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97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97A
KR20190054397A KR1020170150605A KR20170150605A KR20190054397A KR 20190054397 A KR20190054397 A KR 20190054397A KR 1020170150605 A KR1020170150605 A KR 1020170150605A KR 20170150605 A KR20170150605 A KR 20170150605A KR 20190054397 A KR20190054397 A KR 20190054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touch input
stat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유미라
장크리스토프 나우르
황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397A/ko
Priority to PCT/KR2018/007935 priority patent/WO2019093618A1/ko
Priority to US16/756,353 priority patent/US11561639B2/en
Publication of KR2019005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컴퓨터제어프로그램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수신부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에 따라 제1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터치입력 수신 중에, 사용자의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거나, 상기 센서부의 의해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2터치입력 또는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제1동작과는 다른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 조작 시, 원하는 동작 수행을 위해 터치입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입력은 터치에 의한 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에 의한 사용자입력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동작이 수행 가능하지만, 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터치가 필요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입력이 있으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사용자입력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했는지 확인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최소한의 사용자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수행 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사용자 터치입력 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1상태이면, 상기 제1상태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2상태이면, 상기 제2상태에 대응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번 터치를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위치와는 다른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터치입력을 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터치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UI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디스플레이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자세와는 다른 제2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조건에 대응하는 상황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터치입력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화면에 UI를 표시하고,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제1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1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상기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2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1상태이면, 상기 제1상태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2상태이면, 상기 제2상태에 대응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번 터치를 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위치와는 다른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터치입력을 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터치입력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1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UI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디스플레이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자세와는 다른 제2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조건에 대응하는 상황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터치입력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 UI를 표시하는 단계;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제1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1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단계; 1터치입력이 화면의 상기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2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에 따라 제1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터치입력 수신 중에,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과는 다른 제2동작을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번 터치를 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수행을 위해 사용자 터치입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사용자 터치입력 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입력소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입력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상태와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입력소스(101)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소스(101)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입력소스(101)는 컴퓨터, USB, HDMI 및 유/무선 통신 등이 있으며 연결 가능한 입력소스(101)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컨텐츠는 입력소스(101)로부터 수신한 것뿐만이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모니터, TV, 일체형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어부(210), 터치수신부(220), 출력부(230) 및 센서부(2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250) 및 저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어느 하나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수신부(220)는 사용자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터치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케이스(도 3의 310)의 적어도 한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터치수신부(220)의 일례를 도시한다. 터치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케이스(310)의 상단부(301), 측면부(302, 303) 및 배면부(304)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의 다양한 부분에 터치입력을 할 수 있다. 터치수신부(220)는 케이스(310)의 외측에 노출되어 마련되거나, 혹은 케이스(310)의 안쪽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수신부(220)는 하나의 소자로 평판 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거나, 소자 단위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터치입력은 다양한 형태의 터치입력이 존재하며, 그 종류에 대하여는 도 4에서 후술한다. 한편, 터치수신부(22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른 부분에서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출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디스플레이부(300), 음향출력부 또는 진동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배면부(도 6의 620)에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출력부(2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영상, 음성,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24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센서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종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가시광선 광학센서, 적외선 광학센서, 조도센서, 음향센서, 가속도센서, 충격센서 및 위치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의 위치는 정해진 것이 아니며, 각 센서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좋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센서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자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 기울어진 정도, 움직이는 정도,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의 소음 또는 밝기 등 다양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센서부(240)가 감지한 상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유/무선 통신 모두 가능하며, 통신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저장부(26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각종 정보에는 사용자 터치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별로 동일한 사용자 터치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터치입력의 종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터치입력의 4가지 종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4가지 종류의 터치입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터치입력은 다른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터치수신부(220)가 존재하는 케이스(310)에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터치입력의 4가지 종류는 다음과 같다. 두드리듯이 한번 치는 행위(이하 '탭', 400), 탭을 하고 계속 터치하고 있는 행위(이하 '탭 & 홀드', 410), 쓸듯이 밀어내는 행위(이하 '스와이프', 420) 및 탭 & 홀드 후 접촉한 부위를 움직이는 행위(이하, 홀드 & 슬라이드, 430)의 4가지 터치입력 종류가 있다.
도 4에는 하단부(304)를 터치입력하는 것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310)의 모든 부분이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10)는 모든 종류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의 종류는 설명한 4가지 터치입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령, 탭을 두 번 하거나, 양손을 이용한 탭도 가능한 터치입력의 한 종류가 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손을 이용하여 표시하였지만,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은 손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2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현재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10)는, 터치수신부(2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동작 S500). 또한, 제어부(210)는,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센서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한다(동작 S501).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 상황 및 사용자의 위치등, 센서부(240)에서 확인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는 특정 조건에 의해 분류될 수 있으며, 그 분류된 결과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 조건은 제품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입력에 의하여 저장 및 변경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 상태가 특정 조건에 해당 (동작 S501의 제1상태, 이하 '제1상태')하면, 제어부(210)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동작 S503).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장치(100) 상태가 특정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동작 S501의 제2상태, 이하 '제2상태'), 제어부(210)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동작과 다른 동작으로서, 현재 상태에 맞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동작 S502). 제1상태와 제2상태는 센서부(240)에 의해 감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울기, 사용자의 위치, 주변의 밝기 등 양립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상태 및 제2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동일한 터치입력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선 흐름도의 설명에서는 동작 S500 후에 동작 S501이 이루어지지만, 두 동작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40)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그 주변상태를 확인한 후에, 제1터치입력을 수신하여도 제2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터치입력에 따른 제1동작의 수행 도중에, 센서부(24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제2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앞에서는 제1상태와 제2상태로 2가지만을 설명하였지만,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는 앞서 말한 상태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제1상태와 제2상태 외의 상태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번 터치를 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서는 제1터치입력에 대해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그 주변 상태가 제1상태와는 다르게 정해진 제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서는 제1터치입력에 대해 제1동작과 다른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6에서는 제어부(210)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센서부(240)가 감지한 상태가 제1상태 및 제2상태로 다르게 설정하고, 동일한 터치입력에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
센서부(240)는 앞서 설명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사용자는 부호 600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앞에 있는 상태(제1상태)일 수도 있으며, 부호 610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뒤에 있는 상태(제2상태)일 수도 있다. 먼저 제1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왼쪽으로 터치입력(제1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이전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제1동작)으로, 오른쪽으로 터치입력(제2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다음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제2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항상 제1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제2상태에서 조작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상태와 무관하게 동작을 수행하면, 사용자 기준으로 왼쪽으로 터치입력(사용자의도는 제1터치입력)을 할 경우, 제어부(210)는 왼쪽으로의 터치입력을 제2터치입력으로 수신하여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부호 610과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뒤에서 조작하는 제2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상태처럼 조작을 할 수 있어야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센서부(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터치입력에 다른 동작을 수행하여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제2상태에 있어도, 왼쪽으로 터치입력(사용자의도는 제1터치입력,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제2터치입력)을 하면, 사용자가 제1상태에서 왼쪽으로 터치입력(사용자의도는 제1터치입력,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제1터치입력)을 하는 것과 동일한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제1상태에서의 제1터치입력과 제2상태에서의 제2터치입력이 다르더라도, 제어부(210)는 동일한 제1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앞에 있는 상태와 뒤에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 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센서부(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또 다른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같은 터치입력에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터치입력을 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터치입력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7에서는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자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상태(제1자세) 또는 제2상태(제2자세)로 달라지도록 제어하고, 동일한 터치입력에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똑바로 서 있거나(제1자세), 기울어서 있도록(제2자세) 케이스(310)의 저면 부분을 두 면으로 만들어서 평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저면 부분을 두 면으로 만드는 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똑바로 서 있거나, 기울어서 있을 수 있다. 부호 7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똑바로 세워져 있는 제1상태이며, 부호 7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비스듬하게 세워진 제2상태이다. 제어부(210)는 센서부(2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자세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1상태 일 때, 센서부(220)가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210)는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2상태에 있다면, 사용자는 특별한 의도를 두고 제2상태에 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그 상황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자세를 감지하고, 터치수신부(220)를 통해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어도, 제어부(210)는 감지한 자세의 상태를 정하고, 제1터치입력에 따른 제1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제1자세에서의 제1터치입력에 대한 동작으로 재생 및 정지, 제2자세에서의 제1터치입력에 대한 동작은 다른 임의의 컨텐츠 재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자세를 이용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자세 또는 제2자세와 다르게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기울어져 있거나, 눕혀져 있거나, 엎어져 있거나, 세워져 있는 등, 디스플레이장치가 가능한 모든 자세를 센서부(240)가 감지하고, 제어부(210)는 동일한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어도 각 상태에서 제1터치입력에 따른 제1동작과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조건에 대응하는 상황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제어부(100)의 동작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동작 S500의 설명은 도 5의 동작 S5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만일, 센서부(240)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그 주변 상태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의 상태에 해당하면(동작 S801의 정상상태, 이하 '정상상태'), 제어부(210)는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동작 S803).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그 주변상태에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만한 조건의 상태라면(동작 S801의 예외상태, 이하, '예외상태'), 제어부(210)는 제1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동작 S802). 정상상태 및 예외상태는 센서부(240)가 감지할 수 있는 상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그 분류결과는 저장부(2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입력에 의하여 저장 및 변경 가능하다.
앞선 흐름도의 설명에서는 동작 S500 후에 동작 S801이 이루어지지만, 두 동작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40)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제1터치입력을 수신하여도 제1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터치입력에 따른 제1동작의 수행 도중에, 센서부(240)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그 주변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제1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터치입력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서 제1터치입력(901)과 제2터치입력(902)를 제1터치입력으로 판단하고, 감지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하여, 소정 이상의 움직임을 확인하면, 제어부(210)는 제1터치입력에 따른 제1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터치입력을 한 상황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케이스(310)를 두 손(901, 902)으로 잡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위치를 옮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터치수신부(22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케이스(310)를 잡은 두 손(901, 902)을 터치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터치수신부(220)가 사용자의 두 손(901, 902)에 의한 터치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수신부(220)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예외적인 터치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210)는 터치입력을 수신하여도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원이 켜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케이스(310)를 잡고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동하여도,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움직임은 제어부(210)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상태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움직임 외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터치입력등과 같은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호 1000과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케이스(310)를 잡고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케이스(310)를 잡은 것은 터치입력을 하기 위함이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이동 또는 회전을 위한 것이므로, 제어부(210)는 터치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터치수신부(220)가 터치입력(1001)을 수신하는 도중에 센서부(240)가 위치이동 등의 소정 이상의 움직임(또는 주변 상태의 변화)을 감지하면, 제어부(210)는 터치입력(1001)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터치입력(1001)이 아닌 상황에서, 터치입력(1001)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에서는 앞서 설명한 탭 & 홀드 동작을 이용하여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주변모드는 TV모드 이외의 다른 컨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TV모드와 주변모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다른 모드와의 변경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부호 1100에서 현재 상태는 시계를 표시하는 주변모드이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터치입력을 통하여 주변모드에서 TV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터치입력은 다양한 터치입력이 있을 수 있지만, 탭 & 홀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모드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310)에 탭을 하고, 케이스(310)와의 접촉을 유지하면 탭 & 홀드 동작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탭 & 홀드 형태의 터치입력을 하면 터치수신부(220)는 해당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210)는 해당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탭 & 홀드를 수행하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를 주변모드에서 부호 1110과 같은 TV모드로 바꾸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가 부호 1120과 같은 TV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탭 & 홀드를 수행하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를 TV모드에서 부호 1130과 같은 주변모드로 바꾸도록 제어할 수 있다. TV모드와 주변모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도 11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령,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다른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그 모드간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거나, 출력을 위한 연산 중일 때, 사용자는 스와이프 동작을 이용하여 동일메뉴에서의 컨텐츠의 변경을 할 수 있다. 스와이프 동작은 터치입력의 한 형태로, 케이스(310)를 한쪽 방향으로 쓸듯이 터치하는 것이다.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는 케이스(310)와 접촉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터치수신부(220)가 수신한 스와이프 형태의 터치입력으로 컨텐츠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300)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서 있을 때, 상단부(301)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와이프 하면, 제어부(210)는 부호 1200과 같이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서 부호 1210과 같이 다음에 재생될 컨텐츠 또는 다음순서의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하면, 제어부(21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처음으로 돌아가거나,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 이전의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단부(301)뿐만이 아니라 케이스(310)의 모든 곳에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해당 스와이프 터치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거나, 출력을 위한 연산 중일 때, 사용자는 탭 동작을 이용하여 메뉴를 이동할 수 있다. 탭 동작은 터치입력의 한 형태로, 케이스(310)를 두드리듯이 한번 터치하는 것이다. 탭 동작의 횟수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는 케이스(310)의 접촉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터치수신부(220)가 수신한 탭 형태의 터치입력으로 메뉴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300)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서 있을 때, 상단부(301)를 탭하면, 제어부(210)는 부호 1300에서 부호 1310으로 변경되는 것처럼 다음 메뉴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단부(301)뿐만이 아니라 케이스(310)의 모든 곳에 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해당 탭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에서 의 막대(1311, 1312, 1313, 1314)는 각각 메뉴를 의미하며 흰색 막대(1312)는 현재 메뉴가 두번째 메뉴인 것을 의미한다. 탭 이전의 메뉴 AA가 제공하는 것은 첫번째 메뉴이며, 탭 이후의 메뉴 BB가 제공하는 것은 두번째 메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탭 동작에 의해 메뉴를 변경한다. 다만, 도 13에서는 TV모드에서의 메뉴 변경이지만, 도 14는 주변모드에서의 메뉴변경이다. 현재 주변모드에서의 컨텐츠는 시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주변모드에서 시계를 표시하는 중에, 터치수신부(220)가 탭을 수신하면, 제어부(210)는 시계의 다음 메뉴인 주크박스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탭은 케이스(310)의 모든 부분에서 수신 가능하다. 부호 1410의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은 주크박스의 실행화면이다. 디스플레이부(300) 상단에 있는 막대(1411, 1412, 1413, 1414)는 각 메뉴를 의미하며, 흰색막대(1411)는 현재 실행중인 주크박스가 첫번째 메뉴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탭 동작을 통하여 주변모드에서 다음 메뉴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소리를 출력하고 있거나, 출력을 위한 연산 중일 때, 사용자는 홀드 & 슬라이드 동작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홀드 & 슬라이드 동작은 터치입력의 한 형태로, 사용자가 케이스(310)에 탭 & 홀드 동작을 수행한 후에 케이스(310)에 접촉한 상태로 움직이는 것이다. 사용자는 케이스(310)에서 접촉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홀드 &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터치수신부(220)가 수신한 홀드 & 슬라이드 형태의 터치입력으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탭 & 홀드 후 터치를 위로 슬라이드 하는 경우, 소리의 크기를 크게 하고, 아래로 슬라이드 하는 경우 소리의 크기를 작게 한다. 홀드 & 슬라이드 동작은 좌측부(302) 및 우측부(303)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10)는 터치수신부(220)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동작 S1600). 제어부(210)는 수신된 터치입력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터치수신부(220)를 제어한다(동작 S1601). 제어부(210)는 케이스(310)의 어느 위치에서 터치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터치입력 및 확인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동작 S1602). 도 17을 참조하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부호 1700에서는 케이스(310)에서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단부(301)에 터치입력(1701)이 수신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터치입력(1701)의 종류가 탭일때, 제어부(210)에서 탭은 다음 컨텐츠로 넘어가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인 동작 상황에서, 사용자가 케이스(310) 임의의 부분에 탭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탭에 대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탭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알 수 없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도 사용자가 탭한 부분을 터치수신부(220)가 제대로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제어부(210)가 탭이 이루어진 위치를 확인하여, 그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면 사용자는 탭한 부분을 터치수신부(220)가 제대로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에 대응하는 동작인 다음 컨텐츠로 넘어갈 때, 제어부(210)는 화면 변환 효과가 탭의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의 부호 1700을 참조하여 그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부호 1700과 같이 탭(1701)이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단부(301)의 왼쪽에서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탭(1601)에 대응하는 다음 컨텐츠로 넘어가는 화면 변환 효과를 탭(1701)이 이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상단부(301)에서 탭이 이루어지면, 변환 전 화면이 아래 방향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수행한다고 할 때, 상단부(301)의 좌측에서 탭(1701)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10)는 변환 전 화면의 좌측이 먼저 떨어져서 기울어진 상태로 화면 변환 효과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의 부호 1710을 참조하여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부호 1710과 같이 탭(1711)이 디스플레이부(300)의 좌측부(302)의 하단부분에서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탭(1711)에 대응하여 다음 컨텐츠로 넘어가는 동작을 탭(1711)이 이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화면 변환 효과가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좌측부(302)에서 탭이 이루어지면 변환 전 화면이 오른쪽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수행하도록 제어부(210)가 제어한다고 할 때, 좌측부(302)의 하단부분에서 탭(1711)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10)는 변환 전 화면의 하단부분이 먼저 오른쪽으로 밀려나는 상태로 화면 변환 효과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면 변환 효과는 사라지는 효과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제어부(210)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된 곳을 기준으로 화면 변환 효과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면 본 발명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일한 터치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케이스(310)에 탭을 하면 메뉴에 해당하는 막대(1811, 1812, 1813, 1814)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다. 흰색막대(1811)는 현재 메뉴가 첫번째 메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막대(1811, 1812, 1813, 1814)중 하나의 막대의 화면 부분의 위치에 해당하는 케이스(310)에 탭을 수행하면 해당 메뉴가 선택된다. 왼쪽에서 네번째 막대(1814)가 네번째 메뉴에 해당하는데, 사용자가 네번째 막대(1824)의 윗부분에 해당하는 상단부(301)의 특정 위치를 탭하면, 제어부(210)는 흰색막대(1824)와 같이 네번째 막대가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210)는 부호 1730과 같은 네번째 메뉴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17에서는 막대(1811, 1812, 1813, 1814)가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300)의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단부(301)만이 선택을 위한 탭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케이스(310)의 부분(302, 303, 304)도 선택을 위한 탭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불편하게 여러 번 터치입력을 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그림에 있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막대(1921, 1922, 1923, 1924)를 벗어난 부분에 대응하는 상단부(301)에 탭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탭을 수행하게 되면 도 18에서 설명한 탭에 대한 동작과는 달리, 제어부(210)는 다음 메뉴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210)는 첫번째 메뉴(1811)에서 두번째 메뉴(1922)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부호 1930과 같이 선택된 두번째 메뉴(1932)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대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상단부분에만 위치하지 않을 수 있고, 탭의 대상이 되는 부분은 상단 부(301)만이 아니라 케이스(310)의 모든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입력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그림에 있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탭을 하면, 제어부(210)는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300)에 막대(1811, 1812, 1813, 1814)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동작을 이용하여 네번째 메뉴에 해당하는 막대(2024)에 대응하는 상단부(301)의 특정 위치에서 터치를 뗄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210)는 네번째 막대(2024)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부호 2030과 같이 네번째 메뉴에 해당하는 컨텐츠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소한의 터치입력으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
터치수신부(220)
디스플레이부(300)

Claims (15)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그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1상태이면, 상기 제1상태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2상태이면, 상기 제2상태에 대응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위치와는 다른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자세와는 다른 제2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화면에 UI를 표시하고,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제1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1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상기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2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8.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1상태이면, 상기 제1상태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2상태이면, 상기 제2상태에 대응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위치와는 다른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1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제2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제1동작의 수행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자세와는 다른 제2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UI를 표시하는 단계;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제1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1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단계; 및
    제1터치입력이 화면의 상기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 대응하면, UI를 상기 제2위치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에 따라 제1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터치입력 수신 중에,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과는 다른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KR1020170150605A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4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05A KR20190054397A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8/007935 WO2019093618A1 (ko) 2017-11-13 2018-07-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756,353 US11561639B2 (en) 2017-11-13 2018-07-13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s relating to user input and display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05A KR20190054397A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97A true KR20190054397A (ko) 2019-05-22

Family

ID=6643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05A KR20190054397A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61639B2 (ko)
KR (1) KR20190054397A (ko)
WO (1) WO20190936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7469381B2 (en) *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6262724B1 (en) * 1999-04-15 2001-07-17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media information
US6957397B1 (en) * 2001-06-11 2005-10-18 Palm, Inc. Navigating through a menu of a handheld computer using a keyboard
US7046230B2 (en) * 2001-10-22 2006-05-16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handheld device
JP3852368B2 (ja) * 2002-05-1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KR100617821B1 (ko) * 2005-02-2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8726194B2 (en) * 2007-07-27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Item selection using enhanced control
US9569088B2 (en) * 2007-09-04 2017-02-14 Lg Electronics Inc.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US8933892B2 (en) * 2007-11-19 2015-01-13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KR20100027686A (ko)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67839B2 (en) * 2009-04-24 2013-06-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vable parts
KR101646922B1 (ko) *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FR2950168B1 (fr) * 2009-09-11 2012-03-23 Milibris Terminal mobile a ecran tactile
JP5419153B2 (ja) * 2009-10-22 2014-02-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117165A (zh) * 2009-12-31 2011-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摸输入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10081040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US9310994B2 (en) *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965165B2 (en) *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20110292268A1 (en) * 2010-05-26 2011-12-01 T-Mobile Usa, Inc. Multi-region touchpad device
US8378985B2 (en) * 2010-05-26 2013-02-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ouch interface for three-dimensional display control
US8674959B2 (en) * 2010-06-28 2014-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JP6049990B2 (ja) * 2010-09-15 2016-12-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JP5643637B2 (ja) * 2010-12-24 2014-12-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9658766B2 (en) *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TWI456434B (zh) * 2011-05-31 2014-10-11 Compal Electronics Inc 具有觸控輸入系統之電子裝置
US8775966B2 (en) * 2011-06-29 2014-07-0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20130005733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내비게이션 기능을 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US8368723B1 (en) * 2011-07-14 2013-02-05 Google Inc. User input combination of touch and user position
US8847436B2 (en) * 2011-09-12 2014-09-30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System for inductively powering an electrical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9594405B2 (en) * 2011-10-19 2017-03-14 Facebook, Inc. Composite touch gesture control with touch screen input device and secondary touch input device
JP5957893B2 (ja) * 2012-01-13 2016-07-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130300668A1 (en) * 2012-01-17 2013-11-14 Microsoft Corporation Grip-Based Device Adaptations
KR101415184B1 (ko) 2012-02-23 2014-07-07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403025B1 (ko) 2012-02-29 2014-06-11 주식회사 팬택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KR20130102298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EP2648086A3 (en) * 2012-04-07 2018-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control method performed in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th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9041667B2 (en) * 2012-06-12 2015-05-2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of displays
KR101917692B1 (ko) 2012-06-2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95486B1 (ko) * 2012-06-26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6271858B2 (ja) * 2012-07-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84154B1 (ko) * 2012-07-16 2019-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및 제스처 입력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20140043265A1 (en) * 2012-08-07 2014-02-13 Barnesandnoble.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nterpret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20140043277A1 (en) * 2012-08-09 2014-02-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40043522A (ko) 2012-09-21 2014-04-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투명 양면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494810B1 (ko) 2012-12-05 2015-02-23 주식회사 에이치엠에스 원근 변화에 따른 동작 인식에 의해 제어되는 내비게이션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20099B1 (ko) * 2013-02-06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395917B2 (en) * 2013-03-24 2016-07-19 Sergey Mavrody Electronic display with a virtual bezel
WO2014171606A1 (en) * 2013-04-19 2014-10-23 Lg Electronics Inc. Device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9307129B2 (en) * 2013-05-07 2016-04-0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KR102191867B1 (ko) * 2013-07-10 202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 포맷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669652B (zh) * 2013-07-12 2019-08-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電腦程式
KR102185486B1 (ko) * 2013-07-24 2020-1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를 이용한 실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KR20150019165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76662B1 (ko) * 2013-08-29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44657A4 (en) * 2013-09-10 2017-05-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rient a user interface to a side
KR102130797B1 (ko) * 2013-09-17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5050345A1 (en) * 2013-10-01 2015-04-09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106174A (ja) * 2013-11-28 2015-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5106165A (ja) * 2013-11-28 2015-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50160849A1 (en) * 2013-12-06 2015-06-11 Microsoft Corporation Bezel Gesture Techniques
KR102194788B1 (ko) 2013-12-10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4714741A (zh) * 2013-12-11 2015-06-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触控操作的方法及装置
WO2015096020A1 (en) * 2013-12-24 2015-07-02 Intel Corporation Adaptive enclosure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107469B1 (ko) 2014-02-13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JP6246640B2 (ja) * 2014-03-25 2017-12-1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245363B1 (ko) * 2014-04-21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51118B1 (ko) * 2014-08-05 202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7775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98972B1 (ko) * 2014-10-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엣지에서 수행되는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동작 수행
KR20160053547A (ko) * 2014-11-0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KR20160063875A (ko) * 2014-11-27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1033B1 (ko) * 2015-01-08 2016-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4571832A (zh) 2015-01-19 2015-04-2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移动终端、及其操控系统和方法
KR20160090183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93499A (ko) 2015-01-29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42267B1 (ko) * 2015-06-22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10168895B2 (en) 2015-08-04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control on a touch-sensitive surface
KR101667735B1 (ko) 2015-09-11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09821B2 (en) * 2016-04-05 2019-02-19 Google Llc Computing devices having swiping interfa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2545602B1 (ko) * 2016-08-01 202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474195B2 (en) * 2016-10-05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on in wearable device with a curved periph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61639B2 (en) 2023-01-24
US20210200371A1 (en) 2021-07-01
WO2019093618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262B2 (en) Ma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b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76754B1 (ko)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US9223348B2 (en) Split keyboard modification for a pull-out flexible display
RU2594178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озволяющая обойтись без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устройства управления 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изуальную обратную связь
JP611290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面スクロール方法及びその装置
EP250079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252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screen orientation of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JP2022031339A (ja) 表示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1855141B1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5439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13870B2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KR10219788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87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40103630A1 (en) A computer a software module arrangement, a circuitry arrangement, a user equipment and a method for an improved and extended user interface
US20150052433A1 (en) Method of Interacting With Large Display Device and Related Interaction System
KR20170000472A (ko) 음악파일의 재생순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64202A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driving method of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300494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70117839A (ko) 포터블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피봇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47607A (ko) 오디오출력장치, 오디오출력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040180A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휴대단말기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