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119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119B1
KR102016119B1 KR1020120084502A KR20120084502A KR102016119B1 KR 102016119 B1 KR102016119 B1 KR 102016119B1 KR 1020120084502 A KR1020120084502 A KR 1020120084502A KR 20120084502 A KR20120084502 A KR 20120084502A KR 102016119 B1 KR102016119 B1 KR 10201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ent
bending
displayed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389A (ko
Inventor
윤일국
이창수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119B1/ko
Priority to RU2015107008A priority patent/RU2609093C2/ru
Priority to PCT/KR2013/006883 priority patent/WO2014021628A1/en
Priority to EP13825817.3A priority patent/EP2880511A4/en
Priority to EP20151548.3A priority patent/EP3657301A1/en
Priority to IN1576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1576A/en
Priority to CN201380041042.3A priority patent/CN104520788B/zh
Priority to US13/956,803 priority patent/US9524049B2/en
Publication of KR2014001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벤딩을 기초로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고, 제1 화면에는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제2 화면에는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 조작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유연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특성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다양하게 이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벤딩을 기초로 상기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벤딩 이전에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화면 중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만을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부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계 부분이 상기 화면 외부로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실행 또는 재생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조작에 수반되는 터치 동작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복수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순서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벤딩을 기초로 상기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벤딩 이전에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 부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계 부분이 상기 화면 외부로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실행 또는 재생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조작에 수반되는 터치 동작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복수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순서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의 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14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화면 구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감지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등을 이용하여 벤딩/폴딩 위치, 벤딩/폴딩 방향, 벤딩/폴딩 각도, 벤딩/폴딩 세기, 벤딩/폴딩 속도, 벤딩/폴딩 횟수, 벤딩/폴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폴딩 유지 시간 등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분포나,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 분포의 변화를 통해 벤딩 위치의 곡률 반경 R값을 측정하여 벤딩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분포나,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 분포의 변화를 통해 감지된 벤딩 위치 및 세기의 변화 상태를 기초로 벤딩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벤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딩/폴딩 위치 변화, 벤딩/폴딩 방향 변화, 벤딩/폴딩 각도 변화, 벤딩/폴딩 세기 변화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 및 벤딩 라인의 변경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분포나,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 분포의 변화를 통해 벤딩 라인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이란 벤딩이 발생된 영역 상에서 벤딩 정도가 가장 큰 지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최대인 벤딩 포인트(또는 벤딩 좌표)를 연결한 가상의 라인이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고, 제1 화면 및 제2 화면 각각에 상이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을 기초로 일 영역 및 다른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되면, 벤딩을 기초로 결정된 제1 화면에는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제2 화면에는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텐츠는 벤딩 이전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는 벤딩 이전에 제1 컨텐츠 이전에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만을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의 경계 영역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 영역을 하이라이트 처리 또는 다양한 색상 처리를 하거나, 경계 라인 등을 표시하여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이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 속도에 따라 화면 전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벤딩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를 빠른 속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는 현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될 수 있으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는 벤딩 이전에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이전 컨텐츠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 실행에 의한 제1 웹페이지인 경우, 이전 컨텐츠 페이지는 제1 웹페이지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제2 웹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e-book 페이지인 경우, 이전 컨텐츠 페이지는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e-book 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PDF 등과 같은 특정 문서의 페이지인 경우, 이전 컨텐츠 페이지는 해당 문서 페이지의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문서 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특정 사진 컨텐츠인 경우, 이전 컨텐츠 페이지는 해당 사진 컨텐츠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사진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페이지의 특성에 따라 이전 컨텐츠 페이지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인 경우, 이전 컨텐츠 페이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해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메뉴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만을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화면이 우측 상단 모서리 영역인 경우,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우측 상단 모서리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를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경계 부분을 터치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하는 조작, 경계 부분에 벤딩 라인이 형성되도록 재벤딩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벤딩 라인을 이동시키는 조작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라인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조작의 경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경계 부분의 이동에 따라 경계 부분이 디스플레이부(110) 화면 외부로 벗어나게 되는 경우,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실행 또는 재생을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경계 부분을 터치한 후, 제2 화면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화면 밖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2 화면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에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동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조작에 수반되는 터치 동작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감지부(120)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제1 화면에 표시하고,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표시된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그립으로 인해 터치 입력이 수행된 영역의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압력의 세기가 제1 레벨인 경우 5 페이지라는 정보가, 압력의 세기가 제2 레벨인 경우 10 페이지라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터치 영역이 마련되고, 해당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에 의해 본 실시 예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해당 터치 영역에는 해당 터치 영역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아이콘, 안내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5 페이지라는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에 의해 형성되는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구분된 화면 중 제1 화면에 현재 컨텐츠 페이지가 표시되고, 제2 화면에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5 페이지 이전의 컨텐츠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는 현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웹페이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배경으로 뮤직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웹페이지 화면이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뮤직 플레이어 화면이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벤딩으로 인해 구분된 복수의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1) 전체 영상 중 구분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a)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별개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예를 들어, OLED의 경우 각 픽셀 별로 발광소자가 존재하므로 각 픽셀 단위로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컨텐츠 영상 중 제1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을 제어하여 해당 픽셀 영역에는 제1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컨텐츠 영상 중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을 제어하여 해당 픽셀 영역에는 제2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LCD의 경우 그리드 단위로 백라이트 제어가 가능한 그리드 방식의 백라이트를 적용하는 방식이나 그외에 영역 별로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b)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예를 들어, 제1 화면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 영상과 제2 화면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즉, 하나의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한 후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2) 구분된 화면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영상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구체적으로,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의 크기에 최적화되도록 전체 영상을 리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1 및 제2 화면의 크기에 부합하도록 리스케일링(Rescaling)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벡터 방식의 GUI에서는 이미지 사이즈를 변환하여도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를 리스케일링하여 구분된 화면의 크기에 최적화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Text) 중심의 정보인 경우, 텍스트 라인과 한 라인에 포함되는 텍스트 개수를 조절하여 구분된 화면의 크기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텍스트 사이즈를 구분된 화면의 크기에 맞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설정된 최소 사이즈와 최대 사이즈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조 및 그 벤딩 감지 방법의 예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벤딩은 일반 벤딩, 폴딩, 롤링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벤딩 각도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벤딩 각도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영역에 걸쳐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일정 벤딩 각도 미만의 벤딩이 롤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 벤딩, 폴딩, 롤링 등은 벤딩 각도 이외에 곡률 반경을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또한, 곡률 반경과 상관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말려진 단면이 거의(substantially) 원이나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벤딩 상태를 벤딩 상태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나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벤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드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한 장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1-1 내지 21-5)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120)는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중심 영역이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아래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윗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가로 방향의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출력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가 상하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장력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2-1 내지 22-5)에 가해지게 된다. 감지부(12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Z+ 방향의 벤딩을 도시하였으나, Z-방향의 벤딩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인 경우,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벤딩, 폴딩 및 롤링 등의 각 변형 형태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3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6과 같이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중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중심 영역인 a3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31-1)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벤드 센서(31-1)이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벤딩 정도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벤드 센서(3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특정 지점에서 최대값을 갖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출력되는 저항값이 점차 작아지면, 최대 저항값이 검출된 영역이 제일 큰 벤딩이 이루어진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판단하고, 저항값이 일정 크기 이상 변한 영역은 벤딩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진 벤딩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벤드 센서들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면마다 상이하게 부여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벤드 센서들이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벤딩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벤딩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의 횟수, 형태가 변화되는 벤딩 속도,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개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내이면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반면,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중 그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지점이 존재하면, 이들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은 하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벤드 센서(31-1)의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의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의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의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의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벤드 센서(31-1 내지 31-5)에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은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한편, 벤딩 영역은 벤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이란, 벤드 센서에서 최대값을 출력하는 서로 다른 지점을 연결한 라인일 수 있다. 즉, 벤딩 라인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도 7의 경우 벤딩 영역(3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3)을 벤딩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벤딩 라인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에서 일정한 간격마다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정도 즉, 벤딩 각도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의 저항값과 그 지점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사이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를 이용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마다 일정한 범위를 갖는 저항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벤딩된 정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속하는 레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뒷면에 구비된 벤드 센서(41)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 a5 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a4에서 출력된 저항값 차이에 기초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저장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속하는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레벨에 대응되는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정도는 벤딩 각도 또는 벤딩 강도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정도가 커지게 되면, 벤드 센서 a5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a4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의 차이는 기존 저항값 차이에 비해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벤딩 정도가 더 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반경 R의 변화를 통해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벤딩 반경 R의 크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 차이를 통해 판단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일 예로는, 벤드 센서를 두 개로 중첩시켜 배치하여,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의 크기 변화의 차이에 따라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에는 두 개의 벤드 센서(61, 62)가 서로 중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61) 및 하위 벤드 센서(62)의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61, 62)의 저항 값을 비교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위쪽 벤드 센서(61)보다 아래쪽 벤드 센서(6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후면 방향으로 벤딩되면, 위쪽 벤드 센서(61)에서 아래쪽 벤드 센서(6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두 벤드 센서(61, 6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는 두 벤드 센서(61, 62)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으로부터 수직한 제1 방향(이하, Z+ 방향)으로 벤딩될 때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 중에서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반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이하,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될 때는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벤딩 방향에 따라 두 벤드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은 서로 다르게 검출되며, 제어부(130)는 그 값의 검출 특성에 따라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임 게이지 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즉,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그 벤딩 방향에 따라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그 출력 값의 특성을 확인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3(a)는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따르면, 벤드 센서 (71)는 원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폐곡선 상에서 출력값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을 벤딩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벤드 센서는 S자나 Z자, 기타 지그재그(zigzag)와 같은 개곡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3(b)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2 면에 배치된다.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제2 면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각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중앙부가 벤딩되는 경우, 폴딩 또는 롤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조건 별로 제1 및 제2 벤드 센서(71,72)의 출력값 및 출력 지점이 달라지게 되는 바, 제어부(130)는 이러한 출력값 특성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단편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지점을 임의의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1 ~ 80-n) 중에서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해당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이 타 스트레인 게이지들의 출력값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n, 80-n+1, ~~ 80-m) 중에서도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하여,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출력값이 변한 두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하는 라인을 벤딩 라인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양 측면 즉, 전면 및 후면 방향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 전면 방향에 배치된 스트레인지 게이지는 전면 방향 즉, Z+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는 경우의 벤딩을 감지하고, 후면에 배치된 스트레인지 게이지는 후면 방향 즉, Z-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는 경우의 벤딩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면 즉,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 및 후면으로의 벤딩을 모두 감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5는 이러한 센서들의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81-1, 81-2)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81-1, 81-2)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81-1, 81-2)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81-1, 81-2)를 각각 배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될 때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제어부(130)는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81-1, 81-2)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가속도 센서(81-1, 81-2)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세로 방향의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감지한 측정값에 따라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는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벤딩 영역 및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벤딩 이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을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이란 손가락 접촉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위치를 센싱하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압력식 저항막 방식이란 누르는 동작을 통해 상하면이 접촉되어 저항값이 변화하고, 이 때 양단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압의 변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전압 변화 정도도 접촉된 위치를 센싱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적외선 감지 방식이란 Optp-Matrix frame이 장착된 모니터에서 손가락과 같이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체로 화면 터치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이 차단되어 반대편의 포토 트랜지스터에 감지가 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위치를 센싱하는 방식이다.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이란 초음파가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특성과 일정한 시간에 진행하는 거리는 일정하다는 소리의 전파 특성을 이용한 간단한 원리로 구현한 방식으로 트랜스미터와 리플렉터를 통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소리의 시간 간격을 센싱하는 방식이다.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이란 한쪽의 모서리를 손으로 누르면 네 모서리에 구비된 장력측정장치 중 눌려진 쪽의 장력측정장치가 가장 많은 힘을 받게 되며, 늘어나는 힘의 정도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되어 콘트롤러에 전달되는데, 이 때 콘트롤러가 네 모서리의 전기적인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여 좌표값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피에조 효과 방식이란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때 그 압력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네 모서리에서 받는 압력의 정도가 각각 다르게 되는데, 이러한 네 모서리의 전기적인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여 터치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이다.
가령,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내의 기판(111) 상에 증착된 ITO(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막 및 그 상측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상하판이 접촉되어 전기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제어부(13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전극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한다. 터치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행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어부(130)의 구체적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 예 >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6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음성 인식부(160), 모션 인식부(170), 스피커(180), 외부 입력 포트(190-1 ~ 190-n), 전원부(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비롯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조작, 특히 벤딩 조작, 터치 조작 등을 감지한다. 도 17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121), 지자기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벤드 센서(124), 압력 센서(125), 근접 센서(126), 그립 센서(12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2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방식은 Optp-Matrix-frame이 장착된 모니터에 손가락이 같이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체로 화면 터치 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이 차단되어 반대편의 포토 트랜지스터에 감지가 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위치를 센싱하는 방식이다.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은 초음파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특성과 일정한 시간에 진행하는 거리는 일정하다는 소리의 전파 특성을 이용한 간단한 원리로 구현한 방식으로 트랜스미터와 리플렉터를 통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소리의 시간 간격을 센싱하는 방식이다.
또한,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은 일측 모서리를 손으로 누르면 네 모서리의 장력 측정 장치 중 눌려진 모서리에 위치한 장력 측정 장치가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면, 늘어나는 힘의 정도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되어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구성을 이용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네 모서리의 전기적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여 터치 위치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피에조 효과 방식은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때 터치 압력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네 모서리에서 받는 압력의 정도가 각각 다르게 되며, 컨트롤러가 이러한 압력의 정도에 따른 비율을 계산하여 좌표값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122) 및 가속도 센서(123)는 각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5)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5)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압력 센서(125)가 터치 센서(121)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센서(121)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50)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26)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26)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 광전 형, 초음파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125)와 별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벤딩이감지되면, 벤딩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화면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및 스피커(180) 등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방송 수신 모듈(15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 GPS 모듈(153), 무선 통신 모듈(15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151)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2)이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GPS 모듈(153)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154)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 모듈(152)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화면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조작이나 터치 조작 이외에 음성 입력이나 모션 입력을 인식하여, 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160) 또는 모션 인식부(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부(160)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음성 취득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음향을 수집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기 설정된 음성 코맨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부(17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상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 코맨드에 대응되는 모션 제스처를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모션 제스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채널 재핑, 장치 턴온, 턴오프, 일시 정지,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음소거 등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가 음성 또는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외부 입력 포트 1, 2 ~ n(190-1 ~ 190-n)들은 각각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 헤드셋 포트, 마우스 포트, LA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500)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전원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50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재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16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드시 전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구성요소만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품 종류에 따라 구성요소들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또는, 타 구성요소들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감지부(120), 음성 인식부(160), 모션 인식부(170) 등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시스템 메모리(131), 메인 CPU(132), 이미지 프로세서(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 저장부 인터페이스(13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오디오 처리부(137), 시스템 버스(140)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131), 메인 CPU(132), 이미지 프로세서(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 저장부 인터페이스(13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오디오 처리부(137)들은 시스템 버스(14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는 감지부(12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제어부(130) 내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도 17에서는 감지부(120)가 제1 인터페이스(136-1)로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20)가 다양한 유형의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센서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6-1 ~ 136-n)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 부분에 마련된 버튼이나, 외부 입력 포트 1 내지 n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131)는 ROM(131-1) 및 RAM(131-2)을 포함한다. ROM(131-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2)는 ROM(131-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2)에 복사하고, RAM(131-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메인 CPU(1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는 저장부(140)와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일 예로, 벤딩에 기초하여 화면이 구분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구분된 화면에 대응되는 기능, 예를 들어 컨텐츠 리스트 제공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동영상 재생 화면을 구성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디코더, 렌더러, 스케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처리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 밖에, 오디오 처리부(137)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180)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137)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나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노이즈 필터링한 후, 적정 데시벨로 증폭하는 등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37)는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디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부(133)와 동기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180)로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령, 메인 CPU(132)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를 통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벤딩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감지된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을 검출하고,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구분된 일 영역 및 다른 영역을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각 화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부(14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벤딩 이벤트 핸들링 모듈(146), 이벤트 관리 모듈(147), 서비스 모듈(148)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위치 기반 모듈(141-2), 보안 모듈(141-3), 네트워크 모듈(14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위치 기반 모듈(141-2)이란 GPS 칩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4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감지부(110)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의 좌표값, 터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등과 같은 조작 속성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 밖에, 경우에 따라서는, 센싱 모듈(14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이벤트 핸들링 모듈(146)은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벤딩 이벤트 핸들링 모듈(146)은 이벤트 핸들러 모듈(146-1), 벤딩 코어 모듈(146-2), 플러그인 모듈(146-3)을 포함한다. 이벤트 핸들러 모듈(146-1)은 이벤트 관리 모듈(147) 내의 플렉서블 윈도우 관리 모듈(147-2)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전달받고, 이벤트 별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를 분류한다. 여기서, 이벤트란 벤딩이 감지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벤딩 코어 모듈(146-2)은 이벤트 핸들러 모듈(146-1)에 의해 분류된 이벤트를 큐잉하고, 이벤트와 해당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위젯 등)을 매칭시킨다. 또한, 벤딩 코어 모듈(146-2)은 이벤트에 매칭된 화면을 렌더링시키기 위한 렌더링 이벤트 신호를 플러그 인 모듈(146-3)을 통해 프리젠테이션 모듈(144)로 전송한다. 플러그 인 모듈(146-3)은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이나,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 모듈(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이벤트 관리 모듈(147)은 터치나 벤딩 제스쳐, 기타 각종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벤트 관리 모듈(147)은 윈도우 관리 모듈(147-1), 플렉서블 윈도우 관리 모듈(147-2)을 포함한다. 윈도우 관리 모듈(147-1)은 터치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기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 모듈(147-1)은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이나 UI 프레임워크 모듈(미도시)로 감지된 이벤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윈도우 관리 모듈(147-2)는 감지부(110)에 의해 벤딩 제스쳐가 감지되면, 벤딩 이벤트 핸들링 모듈(146)로 벤딩 이벤트를 전송한다.
그 밖에, 서비스 모듈(148)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148)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CPU(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온되거나, 잠금 해제 상태가 되면,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 메인 화면에는 각종 아이콘이 표시된다. 메인 CPU(122)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실행시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각종 기초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부(130)로 제공한다. 기초 데이터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형태, 위치, 크기, 색상, 표시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그래픽 처리부(123)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객체 상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18에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평판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하지 않은 재질로 제작된 본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우선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1910).
이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이 감지되면(S1920),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한다(S1930).
이후, 제1 화면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화면에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1940). 여기서, 제2 컨텐츠는 벤딩 이전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로서, 제1 컨텐츠 이전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이며, 제2 컨텐츠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S1940 단계에서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화면 중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화면및 제2 화면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경계 부분의 이동에 따라 경계 부분이 화면 외부로 벗어나게 되는 경우, 경계 부분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실행 또는 재생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되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동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조작에 수반되는 터치 동작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면,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복수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순서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며, 제2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분 방법>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시에 형성된 벤딩 라인을 중심으로 벤딩이 많이 이루어진 영역을 제2 화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 가장자리 영역, 중심 영역 등에 배치된 벤드 센서의 센싱 정보를 통해 각 위치 별 벤딩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은 가장 벤딩이 가장 강하게 이루어진 부분을 연결한 가상의 라인이 될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형태로 벤딩된 경우, 벤딩 라인을 중심으로 벤딩이 많이 이루어진 우측 영역이 제2 화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벤딩된 경우, 벤딩 라인을 중심으로 벤딩이 많이 이루어진 상측 영역이 제2 화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벤드 센서 외에서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등이 화면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모서리 영역)에 배치하여 화면을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 >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의 일 영역을 벤딩(또는 폴딩)한 후 해제하는 벤딩이 있는 경우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을 기초로 구분된 일 영역 및 다른 영역을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정된 화면 중 제1 화면(210-1)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벤딩으로 인해 위치 이동이 발생된 벤딩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화면(210-2)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와 상이한 제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차 벤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 화면(210-2)에 대한 2차 벤딩이 있는 경우, 2차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을 기초로 제2 화면(210-2)을 복수의 화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화면(210-2)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면 중 제3 화면(210-3)에는 제2 화면(210-2)에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2차 벤딩으로 인해 위치 이동이 발생된 벤딩 영역에 해당하는 제4 화면(210-4)에는 제2 컨텐츠와 상이한 제3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작업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전 작업 컨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벤딩을 통해 두 개의 작업 컨텐츠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의 일 영역을 벤딩한 후 해제하는 조작이 있는 경우 벤딩에 의해 형성된 벤딩 라인을 기초로 화면을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분된 복수의 화면 중 제1 화면(220-1)에는 현재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벤딩으로 인해 위치 이동이 발생된 벤딩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화면(220-2)에는 해당 웹페이지 이전에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이전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작업 수행 중 이전 작업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여 용이하게 이전 작업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작업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을 통해 현재 작업 커텐츠 및 해당 작업 컨텐츠의 홈 화면 컨텐츠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의 일 영역을 벤딩한 후 해제하는 조작이 있는 경우 제1 화면(220-1)에는 현재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벤딩으로 인해 위치 이동이 발생된 벤딩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화면(220-2)에는 해당 웹페이지의 홈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을 통해 한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두 개의 컨텐츠는 시스템적으로 이전 이후 관계에 나열되는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특정 블로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벤딩을 통해 구분된 복수의 화면(220-1, 220-2) 상에는 해당 블로그 컨텐츠 및 리스트 상에서 해당 블로그 컨텐츠 이후에 배치된 블로그 컨텐츠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을 통해 화면이 일 영역 및 다른 영역으로 구분되면, 구분된 화면 각각에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웹페이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배경으로 뮤직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웹페이지 화면이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뮤직 플레이어 화면이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벤딩을 통해 화면이 구분되면, 구분된 화면 각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사진 컨텐츠가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사진 컨텐츠가 포함된 폴더 정보가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벤딩을 통해 화면이 구분되면, 구분된 화면 각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의 이전 또는 이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사진 컨텐츠가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사진 컨텐츠와 동일한 폴더에 속하는 이전 사진 컨텐츠가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제1 및 제2 화면(240-1, 240-2) 각각에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화면(240-2)이 표시된 영역을 재벤딩하면, 제2 화면(240-2)에 표시되었던 제2 컨텐츠가 제1 화면(240-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벤딩이 해제되면, 원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제1 화면(240-1)에는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화면(240-2)에는 제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벤딩에 따라 제1 화면(240-1)에 제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컨텐츠가 벤딩이 감지된 벤딩 영역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벤딩함으로써 북마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의 일 모서리 영역을 벤딩 후 고정하여 해당 컨텐츠 화면을 북마킹한 후,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가, 즉 다른 작업에 따른 다른 컨텐츠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고정된 벤딩 영역에 대한 벤딩을 해제하여 북마킹된 컨텐츠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제1 화면(271-1)에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화면(271-2)에 제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라인을 터치 앤 드래그하여 제1 화면(271-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벤딩 라인의 이동에 따라 제2 화면(271-2)의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화면(271-1, 271-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크기로 변경된 화면 크기에 대응되도록 리스케일링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제1 화면(272-1)에 웹페이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화면(272-2)에 뮤직 플레이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라인을 터치 앤 드래그하여 제2 화면(272-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면 밖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2 화면(272-2)에서 실행 중이던 뮤직 플레이어 기능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라인의 이동에 따라 제2 화면(273-2)의 크기도 증가하면, 제2 화면(273-2)에 표시되는 정보의 양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면(273-2)에 뮤직 플레이어의 기능 제어 화면이 약식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벤딩 라인의 이동에 따라 제2 화면(273-2)의 크기가 증가하면, 플레이되는 음악 정보와 같은 추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되고,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제1 화면에 표시하고,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표시된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p.50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가 화면(281) 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감지되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인 10 페이지라는 정보가 화면 상의 일 영역(28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우측 상단 모서리 영역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현재 컨텐츠 페이지인 p.50이 제1 화면(283)에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표시된 10 페이지 이전 컨텐츠 페이지인 p.40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가 제2 화면(28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인 10 페이지라는 정보가 화면(281) 상의 일 영역(282)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 영역에 대한 벤딩이 감지되면, 현재 컨텐츠 페이지인 p.50이 제1 화면(285)에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표시된 10 페이지 이후 컨텐츠 페이지인 p.60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가 제2 화면(28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벤딩이 감지되는 영역의 위치에 따라 이전 컨텐츠 페이지 뿐 아니라 이후 컨텐츠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페이지 양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1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2 페이지 양에 대응되는 벤딩이 감지되는 경우 2 페이지 이후 컨텐츠 페이지인 p.3이 디스플레이되고, 7페이지 양에 대응되는 벤딩이 감지되는 경우 7페이지 이후 컨텐츠 페이지인 p.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이후 컨텐츠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이전 컨텐츠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며 벤딩이 해제된 이후에 구분된 각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0은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a)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3600), 디스플레이부(110), 그립부(3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6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담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16과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일부 센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체(3600)에 탑재될 수 있다. 본체(36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롤링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 롤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본체(360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3610)를 파지하여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 롤러가 롤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링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360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회전 롤러에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3610)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당기면, 스토퍼에 의해 회전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회전 롤러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3600) 내로 다시 롤링될 수 있다. 스토퍼는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롤러 및 스토퍼에 대해서는 통상의 롤링 구조체에서 사용되는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3600)에는 전원부(180)가 포함된다. 전원부(180)는 1회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연결부, 사용자가 복수 횟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360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부(18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30(a)에서는 원통형 구조의 본체(3600)가 도시되었으나, 본체(360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가 본체(3600)에 내장된 상태에서 풀링(pulling)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본체 외부를 감싸는 형태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3700) 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1은 전원부(180)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 따르면,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부(180)는 음극 집전체, 음극 전극, 전해질부, 양극 전극, 양극 집전체 및 이들을 덮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전체는 탄성 특성이 좋은 TiNi계와 같은 합금류,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순금속류, 탄소가 코팅된 순금속, 탄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극 전극은 리튬,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카드늄, 수소저장합금, 납 등의 금속류와 탄소 등의 비금속류 및, 유기황과 같은 고분자 전극 물질과 같은 음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은 황 및 금속 황화물, LiCoO2 등 리튬천이금속산화물, SOCl2, MnO2, Ag2O, Cl2, NiCl2, NiOOH, 고분자 전극 등의 양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해질부는 PEO, PVdF, PMMA, PVAC 등을 이용한 겔(g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복부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C, HDPE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실 형태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피복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180) 내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원부(18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커넥터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홈의 결합에 의해 전원부(18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원부(180)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전원 연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1에서는 전원부(18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부(180)의 위치 및 형태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전원부(18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가 아니라 입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2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 측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마련되고, 다른 표면에는 버튼이나 스피커, 마이크, IR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가 마련된다.
도 32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장 케이스 전체 또는 일부분이 고무나 기타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어 플렉서블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 또는 일부분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에 따라, 이전 동작과 상이한 새로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평상시에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다가, 일 영역에서 벤딩 제스쳐가 이루어지면 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모콘 기능이 수행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리모콘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전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다이얼 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형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놓여진 형태나 접혀진 형태에 따라 시각적, 기능적으로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져 있을 때는 사진이나 기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다가, 바닥에 수직하게 세워지면 탁상 시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중심부가 90도 정도 벤딩되면 노트북 P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혀진 영역 중 하나에는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는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벤딩에 기초하여 구분된 영역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벤딩을 기초로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화면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화면에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벤딩에 기초하여 화면을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Claims (2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벤딩을 기초로 상기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벤딩 이전에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화면 중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만을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부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계 부분이 상기 화면 외부로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실행 또는 재생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조작에 수반되는 터치 동작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복수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순서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multi tasking)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벤딩을 기초로 상기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영역을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화면에는 상기 제1 컨텐츠와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벤딩 이전에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상기 제2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 부분을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의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부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계 부분이 상기 화면 외부로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실행 또는 재생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페이지 양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조작에 수반되는 터치 동작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마련된 터치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터치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전에 표시된 복수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 중에서,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순서의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084502A 2012-08-01 2012-08-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02A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2-08-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015107008A RU2609093C2 (ru) 2012-08-01 2013-07-31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PCT/KR2013/006883 WO2014021628A1 (en) 2012-08-01 2013-07-3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825817.3A EP2880511A4 (en) 2012-08-01 2013-07-3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0151548.3A EP3657301A1 (en) 2012-08-01 2013-07-3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1576DEN2015 IN2015DN01576A (ko) 2012-08-01 2013-07-31
CN201380041042.3A CN104520788B (zh) 2012-08-01 2013-07-31 柔性显示设备和控制柔性显示设备的方法
US13/956,803 US9524049B2 (en) 2012-08-01 2013-08-0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02A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2-08-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89A KR20140017389A (ko) 2014-02-11
KR102016119B1 true KR102016119B1 (ko) 2019-08-30

Family

ID=5002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502A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2-08-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4049B2 (ko)
EP (2) EP2880511A4 (ko)
KR (1) KR102016119B1 (ko)
CN (1) CN104520788B (ko)
IN (1) IN2015DN01576A (ko)
RU (1) RU2609093C2 (ko)
WO (1) WO2014021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672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KR102048041B1 (ko) * 2013-04-18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40235B1 (ko) * 2013-05-31 2020-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496522B2 (en) * 2013-12-13 2016-11-1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optically coupled to curved substrate
KR20150061574A (ko) * 2013-11-27 2015-06-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테두리
KR20150092962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31956B1 (ko) 2014-02-10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891663B2 (en) 2014-02-10 2018-02-13 Samsung El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024187B1 (ko) * 2014-02-10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5119485A1 (en) 2014-02-10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3105666B1 (en) * 2014-02-10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561200B1 (ko) 2014-02-10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253884A1 (en) * 2014-03-04 2015-09-10 Sung Jae Hwang Determination of bezel area on flexible display
US9575512B2 (en) 2014-04-15 2017-02-2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24478B1 (ko) 2014-04-1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2721B1 (ko)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0632B1 (ko) 2014-06-09 2021-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6554B1 (ko) 2014-06-18 2021-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5710B1 (ko) * 2014-06-19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그룹 플레이 시스템 및 그 수행 방법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KR102243655B1 (ko) 2014-09-02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238833B (zh) * 2014-09-03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
KR102244435B1 (ko) 2014-09-03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61694B1 (ko) 2014-10-20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77260B1 (ko) 2014-12-29 202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80851A (ko) 2014-12-29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4461444A (zh) * 2014-12-30 2015-03-25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柔性屏的分屏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16111561A1 (en) 2015-01-07 2016-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150985B (zh) * 2015-01-07 2023-04-18 三星电子株式会社 可弯曲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US9941918B2 (en)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KR102332524B1 (ko) * 2015-01-12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부리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9727087B2 (en) 2015-03-25 2017-08-08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dynamic detection and intelligent use of segmentation on flexible display screens
KR102385101B1 (ko) * 2015-04-24 2022-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70169B1 (ko)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60262B1 (ko) * 2015-11-04 2017-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64704B1 (ko) * 2015-11-13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6873814B (zh) * 2015-12-14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17107204A1 (zh) * 2015-12-25 2017-06-2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系统
CN105700841B (zh) * 2016-01-11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设备
KR20170085419A (ko) * 2016-01-14 201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23145B1 (ko) * 2016-04-1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JP6690992B2 (ja) * 2016-05-18 2020-04-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0198404B2 (en) * 2016-06-10 2019-02-05 ProntoForms Inc. Flexible online form display
WO2017219257A1 (zh) 2016-06-21 2017-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柔性显示屏的电子设备及其处理方法
CN106210298A (zh) * 2016-07-01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US10558277B2 (en) * 2016-08-04 2020-02-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ing angle sensing of a foldable device
US10191147B2 (en) 2016-08-05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ltrasound based configuration detection of a multipart electronic apparatus
CN107702636A (zh) * 2016-08-09 2018-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弯曲检测方法及装置、终端
CN106445228A (zh) * 2016-08-30 2017-02-2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柔性屏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880731B1 (en) * 2016-09-16 2018-01-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exible modular screen apparatus for mounting to, and transporting user profiles between, participating vehicles
CN106248504B (zh) * 2016-09-27 2019-11-0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屏弯曲检测装置及方法
US10528088B2 (en) 2016-09-28 2020-0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ening state detection of a foldable device using self-capacitance
KR20180044491A (ko) * 2016-10-21 2018-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49729B1 (ko) * 2016-11-02 2024-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81503A (ja) * 2016-11-16 2018-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267077A (zh) * 2017-01-04 2018-07-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屏弯曲识别方法、装置以及一种柔性屏
CN107036525B (zh) * 2017-05-23 2019-06-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屏弯曲检测装置和方法、柔性屏
CN107644170B (zh) * 2017-08-31 2019-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7656716B (zh) * 2017-09-05 2021-10-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内容显示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
CN109579689B (zh) * 2017-09-29 2020-12-08 西门子公司 曲率测量装置
CN107678724A (zh) * 2017-10-19 2018-0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7728809A (zh) * 2017-10-19 2018-02-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205418B (zh) * 2017-12-15 202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8196810A (zh) * 2017-12-21 2018-06-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494958B (zh) * 2018-03-15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柔性屏终端
US11402669B2 (en) 2018-04-27 2022-08-02 Apple Inc. Housing surface with tactile friction features
US10660221B2 (en) * 2018-05-21 2020-05-19 Yungu (Gu'an) Technology Co., Ltd. Display box and display device
US11112827B2 (en) * 2018-07-20 2021-09-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KR102636883B1 (ko) * 2018-08-17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D920439S1 (en) 2018-12-04 2021-05-25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Curved button panel display for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USD920440S1 (en) 2018-12-04 2021-05-25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Curved button panel display for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USD920441S1 (en) 2018-12-04 2021-05-25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Curved button panel display for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US11691912B2 (en) 2018-12-18 2023-07-04 Apple Inc. Chemically strengthened and textured glass housing member
US10733830B2 (en) 2018-12-18 2020-08-04 Aristocrat Technologies Pty Limited Gaming machine display having one or more curved edges
USD923592S1 (en) 2018-12-18 2021-06-2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Electronic gaming machine
CN109599033A (zh) * 2019-01-29 2019-04-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柔性显示面板的控制方法及显示终端
US11199929B2 (en) 2019-03-21 2021-12-14 Apple Inc. Antireflective treatment for textured enclosure components
US11372137B2 (en) 2019-05-29 2022-06-28 Apple Inc. Textured cover assemblies for display applications
US11109500B2 (en) 2019-06-05 2021-08-31 Apple Inc. Textured glass component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10827635B1 (en) 2019-06-05 2020-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having a textured glass component
US11192823B2 (en) 2019-06-05 2021-12-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laser-textured glass cover members
CN112463007A (zh) * 2019-09-06 2021-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柔性屏终端及其显示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47659A (zh) * 2019-11-11 2020-05-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40424B1 (ko) * 2019-12-09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481035B2 (en) * 2020-05-15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gestures detected on a display screen of a foldable device
US11897809B2 (en) 2020-09-02 2024-02-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extured glass and glass ceramic components
CN114546225B (zh) * 2020-11-24 2023-08-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柔性屏终端及其通知显示方法和存储介质
CN112687192B (zh) * 2021-01-26 2023-05-0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3106888A1 (en) * 2021-12-10 2023-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health of displa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995A (en) 1992-01-29 1994-10-04 Apple Computer, Inc. Double-sided, reversible electronic paper
RU2318230C2 (ru) 2006-03-27 2008-02-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Гибкий дисплей
US20090327890A1 (en) * 2008-06-26 2009-12-31 Raytheon Company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isplay module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comparing skin features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60A (ja)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US8451238B2 (en) 2009-09-02 2013-05-28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user interface
KR101675178B1 (ko) * 2009-09-02 2016-11-10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터치-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208964B2 (en) * 2009-10-30 2012-06-26 Cellco Partnership Flexible home page layout for mobile devices
US9116594B2 (en) * 2010-01-19 2015-08-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241998A1 (en) * 2010-03-30 2011-10-06 Mckinney Susan Flexi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664418B1 (ko) *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63857B2 (en) * 2012-02-21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5869A1 (en) 2014-02-06
WO2014021628A1 (en) 2014-02-06
EP2880511A1 (en) 2015-06-10
EP2880511A4 (en) 2016-03-16
RU2609093C2 (ru) 2017-01-30
RU2015107008A (ru) 2016-09-27
CN104520788B (zh) 2018-01-16
EP3657301A1 (en) 2020-05-27
CN104520788A (zh) 2015-04-15
KR20140017389A (ko) 2014-02-11
IN2015DN01576A (ko) 2015-07-03
US9524049B2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1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3734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1641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438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EP2895937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045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307229B2 (ja) ベンディングインタラクションガイドを提供するフレキシブ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025933A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5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3636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2233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336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23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630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1691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