의 크기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이란 벤딩이 발생된 영역 상에서 벤딩 정도가 가장 큰 지점을 연결한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최대인 벤딩 포인트(또는 벤딩 좌표)를 연결한 라인이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 정도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리가 가는 벤딩 정보를 제1 레벨, 파손 위험이 있는 레벨을 제2 레벨, 파손 직전 상태의 레벨을 제3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에 대응되는 상이한 형태의 비프음, 음성 메시지 등을 제공하거나, 진동 간격, 진동 세기 등이 상이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화면 색상이 상이한 변경시키는 형태의 화면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도 시간 경과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기능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해당 동영상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햅틱 피드백이나, 화면 피드백을 주어 사용자가 인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벤딩 위치, 벤딩 시간, 벤딩 정도, 벤딩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에서는 해당 장치에 대한 벤딩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경우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A/S 관리자가 해당 기기에 사용자가 직접 기기 고장을 고칠 수 있는 정보, 부품 교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A/S 센터를 직접 찾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에서는 해당 내용에 기초하여 기기를 업데이트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서버에서는 해당 내용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기설정된 임계치는 영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으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장치가 접히는 중앙 영역은 임계치는 높게 설정되고, 나머지 영역은 그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리지드(rigid)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임계치는 매우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칩 등의 내부 소자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임계치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 라인과 세로 라인에 대해 상이한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 영역에 동일한 임계치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유연성(flexibility)가 가장 낮은 영역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임계치를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영역에서 벤딩된 횟수를 로깅하여 벤딩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설정된 임계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GUI, 음성 메시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임계치 변경과 관련된 내용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동시에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제1 영역에 대해서는 경고음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고,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제2 영역에 대해서는 햅틱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경고음 형태의 피드백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 가지 종류의 경고음을 통해 복수의 영역에서 기설정된 임계치 상의 벤딩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특정 영역이 과도하게 벤딩되어 해당 영역 또는 인접 영역에 배치된 기능 모듈의 정상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때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어 카메라 모듈이 정상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가려지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때 대응되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영역의 벤딩 정도에 따라 특정 기능 모듈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모듈에 센서가 구비되어 해당 상황을 센싱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특정 영역이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과도하게 벤딩되어 인접 영역의 정상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때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 사용자의 얼굴 또는 사용자의 귀가 닿는 것을 근접 센서를 통해 인식하여 화면 LCD를 턴 오프시키거나, 터치 센서를 턴 오프하여 터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과도하게 벤딩되는 경우, 얼굴 또는 귀가 닿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근접 센서가 과도하게 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분을 얼굴 또는 귀로 오인식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통화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과도하게 벤딩되어 근접 센서를 가리게 되는 경우에는, 과도하게 벤딩된 상태를 인식하여 근접 센서를 디스에이블시키고 근접 센서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노멀 상태에서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밝기를 감지하고, 실내 밝기에 따라서 화면 밝기를 조정하거나, 조도 센서를 가리는 경우에는 조도 센서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특정 영역이 과도하게 벤딩되어 벤딩으로 인한 파손 이외의 2차 파손이 예상되는 경우 해당 부분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서 ( + ) 전극과 ( - ) 전극이 서로 닿을 위험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부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면을 구비하는 경우, 대응되는 면에 대해서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특정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과도한 벤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디스플레이부(110)에서만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일반적인 벤딩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롤링, 폴딩 등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경고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인식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롤링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리가 가지 않는 한도 내에서의 롤링 강도 임계치를 설정하고, 해당 임계치를 초과하는 롤링 강도로 롤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경고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부(17)는 설정된 내부 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응력이란 물체가 밖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본래 모양을 그대로 지키려는 힘을 의미한다.
이 경우, 소자부(미도시)는 소자부(미도시)가 장착된 영역에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초과하는 벤딩 조작이 있는 경우 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자부(미도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휠 수 있는 부분에 위치되어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휘어지고, 일정 곡률을 초과하는 벤딩 시에 해당 소자가 부러지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소자부(미도시)는 막대 형태 또는 책받침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소자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곡률을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지는 경우 부러지며, 이에 따라 차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과도한 벤딩으로 발생한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벤드 센서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a)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3(a)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b)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한 장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1-1 내지 21-5)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미도시)는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중심 영역이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아래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윗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가로 방향의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출력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가 상하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장력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2-1 내지 22-5)에 가해지게 된다. 감지부(미도시)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c)에서는 Z+ 방향의 벤딩을 도시하였으나, Z-방향의 벤딩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인 경우,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벤드 센서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a)에 따르면, 벤드 센서 (71)는 원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폐곡선 상에서 출력값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을 벤딩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도 4(b)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b)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2 면에 배치된다.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제2 면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각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중앙부가 벤딩되는 경우, 폴딩 또는 롤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조건 별로 제1 및 제2 벤드 센서(71,72)의 출력값 및 출력 지점이 달라지게 되는 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출력값 특성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벤딩, 폴딩 및 롤링 등의 각 변형 형태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4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5(a)와 같이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중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중심 영역인 a3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41-1)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벤드 센서(41-1)이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벤딩 정도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벤드 센서(4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감지부(미도시)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특정 지점에서 최대값을 갖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출력되는 저항값이 점차 작아지면, 최대 저항값이 검출된 영역이 제일 큰 벤딩이 이루어진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미도시)는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판단하고, 저항값이 일정 크기 이상 변한 영역은 벤딩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진 벤딩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c)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벤드 센서들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면마다 상이하게 부여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3(a)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벤드 센서들이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벤딩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벤딩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부(미도시)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의 횟수, 형태가 변화되는 벤딩 속도,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개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내이면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반면,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중 그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지점이 존재하면, 이들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b) 및 도 5(c)을 참조한다.
도 5(b)는 하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벤드 센서(41-1)의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의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의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의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의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벤드 센서(41-1 내지 41-5)에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은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감지부(미도시)는 벤드 센서(4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4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도 5(c)는 복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에 따라, 벤드 센서(41-1)의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및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의 b1 지점부터 b2 지점까지 및 b4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의 c1 지점부터 c2 지점까지 및 c4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의 d1 지점부터 d2 지점까지 및 d4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의 e1 지점부터 e2 지점까지 및 e4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벤드 센서(41-1)에서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및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는 각 지점을 기준으로 보면 각각 연속되지만 a2 지점 및 a4 지점 사이에는 a3 지점이 존재하므로 a2 지점부터 a4 지점까지는 연속적이지 않다. 따라서, a2 지점부터 a4 지점까지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것으로 보면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와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는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벤드 센서들(41-2 내지 41-5)의 각 지점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41-1)에서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에서 b1 지점부터 b2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에서 c1 지점부터 c2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에서 d1 지점부터 d2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에서 e1 지점부터 e2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44)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정의하고, 벤드 센서(41-1)에서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에서 b4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에서 c4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에서 d4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에서 e4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45)을 다른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벤딩 영역은 벤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이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도 5(b)의 경우 벤딩 영역(4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4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4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4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43)을 벤딩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벤딩 라인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c)의 경우, 벤딩 영역(4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1 지점,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1 지점, 벤드 센서(4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1 지점, 벤드 센서(4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1 지점, 벤드 센서(4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1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46)을 하나의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4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5 지점,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5 지점, 벤드 센서(4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5 지점, 벤드 센서(4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5 지점, 벤드 센서(4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5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46)을 다른 하나의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즉, 도 5(c)에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근에서 두 개의 세로 방향 벤딩 라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이 중앙을 향하는 형태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5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즉, 벤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벤드 센서(51-1)는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가 가장 큰 a3 지점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되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즉, 벤드 센서(5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는 폴딩이 이루어지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지점에서는 저항 값이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로 센싱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폴딩인지 일반 벤딩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가 이루어지는지까지 고려하여 폴딩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6(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앞면으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면에서 서로 이격된 영역이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의 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며, 저항 값의 변화 정도도 일반 벤딩의 경우보다 더 크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이 이루어진 가장자리 경계로부터 벤딩 라인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산출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폴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폴딩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폴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폴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부러진 영역으로, 벤딩의 경우와 같이 벤드 센서가 구부러짐에 따라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영역을 정의 및 구분하는 방식은 벤딩 영역에서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출력되는 저항값이 원 상태에서와 다른 지점들 즉, 벤드 센서(5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5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5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5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5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52)을 하나의 폴딩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두 개로 구분된다. 폴딩 라인은 각 폴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라인은 벤딩 라인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b)의 경우, 폴딩 영역(52)에서 벤드 센서(5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5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5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5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5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53)이 폴딩 라인이 된다.
폴딩이 감지되었을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벤딩 시의 동작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각 폴딩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이처럼 롤링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롤링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 벤드 센서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는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역시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게 된다.
롤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벤딩이 일정 곡률 이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롤링이 이루어지면, 일반 벤딩이나 폴딩의 경우보다 벤딩 영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크기 이상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졌다고 감지되면, 롤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또한, 롤링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일측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표면 내측으로 롤링되면, 디스플레이 표면, 즉, 앞면과 벤드 센서(60-1)가 배치된 뒷면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다른 예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 및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따라 롤링 상태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부(미도시)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 및 뒷면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에서 각각 터치가 감지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들 간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롤링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롤링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60)가 벤딩되어 롤링 상태가 되는 영역 전체를 의미한다. 롤링 영역도, 일반 벤딩 및 폴딩의 경우와 같이 원 상태에서와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롤링 영역을 정의 및 구분하는 방식은 벤딩 및 폴딩 영역에서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b)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60)가 전체적으로 롤링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영역(61)이 롤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도 13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부분적으로 롤링되고 원 상태에서와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이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경우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62, 63)이 서로 다른 롤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벤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부(미도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벤딩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부(미도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벤딩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즉, 벤딩 각도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에서 일정한 간격마다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정도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벤드 센서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의 저항값과 그 지점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사이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저항값 차이를 이용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된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마다 일정한 범위를 갖는 저항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벤딩된 정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속하는 레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정도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채널 재핑(zapping)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벤딩 정도가 크다면 채널 재핑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채널 재핑 범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반면, 벤딩 정도가 낮다면 더 느리게, 더 작은 채널 개수 단위로 채널 재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볼륨 조절이나 컨텐츠 전환 등의 동작 시에도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일 예로는, 벤드 센서를 두 개로 중첩시켜 배치하여,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의 크기 변화의 차이에 따라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일반 벤딩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폴딩 및 롤링의 경우에도 벤딩과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70)의 일 측에는 두 개의 벤드 센서(71, 72)가 서로 중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71) 및 하위 벤드 센서(72)의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71, 72)의 저항 값을 비교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위쪽 벤드 센서(71)보다 아래쪽 벤드 센서(7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8(b)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뒷면 방향으로 벤딩되면, 위쪽 벤드 센서(71)에서 아래쪽 벤드 센서(7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 벤드 센서(71, 7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d)는 두 벤드 센서(71, 72)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으로부터 수직한 제1 방향(이하, Z+ 방향)으로 벤딩될 때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 중에서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반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이하,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될 때는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벤딩 방향에 따라 두 벤드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은 서로 다르게 검출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값의 검출 특성에 따라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d)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즉,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그 벤딩 방향에 따라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그 출력 값의 특성을 확인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벤딩 방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단편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 측면 즉, 전면 및 후면 방향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 전면 방향에 배치된 스트레인지 게이지는 전면 방향 즉, Z+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는 경우의 벤딩을 감지하고, 후면에 배치된 스트레인지 게이지는 후면 방향 즉, Z-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는 경우의 벤딩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면 즉,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 및 후면으로의 벤딩을 모두 감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된 경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가장 작은 저항값을 출력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내장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감지부(120)는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한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지점을 임의의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b)와 같이 일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1 ~ 80-n) 중에서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80-x)에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해당 스트레인 게이지(80-x)의 출력값이 타 스트레인 게이지들의 출력값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n, 80-n+1, ~~ 80-m) 중에서도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80-y)에 힘이 작용하여,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값이 변한 두 스트레인 게이지(80-x, 80-y)를 연결하는 라인을 벤딩 라인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벤딩 방향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이러한 센서들의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80)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81-1, 81-2)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81-1, 81-2)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81-1, 81-2)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81-1, 81-2)를 각각 배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될 때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0(a)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81-1, 81-2)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10(b)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세로 방향의 각 가속도 센서(81-3, 81-4)에서 감지한 측정값에 따라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80)의 좌우측 가장자리 또는 상하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가속도 센서는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벤딩 영역 및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미도시)는 벤딩 이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가령, 감지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110) 내의 기판(111) 상에 증착된 ITO(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막 및 그 상측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상하판이 접촉되어 전기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제어부(13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전극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한다. 터치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행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피드백 제공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통신부(160), 음성 인식부(170), 모션 인식부(180), 스피커(190), 외부 입력 포트(191-1 ~ 191-n), 전원부(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5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벤딩을 구성하는 각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피드백 효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벤딩 상태를 정의하는 벤딩 영역(또는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반경 등이 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비롯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조작, 특히 벤딩을 감지한다. 도 21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121), 지자기 센서(122), 자이로 센서(123), 가속도 센서(124), 벤드 센서(125), 압력 센서(126), 근접 센서(12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2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방식은 Optp-Matrix-frame이 장착된 모니터에 손가락이 같이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체로 화면 터치 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이 차단되어 반대편의 포토 트랜지스터에 감지가 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위치를 센싱하는 방식이다.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은 초음파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특성과 일정한 시간에 진행하는 거리는 일정하다는 소리의 전파 특성을 이용한 간단한 원리로 구현한 방식으로 트랜스미터와 리플렉터를 통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소리의 시간 간격을 센싱하는 방식이다.
또한,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은 일측 모서리를 손으로 누르면 네 모서리의 장력 측정 장치 중 눌려진 모서리에 위치한 장력 측정 장치가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면, 늘어나는 힘의 정도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되어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구성을 이용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네 모서리의 전기적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여 터치 위치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피에조 효과 방식은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때 터치 압력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네 모서리에서 받는 압력의 정도가 각각 다르게 되며, 컨트롤러가 이러한 압력의 정도에 따른 비율을 계산하여 좌표값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지자기 센서(122)는 방위각(azimuth)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지자기 센서(106)는 지구의 남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감지하여 방위각을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122)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자기의 세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3축 지자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2)로 측정되는 북쪽 방향은 자북(magnetic north)일 수 있다. 다만, 지자기 센서가 자북의 방향을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내부적인 연산을 거쳐 진북(true north)의 방향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자이로(gyro)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관성 센서이다. 즉, 회전하는 물체가 가진 관성력을 이용하여 현재의 방향을 알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자이로 센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회전각의 증감분을 측정하는 3축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2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124)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 및 각가속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124)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직선 속도의 증감분을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속도 센서(124)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짐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지자기 센서(122), 자이로(gyro) 센서(123) 및 가속도 센서(12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6)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6)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압력 센서(126)가 터치 센서(121)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센서(121)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60)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27)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27)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지부(120)는 그립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 센서(미도시)는 압력 센서(126)와 별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미도시)는 상술한 터치 센서(121)나 압력 센서(126)로 구현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30)는 소리 피드백 제공부(131), 화면 피드백 제공부(132) 및 햅틱 피드백 제공부(133)를 포함한다.
소리 피드백 제공부(131)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소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피드백 제공부(131)는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프음, 음성 메시지 등의 소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 피드백 제공부(132)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피드백 제공부(132)는 화면 색상을 점차 어둡게 하거나, 화면을 깜박거리게 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피드백 제공부(133)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이라 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진동이나 힘, 충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컴퓨터 촉각 기술이라고도 한다.
특히, 햅틱 피드백 제공부(133)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감지된 벤딩 정도에 따라 진동 조건(예를 들어, 진동 주파수, 진동 길이, 진동 강도, 진동 파형 , 진동 위치 등)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방식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햅틱 피드백 제공부(13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면(디스플레이부(110)가 존재하는 면)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뒷면에도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햅틱 피드백 제공부(13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테두리 부분)에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햅틱 피드백 제공부(133)가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피에조 센서(piezo sensor)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피드백 제공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피드백 제공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14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부(16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60)는 방송 수신 모듈(16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2), GPS 모듈(163), 무선 통신 모듈(16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161)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2)이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GPS 모듈(163)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164)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 모듈(160)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벤딩 조작이나 터치 조작 이외에 음성 입력이나 모션 입력을 인식하여, 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170) 또는 모션 인식부(18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0)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음성 취득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음향을 수집한 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기 설정된 음성 코맨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부(18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상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 코맨드에 대응되는 모션 제스쳐를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모션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채널 재핑, 장치 턴온, 턴오프, 일시 정지,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음소거 등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가 음성 또는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외부 입력 포트 1, 2 ~ n(191-1 ~ 191-n)들은 각각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 헤드셋 포트, 마우스 포트, LA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200)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20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전원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20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재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11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드시 전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구성요소만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품 종류에 따라 구성요소들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또는, 타 구성요소들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감지부(120), 음성 인식부(170), 모션 인식부(180) 등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어부(14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시스템 메모리(141), 메인 CPU(142), 이미지 프로세서(14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 저장부 인터페이스(14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6-1 ~ 146-n), 오디오 처리부(147), 시스템 버스(148)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141), 메인 CPU(142), 이미지 프로세서(14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 저장부 인터페이스(14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6-1 ~ 146-n), 오디오 처리부(147)들은 시스템 버스(148)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6-1 ~ 146-n)는 감지부(12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제어부(140) 내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도 22에서는 감지부(120)가 제1 인터페이스(146-1)로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20)가 다양한 유형의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센서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6-1 ~ 146-n)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 부분에 마련된 버튼이나, 외부 입력 포트 1 내지 n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141)는 ROM(141-1) 및 RAM(141-2)을 포함한다. ROM(141-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2)는 ROM(141-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41-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2)에 복사하고, RAM(141-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메인 CPU(14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145)는 저장부(150)와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벤딩 조작 또는 터치 조작을 수행하면, 메인 CPU(14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45)를 통해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 후, 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벤딩 조작 또는 터치 조작을 수행하면, 메인 CPU(14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메인 CPU(142)는 이미지 처리부(143)를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 화면을 구성한다.
이미지 처리부(143)는 디코더, 렌더러, 스케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미지 처리부(143)는 처리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 밖에, 오디오 처리부(147)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190)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147)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나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노이즈 필터링한 후, 적정 데시벨로 증폭하는 등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47)는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디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부(143)와 동기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190)로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령, 메인 CPU(142)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를 통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CPU(142)는 이미지 처리부(143)를 제어하여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감지된 벤딩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벤딩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부(150)로부터 독출한 후, 그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부(140)의 동작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15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따르면, 저장부(150)에는 베이스 모듈(2310), 디바이스 관리 모듈(2320), 통신 모듈(2330), 프리젠테이션 모듈(2340), 웹 브라우저 모듈(2350), 서비스 모듈(23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2310)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2310)은 스토리지 모듈(2311), 위치 기반 모듈(2312), 보안 모듈(2313), 네트워크 모듈(23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23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위치 기반 모듈(2312)이란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23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23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2320)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2320)은 센싱 모듈(2321), 디바이스 정보관리 모듈(2322), 원격 제어 모듈(2323)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2321)은 감지부(120) 내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물체의 위치나 사용자의 위치, 색상, 형태, 크기 및 기타 프로필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센싱 모듈(2321)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 모듈(2322)은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며, 원격 제어 모듈(2323)은 전화기나 TV, 프린터, 카메라, 에어컨 등과 같은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통신 모듈(2330)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2330)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23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23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34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3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3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23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23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23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2342-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2342-2),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2342-3),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234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2350)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2350)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비스 모듈(2360)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모듈(2360)은 지도나 현재 위치, 랜드 마크, 경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광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 내의 메인 CPU(14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45)를 통해서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모듈들을 RAM(141-2)에 복사하고, 복사된 모듈의 동작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CPU(142)는 센싱 모듈(2321)을 이용하여 감지부(120) 내의 각종 센서들의 출력값을 분석하여, 벤딩 영역,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벤딩 횟수, 벤딩 각도, 벤딩 속도, 터치 영역, 터치 횟수, 터치 강도, 압력 크기, 근접 정도, 사용자 그립 여부 등을 확인한 후, 벤딩 조작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메인 CPU(132)는 벤딩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 모듈(2310)의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해당 벤딩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모듈을 구동시켜,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동작인 경우라면, 메인 CPU(142)는 프리젠테이션 모듈(2340) 내의 이미지 조합 모듈(2342-1)을 이용하여, GUI 화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좌표 조합 모듈(2342-2)을 이용하여, GUI 화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에 GUI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메인 CPU(14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동작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대응되는 모듈을 구동시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동작에 대응되는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메인 CPU(142)는 메시징 모듈(2341)을 실행시켜, 메시지 관리 서버로 액세스한 후,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 CPU(142)는 프리젠테이션 모듈(2340)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화면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다. 이 밖에, 전화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메인 CPU(142)는 전화 모듈(2332)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저장부(150)에는 다양한 구조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벤딩되는 경우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소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삐삐~"와 같은 비프음 형태의 소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정도는 벤딩 영역 특히 벤딩 라인이 형성된 영역에서의 벤딩 곡률 반경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벤딩되는 경우 벤딩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상이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상으로 변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화면이 전체적으로 깜박이거나, 일부 영역의 색상이 변하는 형태와 같이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화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예를 들어, 테두리 영역)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정 영역에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갖는 소자부(17)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영역은 리지드 영역 등을 제외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자부(17)가 장착된 영역에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초과하는 벤딩이 있는 경우, 소자부(17)는 부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고장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소자부(17)의 상태를 확인하여 고장이 과도한 벤딩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역 별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임계치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으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형태인 경우,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벤딩 라인(18-1)이 형성되는 영역의 임계치는 낮게 설정하여 과도한 벤딩이 이루어지더라도 대응되는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벤딩 라인(18-2)이 형성되는 영역의 임계치는 높게 설정하여 어느 정도의 벤딩이 이루어지면,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벤딩의 경우 가로 방향 벤딩의 경우보다 임계치를 높게 설정하여 동일한 벤딩 정도로 벤딩이 이루어지더라도 세로 방향 벤딩은 대응되는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고, 가로 방향 벤딩은 대응되는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번째 라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벤딩과 가로 방향 벤딩이 동일한 벤딩 정도로 벤딩된 경우 세로 방향 벤딩의 경우 피드백에 제공되지 않고, 가로 방향 벤딩의 경우에만 피드백이 제공된다. 또한, 세번째 라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벤딩은 벤딩이 더 이루어진 후에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세로 방향 벤딩 및 가로 방향 벤딩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대각선 방향 벤딩, 세로 또는 가로 방향 벤딩의 경우에도 영역 별로 상이한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해 과도하게 벤딩되어 인접 영역에 배치된 기능 모듈의 정상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때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어 카메라 모듈이 정상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가려지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때 대응되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영역이 벤딩이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 벤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이 정상 동작할 수 없다는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종류의 피드백(예를 들어, 진동)이 강도를 다르게 하여 제공되거나, 서로 다른 종류(예를 들어, 진동+비프음)의 피드백이 동시에 제공되는 형태로 상이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에 대응되는 피드백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이 제공되는 임계치를 낮게 설정하고,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 벤딩 정도에 따라 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1 레벨의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 약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고, 제2 레벨의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 중간 정도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고, 제3 레벨의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및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소리 피드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3 레벨의 벤딩의 경우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만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에서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 횟수가 증가할수록 더 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좌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약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우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중간 정도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우측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째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강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에 대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해당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상이한 피드백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1) 및 제2 영역(232)에 대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해당 영역 각각에 기설정된 피드백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231)에 설정된 "삐삐삐~" 형태의 비프음 및 제2 영역(232)에 설정된 "뚜뚜뚜~" 형태의 비프음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영역(231) 및 제2 영역(232)에 대응되는 영역에 국부적인 진동이 발생되는 형태로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240), 디스플레이부(110) 및 그립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담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11과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일부 센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체(230)에 탑재될 수 있다. 본체(2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롤링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 롤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본체(34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241)를 파지하여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 롤러가 롤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링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24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회전 롤러에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241)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당기면, 스토퍼에 의해 회전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회전 롤러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240) 내로 다시 롤링될 수 있다. 스토퍼는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롤러 및 스토퍼에 대해서는 통상의 롤링 구조체에서 사용되는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240)에는 전원부(200)가 포함된다. 전원부(200)는 1회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연결부, 사용자가 복수 횟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24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부(2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24에서는 원통형 구조의 본체(240)가 도시되었으나, 본체(24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340)로부터 내장된 상태에서 풀링(pulling)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본체 외부를 감싸는 형태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25는 전원부(2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따르면, 전원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전원부(2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부(200)는 음극 집전체, 음극 전극, 전해질부, 양극 전극, 양극 집전체 및 이들을 덮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전체는 탄성 특성이 좋은 TiNi계와 같은 합금류,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순금속류, 탄소가 코팅된 순금속, 탄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극 전극은 리튬,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카드늄, 수소저장합금, 납 등의 금속류와 탄소 등의 비금속류 그리고 유기황과 같은 고분자 전극 물질과 같은 음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은 황 및 금속 황화물, LiCoO2 등 리튬천이금속산화물, SOCl2, MnO2, Ag2O, Cl2, NiCl2, NiOOH, 고분자 전극 등의 양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해질부는 PEO, PVdF, PMMA, PVAC 등을 이용한 겔(g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복부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C, HDPE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실 형태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피복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200) 내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원부(2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커넥터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홈의 결합에 의해 전원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원부(200)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전원 연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전원부(2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부(200)의 위치 및 형태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전원부(2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피드백 제공 방법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벤딩이 이루어지면, 벤딩을 감지한다(S2610).
이어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20).여기서, 기설정된 임계치는 기설정된 곡률 반경이 될 수 있다.
S2520 단계에서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S2620:Y), 그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한다(S2630).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S2630 단계에서는, 기 저장된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피드백 제공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S2630 단계에서는, 기 저장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S2630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발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벤딩 발생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S2630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S3630 단계에서는,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거나 그래픽 메시지를 출력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소리 피드백,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피드백은, 화면의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화면을 깜박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벤딩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벤딩 조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벤딩과 관련된 정보는, 벤딩 위치, 벤딩 유지 시간, 및 벤딩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는 플렉서블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피드백을 제외한 소리 피드백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방법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드백 형태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과도한 벤딩이 감지되는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도한 벤딩으로 인한 기기 파손, 비정상 동작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방법들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벤딩 라인이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에 도달할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 감지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술한 프로그램이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벤딩 상태에 따른 직관적인 피드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피드백 제공부 140 : 제어부
150: 저장부

Claims (2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벤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피드백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피드백 제공 형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벤딩 정도에 따른 피드백 제공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거나 그래픽 메시지를 출력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소리 피드백,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피드백은,
    상기 화면의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상기 화면을 깜박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벤딩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과 관련된 정보는,
    벤딩 위치, 벤딩 유지 시간, 벤딩 정도 및 벤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는,
    기설정된 곡률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영역에 장착되며,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갖는 소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부는,
    상기 소자부가 장착된 영역에 상기 기설정된 응력 한계 계수를 초과하는 벤딩 조작이 있는 경우 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드백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벤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피드백 제공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벤딩 영역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이루어진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벤딩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거나 그래픽 메시지를 출력하는 형태의 화면 피드백,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소리 피드백,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벤딩의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벤딩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제공 방법.
KR1020120089641A 2012-08-16 2012-08-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KR20140023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41A KR20140023066A (ko) 2012-08-16 2012-08-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RU2015108909A RU2617385C2 (ru) 2012-08-16 2013-08-08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для него
PCT/KR2013/007174 WO2014027796A1 (en) 2012-08-16 2013-08-08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eedback providing method thereof
EP13879639.6A EP2885691B1 (en) 2012-08-16 2013-08-08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eedback providing method thereof
CN201380043093.XA CN104583905A (zh) 2012-08-16 2013-08-08 柔性显示装置及其反馈提供方法
IN1904DEN2015 IN2015DN01904A (ko) 2012-08-16 2013-08-08
US13/965,675 US20140049463A1 (en) 2012-08-16 2013-08-13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eedback provi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41A KR20140023066A (ko) 2012-08-16 2012-08-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066A true KR20140023066A (ko) 2014-02-26

Family

ID=5009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641A KR20140023066A (ko) 2012-08-16 2012-08-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049463A1 (ko)
EP (1) EP2885691B1 (ko)
KR (1) KR20140023066A (ko)
CN (1) CN104583905A (ko)
IN (1) IN2015DN01904A (ko)
RU (1) RU2617385C2 (ko)
WO (1) WO201402779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8861A (zh) * 2014-09-24 2015-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及其弯曲识别方法、柔性显示装置
KR20160127282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햅틱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80012390A (ko) 2016-07-26 2018-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9066594A1 (ko) * 2017-09-29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0155B2 (en) * 2008-11-18 2013-1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ellular phone
KR20160003031A (ko) 2013-04-26 2016-01-08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셀들의 어레이를 이용한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들 및 제스처들의 시뮬레이션
US9939900B2 (en) * 2013-04-26 2018-04-1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US10209955B2 (en) * 2013-11-15 2019-02-19 Kopin Corporatio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feedback for head mounted displays (HMD)
US9904360B2 (en) 2013-11-15 2018-02-27 Kopin Corporation Head tracking based gesture control techniques for head mounted displays
US9483997B2 (en) 2014-03-10 2016-11-01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infrared signaling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9696414B2 (en) 2014-05-15 2017-07-04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sonic signaling
US10070291B2 (en) 2014-05-19 2018-09-04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low energy bluetooth
US9690381B2 (en) 2014-08-21 2017-06-2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ape input and output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KR20160033507A (ko) * 2014-09-18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35550B2 (en) 2014-11-25 2017-01-0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formation-based haptic effects
CN104461010B (zh) 2014-12-23 2018-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令信号生成装置、柔性设备及弯曲监测方法
US9772180B2 (en) 2014-12-26 2017-09-26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device curvature in smart bendable systems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E102015200037A1 (de) * 2015-01-05 2016-07-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mit verbesserter haptischer Rückmeldung
CN104571534B (zh) * 2015-02-10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震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US9734779B2 (en) 2015-02-12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of wearable displays
US9747015B2 (en) 2015-02-12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US9851756B2 (en) 2015-03-19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mmending bending lines on flexible displays
US10937393B2 (en) * 2015-04-15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CN104848798B (zh) 2015-06-08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及柔性显示屏的弯曲状态检测方法
US9671992B2 (en) * 2015-06-17 2017-06-06 Dell Products L.P. Flexible display device monitoring system
CN105138076B (zh) * 2015-08-03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096752B (zh) * 2015-08-25 2018-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396458B1 (ko) 2015-08-26 2022-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장치
KR20170077670A (ko) * 2015-12-28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874211A (zh) * 2016-05-09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CN107702636A (zh) * 2016-08-09 2018-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弯曲检测方法及装置、终端
EP3564797A4 (en) * 2016-12-29 2020-08-19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SCREEN AND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BENDING OF A FLEXIBLE DISPLAY SCREEN
US10444912B2 (en) * 2016-12-30 2019-10-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nsing method of sensing device and stretchable sensor device
CN108267077A (zh) * 2017-01-04 2018-07-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屏弯曲识别方法、装置以及一种柔性屏
CN106952582A (zh) * 2017-05-10 2017-07-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弯折行为反馈功能的柔性显示装置及反馈方法
CN110462358B (zh) * 2017-07-26 2021-05-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设备
WO2019069730A1 (ja) * 2017-10-02 2019-04-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折り畳み構造に用いられる押圧センサ及び電子機器
CN107885636A (zh) * 2017-11-07 2018-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提醒方法、装置及终端
CN109840063B (zh) * 2017-11-29 2022-05-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音量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440848B2 (en) 2017-12-20 2019-10-08 Immersion Corporation Conformable display with linear actuator
CN108182137B (zh) * 2018-01-31 2022-09-20 杭州魁客科技有限公司 屏幕安全预警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63551B (zh) * 2018-02-28 2021-07-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告警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38203A (zh) * 2018-04-16 2018-09-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非正常弯曲告警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8696639A (zh) * 2018-05-10 2018-10-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熄屏显示方法、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10719347A (zh) * 2018-07-13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CN109407881B (zh) * 2018-09-13 2022-03-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曲面触摸屏的触控方法、装置和家电设备
US11460725B2 (en) * 2018-12-04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817246B2 (en) * 2018-12-28 2020-10-27 Baidu Usa Llc Deactivating a display of a smart display device based on a sound-based mechanism
CN110290283B (zh) * 2019-06-03 2020-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震动的方法、装置及折叠屏设备
CN110726363B (zh) * 2019-10-14 2021-11-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1025965A (zh) * 2019-11-28 2020-04-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741145B (zh) * 2019-12-05 2022-04-12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屏幕调整装置、方法及移动终端
CN111694436B (zh) * 2020-06-18 2022-09-0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触觉效果的实现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198065A (zh) * 2020-08-27 2021-0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弯折测试设备及弯折测试方法
US11343415B1 (en) * 2021-03-16 2022-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amera alignment in a rollable display device
CN114120840B (zh) * 2021-12-11 2023-05-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形变控制方法及形变控制装置
CN115086479B (zh) * 2022-06-30 2024-02-09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US11740665B1 (en) * 2022-08-05 2023-08-29 Lenovo (United States) Inc. Foldable computer to sense contact of touch-enabled surface with other portion of computer while computer is close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651A (en) * 1990-09-19 1992-02-11 Bruce Westermo Strai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in mechanical structures subjected to stress
US7456823B2 (en) *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JP4461778B2 (ja) * 2003-11-19 2010-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
TW200717420A (en) * 2005-06-29 2007-05-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oldable devices having flexible display screens
JP2008033739A (ja) * 2006-07-31 2008-02-14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圧力測定に基づく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62115A1 (en) * 2006-09-13 2008-03-13 Houston Brow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 failure of a backlight for an LCD display
US20100224603A1 (en) * 2007-06-18 2010-09-09 Donadon Safety Discs And Devices S.R.L. Method for production of safety/rupture discs having pre-calculated breaking threshold
JP4909922B2 (ja) * 2008-02-29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撓操作可能な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情報表示用インタフェース
RU2412463C2 (ru) * 2008-04-08 2011-02-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го меню
US8018346B2 (en) * 2008-06-19 2011-09-13 Mark Gottlieb Back bend sensor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JP5640365B2 (ja) * 2009-12-07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078899B1 (ko) * 2010-01-29 2011-11-0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RU97678U1 (ru) * 2010-05-18 2010-09-20 Нина Борисовна Баканова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оператив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 доставке корреспонденции в многоуровневой системе управления
KR20120015890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62106B2 (en) *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KR101664418B1 (ko) *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89625B1 (ko) *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09882A1 (en) * 2011-07-07 2013-01-10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US8669956B2 (en) * 2011-12-30 2014-03-11 Lg Electronics Inc. Bending threshold and releas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8861A (zh) * 2014-09-24 2015-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及其弯曲识别方法、柔性显示装置
US9881977B2 (en) 2014-09-24 2018-01-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screen and bend identifying method thereof,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60127282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햅틱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80012390A (ko) 2016-07-26 2018-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9066594A1 (ko) * 2017-09-29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5691A4 (en) 2016-01-20
EP2885691A1 (en) 2015-06-24
EP2885691B1 (en) 2018-10-03
IN2015DN01904A (ko) 2015-08-07
WO2014027796A1 (en) 2014-02-20
CN104583905A (zh) 2015-04-29
RU2617385C2 (ru) 2017-04-24
US20140049463A1 (en) 2014-02-20
RU2015108909A (ru)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239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98368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2885691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eedback providing method thereof
US9886187B2 (en)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1637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19848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
US1001905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KR102145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48665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295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389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4004422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5518579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1161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2783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417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