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56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565A
KR20150026565A KR20130105592A KR20130105592A KR20150026565A KR 20150026565 A KR20150026565 A KR 20150026565A KR 20130105592 A KR20130105592 A KR 20130105592A KR 20130105592 A KR20130105592 A KR 20130105592A KR 20150026565 A KR20150026565 A KR 20150026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ransparency
transparent display
display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565A/ko
Priority to US14/179,816 priority patent/US9368081B2/en
Priority to EP14162825.5A priority patent/EP2843499B1/en
Priority to CN201410338821.6A priority patent/CN104423878B/zh
Publication of KR2015002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1화면의 투명도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제1화면의 투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결정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로 LCD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OLED 등도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영상 기술 및 투명 전자 소자 개발 기술이 발달하면서, 후방의 객체가 훤히 보이는 한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형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됨에 따라, 특히 디스플레이부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시인성이 좋고 편리한 UI(User Interface)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시인성 좋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1화면의 투명도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제1화면의 투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결정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객체에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경객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배경객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로부터 이격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투명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백그라운드 상태로 제2화면이 출력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값을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를 상기 제2화면과 구별될 정도로 감소시키고, 상기 배경객체에 상기 제1 및 제2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백그라운드 상태로 출력되는 화면이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가장 오래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부터 순서대로 높은 투명도를 적용하고, 상기 배경객체에 상기 가장 오랜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의 상태를 전환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적용하고, 상기 제1화면에 대한 투명도를 증가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의 입력 영역에 기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입력 영역이 사라질때까지 적어도 상기 입력 영역의 투명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를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의 투명도를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보다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따라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선명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선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배경객체 중 어느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인 경우, 상기 설정부는, 상기 배경객체의 선명도를 상기 제1화면 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선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는 증가시키고 상기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보다 낮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1화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투명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의 경계영역에 터치 입력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드래그된 면적에 비례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영역의 적어도 일 경계면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에 상기 표시를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인가되는 드래그 터치 입력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드래그된 면적에 비례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투명모드로 전환된 영역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 지점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소정범위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추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화면의 특정 영역에 고정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투명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빛의 강도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텍스트가 표시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벗어나는 제2영역의 투명도 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특정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1화면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불투명모드에 대응되는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투명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제1화면상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특정 객체가 표시되었던 영역에는 기등록된 대체 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포그라운드에 제1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화면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후방의 배경화면의 투명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출력된 화면의 특정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하는 특정 부분의 시안성을 좋게 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특정 부분을 볼 수 없게 가림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화면과 복수의 배경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에 입력 영역이 포함된 경우,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것에 응답하여 입력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서 따라 후방을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나 화면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인가되는 드래그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가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에 응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의 텍스트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으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폐 상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예를 들어 TOLED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투명도'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또는 표시되는 객체가 투명한 정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투명도가 높을수록(또는 증가할수록) 백그라운드에 있는 배경객체가 잘 보이고, 투명도가 낮을수록(또는 감소할수록) 백그라운드에 있는 배경객체가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투명모드'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 또는 특정 객체에 가려져 있는 백그라운드에 있는 객체가 잘 보이는 화면상태를 가리킨다. 또, 이하에서 언급되는 '불투명모드'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 또는 특정 객체에 가려져 있는 백그라운드에 있는 객체가 보이지 않는 화면 상태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포그라운드로 제1화면을 출력한다(S301). 여기서,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1화면의 종류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화면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예, 동영상 재생화면, 앨범, 웹 페이지 등)일 수도 있고,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는 잠금화면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과 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패드(401a 및 401b)와 제1 및 제2 선택적 광투과 부재(402a 및 402b)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 광투과 부재(402a 및 402b)는 예를 들어 태양 전지, 전도성 고분자막 또는 그래핀(Graphene)막을 이용한 가변 투명 전극 필름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적 광투과 부재(402a 및 402b)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과 하단에 중첩된 구조로 구성된다. 선택적 광투과 부재(402a 및 402b)는 투명 디스플레이(151)와 마찬가지로 투명하거나 다른 컬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401a 및 401b)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터치패드(401a 및 401b)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이나 하단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 광투과 부재(402a 및 402b)의 상단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만 투명 디스플레이부이거나 또는 모두가 투명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플레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레이어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자잉크(E-Ink) 패널상에 투명 디스플레이 회로가 입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1화면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한다. 이를 위해, 설정부(135)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화면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1화면에 대한 투명도가 낮게 설정될수록 다른 실행화면이나 배경객체의 이미지가 가려져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반면, 제1화면에 대한 투명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다른 실행화면이나 배경객체의 이미지가 잘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제1화면의 투명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팝업되면, 메뉴에 포함된 키 입력을 통해 제1화면의 투명도 설정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투명도 설정모드의 화면을 이용하여 원하는 투명도를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여서,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설정부(135)를 통해 설정된 제1화면의 투명도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화면의 투명도가 변경되면, 상기 메모리(160)는 변경된 투명도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변경전 투명도 값들의 이력을 함께 저장하여 유사한 상황이나 상태에서 변경전 투명도 값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화면의 투명도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화면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한다(S302).
예를 들어, 도 4b의 (a)는 기설정된 투명도가 적용된 동영상 화면(410)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포그라운드 상태로 출력되는 것을 보여준다.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동영상 화면(410)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b의 (a)와 같이 팝업 윈도우(window) 형태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기설정된 제1화면의 투명도가 높을수록 선명도가 흐릿해지며, 기설정된 제1화면의 투명도가 낮을수록 화면이 선명해진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의 투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결정한다(S303).
구체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는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이 적용된다. 이에 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실행되는 제1화면은 선명도가 높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서 비춰지는 배경객체는 선명도가 낮아지게 되어, 제1화면에 대한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4b의 (b)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을 통해 사용자 손(420)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 손(420)의 투명도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실행중인 동영상 화면(410)에 적용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이 적용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동영상 화면(410)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투명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다 선명한 화면을 제공받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이 출력된 영역의 좌표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을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가 표시된 영역의 좌표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 인식된 좌표 영역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또는, 표시되는) 제1화면과 배경객체의 3원색(Red, Green, Blue) 각각의 투과 광량을 다르게 조절하여, 제1화면과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즉, 각 색상의 광량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투명도의 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인식된 좌표 영역에 근거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화면이 출력되는 좌표 영역에는 더 많은 전류량을 공급하여 선명도를 높이고(또는, 시인성을 좋게하고), 후방의 배경객체만 표시되는 좌표영역(제1화면과 중첩되는 영역은 제외될 수 있음)에는 적은 전류량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투명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배경객체가 추가되거나 또는 배경객체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이에 대한 좌표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변경된 좌표 영역에 근거하여, 배경객체의 3원색의 투과 광량을 지속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기적용된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동일하게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이 배경객체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는 경우, 겹쳐진 일부 영역에 대한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에서 겹쳐진 일부 영역에 대한 투명도는 겹쳐지지 않은 영역의 투명도보다 기설정된 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배경객체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진 제1화면의 영역에는 선명도 레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설정된 투명도보다 감소된 투명도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투명도의 변경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고 도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화면과 배경객체가 서로 다른 투명도(또는 선명도)로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이벤트에 근거하여 배경객체와 제1화면의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S304).
여기서,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란, 기설정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변화, 기설정된 터치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나,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 발생되거나, 사용자 조작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다른 화면,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웹 페이지 화면(430)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동영상 화면(410)의 투명도(이하, '제1 투명도'라 지칭함)를 감소시켜서 더욱 선명하게 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보이는 사용자 손(420)의 투명도(이하, '제2 투명도'라 지칭함)를 증가시켜서 더욱 흐르게 한다. 그리고 출력된 웹 페이지 화면(430)에는 그 사이의 투명도 값(이하, '제3 투명도'라 지칭함)을 적용한다. 이때, 웹 페이지 화면(430)과 동영상 화면(410)과 사용자 손(4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겹쳐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겹쳐진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제2, 및 제3 투명도 값은 투명도 레벨은 유지되되 투명도 값은 조절될 수 있다.
반면, 웹 페이지 화면(430)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포그라운드 상태로 출력되고 동영상 화면(410)이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경우이면, 웹 페이지 화면(430)에 상기 제1 투명도를 적용하거나 또는 그보다 감소된(또는 선명도가 증가한) 투명도를 적용한다. 그리고 기출력된 동영상 화면(410)에는 제3 투명도를 적용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서 보이는 사용자 손(420)에는 제2 투명도나 그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투명도가 설정된 동영상 화면(410), 웹 페이지 화면(430)과, 사용자 손(420)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내에서 이동되거나 움직이더라도 제어부(180)를 통해 그러한 좌표변화를 인식하여서, 동일한 투명도로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실행화면의 갯수나 배경객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투명도를 적용시켜서 화면(또는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을 가장 선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의 구체적인 다른 예시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후방의 배경화면의 투명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화면과 복수의 배경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각각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1화면에는 기설정된 투명도가 적용된다.
또한,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에 근거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을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가 결정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배경객체에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시킨다.
이때, 배경객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배경객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이격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투명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사용자 손(520)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으로부터 좀더 멀게 위치한 액자(530)는, 사용자가 객체의 거리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투명도(또는 선명도)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하고, 제어부(180)는 촬영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이격된 각 거리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로 출력된 제1화면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을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가 다르게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백그라운드 상태로 제2화면이 출력되는 이벤트가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화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2화면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예, 동영상 재생화면, 앨범, 웹 페이지 등)일 수도 있고,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는 잠금화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화면이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경객체에는 제1 및 제2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한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배경객체, 제2화면, 그리고 제1화면에 대해 순서대로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함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화면의 선명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는 동영상 화면(510)에는 가장 낮은 투명도(이하, '제1 투명도'라 지칭함)가 적용되고,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웹페이지 화면(530)에는 중간 레벨의 투명도(이하, '제2 투명도'라 지칭함)가 적용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을 통해 보이는 사용자 손(520)에 가장 높은 투명도(이하, '제3 투명도'라 지칭함)가 적용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동영상 화면(510)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더욱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백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2화면이 복수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가장 오래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부터 순서대로 높은 투명도를 적용한다. 즉,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실행화면에 가장 낮은 투명도(즉, 높은 선명도)를 적용하고, 가장 오래전에 본 실행화면에 대해서는 높은 투명도(즉, 낮은 선명도)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실행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을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에는, 상기 가장 오랜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보다 높은 투명도를 적용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배경객체의 이미지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가장 흐릿한 선명도로 출력되게끔 한다.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로 상태로 출력되는 동영상 화면(510) 화면은 제 1 투명도(가장 높은 선명도)를 적용하고, 그 이전에 보았던 웹페이지 화면(530)과 그 배경에 출력된 아이콘들(540)은 순서대로 낮은 투명도를 적용한다. 즉, 웹페이지 화면(530)이 동영상 화면(510)보다는 높은 투명도로 그리고 아이콘들(540)보다는 낮은 투명도를 갖도록 출력시킨다. 그리고, 후방에서 보이는 사용자 손(520)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투명도를 적용한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동영상 화면(510)에는 제 1 투명도를 적용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예, 웹페이지 화면(530), 아이콘들(540))에는 동일하게 제 2 투명도를 적용하고, 후방에서 보이는 사용자 손(520)에 대해 제 3 투명도를 적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백그라운드 상태의 화면과 포그라운드 상태의 화면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서로 다른 투명도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포그라운드 상태와 백그라운드 상태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입력은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화면에 대한 숏 터치 입력이거나, 상태표시바(미도시)에 표시된 메뉴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제1화면과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제2화면에 대한 상태 전환의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적용하고, 상기 제1화면에 대한 투명도는 증가시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5d의 (a)에서, 동영상 화면(510)에는 제 1 투명도(가장 낮은 투명도)가 적용되고, 웹페이지 화면(530)에는 그 다음 레벨의 투명도(이하, 제 2.1 투명도)가 적용되고, 배경화면의 아이콘들(540)에는 그 다음 레벨의 투명도(이하, 제 2.2 투명도)가 적용되고, 후방에서 보이는 사용자 손(520)에는 가장 높은 투명도(이하, 제 3 투명도)가 적용된 상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배경화면에 표시된 아이콘(543)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를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의 상태 전환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d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가 인가된 아이콘(243)에 대응되는 배경화면의 아이콘들(240)이 포그라운드 상태가 되어 제 1 투명도로 출력된다. 그리고 동영상 화면(510)은 제 2.1 투명도가 적용되고 웹페이지 화면(530)은 제 2.2 투명도가 적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상태 전환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의 좌표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좌표 영역에 근거하여, 메모리(160)에 저장된 상태 전환되기 전의 투명도를 상태 전환된 복수의 영역에 크로스(cross)시켜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에서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다른 투명도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겠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에 따라, 출력된 화면을 후방에서도 볼 수 있는 점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후방에서 볼 수 없도록 설정 또는 변경한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 내지 도 6c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에 입력 영역이 포함된 경우, 입력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것에 응답하여 입력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로 출력된 제1화면의 입력 영역에 기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터치 이벤트란,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역에 대한 숏 터치, 롱 터치, 터치 앤 드래그,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영역에 기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입력 영역이 사라질때까지 적어도 상기 입력 영역의 투명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 화면에 입력 영역, 즉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 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이디(ID) 창 또는 패스워드(PW) 창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제스처로 인식한다. 그에 따라, 도 6b에서와 같이, 해당 영역에 입력되는 텍스트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서 인식하기 어렵고(개인 정보 보호 목적), 전방의 사용자에게는 시인성 좋게 보이도록 투명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아예 해당 영역은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를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출력된 경우,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의 투명도를 마찬가지로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보다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터치가 인가되는 키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서 볼 수 없게 되므로, 예를 들어 패스워드(PW) 입력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보호된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어 해당 영역에 입력 창이 사라지고 '리나님이 로그인하셨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세지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를 입력 영역이 사라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영역의 투명도는 웹 페이지 화면의 다른 영역과 같은 값으로 복귀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서 따라 후방을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나 화면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화면에는 제 1 투명도가 적용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배경객체에 제 2 투명도(제 1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가 적용된다.
한편, 설정부(135)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따라 상기 배경객체와 상기 제1화면의 선명도 우선순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명도 우선순위란, 배경객체에 선순위 선명도를 적용할 것인지 또는 제1화면에 선순위 선명도를 적용할 것인지의 설정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화면이 선순위의 선명도를 가질 것이나, 사용자가 배경객체를 더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배경객체에 선순위 선명도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설정부(135)에는 이러한 예외적 상황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의 경우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명도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설정된 선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배경객체 중 어느 하나의 투명도를 기설정된 것과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설정된 선명도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배경객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선명도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에 대한 투명도는 감소시키고, 선명도 우선순위가 낮은 대상의 투명도는 증가시킨다.
제1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카메라 촬영의 프리뷰 화면인 경우, 상기 설정부(135)는, 상기 배경객체의 선명도 우선순위를 상기 제1화면 보다 높게 설정한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비치는 후방의 배경객체가 더욱 선명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선순위의 선명도로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선명도 우선순위가 낮은 제1화면, 즉 카메라 촬영의 프리뷰 화면의 투명도는 증가시키고, 선명도 우선순위가 높은 배경객체의 투명도는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보다 낮게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 배경객체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더 뚜렷하게 보이도록 한다.
도 7a의 (a)에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백그라운드로 출력된 촬영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720)에 터치를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를 촬영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모드로 진입하면, 도 7a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카메라(121)를 통해 피사체들(720)을 촬영하기 위한 프리뷰 화면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피사체들(720)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여지는 후방의 배경객체와 동일하므로,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으로 그러한 배경객체의 보임을 적용하기 위해, 배경객체에 높은 선명도를 적용한다. 그에 따라, 촬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포커싱(focusing) 프레임(730a)과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메뉴 화면 등(730b)은 낮은 선명도가 적용되어 투명도가 증가된다.
한편, 사용자 입력을 통해 촬영이 수행되면,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촬영화면의 투명도는 감소시키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배경객체의 투명도는 증가시킨다.
다른 예로, 카메라(121)와 인접하게 배치된 거울을 통해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에 배경객체가 아닌 사용자의 얼굴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해야하므로, 상술한 피사체 촬영시의 프리뷰 화면과 다르게 배경객체에는 높은 투명도를 적용하고 촬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는 낮은 투명도를 적용하도록 투명도를 조절한다.
제2실시예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배터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설정부(135)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의 선명도를 적어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배경객체와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좀 더 오래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이 배터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a)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포그라운드에서 동영상 화면(710)이 제 1 투명도로 출력되고, 백그라운드에서 웹 페이지 화면(720)이 제 2 투명도(제 1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로 출력된 상태에서, 배터리 잔여량을 나타내는 표시자(740)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예, 5% 이하)를 나타내고, 제어부(180)는 이를 인식한 경우, 이를 포그라운드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화면(710)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7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화면(710)이 출력된 영역에 대한 원색(Red, Green, Blue)의 투과광량을 조절하여서, 투명도를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배터리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제3실시예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애프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상기 설정부(135)는 서로 다른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이 이루어지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보다 향상된 시인성이 요구되므로 기설정된 투명도보다 낮은 투명도 값을 적용하여 실행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개인의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후방에서 인식하기 어렵게 불투명모드에 가까운 투명도를 적용하여 메시지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배너 광고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투명도 값을 적용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한 예들은 실행화면에 대한 기설정된 투명도는 유지하되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룰 통해 보이는 후방의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실행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d와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지점 또는 일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출력된 실행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겠다.
도 8a 내지 도 8d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드래그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 1 투명도가 적용된 제1화면이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출력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배경객체에는 상기 제 1 투명도보다 투명도를 증가시킨 제 2 투명도가 적용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1화면이 표시된 영역과 배경객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투명도가 서로 다르게 조절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화면이 경계영역에 기설정된 터치 입력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드래그된 면적에 비례하여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에서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영역의 적어도 일 경계면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따라 제1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불투명모드로 전환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에서 더이상 제1화면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는 잠금모드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에 표시된 상기 표시를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인가되는 드래그 터치 입력의 이벤트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드래그된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투명모드로 전환된 영역에는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8a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투명도가 적용된 동영상 화면(810)이 출력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사용자 손(820)에 제 2 투명도(제 1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가 적용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동영상 화면(810)의 일 경계면에 인가된 터치(830)가 일 방향, 예를 들어 중앙으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래그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방향을 따라 그리고 드래그된 정도에 비례하여, 즉 터치시작점에서부터 드래그 터치가 종료된 지점까지에 대응되는 면적의 동영상 화면(810")이 불투명모드로 출력된다. 그리고 남은 면적에 대응되는 동영상 화면(810')은 투명도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래그 터치가 종료된 지점에는 불투명모드에 대응되는 제1영역(810")과 투명모드에 대응되는 제2영역(810')을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하기 위한 바 형태의 표시줄(850)이 출력될 수 있다.
표시줄(850)이 출력된 상태에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표시줄(850)을 일 방향, 예를 들어 우측방향(또는 불투명모드에 대응되는 제1영역(8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투명모드와 불투명모드에 대응되는 영역의 면적이 조절된다. 즉, 투명모드에 대응되는 제2영역(810')의 면적이 넓어지고 불투명모드에 대응되는 제1영역(810")의 면적은 좁아진다. 그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용자 손(820)이 다시 보여지게 된다.
한편, 다른 터치 방식을 사용하여, 기설정된 투명도가 적용된 제1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화면의 일 경계지점을 터치 시작점으로 '폐다각선'을 그리면서 사방의 경계면을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 시작점으로 복귀하는 터치 방식을 통해 제1화면의 전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는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제1화면에 적용되는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바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 바의 일 지점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를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 지점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로 제 1 투명도가 적용된 동영상 화면(910)이 출력되고, 백그라운드로 제 2 투명도(제 1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가 적용된 웹 페이지 화면(930)이 표시된 상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상단 영역에 상기 동영상 화면(910)이나 웹 페이지 화면(930)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바(950)가 출력되고 인디케이터 바(950)내에는 이동 표시자(955)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인디케이터 바(950)내에서 이동 표시자(955)를 드래그 터치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디케이터 바(950)는 복수의 화면에 대한 투명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인디케이터 바(950)의 이동 표시자(955)를 일 방향,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투명도가 증가된(즉, 선명도가 떨어지는) 동영상 화면(910')과 웹 페이지 화면(930')이 출력된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즉 포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화면(910)에 대한 투명도만 변경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910)을 제외한 나머지 배경화면들(920, 930)에 대한 투명도만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 9c에 도시된 것처럼, 인디케이터 바(950)의 이동 표시자(955)를 일 방향, 예를 들어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투명도가 감소된(즉, 선명도가 증가된)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동영상 화면(910")과 웹 페이지 화면(930")이 출력된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핫 키(미도시)의 입력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제1화면의 상태를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은 사용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소정범위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추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선 추적부는 카메라(121)와 적외선 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시선 추적부(미도시)는 투명도 조절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구동되도록 할 수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는 시선 추적부(미도시)의 구동에 대응되는 표시(미도시)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적되는 사용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화면의 특정 영역에 고정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투명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복수의 사진들이 기설정된 제 1 투명도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특정 사진(1010)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예, 5초 이상) 고정된 것이 감지되면, 해당 사진이 표시된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여, 도 10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사진(1010")을 출력시킨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 있게 보고 있는 사진에 다른 배경화면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좋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이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사진(1010")이 출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시선이 다른 사진에 고정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진(1010")이 출력된 영역의 투명도를 재변경한다. 즉, 투명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가 단말의 기울임에 따라 변화하는 것에 응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의 텍스트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40)는 단말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그러한 단말의 기울임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을 제1방향, 즉 우측으로 기울일 때와 도 11a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을 제2방향, 즉 좌측으로 기울일 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가 달라진다. 또는 단말을 제1방향으로 기울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A영역에만 강한 빛이 조사되었다면, 제2방향으로 기울인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A영역에는 약한 빛이 조사되고 B영역에 강한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즉, 단말의 기울임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영역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감지된 빛의 강도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텍스트가 표시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벗어나는 제2영역의 투명도 차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 전 영역에 대해 빛의 강도가 증가한 경우에는 제1화면에서 텍스트가 표시된 영역의 시인성을 더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한 제1영역의 투명도는 더욱 감소시키고 제2영역의 투명도는 감소시키거나 유지하여 투명도 차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영역에만 빛의 강도가 증가했다면 해당 영역내에 존재하는 텍스트가 표시된 영역의 투명도만을 감소시킴으로써, 특정 영역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의 (a)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대화화면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의 기울임(미도시)에 따라 빛의 강도 레벨이 높아진 경우, 텍스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대화화면에서 대화내용에 대응되는 텍스트들(1112, 1114)은 투명도가 감소되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텍스트들(1112", 1114")로 출력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된 빛의 강도 변화에 근거하여, 텍스트의 형상, 예를 들어 텍스트의 크기(커짐), 텍스트의 색(어두워짐), 텍스트의 굵기(굵어짐), 텍스트의 글씨체가 시인성 좋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투명도가 적용된 제1화면이 출력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배경객체에 제 2 투명도(제 1 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 값)가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의 특정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의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신호는 예를 들어,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거나, 또는 특정 객체가 포인팅된 상태에서 특정 키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객체에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화면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객체가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것에 대응되는 소정의 표시, (예, 하이라이팅 효과)를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 사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복수의 사진들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포그라운드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사진(1220)에 터치 입력을 가함에 따라, 해당 사진(1220)이 불투명모드로 전환되면서 경계에 프레임이 표시된다. 그에 따라, 기설정된 투명도(제 1 투명도)로 출력되는 다른 사진들(1210)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후방의 사용자 손(제 2 투명도)과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된다.
한편, 이와 같이 특정 객체가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이후, 사용자가 투명모드에서 해당 애프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투명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특정 객체가 상기 제1화면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객체가 표시되었던 영역에 기등록된 대체 영상, 예를 들어 다른 사진 이미지를 출력하고, 대체 영상임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표시(예, 다른 배경색, 다른 투명도, 깜빡임 효과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b)는 도 12의 (a)를 참조하여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특정 사진(1220)이 출력된 영역에 다른 사진(1220")이 대체영상으로 출력된 것을 보여준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른 사진(1220")의 경계에 대체영상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로 하이라이팅효과(예, 깜빡임, 다른 투명도, 다른 배경색 등)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상술한 투명도 조절을 위한 특정 객체의 선택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선택된 특정 객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선택적 광투과 부재(402a 및 402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으로부터 특정 객체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투명도로 출력되는 제1화면을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을 통해 바라볼때, 상기 제1화면의 이미지는 좌우반전된 형태로 표시된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제1화면에서 우측에 표시되는 객체는,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에서 바라볼 때는 좌측에 표시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의 터치센서를 통해 특정 객체에 인가된 터치가 감지되면, 이와 같이 산출된 좌표를 전면에 대응되는 좌표로 변경 내지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후면을 통해 감지된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좌표가 최종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결정된 좌표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표시된 특정 객체를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된 특정 객체와 상기 특정 객체를 벗어나는 제1화면의 영역에 대하여 배경객체의 3원색(Red, Green, Blue) 각각의 투과 광량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과 이를 벗어나는 제1화면의 영역의 투명도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에서 사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사진들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투명도로 출력된 상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사진(1310)이 표시된 영역에 터치를 인가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특정 사진(1310)의 선택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진(1310)에 한하여 불투명모드로 전환된다(1310"). 그리고 다른 사진들(1320)에 대해서는 제 1 투명도 값이 유지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후, 투명모드에서 해당 특정 객체의 이미지가 사라지고 기등록된 대체영상이 표시될 수 있음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인식된 좌표를 기준으로 영역별로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특정 객체를 선택적으로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후방의 배경화면의 투명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출력된 화면의 특정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하는 특정 부분의 시안성을 좋게 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특정 부분을 볼 수 없게 가림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투명 디스플레이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포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제1화면의 투명도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된 제1화면의 투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결정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객체에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증가된 투명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객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배경객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투명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제2화면이 백그라운드로 출력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증가된 투명도를 적용하거나, 상기 제1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를 상기 제2화면의 투명도보다 감소시키고,
    상기 배경객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화면에 설정된 투명도보다 증가된 투명도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백그라운드로 출력되는 화면이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가장 오래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부터 순서대로 감소되는 투명도를 적용하고, 상기 배경객체에는 상기 가장 오랜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보다 증가된 투명도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의 상태를 전환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2화면에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적용하고, 상기 제1화면의 기설정된 투명도보다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의 입력 영역에 기설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입력 영역이 사라질때까지 적어도 상기 입력 영역의 투명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를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의 투명도를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보다 감소시키거나 또는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따라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선명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선명도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배경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인 경우,
    상기 설정부는, 상기 배경객체의 선명도를 상기 제1화면 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선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는 증가시키고 상기 배경객체의 투명도는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보다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1화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투명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의 경계영역에 터치 입력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그리고 드래그된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불투명모드로 전환된 영역의 적어도 일 경계면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에 상기 표시를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인가되는 드래그 터치 입력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그리고 드래그된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투명모드로 전환된 영역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 지점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범위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시선 추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화면의 특정 영역에 고정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투명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불투명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단말의 기울임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빛의 강도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빛의 강도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제1화면의 텍스트가 표시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벗어나는 제2영역의 투명도 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특정 객체에 대한 선택신호의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제1화면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표시된 영역을 불투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불투명모드에 대응되는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투명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제1화면상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특정 객체가 표시되었던 영역에는 기등록된 대체 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포그라운드에 제1화면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제1화면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1화면의 투명도에 근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이는 배경객체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 제어와 관련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객체 및 상기 제1화면의 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105592A 2013-09-03 2013-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26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592A KR20150026565A (ko) 2013-09-03 2013-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179,816 US9368081B2 (en) 2013-09-03 2014-02-1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4162825.5A EP2843499B1 (en) 2013-09-03 2014-03-3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338821.6A CN104423878B (zh) 2013-09-03 2014-07-16 显示装置以及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592A KR20150026565A (ko) 2013-09-03 2013-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65A true KR20150026565A (ko) 2015-03-11

Family

ID=5048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592A KR20150026565A (ko) 2013-09-03 2013-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68081B2 (ko)
EP (1) EP2843499B1 (ko)
KR (1) KR20150026565A (ko)
CN (1) CN10442387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07Y1 (ko) * 2017-04-12 2017-06-27 명대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커튼월
KR20170114515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5042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8093197A3 (ko) * 2016-11-18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169093A1 (ko) * 2021-02-05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068400A1 (ko) * 2021-10-20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017B1 (ko) * 2012-11-02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접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148948B1 (ko) * 2013-12-06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멀티 태스킹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84586B2 (en) 2014-03-28 2018-02-06 Pioneer Corporation Vehicle lighting device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CN104967790B (zh) 2014-08-06 2018-09-11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照片拍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161694B1 (ko) * 2014-10-20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410398B2 (en) * 2015-02-20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memory bandwidth using low quality tiles
WO2016153467A1 (en) * 2015-03-20 2016-09-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adjustable transparency
KR20160123622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14706B1 (en) * 2015-05-28 2016-12-06 Chunghwa Picture Tubes,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image adjustment method thereof
CN107850753B (zh) * 2015-08-31 2021-10-29 索尼公司 检测设备、检测方法、检测程序和成像设备
KR20170056841A (ko) 2015-11-16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8073836B (zh) * 2016-11-16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显示界面的调整方法及终端
US10366642B2 (en) * 2016-12-01 2019-07-30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multiplane display system with transparent transmissive layers
EP3494458B1 (en) * 2016-12-14 2021-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CN110337631B (zh) * 2017-02-22 2022-11-18 索尼移动通信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方法和程序
CN107317964A (zh) * 2017-06-27 2017-11-03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对焦处理方法和装置
WO2019024007A1 (zh) * 2017-08-02 2019-02-07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设备的拍照界面预览的切换方法及切换装置
CN110569453B (zh) * 2018-03-27 2021-10-15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基于canvas元素的路径虚化方法及装置
US11442591B2 (en) * 2018-04-09 2022-09-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viewer-interface for prioritized selection of mutually occluding objects in a virtual environment
CN108540609A (zh) * 2018-05-04 2018-09-14 匡金院 手机
US10750073B2 (en) * 2018-05-30 2020-08-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and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384490A1 (en) * 2018-06-15 2019-12-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extual awareness system
CN110503912B (zh) * 2019-08-23 2022-11-0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屏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0509769B (zh) * 2019-08-27 2022-07-08 大陆汽车车身电子系统(芜湖)有限公司 一种淡入淡出切换方法
CN110516421A (zh) * 2019-08-28 2019-1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密码验证方法、密码验证装置及电子设备
CN111381924B (zh) * 2020-03-16 2023-08-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显示的方法、电子设备及介质
CN112612389B (zh) * 2020-12-25 2022-06-10 珠海金山网络游戏科技有限公司 滑动窗口中对象的显示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11B2 (en) * 2004-10-21 2009-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ower saving
CN101268437B (zh) * 2005-11-02 2010-05-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目标透射装置及显示目标透射方法
US7516681B2 (en) * 2007-07-13 2009-04-14 Hiwin Technologies Corp. External circulation type ball screw
EP2129091A1 (en) * 2008-05-29 2009-1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DE602008003680D1 (de) * 2008-05-29 2011-01-0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EP2129090B1 (en) *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98623B1 (ko) *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4696B1 (ko) * 2009-08-12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8941683B2 (en) * 2010-11-01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interaction
EP2648086A3 (en) * 2012-04-07 2018-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control method performed in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th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793628B1 (ko) * 2012-04-08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TWI576771B (zh) * 2012-05-28 2017-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透明顯示裝置及其透明度調整方法
KR102121527B1 (ko) * 2012-08-3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40068573A (ko) * 2012-11-28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515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5042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8093197A3 (ko) * 2016-11-18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958894B2 (en) 2016-11-18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image processing
US11595633B2 (en) 2016-11-18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image processing
KR200483807Y1 (ko) * 2017-04-12 2017-06-27 명대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커튼월
WO2022169093A1 (ko) * 2021-02-05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068400A1 (ko) * 2021-10-20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차광 패널을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3878B (zh) 2018-12-18
EP2843499A3 (en) 2016-08-10
EP2843499A2 (en) 2015-03-04
US20150062175A1 (en) 2015-03-05
US9368081B2 (en) 2016-06-14
CN104423878A (zh) 2015-03-18
EP2843499B1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349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42689B2 (en) Wearable glass-typ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erminal
KR1014744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498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97637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61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635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33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43816A (ko) 입체적 입력장치를 갖는 글래스형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제어방법
US20150042580A1 (en)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20150008733A (ko) 안경형 휴대기기 및 그의 정보 투사면 탐색방법
KR20140133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공유 컨텐츠 표시방법
KR20150138171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45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KR1021068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5630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94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029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3630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1300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25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379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