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066B1 -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066B1
KR101785066B1 KR1020150012850A KR20150012850A KR101785066B1 KR 101785066 B1 KR101785066 B1 KR 101785066B1 KR 1020150012850 A KR1020150012850 A KR 1020150012850A KR 20150012850 A KR20150012850 A KR 20150012850A KR 101785066 B1 KR101785066 B1 KR 10178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lexible display
flexible
layout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521A (ko
Inventor
이가은
김대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529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5297281B2/en
Priority to PCT/KR2015/006877 priority patent/WO2016017948A1/en
Priority to US14/795,025 priority patent/US11068074B2/en
Priority to EP15178859.3A priority patent/EP2980674B1/en
Priority to EP20161052.4A priority patent/EP3680750B1/en
Priority to TW108130262A priority patent/TWI720595B/zh
Priority to TW104124613A priority patent/TWI564859B/zh
Priority to TW105137038A priority patent/TWI673694B/zh
Priority to CN202011047370.2A priority patent/CN112181203B/zh
Priority to CN201510463520.0A priority patent/CN105320352A/zh
Publication of KR2016001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4Electronic books and readers

Abstract

폴더블 디바이스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unfolding) 동작을 감지하고, 펼침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되도록 레이아웃의 표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Flexibl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facing thereof}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입출력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Panel)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유리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고 다닐 수 있는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거나 접히는 성질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싱 방식들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WO 2012/108715 (2012.08.16) US 2014/0049464 (2014.02.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출력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unfolding)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펼침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표현이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되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unfolding angle) 또는 펼침 곡률(unfolding curvature)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펼침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에 대응되는,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현의 변화 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까지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결정된 변화 요소에 따라 상기 표현이 변화되는 상기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에 대응되는 활성 영역 상에 할당될 픽셀들의 배치를 조절함으로써 영상 왜곡이 보상된 상기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활성 영역 상에 상기 생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또는 펼침 곡률들마다, 상기 펼침 각도들 각각에 또는 상기 펼침 곡률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이하의 펼침 각도들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 이하의 펼침 곡률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레이아웃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폴딩 축,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화면의 가장자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화면의 소정 일부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시를 시작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즐겨찾기(favorite)로 지정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shortcut)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배치(arrangeme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외형(appearanc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상기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아웃이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각도들마다 또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곡률들마다,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배치,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외형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아웃이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각도들마다 또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곡률들마다, 상기 하나의 객체의 외형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레이아웃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운영체제의 잠금 화면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펼침 동작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형태 전환을 나타낸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펼침(unfolding)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펼침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표현이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되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unfolding angle) 또는 펼침 곡률(unfolding curvature)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펼침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에 대응되는,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현의 변화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까지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결정된 변화 요소에 따라 상기 표현이 변화되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또는 펼침 곡률들마다, 상기 펼침 각도들 각각에 또는 상기 펼침 곡률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레이아웃의 레이아웃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펼침 각도 이하의 펼침 각도들 또는 상기 감지된 펼침 곡률 이하의 펼침 곡률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레이아웃을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즐겨찾기(favorite)로 지정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shortcut)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배치(arrangeme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외형(appearanc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상기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아웃이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각도들마다 또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곡률들마다,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배치,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외형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아웃이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각도마다 또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펼침 곡률마다, 상기 하나의 객체의 외형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형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펼침 동작을 감지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침(unfolding)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펼침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상기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되어 변화되도록 상기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동작, 구부림 동작 등에 연동하여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하는 레이아웃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감성과 아날로그 감성이 융합된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펼침 동작, 구부림 동작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이 보상된 레이아웃을 제공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관계 없이 레이아웃에 대한 사용자의 가독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레이아웃 조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 형상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b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휨 곡률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연동될 객체들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부채 형상의 표시 형태를 갖는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회전식 메뉴판 형상의 표시 형태를 갖는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3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하나의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하나의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사진으로 표시된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동영상으로 표시된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에 연동하여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잠금 화면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a 내지 3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에 연동하여 동적으로 변화되는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레이아웃들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물방울 형상의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한(correct)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때의 레이아웃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folding 또는 bending) 때의 레이아웃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의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상에 전자 책(e-book)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a 및 5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보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보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에 의존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운드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운드 출력 방향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운드 출력 방향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와의 입력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입력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정도에 대응되는 제 1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입력된 좌표 값에 대응되는 제 3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입력 수단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 4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폴딩 동작(folding motion)”또는 “벤딩 동작(bending motion)”이란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거나 또는 휘어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반대로,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언폴딩 동작(unfolding motion)”또는 “언벤딩 동작(unbending motion)”이란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의는, 후술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변형(deforming)”이란 “폴딩(접힘)” 또는 “벤딩(휨)” 등과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외적 형태가 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변형(deforming)”의 용어는 “폴딩(접힘)”, “언폴딩(펼침)(unfolding)”, “벤딩(휨 또는 구부러짐)”, “언벤딩(펼침)(unbending)” 등의 용어로 대체되어 해석될 수 있다.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들에 대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실시예들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레이아웃”의 용어는, 특정 변형 정도, 예를 들어 특정 펼침 각도에서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이아웃은 특정 변형 정도(예를 들어, 특정 펼침 각도)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표시 형태, 배치, 배열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12 또는 3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도”의 레이아웃과, “90도”의 레이아웃, 또는 “135도”의 레이아웃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45도”의 레이아웃, “90도”의 레이아웃, 또는 “135도”의 레이아웃 등에서 레이아웃은, 객체들이 차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의 표시 형태, 배치, 배열 등의 변화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45 등에 전반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디바이스, 전자북 디바이스,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채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특정 각도(angle) 또는 특정 곡률(curvature)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특정 곡률로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원통형으로 말릴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deform)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기존의 디스플레이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내에서 처리된 정보 또는 처리될 정보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싱 기능을 갖는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잠금 화면, 배경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입력 인터페이싱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종류로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벤더블 디바이스,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롤러블 디바이스 등에 해당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unfolding angle)가 변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접힌 상태, 즉 펼침 각도가 “0도”인 상태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완전히 접힌 상태(펼침 각도가 “0도”)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어떠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도 표시될 필요가 없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완전히 접힌 상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전원은 켜져 있으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등에 해당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오픈하여야 하고,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외부로 점점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오픈 동작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펼침(unfolding)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 전체에서 “펼침 동작(unfolding motion)”이란,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가 “0도”를 초과하여 최대 “180도”까지 증가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을 외부로 점점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펼침 동작의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가 “0도”로부터 “45도”로 변화(또는 증가)되는 움직임, 또는 펼침 각도가 “90도”로부터 “135도”로 변화되는 움직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펼침 동작에 따른 펼침 각도의 시작 및 끝은 “0도”부터 “180도” 사이의 어느 각도라도 해당될 수 있다. 한편, 펼침 동작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시 영역은 확대될 수 있다.
반대로, “접힘 동작(folding motion)”이란,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가 점차 감소되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힘 동작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시 영역은 축소될 수 있다. 접힘 동작의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가 “45도”로부터 “1도”로 변화(또는 감소)되는 움직임, 또는 펼침 각도가 “180도”로부터 “135도”로 변화되는 움직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마찬가지로, 접힘 동작에 따른 펼침 각도의 시작 및 끝은 “0도”부터 “180도” 사이의 어느 각도라도 해당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이하 설명될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이 하나의 폴딩 축에 의해 접힐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이하 설명될 도 5a 또는 도 5b와 같이 둘 이상의 폴딩 축을 구비할 수 있다. 폴딩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라인을 의미한다. 폴딩 축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구비된 힌지 수단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축이 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대칭적으로 접힐 때는 폴딩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운데 라인일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비대칭적으로 접힐 때는 폴딩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운데 라인이 아닐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펼쳐지기 시작하는 시점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비로소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펼쳐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정의하기 위한 펼침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거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종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운영체제(OS)의 종류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값으로서,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45도” 각도로 펼쳐진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객체들의 레이아웃(13)이 표시된다. 도 1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45도” 각도로 펼쳐진 경우 양 쪽에 각각 2개의 객체들의 레이아웃(13)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객체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컨텐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숏컷(shortcut), 잠금 화면(lock screen)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레이아웃(13)의 객체가 클릭될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또는 해당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보다 많이 펼쳐지면서 펼침 각도가 “135도” 각도의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45도” 각도일 때보다 외부로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45도” 각도일 때보다 넓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135도” 각도로 펼쳐진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객체들의 레이아웃(13)이 표시된다. 도 1에서는, 펼침 각도가 “45도” 각도일 때와 비교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135도” 각도로 펼쳐진 경우 양 쪽에 각각 4개의 객체들의 레이아웃(13)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0도”, “45도”, “135도”를 거쳐 점차 펼쳐짐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13)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펼침 각도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많은 영역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펼침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점차 많은 객체들이 표시되도록 레이아웃(13)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펼침 각도가 “0도”로부터 “135도”로 커질 때, 보다 많은 개수의 객체들의 레이아웃(13)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1에서 설명된, 객체들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은 일 예시일 뿐이다. 이하의 다른 도면들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펼침 각도의 변화에 따라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개수뿐만 아니라,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크기, 배치 등의 다양한 다른 표시 상태들 또한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1 및 이하의 도 2 내지 도 45에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접힘(folding), 휨(bending), 펼침(unfolding), 펼침(unbending) 등)에 연동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싱 측면의 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도 46 내지 도 58에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에 의한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왜곡(display distortion)을 줄여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싱 측면의 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나가아서, 도 59 내지 도 65에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터치 입력의 오류를 줄이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싱 측면의 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 센싱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도 1,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일종인 폴더블 디바이스(1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1)에 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벤더블 디바이스, 롤러블 디바이스 등의 다른 종류들의 디바이스에 해당될지라도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내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다. 폴더블 디바이스(1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폴더블 디바이스(11)가 다른 종류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인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술할 벤더블 디스플레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변형(deform) 정도를 감지한다.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가 변형되는 동안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변형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폴더블 디바이스(11)와 동일한(conform) 형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폴더블 디바이스(11)의 변형 정도는 결국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변형 정도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형태 전환을 감지하고, 이때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펼침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의 형태 전환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접힘 동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펼침 각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나, 센싱부(120)에 의해 펼침 곡률이 감지된 경우에도, 펼침 각도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디스플레이(111) 대신에 벤더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센싱부(120)는 벤더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진 정도를 나타내는 휨(bending)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스플레이(111) 대신에 롤러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센싱부(12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말린(rolling)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종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1)의 종류에 대응되는 다양한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폴더블 디바이스(1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될,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변형 정도에 따라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펼침 동작에 연동하여 시각적 효과가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접힘 동작에 연동하여 시각적 효과가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130)는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에 연동하는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레이아웃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표현의 변화가, 감지된 펼침 동작에 대응되도록 레이아웃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레이아웃 내에 포함될 객체의 표시 상태, 객체에 대응되는 정보 종류 등과 같은 레이아웃을 생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변형 범위 내의 변형 상태들 각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변형 상태들 각각은 펼침 각도 또는 펼침 곡률을 의미할 수 있고, 폴더블 디스플레이(111) 대신에 벤더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변형 상태들 각각은 휨 곡률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펼침 각도 각각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을 미리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펼침 각도들마다 펼침 각도들 각각에 대응되는 레이아웃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펼침 각도 “45도”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45”, 펼침 각도 “90도”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90” 또는 펼침 각도 “135도”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135”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마치 동영상 재생을 위한 복수의 프레임들을 처리하는 것과 같이, 특정 펼침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변화되면서 표시될 레이아웃들을 미리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111) 대신에 벤더블 디스플레이이거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휨 곡률 또는 말린 정도 각각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을 미리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펼침 각도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의 시각적 효과의 변화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효과의 변화 요소는, 예를 들어 레이아웃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배치(arrangement), 외형(appearance) 또는 개수 등을 의미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변형에 연동하여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즉,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펼침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변형 상태들 각각에서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빠르게 표시하는 동영상 재생의 원리와 유사하게,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레이아웃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111)의 변형에 따라 동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디스플레이(111)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이 겹쳐진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싱 기능과 입력 인터페이싱 기능을 겸용한 하드웨어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입력부(310), 출력부(320), 통신부(330), 센싱부(340), 메모리(350), 제어부(360) 및 시선 검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터치 인식 모듈(311), 모션 인식 모듈(312), 키 인식 모듈(313) 및 음성 인식 모듈(314)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320)는 디스플레이부(321), 음향 출력 모듈(322) 및 알람부(323)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330)는 근거리 통신 모듈(331), 무선 인터넷 모듈(332), 이동 통신 모듈(333) 및 유선 인터넷 모듈(3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종류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에는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11)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11)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11)에서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또는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모듈(311)은,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 없이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11)은, 디스플레이부(321)와 복수의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터치 인식 모듈(311)과 디스플레이부(321)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하드웨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3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3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이 아닌,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3차원적인 이동 또는 회전 등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모션 인식 모듈(3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인식 모듈(312)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312)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모션 입력에는 X 축, Y 축, Z 축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이동되는 3차원 모션 입력, 3차원 공간 상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회전되는 회전 모션 입력,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흔들리는 쉐이킹 모션 입력,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울임 모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
키 인식 모듈(313)은, 하드웨어 키(예컨대, 방향 키, 글자 키, 마우스 등)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314)은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제어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321)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처리될 정보 등의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인터페이싱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321)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설명된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디스플레이부(321)의 기능을 갖는다. 한편, 도 2의 폴더블 디스플레이(111)는 터치 인식 모듈(311)과 디스플레이부(321)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하드웨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22)은,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23)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외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구성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33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3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이동 통신 모듈(333)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유선 인터넷 모듈(134)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센싱부(34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변형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변형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34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사용을 위해 오픈된 이후에 발생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변형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딩 동작, 벤딩 동작, 언폴딩 동작, 언벤딩 동작, 롤링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340)는 도 2의 센싱부(120)에 대응된다.
센싱부(340)는 변형 동작과 관련하여, 변형 위치(좌표 값, 변형 라인), 변형 방향, 변형 각도, 변형 곡률, 변형 세기, 변형 속도, 변형 횟수, 변형 동작 발생 시점, 변형 동작 유지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40)는 로드 셀(load cell), 벤딩 센서(bending sensor),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전자기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하나의 폴딩 축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센싱부(340)의 폴딩 센서(4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폴딩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라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대칭적으로 접힐 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운데 라인일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비대칭적으로 접힐 때는 폴딩 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운데 라인이 아닐 수 있다.
도 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폴딩 축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도 4b의 센싱부(340)의 한 쌍의 폴딩 센서들(402)은 도 4a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이 아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양 끝 각각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340)의 한 쌍의 폴딩 센서들(402)은 서로가 떨어진 거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폴딩 센서들(402)은 거리 측정을 위한 적외선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2개의) 폴딩 축들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센싱부(340)의 2개의 폴딩 센서들(501) 각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2개의 폴딩 축들 각각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폴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도 5a와 마찬가지로, 복수의(2개의) 폴딩 축들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도 5b의 센싱부(340)의 두 쌍의 폴딩 센서들(502 및 503)은 도 5a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각각의 폴딩 축들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양 끝 각각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340)의 한 쌍의 폴딩 센서들(502) 및 한 쌍의 폴딩 센서들(503)은 서로가 떨어진 거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폴딩 센서들(402)은 거리 측정을 위한 적외선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감지부에서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센싱부(340)는 벤딩 센서(601)가 위치한 센서 포인트의 수치 변화를 수집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벤딩 센서(601)는 센서 포인트에서의 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센서(601)는 +180도에서 -180도까지의 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고하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벤딩 센서들(611, 612 및 613)은, 각각의 센서 포인트들에서의 휨 곡률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메모리(35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처리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HDD(hard-disk drive), SDD(solid state drive),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들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CPU, 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2의 제어부(130)는 제어부(360)에 해당될 수 있다.
시선 검출부(3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바라보고 있는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viewing direction)을 검출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적외선 카메라, 근접 센서 등의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시선 검출부(370)는 사용자의 눈동자 방향, 얼굴 정면의 방향 등을 인식함으로써, 뷰잉 디렉션을 검출할 수 있다. 시선 검출부(370)는 뷰잉 디렉션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디바이스와 달리,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벤더블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상대적으로 많이 구부러진 (a)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좁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1개의 객체만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좀 더 펴진(unbend) (b) 상태에서는, (a) 상태보다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넓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더 많은 3개의 객체들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최대한으로 펴진 (c) 상태에서는, (a) 또는 (b) 상태들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장 넓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더 많은 5개의 객체들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폴더블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휨 곡률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휨 곡률에 따라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개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크기, 객체들의 배치 등의 다양한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디바이스 및 도 7에 도시된 벤더블 디바이스와 달리,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롤러블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상대적으로 많이 말린 상태(롤링 축이 “45도” 회전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1개의 객체만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상대적으로 펴진(unroll) 상태(롤링 축이 “135도” 회전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보다 많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더 많은 3개의 객체들(13)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폴더블 디바이스 또는 벤더블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롤링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다만,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롤링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개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크기, 객체들의 배치 등의 다양한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 형상의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부채 형상의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상대적으로 많이 접힌 (a)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한 곳이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1개의 객체만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좀 더 펴진 (b)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세 곳이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더 많은 3개의 객체들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최대한으로 펴진 (c)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더 많은 5개의 객체들(13)을 포함한 레이아웃(13)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된 각각의 종류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다만,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개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레이아웃(13)에 포함된 객체들의 크기, 객체들의 배치 등의 다양한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a를 참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은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0a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01 단계에서, 센싱부(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1)(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unfolding) 동작을 감지한다.
1002 단계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111)(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펼침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현이 변화되는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10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표현의 변화가 펼침 동작에 대응되도록 레이아웃의 표시를 제어한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은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11 단계에서,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변형되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범위를 감지한다.
101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변형 범위 내의 변형 상태들 각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1013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변형 상태들 각각에서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이 “0도”,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에 대한 레이아웃들(1101, 1102, 1103 및 1104)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에 따라 객체들의 개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어떠한 레이아웃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1개의 객체만을 포함한 레이아웃(1101)을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90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두 종류의 객체들을 함께 포함한 레이아웃(1102)을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점차 증가하여 펼침 각도가 “160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네 종류의 객체들을 포함한 레이아웃(1104)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많이 펼쳐질수록(unfolding)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영역은 점차 넓어지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펼침 각도가 증가됨에 따라 점점 많은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에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펼쳐지면서 객체들의 개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접히면서(folding) 객체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휨 곡률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휨 곡률들이 “0도”,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에 대한 레이아웃들(1201, 1202, 1203 및 1204)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과 마찬가지로, 도 12에서도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휨 곡률들에 따라 객체들의 개수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많이 펼쳐질수록(unbending)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영역은 점차 넓어지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휨 곡률이 증가됨에 따라 점점 많은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에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펼쳐지면서 객체들의 개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접히면서(bending) 객체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일 예로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 상의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가 변화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1301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될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하여 지정될 즐겨찾기(favorite) 항목을 설정한다. 이때, 즐겨찾기 항목의 설정은, 사용자 입력부(310),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해당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130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복수의 객체들이 표시될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폴더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제어부(13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양 면에 객체들을 따로 표시할 것인지 또는 폴딩 축에 관계없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전면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복수의 객체들이 표시될 위치, 배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13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객체들 각각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객체들이 이하의 도 16에서 설명될, 파일 철, 사진, 이미지,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등의 다양한 종류들 중 어떠한 것으로 표시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304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될 객체들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따라, 객체들의 개수를 얼만큼 변화시킬 것인지, 객체들의 크기, 컬러, 폰트, 배치 또는 위치 등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어부(130)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화 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1305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된 영역, 결정된 표시 형태 및 결정된 변화 요소들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객체들의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도 13의 1302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1411)을 기준으로 양 쪽의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에 객체들(1401 내지 1410)을 따로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될 레이아웃(1400) 상의 객체들(1401 내지 1410) 각각은 다양한 링크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401)는 애플리케이션 A(app A)에 대응되고, 객체(1402)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사진 애플리케이션의 사진 A(photo A)에 대응되고, 객체(1403)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의 임의의 메뉴 C(menu C)에 대응되고, 객체(1404)는 전자책(e-book) D의 페이지 D(page D of e-book D)에 대응되고, 객체(1405)는 임의의 웹사이트 E(website E)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객체들(1406 내지 1410) 각각은 애플리케이션들 X, Y, Z, Q, R(apps X, Y, Z, Q, R)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레이아웃(1400) 상의 객체들(1401 내지 1410) 각각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숏컷에 해당되거나, 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목적의 경로들에 해당될 수 있다. 객체들(1401 내지 1410) 각각은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운영체제(OS) 상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링크들에 해당될 수 있다.
객체들(1401 내지 1410) 각각에 대한 링크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즐겨찾기 항목들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면서 직접,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unfolding) 동작, 펼침(unbending) 동작 또는 그 반대의 동작 등에 따라 표시하고자 하는 링크들을 즐겨찾기 항목으로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처음에는 객체(1401)(app A) 및 객체(1406)(app X)만이 표시되었다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점점 펼쳐지면서 객체들(1401 내지 1410)이 전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되는 동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객체들(1401 내지 1410)의 개수뿐만 아니라, 객체들(1401 내지 1410) 자체의 크기, 컬러 등의 다양한 표시 상태들도 변형에 연동될 수 있다. 도 14에서 레이아웃(1400)은, 객체들(1401 내지 1410)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도 14와는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도 13의 1302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1511)에 관계없이 양 쪽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객체들(1501 내지 1505)을 걸쳐 표시할 수 있다.
도 14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될 레이아웃(1500) 상의 객체들(1501 내지 1405) 각각은 다양한 링크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501)는 애플리케이션 A(app A)에 대응되고, 객체(1502)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사진 애플리케이션의 사진 A(photo A)에 대응되고, 객체(1503)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의 임의의 메뉴 C(menu C)에 대응되고, 객체(1504)는 전자책(e-book) D의 페이지 D(page D of e-book D)에 대응되고, 객체(1505)는 임의의 웹사이트 E(website E)에 대응될 수 있다.
객체들(1501 내지 1505) 각각에 대한 링크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즐겨찾기 항목들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처음에는 객체(1501)(app A)만이 표시되었다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점점 펼쳐지면서 객체들(1501 내지 1505)이 전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되는 동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객체들(1501 내지 1505)의 개수뿐만 아니라, 객체들(1501 내지 1505) 자체의 크기, 컬러 등의 다양한 표시 상태들도 변형에 연동될 수 있다. 도 15에서 레이아웃(1500)은, 객체들(1501 내지 1505)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객체들(1501 내지 1505)이 폴딩 축(1511)을 기준으로 가운데 영역에서부터 점점 확장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들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객체들(1501 내지 1505)은 가운데 영역이 아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의 상, 하, 좌, 우 등의 임의의 영역에서부터 표시가 시작되어 표시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 포함된 객체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객체(13)의 표시 형태는 도 13의 1303 단계에서 제어부(130)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601), 사진(1602), 이미지(1603), 동영상(1604) 등의 다양한 종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객체(13)는 도 16에 도시된 표시 형태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형태들로도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연동될 객체들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701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간격 변화, 컬러 변화, 폰트 변화, 개수 변화, 크기 변화 또는 입체 표시 중,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변화시킬 변화 요소를 결정한다. 이 밖에도, 제어부(130)는 객체들의 위치 변화, 배치 변화 등과 같은 다른 종류들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1702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결정된 변화 요소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연동하여 객체들의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객체들의 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 내지 도 30의 레이아웃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각각의 변형 정도들(“45도”, “135도” 및 “160도”)에서의 정면도들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인 상태들에서의 레이아웃(180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레이아웃(1800)은 객체들(1801 내지 1803)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18과 유사한, 이하의 도 19 내지 도 28 등에서 레이아웃은 객체들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8에 따르면, 레이아웃(1800) 상의 객체들(1801 내지 1803)의 개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관계 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객체(1801)(app A), 객체(1802)(app B) 및 객체(1803)(app C)의 크기는 “135도”인 경우에 더 크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1801 내지 18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객체(1801)(app A), 객체(1802)(app B) 및 객체(1803)(app C) 사이의 간격은 “135도”인 경우에 보다 넓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1801 내지 18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넓은 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35도”인 경우와 “160도”인 경우를 비교하여도,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1800) 상의 객체들(1801 내지 1803)의 크기 및 간격이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서는 객체들(1801 내지 1803)의 크기와 간격이 동시에 변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크기 및 간격 중 어느 하나만이 변화될 수도 있다.
도 1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인 상태들에서의 레이아웃(190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따르면, 레이아웃(1900)의 객체들(1901 내지 1903)의 개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관계 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도 18과 마찬가지로, 객체(1901)(app A), 객체(1902)(app B) 및 객체(1903)(app C)의 크기는 “135도”인 경우에 더 크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1901 내지 19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도 18과 마찬가지로, 객체(1901)(app A), 객체(1902)(app B) 및 객체(1903)(app C) 사이의 간격은 “135도”인 경우에 보다 넓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1901 내지 19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넓은 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서,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객체(1901)(app A), 객체(1902)(app B) 및 객체(1903)(app C)의 컬러는 보다 연해진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1901 내지 19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연한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 1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객체들(1901 내지 1903)이 보다 진한 컬러로 표시되도록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35도”인 경우와 “160도”인 경우를 비교하여도,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1900) 상의 객체들(1901 내지 1903)의 크기, 간격 및 컬러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9에서는 객체들(1901 내지 1903)의 크기, 간격 및 컬러가 동시에 변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크기, 간격 및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될 수도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인 상태들에서의 레이아웃(200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따르면, 레이아웃(2000)의 객체들(2001 내지 2003)의 개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관계 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도 18 및 도 19와 마찬가지로, 객체(2001)(app A), 객체(2002)(app B) 및 객체(2003)(app C)의 크기는 “135도”인 경우에 더 크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2001 내지 20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도 18 및 도 19와 마찬가지로, 객체(2001)(app A), 객체(2002)(app B) 및 객체(2003)(app C) 사이의 간격은 “135도”인 경우에 보다 넓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2001 내지 20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넓은 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서,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객체(2001)(app A), 객체(2002)(app B) 및 객체(2003)(app C)의 컬러는 보다 연해진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들(2001 내지 2003)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연한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 2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객체들(2001 내지 2003)이 보다 진한 컬러로 표시되도록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객체(2001)(app A), 객체(2002)(app B) 및 객체(2003)(app C)의 폰트는 변경된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35도”인 경우와 “160도”인 경우를 비교하여도,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2000) 상의 객체들(2001 내지 2003)의 크기, 간격, 컬러 및 폰트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서는 객체들(2001 내지 2003)의 크기, 간격, 컬러 및 폰트가 동시에 변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크기, 간격, 컬러 및 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될 수도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인 상태들에서의 레이아웃(210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 따르면, 도 18 내지 도 20과는 달리 레이아웃(2100)의 객체들(2101 내지 2105)의 개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도 18과 유사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 사이에서 변형됨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2201 내지 2203)의 크기 및 간격이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도 19와 유사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 사이에서 변형됨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2301 내지 2303)의 크기, 간격 및 컬러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도 20과 유사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 사이에서 변형됨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2401 내지 2403)의 크기, 간격, 컬러 및 폰트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도 21과 유사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135도” 및 “160도” 사이에서 변형됨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2501 내지 2503)의 개수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 및 “135도” 사이에서 변형됨에 따라 파일 철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2601 내지 2603)이 3차원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가 달라짐에 따라 3차원적으로 표현되기 위한 객체들(2601 내지 2603)의 깊이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레이아웃(2701) 상에는 사진 A(photo A)로 표시된 객체(2711)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객체(2711)가 클릭될 경우에는 사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진 A의 보기가 실행될 수 있다.
변형 정도가 “160도”인 경우, 변형 정도가 “45도”일 때 표시되지 않았던, 레이아웃(2702) 상의 객체(2712)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객체(2712)의 표시 형태는 이미지(도 16의 1603)로서, 레이아웃(2702) 상의 객체(2712)는 애플리케이션 A(app A)에 대한 링크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객체(2712)가 클릭될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A가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표시 형태를 갖는 객체들의 표시 상태들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레이아웃(2800) 상에는 페이스북(Facebook)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표시된 객체(2801)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객체(2801)가 클릭될 경우에는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변형 정도가 “160도”인 경우, 레이아웃(2810) 상에는 변형 정도가 “45도”일 때 표시되지 않았던, 객체들(2802 및 2803)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객체들(2801 내지 2803)의 표시 형태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그 자체(도 16의 1605)로서, 객체들(2801 내지 2803)은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드랍박스(Dropbox)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객체들(2801 내지 2803)이 클릭될 경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즉, 앞서 도 18 내지 도 26에서 설명된 객체들은, 도 27의 객체들(2701 및 2702) 및 도 28의 객체들(2801 내지 2803)과 같이,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지정한 링크들에 해당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형태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도 18 내지 도 27과 달리, 폴딩 축(2811)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양쪽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에는 비대칭적으로 레이아웃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부채 형상의 표시 형태를 갖는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부채 형상으로 표시된 레이아웃(2901)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으면서 접힌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 정도가 “160도”인 경우, 부채 형상으로 표시된 레이아웃(2901)의 크기가 커지면서 펼쳐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부채 형상의 레이아웃(2901) 상에서 각각의 부채살들은 객체들에 해당되어 app A, app B, app C, app D, app E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회전식 메뉴판 형상의 표시 형태를 갖는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회전식 메뉴판 형상의 레이아웃(3001) 상에서 각각의 메뉴판 영역들은 객체들에 해당되어 app A, app B 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변형 정도가 “160도”인 경우, 메뉴판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식 메뉴판 형상의 레이아웃(3001) 상에서 각각의 메뉴판 영역들은 객체들에 해당되어 app A, app E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1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고하면, 도 13과는 다른,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다른 일 예로서, 복수의 객체들이 아닌 하나의 객체만의 표시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3101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레이아웃 상에 표시될 하나의 객체에 대하여 지정될 즐겨찾기 항목을 설정한다.
310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객체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객체가 표시될 위치, 배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31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객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객체가 앞서 설명된 도 16의, 파일 철(1601), 사진(1602), 이미지(1603), 동영상(1604),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605) 등의 다양한 종류들 중 어떠한 것으로 표시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3104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될 객체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따라, 객체의 크기, 컬러, 폰트, 배치 또는 위치 등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어부(130)는 객체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화 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3105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된 영역, 결정된 표시 형태 및 결정된 변화 요소들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객체의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3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이 “0도”,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에 대한 레이아웃들(320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2에서는, 복수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변화하는 도 11과는 달리,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에 따라 하나의 객체만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어떠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객체가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90도”, “135도” 및 “160도” 등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의 객체의 크기는 점차 증가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많이 펼쳐질수록(unfolding)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영역은 점차 넓어지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펼침 각도가 증가됨에 따라 객체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에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펼쳐지면서 객체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접히면서(folding) 객체의 크기가 작아지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하나의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도 13의 3102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레이아웃(3300) 상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3311)을 기준으로 양 쪽의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에 객체(3301) 및 객체(3302)를 따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3에서 복수의 객체들이 아닌, 하나의 객체인 것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어느 한쪽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하나의 객체만이 계속하여 표시되기 때문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레이아웃(3300)의 크기, 레이아웃(3300)에 포함된 객체(3301)(object A) 및 객체(3302)(object X) 각각의 크기는 “135도”인 경우에 더 크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3301)(object A) 또는 객체(3302)(object X)는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35도”인 경우와 “160도”인 경우를 비교하여도,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3300) 상의 객체(3301) 또는 객체(3302)의 크기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펼침 각도 등이 증가하는 경우(펼쳐지는 경우)와 유사하게, 감소하는 경우(접히는 경우)에는 반대로 객체(3301)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33에서는 표시 상태의 변화가 크기의 변화인 경우만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객체(3301) 또는 객체(33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다른 종류의 표시 상태들(예를 들어, 컬러, 배치, 폰트 등)도 변화될 수도 있다.
도 3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하나의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고하면, 도 33과는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도 13의 1302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레이아웃(3400) 상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3411)에 관계없이 양 쪽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걸쳐 하나의 객체(3401)만을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와 “135도”인 경우를 비교하면, 레이아웃(3400)의 크기 및 레이아웃(3400)에 포함된 객체(3401)(object A)의 크기는 “135도”인 경우에 더 크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객체(3401)(object A)는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35도”인 경우와 “160도”인 경우를 비교하여도,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3400) 상의 객체(3401)의 크기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펼침 각도 등이 증가하는 경우(펼쳐지는 경우)와 유사하게, 감소하는 경우(접히는 경우)에는 반대로 객체(3401)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34에서는 표시 상태의 변화가 크기의 변화인 경우만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객체(34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다른 종류의 표시 상태들(예를 들어, 컬러, 배치, 폰트 등)도 변화될 수도 있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사진으로 표시된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증가할 수록, 레이아웃(3501) 상의 사진(3502)은 점점 더 확장되어 표시된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레이아웃(3501) 상의 사진(3502)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3501) 상의 사진(3502)의 크기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펼침 각도 등이 증가하는 경우(펼쳐지는 경우)와 유사하게, 감소하는 경우(접히는 경우)에는 반대로 사진(3502)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사진(3502)이 클릭될 경우에는 사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진(3502)의 보기가 실행될 수 있다.
도 3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동영상으로 표시된 객체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에 연동하여, 레이아웃(3600) 상에서 동영상(3601)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더 많이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상태에서 레이아웃(3600) 상의 동영상(3601)은 펼쳐짐에 연동하여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고, 재생 속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레이아웃(3600) 상의 동영상(3601)의 재생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동영상(3601)이 클릭될 경우에는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영상(3601)의 재생이 실행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에 연동하여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7을 참고하면,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다른 일 예로서, 레이아웃이 잠금 화면(lock screen)인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3701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레이아웃 상에 표시될 잠금 화면을 설정한다.
370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될 잠금 화면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변형 정도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의 표시 크기, 표시 위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3703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된 변화 요소들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잠금 화면의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잠금 화면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이 “0도”,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에 대한 잠금 화면 레이아웃(3801)이 도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어떠한 잠금 화면 레이아웃(3801)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 등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의 잠금 화면 레이아웃(3801)의 크기는 점차 증가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많이 펼쳐질수록(unfolding)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영역은 점차 넓어지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펼침 각도가 증가됨에 따라 잠금 화면 레이아웃(3801)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에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펼쳐지면서 잠금 화면 레이아웃(3801)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점차 접히면서(folding) 잠금 화면 레이아웃(3801)의 크기가 작아지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9a 내지 3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에 연동하여 동적으로 변화되는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a에 도시된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3901)은, Google 사의 Android 운영체제(OS)의 잠금 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9b에 도시된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3902)은, Apple 사의 iOS 운영체제(OS)의 잠금 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9c에 도시된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3903)은, Microsoft 사의 Windows 운영체제(OS)의 잠금 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9a 내지 39c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3901, 3902 또는 3903)의 가운데 영역의 일부만이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135도” 및 “160도”로 증가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보다 많은 영역들의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3901, 3902 또는 3903)이 표시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3901, 3902 또는 3903)의 크기가 동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0은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0을 참고하면,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 및 레이아웃 상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시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4001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레이아웃 상에 표시될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하여 지정될 즐겨찾기 항목을 설정한다.
400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레이아웃이 표시될 영역 및 복수의 객체들의 배치를 결정한다.
40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레이아웃의 표시 형태 및 복수의 객체들 각각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4004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될 레이아웃 및 객체들의 변화 요소들을 결정한다.
4005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된 영역, 결정된 배치, 결정된 표시 형태 및 결정된 변화 요소들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레이아웃 상의 객체들의 시각적 표현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4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펼침 각도들마다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이 “0도”,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에 대한 레이아웃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1에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에 따라, 복수의 객체들(4102 내지 4105)의 표시 상태와 객체들(4102 내지 4105)을 포함하는 레이아웃(4101)의 표시 상태가 함께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어떠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레이아웃(4101) 상에 객체(4102)만이 표시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90도”, “135도” 및 “160도” 등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는 레이아웃(4101)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표시되면서 레이아웃(4101) 상의 객체들(4102 내지 4105)의 개수도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에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레이아웃(4201)(layout M) 및 레이아웃(4201) 상에 오버랩된 객체(4202)(object A)를 표시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35도”로 증가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레이아웃(4201)을 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고,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객체(4203)(object B)를 레이아웃(4201) 상에 오버랩되도록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변형 정도가 “160도”로 더 증가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레이아웃(4201)을 보다 크게 표시함과 동시에,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객체들(4204 및 4205)(objects C and D)를 레이아웃(4201) 상에 오버랩되도록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에 따라, 복수의 객체들(4202 내지 4205)의 표시 상태와, 객체들(4202 내지 4205)을 포함하는 레이아웃(4201)의 표시 상태가 함께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4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레이아웃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을 참고하면, 도 42와 달리, 객체들(4302 및 4303)(objects B and C)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한 쪽 디스플레이 영역의 레이아웃(4301)(layout M)상에서만 개수가 변화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레이아웃들의 객체들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폴딩 축(4411)을 기준으로 한 쪽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진 레이아웃(4401)을 표시하고, 다른 쪽 디스플레이 영역에 날씨 레이아웃(4402)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사진 레이아웃(4401) 또는 날씨 레이아웃(4402)이 클릭된 경우, 사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60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사진 레이아웃(4401) 및 날씨 레이아웃(4402)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객체(4403) 및 드랍박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객체(4404)를 사진 레이아웃(4401) 상에 새롭게 표시한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에 연동하여, 레이아웃(4401 및 4402)의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객체들(4403 및 4404)이 새롭게 나타날 수 있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물방울 형상의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응집된 물방울 형상의 레이아웃(450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가 “160도”로 증가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물방울이 퍼진 형상의 레이아웃(4502)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변형 정도(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증가할 수도록, 물방울이 점점 퍼지는 형상의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아웃(4501) 및 레이아웃(4502) 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객체들(app A, B, C, photo F 등)이 영역을 나누어 포함될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한(correct)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6을 참고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은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46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4601 단계에서,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예를 들어, 펼침 각도, 휨 곡률 등)를 감지한다.
460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변형 정도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서 레이아웃을 제공할 활성 영역(activation area)을 결정한다.
46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변형 정도에 의해 활성 영역에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이 보상된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4604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결정된 활성 영역 상에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함으로써 영상 왜곡이 제거된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때의 레이아웃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folding 또는 bending) 때의 레이아웃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예를 들어, 펼침 각도 또는 휨 곡률 등)가 “180도” 및 “135도”인 경우들에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의 레이아웃들(4702 및 4704)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변형 정도가 “180도”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표시된 원본 이미지(4701)와 동일한 레이아웃(4702)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힌 상태(변형 정도가 “135도”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시 영역은 좁아진다. 따라서, 만약 접힌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원본 이미지(4701)가 표시된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정면에서는 원본 이미지(4701)가 왜곡되게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한 보상 이미지(4703)가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변형된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정면에서 바라보더라도, 레이아웃(4702)에 근접한 레이아웃(4704)을 볼 수 있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을 참고하면, 활성 영역(480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레이아웃이 표시될 영역을 의미한다. 반대로, 비활성 영역은 레이아웃이 표시되지 않을 나머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활성 영역(4801)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가능(displayable) 영역의 일부에 대응되는 경우, 비활성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가능 영역에서 활성 영역(480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비활성 영역은, 비활성 영역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이 비활성화(또는 턴-오프(turn-off))됨으로써, 레이아웃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또는, 비활성 영역은 레이아웃 생성시, 블랙, 화이트 등의 컬러를 갖는 여백으로 처리될 영역일 수 있다.
앞서 도 4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변형 정도가 “180도”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면적 그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힌 상태라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시 면적이 좁아진 것으로 느낄 수 밖에 없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많이 접힐수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폴딩 축(4802) 근방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레이아웃을 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많이 접힌 상태에서는 폴딩 축(4802) 근방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식별하기 어려운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에 따라 레이아웃이 표시될 활성 영역을 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변형된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사용자의 가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이 “45도”, “90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 각각에 대한 활성 영역(4901)이 도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정면에서 바라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가시 면적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90도”인 경우보다 적다. 특히,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폴딩 축 근방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대적으로 더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90도”인 경우에 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활성 영역(4901)은 좁고 비활성 영역(4902)은 넓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가 “135도”를 거쳐 “160도”로 점점 펼쳐지는(unfold) 경우, 사용자의 가시 면적이 점차 많아지므로, 활성 영역(4901)은 점차 넓어 지고 비활성 영역(4902)은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정도(또는 변형 상태)에 연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상의 활성 영역(4901)의 비율 또는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의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50에서는 비활성 영역(5002)이 폴딩 축 근방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도 50을 참고하면, 비활성 영역(500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양 말단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활성 영역(5001)은 폴딩 축 근방 및 양 말단을 제외한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성 영역(5001) 및 비활성 영역(5002)의 배치는 도 48 내지 도 50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상에 전자 책(e-book)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을 참고하면, 전자 책(5100)의 좌측 페이지(5110) 및 우측 페이지(5120)에는 단어들 및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책은 페이지들마다 여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전자 책(5100) 또한 여백이 존재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활성 영역(5101)과 비활성 영역(5102)이 구분된 경우, 활성 영역(5101)은 전자 책(5100)의 좌측 페이지(5110) 및 우측 페이지(5120)에서 여백을 제외한 단어들 및 이미지들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비활성 영역(5102)은 전자 책(5100)의 좌측 페이지(5110) 및 우측 페이지(5120)에 존재하는 여백과 유사한 테두리 형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제어부(130)는 전자 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좌측 페이지(5110) 및 우측 페이지(5120) 각각의 여백이 제거된 레이아웃들을 생성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이와 같이 생성된 레이아웃들을 활성 영역(5101)에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 51에서는 전자 책(5100)의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에 대해서도 도 5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도 51과 같이 여백을 제외한 부분의 컨텐츠를 활성 영역(5101)에 표시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컨텐츠 화면 또는 배경 화면에서 여백을 제거함으로써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도 5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보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힌(folding) 상태 또는 구부러진(bending)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원본 이미지(5200)가 그대로 표시된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정면에서는 원본 이미지(5200)가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기초하여, 활성 영역 상에 할당될 레이아웃의 픽셀들의 배치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컨텐츠 화면 또는 배경 화면을 리사이징(resizing)함으로써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원본 이미지(5200)의 양 바깥쪽 영역들의 픽셀들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할당될 원래의 픽셀들보다 많아지도록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30)는 원본 이미지(5200)의 가운데 영역들의 픽셀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할당될 원래의 픽셀들보다 적어지도록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기초하여 할당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픽셀들이 재할당되도록 생성된 레이아웃들을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왜곡이 보상된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2b는 도 52a에서의 보상 이미지를 생성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b에서 (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완전히 펼쳐진(unfolding) 상태(예를 들어, 펼침 각도가 “180도”인 상태)를 나타내고, (b) 및 (c) 각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임의의 각도로 접힌(folding) 상태(예를 들어, 펼침 각도가 “135도”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2b의 (a)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표시 가능한 픽셀 어레이와 이미지(5201)의 픽셀 어레이가 동일한 매트릭스 구조라고 가정하면, 이미지(5201)의 픽셀들 각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 각각에 1:1로 대응되도록 이미지(5201)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52b의 (a)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평면 상태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왜곡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어부(130)는 이미지(5201)의 픽셀들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에 1:1로 매핑한다.
하지만, 도 52b의 (b) 및 (c)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임의의 각도로 접힌(folding) 상태라면 디스플레이 왜곡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이미지(5201)에서 픽셀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5201)의 픽셀들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의 할당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2b의 (b)와 같이, 제어부(130)는 이미지(5201)의 바깥쪽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12)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더 많은 픽셀들(5213)에 할당되도록, 할당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5213)에는 픽셀들(5212)의 위치에 해당되는 이미지(5201)의 일부가 더 확장되어 표시된다. 반대로, 도 52b의 (c)와 같이, 제어부(130)는 이미지(5201)의 가운데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22)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더 적은 픽셀들(5223)에 할당되도록, 할당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5223)에는 픽셀들(5222)의 위치에 해당되는 이미지(5201)의 일부가 더 축소되어 표시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도 52b의 (b) 및 (c)와 달리, 이미지(5201)의 바깥쪽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12)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더 적은 픽셀들에 할당되고 이미지(5201)의 가운데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22)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더 많은 픽셀들에 할당되도록, 할당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보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c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임의의 각도로 접힌(folding) 상태들에 해당되는 도 52c의 (b) 및 (c)의 경우들에서 보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5231 단계에서,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52c의 (b) 및 (c)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가 “135도”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523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펼침 각도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 표시될 레이아웃에서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영역들을 판단한다. 즉, 제어부(130)는 감지된 펼침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이미지(5201)의 영역들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미지(5201)의 바깥쪽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12)과 이미지(5201)의 가운데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22)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왜곡의 보상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감지된 펼침 각도에 따라 바깥쪽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12)의 개수와 가운데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22)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이미지(5201)의 영역들을 판단할 수 있다.
523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판단된 영역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판단된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의 할당 비율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130)는 판단된 이미지(5201)의 영역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5201)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픽셀들의 할당 비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미지(5201)의 바깥쪽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12)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더 많은 픽셀들(5213)에 할당되도록, 할당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미지(5201)의 가운데 영역에 분포된 픽셀들(5222)에 대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더 적은 픽셀들(5223)에 할당되도록, 할당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5234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결정된 할당 비율에 기초하여 레이아웃을 재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는 보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130)는 결정된 할당 비율에 기초하여 이미지(5201)를 재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는 보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의 (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거나(folding) 또는 구부러진(bending) 경우(예를 들어, 펼침 각도가“135도”인 경우), 디스플레이 왜곡의 보상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간격들이 일정하게 보여질 수 있다.
도 53의 (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바깥쪽 영역에 위치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 간의 간격은 보다 넓게 표시하고, 가운데 영역에 위치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 간의 간격은 보다 좁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3의 (b)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도 5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4를 참고하면, 활성 영역의 결정 방법은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54의 활성 영역의 결정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5401 단계에서,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변형 정도는 펼침 각도, 휨 곡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402 단계에서, 시선 검출부(3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을 검출한다. 이때, 시선 검출부(3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다.
54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변형 정도 및 검출된 뷰잉 디렉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서 레이아웃을 제공할 활성 영역을 결정한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에 의존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5를 참고하면, 시선 검출부(370)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방향, 얼굴 정면의 방향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551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55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하단, 우측 등의 다른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5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좌측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보는 경우, 시선 검출부(370)는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이 우측 방향으로 향해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폴딩 축(5501)의 우측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활성 영역(5512)이 좌측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활성 영역(5511) 보다 넓어지도록 결정한다. 이때, 활성 영역들(5511 및 5512)의 크기는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의존할 수도 있다.
도 55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우측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보는 경우, 시선 검출부(370)는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이 좌측 방향으로 향해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폴딩 축(5501)의 좌측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활성 영역(5513)이 우측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활성 영역(5514) 보다 넓어지도록 결정한다. 이때, 활성 영역들(5513 및 5514)의 크기는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에 의존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시선 검출부(3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뷰잉 디렉선 및 변형 정도와 함게, 측정된 거리도 고려하여 활성 영역들(5511 내지 5514)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운드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을 참고하면, 사운드 출력 방향의 결정 방법은 도 2의 폴더블 디바이스(11) 또는 도 3 등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56의 사운드 출력 방향의 결정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5601 단계에서, 센싱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변형 정도는 펼침 각도, 휨 곡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602 단계에서, 시선 검출부(3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을 검출한다.
56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감지된 변형 정도 및 검출된 뷰잉 디렉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운드 출력 방향을 결정한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운드 출력 방향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들이 “45도”, “135도” 및 “160도”인 경우들 각각에 대한 사운드 출력 방향들이 도시되어 있다. 음향 출력 모듈(32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양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스피커들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45도”인 경우, 음향 출력 모듈(322)은 사용자의 양 귀에 사운드가 일직선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퍼지는 방향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135도”인 경우, 음향 출력 모듈(322)은 사용자의 양 귀에 사운드가 일직선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평행한 방향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펼침 각도가 “160도”인 경우, 음향 출력 모듈(322)은 사용자의 양 귀에 사운드가 일직선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모이는 방향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음향 출력 모듈(32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변형 정도에 따라 사운드 출력 방향을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또렷한 음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운드 출력 방향이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좌측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음향 출력 모듈(322)은 사운드를 좌측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모이도록 출력한다.
도 58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뷰잉 디렉션이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우측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음향 출력 모듈(322)은 사운드를 우측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모이도록 출력한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와의 입력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9를 참고하면, 입력 인터페이싱의 수행 방법은 도 3의 플렉서블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59의 입력 인터페이싱의 수행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5901 단계에서, 센싱부(3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를 감지한다.
5902 단계에서, 터치 인식 모듈(3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5903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감지된 변형 정도에 기초하여,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위치를 보상한다.
5904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보상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위치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어한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입력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0의 (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완전히 펼쳐진(unfolding 또는 unbending) 경우, 사용자의 실제 터치 위치(6001)는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목표(target) 위치와 동일할 개연성이 높다.
하지만, 도 60의 (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거나(folding) 또는 구부러진(bending) 경우, 사용자의 실제 터치 위치(6002)는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목표 위치(6003)와 동일하지 않을 개연성이 높다. 이는, 편평한 상태로 놓여진 평면을 터치할 때와는 달리,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의 평면을 터치할 때에는 손가락의 모양, 굵기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터치되는 지점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을 참고하면, 앞서 도 60의 (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치 않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힌(folding) 상태 또는 구부러진(bending)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표면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제 터치 위치(6101)는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목표 위치(6102)와 동일하지 않을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실제 터치 위치(6101)를 목표 위치(6102)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해 오프셋을 적용시킨다면, 터치 입력의 오차가 보상될 수 있다.
도 6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정도에 대응되는 제 1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2를 참고하면, 제 1 오프셋에 관한 룩업 테이블(6201)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변형 정도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오프셋의 값들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1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펼침 각도가 “135도”인 경우, 제어부(360)는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하여 “a1 35”의 값의 제 1 오프셋을 적용시킴으로써, 목표 위치(6102)에 가까워지도록 터치 입력의 오차를 보상한다.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제 2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션 인식 모듈(312)은 플렉서블 디바이스(1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3을 참고하면, 제 2 오프셋에 관한 룩업 테이블(6301)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1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기울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 2 오프셋의 값들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1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수직 방향의 기울기가 “45도”인 경우, 제어부(360)는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하여 “bV90”의 값의 제 2 오프셋을 적용시킴으로써, 목표 위치(6102)에 가까워지도록 터치 입력의 오차를 보상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수평 방향의 기울기가 “135도”인 경우, 제어부(360)는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하여 “bH135”의 값의 제 2 오프셋을 적용시킴으로써, 목표 위치(6102)에 가까워지도록 터치 입력의 오차를 보상한다.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입력된 좌표 값에 대응되는 제 3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3의 터치 인식 모듈(3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4를 참고하면, 제 3 오프셋에 관한 룩업 테이블(640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의 좌표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 3 오프셋의 값들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1에서 실제 터치 위치(6101)의 좌표 값이 “(100, 100)”인 경우, 제어부(360)는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하여 “c(100,100)”의 값의 제 3 오프셋을 적용시킴으로써, 목표 위치(6102)에 가까워지도록 터치 입력의 오차를 보상한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입력 수단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 4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3의 터치 인식 모듈(311)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360)는 터치 입력에 사용된 입력 수단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5를 참고하면, 제 4 오프셋에 관한 룩업 테이블(6501)에는, 입력 수단의 종류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 4 오프셋의 값들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1에서는 터치 입력에 사용된 입력 수단이 손가락이므로, 제어부(360)는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하여 “d2”의 값의 제 4 오프셋을 적용시킴으로써, 목표 위치(6102)에 가까워지도록 터치 입력의 오차를 보상한다.
도 61 내지 도 65를 참고하면, 제어부(360)는 제 1 오프셋, 제 2 오프셋, 제 3 오프셋 및 제 4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제 터치 위치(6101)가 목표 위치(6101)에 대응되도록 실제 터치 위치(6101)를 보상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응되는 좌표 값이 (x, y)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제 1 오프셋의 값은 (a45 _x, a45 _y)이고, 제 2 오프셋의 값은 (bv45 _x, bv45 _y)이고, 제 3 오프셋의 값은 (Cx, Cy)이고, 제 4 오프셋의 값은 (d2 _x, d2 _y)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360)는 제 1 내지 4 오프셋 값들을 이용하여, 실제 터치 위치(6101)에 대응되는 좌표 값 (x, y)을, (x+a45 _x+bv45 _x+Cx+d2 _x, y+a45 _y+bv45 _y+Cy+d2 _y)로 보상하고, (x+a45 _x+bv45 _x+Cx+d2 _x, y+a45_y+bv45_y+Cy+d2_y)의 값이 목표 위치(6101)의 좌표 값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보상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유저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명령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감지된 터치 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와 접촉된 표면 중 입력 강도의 피크 지점(peak point)에 가장 근접하는 메뉴 또는 숏컷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311)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근접 터치 위치(또는 호버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60)는 앞서 설명된 종류의 오프셋들을 이용하여 감지된 호버링 위치를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보상된 호버링 위치에 호버링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unfolding angle)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복수의 펼침 각도 및 각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펼침 각도 중 하나에 대응하면, 상기 대응하는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개수의 객체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된 펼침 각도 중 제1 펼침 각도보다 제2 펼침 각도가 더 크면, 상기 제1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객체의 개수보다 상기 제2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객체의 개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객체의 크기를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객체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활성 영역에 상기 객체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활성 영역에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이 보상된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활성 영역에 상기 결정된 레이아웃의 객체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감지된 터치 위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unfolding angle)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가 기저장된 복수의 펼침 각도 중 하나에 대응하면, 상기 대응하는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개수의 객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장된 펼침 각도 중 제1 펼침 각도보다 제2 펼침 각도가 더 크면, 상기 제1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객체의 개수보다 상기 제2 펼침 각도에 대응하는 객체의 개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객체의 크기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객체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활성 영역에 상기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활성 영역에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이 보상된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활성 영역에 상기 결정된 레이아웃의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감지된 터치 위치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50012850A 2014-07-31 2015-01-27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178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5297281A AU2015297281B2 (en) 2014-07-31 2015-07-03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PCT/KR2015/006877 WO2016017948A1 (en) 2014-07-31 2015-07-03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14/795,025 US11068074B2 (en) 2014-07-31 2015-07-09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EP20161052.4A EP3680750B1 (en) 2014-07-31 2015-07-29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EP15178859.3A EP2980674B1 (en) 2014-07-31 2015-07-29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TW108130262A TWI720595B (zh) 2014-07-31 2015-07-30 電子裝置以及控制電子裝置的方法
TW104124613A TWI564859B (zh) 2014-07-31 2015-07-30 可摺疊裝置以及其介接方法
TW105137038A TWI673694B (zh) 2014-07-31 2015-07-30 可摺疊裝置以及其控制方法
CN202011047370.2A CN112181203B (zh) 2014-07-31 2015-07-31 柔性装置及其接口方法
CN201510463520.0A CN105320352A (zh) 2014-07-31 2015-07-31 柔性装置及其接口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583 2014-07-31
KR1020140098583 2014-07-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91A Division KR101857062B1 (ko) 2014-07-31 2017-09-28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21A KR20160016521A (ko) 2016-02-15
KR101785066B1 true KR101785066B1 (ko) 2017-10-12

Family

ID=553572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850A KR101785066B1 (ko) 2014-07-31 2015-01-27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70126491A KR101857062B1 (ko) 2014-07-31 2017-09-28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80051665A KR102271289B1 (ko) 2014-07-31 2018-05-04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91A KR101857062B1 (ko) 2014-07-31 2017-09-28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80051665A KR102271289B1 (ko) 2014-07-31 2018-05-04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3) KR101785066B1 (ko)
CN (1) CN112181203B (ko)
AU (1) AU2015297281B2 (ko)
TW (3) TWI72059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3367B2 (en) 2020-02-19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of a virtual flat screen
WO2022182026A1 (ko) * 2021-02-23 2022-09-01 삼성전자(주)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0504B (zh) 2016-06-30 2022-10-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訊終端
US10558277B2 (en) * 2016-08-04 2020-02-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ing angle sensing of a foldable device
KR102487504B1 (ko) * 2016-08-30 2023-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28240B1 (ko) * 2016-09-07 2024-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09294B (zh) * 2016-12-27 2017-1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摺疊式顯示裝置之使用者介面方法
TWI642050B (zh) * 2017-10-25 2018-11-21 誠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螢幕顯示裝置
CN110189630B (zh) 2018-02-22 2021-11-02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208256187U (zh) 2018-06-06 2018-12-18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装置
KR20200086830A (ko) 2019-01-10 2020-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26232A (ko) 2019-04-29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
KR102298124B1 (ko) * 2019-05-24 2021-09-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폴더블 단말기 및 폴더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
KR20200142394A (ko) * 2019-06-12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KR20210013966A (ko) 2019-07-29 2021-02-08 정진규 폴더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터치 스크린용 리듬 액션 게임 제공장치
KR20210092089A (ko) * 2020-01-15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화면 표시 방법
KR20210101089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폴더블 전자 장치
TWI719876B (zh) * 2020-04-01 2021-02-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雙螢幕電子裝置和聲音訊號輸出設定之設定方法
KR20210149543A (ko) * 2020-06-02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220007469A (ko) * 2020-07-10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WI767523B (zh) * 2021-01-20 2022-06-1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WO2024048987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또는 모터의 움직임 따라 비디오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715A2 (en) 2011-02-10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user commands using relative movements of device panels
US20140028596A1 (en) * 2012-07-30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049464A1 (en) 2012-08-20 201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37041A1 (en) 2012-11-14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rranging for list i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90Y1 (ko) 2004-10-08 2004-12-17 채용수 확장된 표시창을 갖는 휴대 단말기
TWI293434B (en) * 2005-08-17 2008-02-11 Asustek Comp Inc Alarm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0867608B1 (ko) 2007-08-21 2008-11-10 한국과학기술원 접이식 휴대용 단말기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7864517B2 (en) * 2009-03-30 2011-01-04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puter device binding feedback
KR101649156B1 (ko) * 2010-06-07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32958B1 (ko) * 2011-06-01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표시방법
KR101889008B1 (ko) * 2012-06-11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4409B1 (ko) *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866829B (zh) * 2012-08-29 2015-10-21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交互界面的显示方法、显示系统及其实现方法
TWI540466B (zh) * 2012-09-06 2016-07-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可摺疊式顯示器及其影像處理方法
KR102145533B1 (ko) * 2012-10-0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715A2 (en) 2011-02-10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user commands using relative movements of device panels
US20140028596A1 (en) * 2012-07-30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049464A1 (en) 2012-08-20 201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37041A1 (en) 2012-11-14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rranging for list i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3367B2 (en) 2020-02-19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of a virtual flat screen
WO2022182026A1 (ko) * 2021-02-23 2022-09-01 삼성전자(주)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40A (ko) 2017-10-24
CN112181203B (zh) 2024-02-09
AU2015297281B2 (en) 2018-07-19
KR102271289B1 (ko) 2021-07-01
TWI673694B (zh) 2019-10-01
TW201706977A (zh) 2017-02-16
TWI564859B (zh) 2017-01-01
KR20160016521A (ko) 2016-02-15
KR20180050631A (ko) 2018-05-15
AU2015297281A1 (en) 2017-02-23
TW201610960A (zh) 2016-03-16
KR101857062B1 (ko) 2018-05-11
CN112181203A (zh) 2021-01-05
TW202015017A (zh) 2020-04-16
TWI720595B (zh)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62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EP3680750B1 (en)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83918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31255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ツール提供方法
US9921736B2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3610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book i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e-book reader
KR201400920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EP261324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on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KR2016013929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063785A1 (en) Method of overlappingly displaying visual object on video,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1135354A1 (zh) 多应用下进行分屏的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4009495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68364A1 (zh) 用于页面显示的方法、装置、图形用户界面及移动终端
KR1021794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12208244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