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69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694B1
KR102161694B1 KR1020140141659A KR20140141659A KR102161694B1 KR 102161694 B1 KR102161694 B1 KR 102161694B1 KR 1020140141659 A KR1020140141659 A KR 1020140141659A KR 20140141659 A KR20140141659 A KR 20140141659A KR 102161694 B1 KR102161694 B1 KR 10216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area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139A (ko
Inventor
김병철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694B1/ko
Priority to US14/744,224 priority patent/US10133373B2/en
Publication of KR2016004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139A/ko
Priority to US16/193,230 priority patent/US109490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이 가능하며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유연하면서 투명성을 갖는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특성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다양하게 이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각 영역의 투명도, 렌더링 상태, 터치 활성화 상태를 폴딩 상태에 적합하게 조정하여 폴딩 상태에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상기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벤딩에 따라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파지 영역에 컨텐츠 제어 메뉴 및 투명도 조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시선 방향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시선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상기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벤딩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면을 불투명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면에 구비된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 면에 구비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상기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좌표 동기화에 따라 매칭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접촉되는 이벤트에 따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화 패턴을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동기화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상기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벤딩에 따라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파지 영역에 컨텐츠 제어 메뉴 및 투명도 조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시선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시선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상기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벤딩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면을 불투명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면에 구비된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 면에 구비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상기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좌표 동기화에 따라 매칭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접촉되는 이벤트에 따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화 패턴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동기화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하면서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딩 조작에 따른 영역 구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 모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간 좌표 및 방향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장치 간 좌표 및 방향이 동기화된 상태에서의 활용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 벤드 센서,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벤딩/폴딩 위치, 벤딩/폴딩 방향, 벤딩/폴딩 각도, 벤딩/폴딩 세기, 벤딩/폴딩 속도, 벤딩/폴딩 횟수, 벤딩/폴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폴딩 유지 시간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시청 가능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구성하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분포나,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 분포의 변화를 통해 벤딩 라인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이란 벤딩이 발생된 영역 상에서 벤딩 정도가 가장 큰 지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최대인 벤딩 포인트(또는 벤딩 좌표)를 연결한 가상의 라인을 벤딩 라인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벤드 센서가 복수 개의 지점에 개별적으로 위치된 센서(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인지)로 구현되는 경우 벤딩 포인트는 각 센서가 위치된 지점이 될 수 있으며, 최대 저항값을 출력하는 센서 간을 연결한 가상의 라인이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30)는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두 점에서 터치가 인식되는 경우, 터치를 통해 누르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인식되는 경우, 누르는 상태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벤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1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조정하면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리스케일링(Rescaling)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벡터 방식의 GUI에서는 이미지 사이즈를 변환하여도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를 리스케일링하여 해당 영역의 크기에 최적화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텍스트(Text) 중심의 정보인 경우, 텍스트 라인과 한 라인에 포함되는 텍스트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영역의 크기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텍스트 사이즈를 해당 영역의 크기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설정된 최소 사이즈와 최대 사이즈 범위 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구분된 각 영역의 형태, 위치, 벤딩 라인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각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 영역의 형태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고려하여 대응되는 컨텐츠들을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을 활성화하게 되면 화각으로 인한 음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벤딩 각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으로 인한 곡률 반경 R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컨텐츠들을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 R에 따라 컨텐츠 가독성 등을 고려한 사용자 시야에 적합한 레이아웃 형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울어진 각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된 벤딩에 따라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파지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에 컨텐츠 제어 메뉴 및 투명도 조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어 메뉴는 Mouse, Keypad 등 컨텐츠와 연동하는 메뉴를 의미하며, 투명도 조정 메뉴는 투명도 조정을 가이드하는 GUI 메뉴를 의미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색 조정을 가이드하는 GUI 메뉴 등도 파지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하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폴딩된 영역 즉,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활성화 영역으로 판단하고 화면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대기 상태는, 화면 꺼짐 상태, 화면 잠금 상태, 보안 화면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꺼짐 상태는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한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를, 화면 잠금 상태는 화면은 켜져 있으나 지정된 입력을 하지 않는 이상 다른 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를, 보안 화면 상태는 화면 활성화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입력을 하여야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OLED의 경우 각 픽셀 별로 발광소자가 존재하므로 각 픽셀 단위로 ON/OFF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OLED 발광소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Black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화면 비활성화 영역은 Black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LCD의 경우 화면 비활성화 영역의 처리를 위해서 그리드 단위로 백라이트 ON/OFF가 가능한 그리드 방식의 백라이트를 적용하는 방식이나 그외에 영역별로 백라이트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비활성화 영역을 턴오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턴오프 상태는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로 모든 입력 및 출력이 정지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비활성화 상태가 턴오프 상태, 화면 꺼짐 상태, 화면 잠금 상태, 보안 화면 상태 중 선택적인 하나의 상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태가 동시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화면 꺼짐 상태 및 보안 화면 상태는 동시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멀티 벤딩이 있는 경우, 멀티 벤딩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벤딩 영역이 플랫(flat) 상태로 복귀되면,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 경우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어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면에 구비된 제1 터치 패널(121),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타 면에 구비된 제2 터치 패널(12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1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좌표 동기화에 따라 매칭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벤딩은 일반 벤딩, 폴딩, 롤링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폴딩(Folding)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벤딩 각도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벤딩 상태를 벤딩 상태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나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벤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드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에서 일정한 간격마다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정도 즉, 벤딩 각도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벤드 센서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의 저항값과 그 지점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사이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를 이용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마다 일정한 범위를 갖는 저항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벤딩된 정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속하는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뒷면에 구비된 벤드 센서(41)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 a5 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a4에서 출력된 저항값 차이에 기초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저장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도 4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속하는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레벨에 대응되는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정도는 벤딩 각도 또는 벤딩 강도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정도가 커지게 되면, 벤드 센서 a5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a4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의 차이는 기존 저항값 차이에 비해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벤딩 정도가 더 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반경 R의 변화를 통해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벤딩 반경 R의 크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 차이를 통해 판단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벤딩 반경 R의 크기에 따라 화면 활성화 영역에 대한 레이아웃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일 예로는, 벤드 센서를 두 개로 중첩시켜 배치하여,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의 크기 변화의 차이에 따라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c에서,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c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에는 두 개의 벤드 센서(61, 62)가 서로 중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61) 및 하위 벤드 센서(62)의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61, 62)의 저항 값을 비교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위쪽 벤드 센서(61)보다 아래쪽 벤드 센서(6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뒷면 방향으로 벤딩되면, 위쪽 벤드 센서(61)에서 아래쪽 벤드 센서(6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두 벤드 센서(61, 6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양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임 게이지 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즉,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그 벤딩 방향에 따라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그 출력 값의 특성을 확인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5(a)는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a)에 따르면, 벤드 센서(71)는 원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폐곡선 상에서 출력값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을 벤딩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벤드 센서는 S자나 Z자, 기타 지그재그(zigzag)와 같은 개곡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b)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b)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2 면에 배치된다.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제2 면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각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중앙부가 벤딩되는 경우, 폴딩 또는 롤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조건 별로 제1 및 제2 벤드 센서(71,72)의 출력값 및 출력 지점이 달라지게 되는 바, 제어부(130)는 이러한 출력값 특성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단편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c)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c)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c)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지점을 임의의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1 ~ 80-n) 중에서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해당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이 타 스트레인 게이지들의 출력값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n, 80-n+1, ~~ 80-m) 중에서도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힘이 작용하여,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출력값이 변한 두 스트레인 게이지를 연결하는 라인을 벤딩 라인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벤딩 이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을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가령,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내의 기판(111) 상에 증착된 ITO(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막 및 그 상측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상하판이 접촉되어 전기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제어부(13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전극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한다. 터치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행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화면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 라인에 따라 구분된 벤딩 영역을 활성화시키거나, 화면이 활성화 상태에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 라인에 따라 구분된 벤딩 영역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의 구체적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65) 및 시선 인식부(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투명하면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4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조작, 특히 벤딩 조작, 터치 조작 등을 감지한다. 도 6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121), 지자기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벤드 센서(124), 압력 센서(125), 근접 센서(126), 그립 센서(12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2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12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122) 및 가속도 센서(123)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5)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근접 센서(126)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125)와 별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27)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폴딩 조작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화면을 구분하고, 구분된 각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이때,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65)는 영상 수신부(미도시)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65)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시선 인식부(170)는 사용자의 시선 인식을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위치,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트랙킹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선 인식부(170)는 촬상부(미도시) 및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를 촬상한다. 예를 들어, 촬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 중앙, 좌단 중앙 또는 우단 중앙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부(미도시)는 촬상을 위해 렌즈를 포함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렌즈를 통해 입력된 형상은 필름의 역할을 하는 이미지 센서에 광학 신호로서 입력되고, 이미지 센서는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부(미도시)로 전송한다.
검출부(미도시)는 촬상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트랙킹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미도시)는 이전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에서 검출된 사용자 얼굴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트랙킹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딩 조작에 따른 영역 구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벤딩이 이루어진 영역이 폴딩 앤 홀드 조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딩 라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0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710),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이 덮은 영역 외의 여유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각 영역 별로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710)의 투명도를 유지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710)의 크기에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을 불투명 상태로 변경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의 덮힘으로 인해 시청 방해가 되지 않도록 최적의 휘도, 색상 등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최상의 투명도를 유지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비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에 최적화된 화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의 좌우 변경)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으로 인해 제3 디스플레이 영역(73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시청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 폴딩에 따라 폴딩되지 않는 영역(810)은 기존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양면 터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역에는 투명도 조정을 가이드하는 GUI(81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폴딩에 따라 비노출되는 영역(820)은 터치 인식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양면 터치 패널을 모두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비노출 영역(820)을 덮는 영역(830)은 터치 인식 오동작을 방지 및 사용자의 시청 편의를 위해, 양면 터치 패널을 모두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면 터치 패널만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반으로 폴딩한 경우, 폴딩에 따라 비노출되는 영역(840)은 터치 인식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양면 터치 패널을 모두 비활성화시키고, 비노출 영역(840)을 덮는 영역(850)은 전면 터치 패널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1인 시청 모드에서는 비노출 영역(840)을 덮는 영역(850)에는 컨텐를 디스플레이하고, 폴딩에 따라 비노출되는 영역(840)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하거나, 색삭 변경을 통해 사생활 보호 및 CR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인 시청 모드에서는 폴딩에 따라 노출되는 전면에 구비된 터치 패널 만을 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가 맞닿는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 모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는 폴딩 조작에 따른 개인화 모드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이 감지되면, 폴딩 영역의 위치 및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여 개인화 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 영역이 적은 위치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일치하면 개인화 모드 즉, 1인 시청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는 개인화 모드에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양 측을 모두 벤딩하는 조작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한 양 측 위치에 개인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측에는 Mouse, Keypad 등 Contents와 연동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다른 한 측에는 투명도/색 조절 등 정보 보호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인지하여 안쪽으로 굽힌 면을 출력 화면으로 처리하고, 바깥 면을 불투명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을 벤딩하는 조작이 있는 경우, 폴딩된 영역의 내측(942)에 정보를 표시하고, 외측(941)은 불투명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폴딩되지 않은 영역(930)은 기존 투명도를 유지하고 화면 크기에 맞게 UI 화면을 렌더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폴딩되지 않은 영역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양 측에 구비된 제1 및 제2 터치 패널(121, 122)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 측에만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제3 터치 패널(221) 만을 구비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비접촉 방식의 입력 패널(22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위에 놓여지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연결 모듈(미도시)은 접촉이 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제2 터치 패널(122)과 제3 터치 패널(221)의 일부 또는 전체의 터치 인식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모듈(미도시)은 휴대 단말의 NFC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가 겹쳐지거나 위에 올려짐을 인식하거나, NFC 외에도 카메라 인식, 근접센서, 멀티 터치 입력 센서 등을 통해 겹쳐짐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좌표 동기화 방법에 따라 제3 터치 패널(221)의 터치 인식을 중지시키지 않을 수도 있으며, 비 접촉방식 입력 패널(222)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 간 연결을 통해서 제1 터치 패널(1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두 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동기화를 위해 제2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재생한 패턴 정보와 제1 터치 패널(121)을 통해 받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비교하여 장치가 놓여진 위치의 좌표와 방향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패턴 정보를 재생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제3 터치 패널(221)이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비 접촉방식 입력패널(222)은 좌표는 동기화되더라도 장치가 놓여진 방향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거나, 보다 정확한 좌표 동기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동기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간 좌표 및 방향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 위에 올려지는 경우, 두 장치 간 네트워크가 연결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스크린 일부 또는 전체의 터치 인식은 중지될 수 있다.
이어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는 위치와 방향 동기화를 위한 패턴(터치 포인트)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놓여진 위치에서 재생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 2점을 드래그 동작을 통해 이으면 해당 입력 정보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재생된 터치 포인트를 비교해 스크린의 좌표에 대한 위치와 장치가 놓인 방향을 동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하던 화면으로 전환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좌표 및 방향 동기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1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올렸을 때 패턴을 재생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각각의 해상도와 비교하여 시작 지점 좌표를 매칭시키고,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이 끝나는 좌표를 매칭시킨다. 이어서, 이를 통해 산출된 두 벡터를 이용하여 각도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좌표 값과 각도 값을 이용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재생할 때 반영된 좌표 값을 반영한다.
도 11c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올려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접촉면 센서에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인식하고 BT, NFC 등 연결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픽셀 피치 등 물리적인 크기를 계산할 파라미터를 교류한다. 이어서, 위치 동기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 화면 크기에 맞는 캘리브레이션 이미지를 전송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 및 픽셀 피치를 고려하여 캘리브레이션 이미지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캘리브레이션 이미지의 일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캘리브레이션 이미지를 비교하여 맞추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두 영상을 비교하여 좌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모서리 포인트를 찾고, 블록 매칭을 통해 위치와 회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d에 따르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비 접촉방식의 입력(ex:호퍼링)이 가능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 모두에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므로 각각 디스플레이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특정 모서리 지점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비접촉식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가 놓인 위치와 방향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장치 간 좌표 및 방향이 동기화된 상태에서의 활용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에 따르면 상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제공되고, 하위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제공되지 않은 객체(예를 들어,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에 대해 더블 터치, 길게 누름 등의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 해당 객체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하위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에 대해서 더블 터치, 길게 누름 등의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객체가 상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b에 따르면, 상하위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의 동일 위치에 객체가 모두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의 더블 터치, 길게 누름 등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하위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에 제공되는 양 객체가 동시에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객체를 길게 누름한 후 드래그 조작할 경우, 해당 객체가 동일 디스플레이 내에서 이동되지만, 더블 터치를 통해 길게 누름 조작할 경우 타 디스플레이로 옮겨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한다(S1310). 이어서,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한다(S1320).
이 경우,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S1320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S1320 단계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조정하면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감지된 벤딩에 따라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파지 영역에 컨텐츠 제어 메뉴 및 투명도 조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사용자 시선 방향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시선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벤딩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면을 불투명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면에 구비된 제1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 면에 구비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제어 방법은,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비 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좌표 동기화에 따라 매칭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접촉되는 이벤트에 따라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화 패턴을 전송하는 단계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기화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면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벤딩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활성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폴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폴딩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의 크기에 맞게,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딩에 따라 비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영역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폴딩에 따라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파지 영역에 컨텐츠 제어 메뉴 및 투명도 조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 시선 방향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시선 방향으로 폴딩된 경우, 상기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폴딩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면을 불투명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면에 구비된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 면에 구비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좌표 동기화에 따라 매칭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접촉되는 이벤트에 따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화 패턴을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동기화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폴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폴딩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각 영역의 크기에 맞게, 각 영역의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딩에 따라 노출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딩에 따라 비노출 상태로 변경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영역인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 및 렌더링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투명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부합하도록 렌더링 상태를 조정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투명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폴딩에 따라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파지 영역에 컨텐츠 제어 메뉴 및 투명도 조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시선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시선 방향으로 폴딩된 경우, 상기 개인화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폴딩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면을 불투명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도 조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면에 구비된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 면에 구비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폴딩이 감지되면, 각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활성화 상태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동기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좌표 동기화에 따라 매칭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접촉되는 이벤트에 따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화 패턴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동기화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화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41659A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6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659A KR102161694B1 (ko)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4/744,224 US10133373B2 (en) 2014-10-20 2015-06-19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6/193,230 US10949003B2 (en) 2014-10-20 2018-11-16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659A KR102161694B1 (ko)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139A KR20160046139A (ko) 2016-04-28
KR102161694B1 true KR102161694B1 (ko) 2020-10-05

Family

ID=5574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659A KR102161694B1 (ko) 2014-10-20 2014-10-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133373B2 (ko)
KR (1) KR102161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4407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152733B1 (ko) * 2014-06-24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54863B2 (en) * 2014-12-19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499110B1 (ko) * 2016-01-14 2023-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01401B1 (ko) * 2016-02-19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229363A (zh) * 2016-03-25 2017-10-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5892664B (zh) * 2016-03-31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70345396A1 (en) * 2016-05-24 2017-11-30 Lenovo (Singapore) Pte. Ltd. Configuring virtual display zones within one flexible display
KR102574365B1 (ko) 2016-08-22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압력 감지 방법
KR102570777B1 (ko) 2016-08-25 2023-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터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상태 전환 방법
KR102614333B1 (ko) 2016-09-08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406800A (zh) * 2016-11-18 2017-02-1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686423B (zh) 2016-12-30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方法及显示装置
WO2018143910A1 (en) * 2017-01-31 2018-08-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board backlights via display surfaces
CN107257396B (zh) * 2017-05-22 2019-07-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7086027A (zh) * 2017-06-23 2017-08-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文字显示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FR3068481B1 (fr) * 2017-06-29 2019-07-26 Airbus Operations (S.A.S.) Systeme et procede d'affichage pour un aeronef
KR102398482B1 (ko) * 2017-12-12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8334266B (zh) * 2018-01-26 2021-07-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终端的控制方法、柔性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84880B1 (ko) * 2018-06-08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패널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CN108874224A (zh) * 2018-06-27 2018-11-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显示面板及其折叠角度检测方法和系统
KR20200006484A (ko) * 2018-07-10 2020-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21010B1 (ko) * 2019-01-30 2024-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9616020B (zh) * 2019-01-30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463007A (zh) * 2019-09-06 2021-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柔性屏终端及其显示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44975A (ko) * 2019-10-16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20100695A (ko) * 2019-12-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58038A1 (en) * 2020-02-04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a flexible apparatus managing a folding thereof
KR102285466B1 (ko) * 2020-02-28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722754A (zh) * 2020-06-19 2020-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检测方法及显示装置
CN113554968B (zh) * 2021-07-12 2023-11-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可折叠显示面板的显示调试方法、调试装置、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0548A1 (en) * 2008-09-09 2010-03-11 Choi Kil Soo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00313150A1 (en) * 2009-06-03 2010-12-09 Microsoft Corporation Separable displays and composable surfaces
US20130145311A1 (en) * 2011-12-05 201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 portable terminal
US20140306908A1 (en) * 2013-04-10 2014-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188B1 (ko) 2008-03-06 2015-0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490860B2 (en) * 2008-08-29 2013-07-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isplay control of classified content based on flexible display containing electronic device conformation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KR20110081040A (ko)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US8890771B2 (en) 2010-01-06 2014-11-18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KR101686099B1 (ko) * 2010-07-09 2016-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305135B1 (ko) 2010-12-29 2013-09-05 이경신 듀얼 터치패널을 갖는 단말기
KR101789625B1 (ko)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01359B1 (ko) * 2011-07-28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120003423A (ko) 2011-12-22 2012-01-10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672796B2 (en)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1426942B1 (ko) 2012-05-03 2014-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 기기 간 사용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218B1 (ko) 2012-05-24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6119B1 (ko) *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73302B2 (en) * 2012-08-10 2016-06-21 Blackberry Limited Stacked device position identification
KR102080741B1 (ko) 2012-08-29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55703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31825B1 (ko)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5959B1 (ko) * 2013-07-22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레이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6565A (ko) * 2013-09-03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6424824B2 (ja) * 2013-09-25 2018-11-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127930B1 (ko) * 2014-02-14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33507A (ko) * 2014-09-18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254863B2 (en) * 2014-12-19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0548A1 (en) * 2008-09-09 2010-03-11 Choi Kil Soo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00313150A1 (en) * 2009-06-03 2010-12-09 Microsoft Corporation Separable displays and composable surfaces
US20130145311A1 (en) * 2011-12-05 201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 portable terminal
US20140306908A1 (en) * 2013-04-10 2014-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1997A1 (en) 2019-04-04
US10949003B2 (en) 2021-03-16
US20160109973A1 (en) 2016-04-21
US10133373B2 (en) 2018-11-20
KR20160046139A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6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365752B2 (en)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touch-control display device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343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233518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touch sens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48665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440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1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1905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KR1021045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1389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558288B2 (en) Multi-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17852A (ko) 터치 입력 장치의 압력 터치 방법
KR10224766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05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9495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US8692782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with touch input function
KR10197116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05651B1 (k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233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38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95533A (ko) 전자 장치 및 색인 표시 방법
KR102108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7638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99010B1 (k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