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97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97B1
KR102130797B1 KR1020130112040A KR20130112040A KR102130797B1 KR 102130797 B1 KR102130797 B1 KR 102130797B1 KR 1020130112040 A KR1020130112040 A KR 1020130112040A KR 20130112040 A KR20130112040 A KR 20130112040A KR 102130797 B1 KR102130797 B1 KR 10213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creen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054A (ko
Inventor
한기석
오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97B1/ko
Priority to US14/488,051 priority patent/US9933933B2/en
Publication of KR2015003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054A/ko
Priority to US15/925,286 priority patent/US10678424B2/en
Priority to US16/853,075 priority patent/US109631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97B1/ko
Priority to US17/186,615 priority patent/US110681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실행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간편하게 출력하고,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화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리사이즈(resiz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하고, 추적된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를 강조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화면은 상기 본체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화면은 상기 실행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제어화면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방법은,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에 포함된 콘텐츠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리사이즈(resiz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하고, 추적된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를 강조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화면은 상기 본체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화면은 상기 실행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제어화면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서의 서로 다른 터치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제스처로 다양한 제어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의 출력 위치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화면이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화면과 실행화면을 출력시키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을 출력시키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도 9b, 도 9c, 도 10a, 도 10b 및 도 11은 복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을 출력시키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화면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시키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이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3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인가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 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간단한 제스처로, 서로 다른 제어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 센싱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41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행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출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화면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화면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거나, 홈스크린 페이지 화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행된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브라우저 등 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하나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능이 실행된다'고 함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또는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벤트를 수신하는 기능일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되는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조명을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이동 단말기를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통신망을 설정하는 기능, 이동 단말기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의 실행에 따라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실행화면을 객체가 출력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객체는 상기 객체가 출력되는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기 설정된 제어기능이 실행되는 그래픽 요소를 말하며, 예를 들어, 아이콘이나 메뉴 등이 객체에 해당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실행화면 중에서 어느 영역에 센싱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입력이 객체가 출력되지 않은 영역('빈 공간')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센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단, 하단, 우단 및 좌단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가 시계 형태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둘레 중 어느 한 부분이 일단이 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S430)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플리킹(flicking)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 이외에도 드래깅(dragging), 스와핑(swiping)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나, 용어의 통일성을 위하여 '플리킹'이라고 호칭한다. 이밖에,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서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을 '터치 지점'이라고 호칭한다.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즉, 플리킹이 센싱되는 경우),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제어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제스처가 센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화면은,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중인 실행화면을 제어하기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화면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알림화면(notification panel, 또는 notification center),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세팅 값(예를 들어, 와이파이 온/오프, 비행기모드 온/오프)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퀵세팅 화면(quicksetting panel, 또는 control center, 또는 퀵패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어화면을 통하여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화면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세팅(setting)을 변경하기 위한 객체들(또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화면에 포함된 객체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하거나, 제어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화면은,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어느 지점에 최초로 센싱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제어화면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로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센싱된 터치 입력의 터치 지점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화면과 제2 제어화면은 서로 다른 제어화면을 의미하며, 제1 제어화면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능과 제2 제어화면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제어화면은, 현재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거나, 플리킹의 터치 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의 상태, 즉,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기능,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면정보의 종류, 현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이동 단말기의 잠금/해제 상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화면을 제1 및 제2 제어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동일한 지점에서 플리킹이 감지되더라도, 음성인식기능이 활성화(on)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음성인식기능"과 관련된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음성인식기능이 비활성화(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현재 출력된 실행화면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서의 터치 지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가해진 위치, 터치 입력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서 센싱되어 하단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에서 센싱되어 상단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서도 좌측/우측 부분 중 어느 부분에서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에는 도 4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 내부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어화면을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도 5b, 도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상단의 중앙(C)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L) 및 우측 부분(R)으로 구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서의 터치 지점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좌측 부분(L)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하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제어화면을 출력시키고,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우측 부분(R)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하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제어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하단, 좌단 및 우단 중 어느 일단에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제어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제어화면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제어화면이 터치 지점에 따라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화면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포트레이트(portrait) 상태, 즉 가로가 세로보다 짧은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상태, 즉 가로가 세로보다 긴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어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에는 제어화면을, 제2 영역에는 실행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위치는 터치 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부분(L)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하단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제어화면이 제어화면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1 제어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부분(R)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하단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제어화면이 제어화면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2 제어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가해진 터치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위치는, 사용자가 통상적, 관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제어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화면이 출력됨에 따라,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화면과 실행화면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화면과 실행화면을 출력시키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7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프레이부(151)의 일단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즉, 플리킹 되는 경우), 상기 일단에서의 터치 지점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시킬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제어화면을 출력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실행화면(710)을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제어화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리사이즈(resize)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객체로, 이미지 및 문자 등으로 표시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어화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제1 영역의 화면비율로 조절하거나,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출력되는 콘텐츠의 크기(예를 들어, 글자나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좌측 부분(L)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제1 제어화면이 제어화면으로 출력되고, 제어화면이 출력되기 전의 실행화면(710)에 포함된 콘텐츠는 제어화면의 출력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710').
한편, 제어부(180)는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상태에서, 팝업창(pop-up window)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화면을 상기 실행화면 위에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좌측 부분(L)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제1 제어화면이 제어화면으로 출력되고, 제어화면이 출력되기 전의 실행화면(710)에 출력된 콘텐츠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실행화면과 제어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화면뿐만 아니라 실행화면에 포함된 기능들을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화면과 실행화면에 대한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동영상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동영상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지만, 제어부(180)는 계속해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실행화면과 제어화면이 동시에 출력되고, 실행화면과 제어화면에 포함된 기능들에 대한 멀티태스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실행화면에 포함된 기능들을 이용하면서,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도 1 참조)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아이 트랙킹(eyetracking)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을 출력시키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트랙킹(eyetracking)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 및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좌측 부분(L)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1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우측 부분(R)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2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우측 부분(R)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어부(180)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2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측, 하측, 좌측 영역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시선방향의 위치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제어화면이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에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선을 이동하지 않아도 새롭게 출력되는 제어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실행화면이 복수 개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플리킹이 센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행화면이 제1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 9a, 도 9b, 도 9c, 도 10a, 도 10b 및 도 11은 복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을 출력시키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의 실행에 따라 제1 및 제2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스크린 화면이 제1 실행화면으로 출력되고, 메일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제2 실행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확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어떤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제1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어느 화면에 기준시간 동안 유지되고 있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주로 바라보는 실행화면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기준시간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중인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를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시선방향에 위치한 제1 실행화면의 테두리에 하이라이트 이미지(H)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라이트 이미지(H)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표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위치한 실행화면이 그렇지 않은 실행화면과 달리 강조되도록, 하이라이트 이미지(H)가 표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하이라이트 이미지(H)는 시선방향에 위치한 실행화면과 그렇지 않은 실행화면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상태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는 경우, 터치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플리킹이 센싱되는 경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위치한 실행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실행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플리킹이 센싱되는 경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와,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시선방향에 위치하지 않은 실행화면이 제어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좌측 부분(L)에서 플리킹이 센싱됨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제1 제어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사용자가 제1 실행화면을 바라보고 있었으므로, 제어부(180)는 제1 실행화면과 제1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사용자가 제2 실행화면을 바라보고 있었으므로, 제어부(180)는 제2 실행화면과 제1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의 터치 지점과, 사용자의 시선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한 영역에 제1 제어화면을 출력하거나,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의 터치 지점이 포함된 영역에 제1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킹이 센싱되는 경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위치한 제1 실행화면이 제어화면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의 터치 지점에 따라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제어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제1 및 제2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시선방향에 위치한 제1 실행화면과 제1 및 제2 제어화면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던 실행화면을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는 제어화면들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화면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시키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플리킹 제스처로 출력할 수 있는 제어화면들에 관한 안내정보(1210, 122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내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서 서로 다른 제어화면을 출력하기 위하여 형성된 부분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좌측/우측 부분), 특정 부분에서 플리킹이 이루어지는 경우 출력될 제어화면의 명칭, 제어화면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내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플리킹 제스처가 센싱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제어화면이 출력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안내정보를 안내정보가 위치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플리킹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플리킹에 응답하여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51) 일단에 센싱된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의 이동에 근거하여 제어화면의 표시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일 지점에서 아래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서부터 터치가 종료된 위치까지 제어화면의 표시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제어화면이 상단에서부터 내려오는 것처럼 애니메이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표시영역의 일 지점에서 터치가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방향으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으로 사라지는 것처럼 애니메이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 지점과, 상기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제어화면은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삭제/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좌측 부분에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1 제어화면이 출력되던 설정이, 디프를레이부(151)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플리킹이 센싱되면 제1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설정으로 바뀔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에 맞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플리킹의 터지 지점, 사용자의 시선 방향, 또는 이동 단말기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화면을 서로 다른 위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리킹의 터치 지점에 따라 다른 제어화면이 출력되기 때문에, 실행화면에 제어와 관련된 아이콘을 출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을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하고, 추적된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화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리사이즈(resiz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된 터치 입력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를 강조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화면은 상기 본체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화면은 상기 실행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제어화면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제어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추적하고, 추적된 시선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에 포함된 콘텐츠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리사이즈(resiz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은 제1 실행화면 및 제2 실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실행화면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를 강조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화면은 본체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화면은 상기 실행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에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제어화면과 관련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112040A 2013-09-17 2013-09-1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3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040A KR102130797B1 (ko) 2013-09-17 2013-09-1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488,051 US9933933B2 (en) 2013-09-17 2014-09-1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925,286 US10678424B2 (en) 2013-09-17 2018-03-1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853,075 US10963156B2 (en) 2013-09-17 2020-04-20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186,615 US11068152B2 (en) 2013-09-17 2021-02-2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040A KR102130797B1 (ko) 2013-09-17 2013-09-1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54A KR20150032054A (ko) 2015-03-25
KR102130797B1 true KR102130797B1 (ko) 2020-07-03

Family

ID=5266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040A KR102130797B1 (ko) 2013-09-17 2013-09-1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9933933B2 (ko)
KR (1) KR102130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97B1 (ko) * 2013-09-17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52052B1 (ko) * 2014-06-19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기능 관리 방법
KR101610872B1 (ko) * 2014-08-04 2016-05-12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07959B (zh) * 2014-09-30 2021-04-3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姿势的三维图像的操纵
US10671837B2 (en) * 2015-09-08 2020-06-02 Nec Corporation Face recognition system, face recognition method,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170205990A1 (en) * 2016-01-14 2017-07-20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region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904889B1 (ko) 2016-04-21 2018-10-05 주식회사 비주얼캠프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7797958B (zh) 2016-09-06 2023-07-2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图像显示方法、程序及显示系统
CN112162656A (zh) * 2017-06-29 2021-01-01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特征识别方法和装置
KR2019005439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790738B (zh) 2020-11-20 2023-0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用於防止動暈之圖像顯示系統及圖像顯示方法
CN115495002A (zh) * 2021-06-01 2022-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3434B2 (en) * 2010-10-01 2015-01-27 Z124 Method and apparatus for showing stored window display
US8819569B2 (en) * 2005-02-18 2014-08-26 Zumobi, Inc Single-handed approach for navigation of application tiles using panning and zooming
KR101570368B1 (ko) * 2008-08-2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648747B1 (ko) * 2009-10-07 2016-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8539384B2 (en) * 2010-02-25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US9134799B2 (en) * 2010-07-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user interface using orientation sensors
US8593375B2 (en) * 2010-07-23 2013-11-26 Gregory A Maltz Eye gaze user interface and method
JP2012033058A (ja) * 2010-07-30 2012-02-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A2797883C (en) 2010-09-24 2016-0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822662B2 (ja) * 2010-11-15 2015-11-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16152A1 (en) * 2011-02-23 2012-08-23 Google Inc. Touch gestures for remote control operations
EP2497547B1 (en) * 2011-03-08 2018-06-27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632688B2 (en) * 2011-03-31 2017-04-25 France Telecom Enhanced user interface to transfer media content
JP5829982B2 (ja) * 2011-06-28 2015-12-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報知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182935B2 (en) * 2011-09-27 2015-11-10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menu option
JP5598737B2 (ja) * 2012-02-27 2014-10-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9494427B2 (en) * 2012-04-25 2016-11-15 Tyrell Gra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rectional interface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268424B2 (en) * 2012-07-18 2016-02-23 Sony Corporation Mobile client device, oper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 system
US9747003B2 (en) * 2012-08-01 2017-08-29 Blackberry Limited Multiple-stage interface control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952912B1 (en) * 2012-09-14 2015-02-10 Amazon Technologies, Inc. Selection of elements on paginated touch sensitive display
US9609108B2 (en) * 2012-09-26 2017-03-28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9547375B2 (en) * 2012-10-10 2017-0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lit virtual keyboard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03809737A (zh) * 2012-11-13 2014-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人机交互方法及装置
WO2014106219A1 (en) * 2012-12-31 2014-07-03 Burachas Giedrius Tomas User centri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sual display that recognizes user intentions
US9693684B2 (en) * 2013-02-14 2017-07-04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of eye tracking calibration
US9606721B2 (en) * 2013-07-22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30797B1 (ko) * 2013-09-17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645651B2 (en) * 2013-09-24 2017-05-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ation of a control interface on a touch-enabled device based on a motion or absence thereof
JP6178741B2 (ja) * 2013-09-24 2017-08-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153646B1 (ko) * 2013-12-24 2020-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5164584A1 (en) * 2014-04-23 2015-10-29 Google Inc.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gaze tracking
US9594489B2 (en) * 2014-08-12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ver-based interaction with rendered content
KR20160027775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261672B1 (en) * 2014-09-16 2019-04-16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xtual launch interfaces
KR102298972B1 (ko) * 2014-10-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엣지에서 수행되는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동작 수행
US20160132192A1 (en) * 2014-11-12 2016-05-12 Here Global B.V. Active Menu with Surfacing Notifications
US10503352B2 (en) * 2015-01-19 2019-1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 of representation interaction within an application launcher
KR102326664B1 (ko) * 2015-03-09 2021-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통지 바 운용 방법
JP6314914B2 (ja) * 2015-06-04 2018-04-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操作画面制御方法
DE102015011647B3 (de) * 2015-09-11 2017-01-05 Audi Ag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mit mehreren gekoppelten Bildschirmen
KR20170035678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14939B1 (ko) * 2015-09-23 2022-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7466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58051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20180036169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10747401B2 (en) * 2016-10-05 2020-08-18 Google Llc Unified and smart notifications and quick settings system
US11036387B2 (en) * 2017-05-16 2021-06-1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US10203866B2 (en) * 2017-05-16 2019-0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DK201870346A1 (en) * 2018-01-24 2019-09-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ystem-Wide Behavior for 3D Models
US10778833B2 (en) * 2018-03-13 2020-09-15 T-Mobile Usa, Inc. Mobile computing device notification mode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3933B2 (en) 2018-04-03
KR20150032054A (ko) 2015-03-25
US11068152B2 (en) 2021-07-20
US20210181912A1 (en) 2021-06-17
US20200249812A1 (en) 2020-08-06
US10963156B2 (en) 2021-03-30
US20150082257A1 (en) 2015-03-19
US20180210624A1 (en) 2018-07-26
US10678424B2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993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8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89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32345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xternal mobile terminal
KR102083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17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50042588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35346B1 (ko) 이동 단말기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635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8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29786B1 (ko)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33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61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45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3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KR102105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68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45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5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94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