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909A -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909A
KR20110131909A KR1020100051597A KR20100051597A KR20110131909A KR 20110131909 A KR20110131909 A KR 20110131909A KR 1020100051597 A KR1020100051597 A KR 1020100051597A KR 20100051597 A KR20100051597 A KR 20100051597A KR 20110131909 A KR20110131909 A KR 2011013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function key
emergency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석
안해준
박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909A/ko
Priority to US13/118,755 priority patent/US20110291974A1/en
Publication of KR2011013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량 시 기능키를 이용한 입력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터치 인터페이스에 의한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터치 단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능키 기반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키가 메인 기능키에 의한 입력일 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될 시 긴급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입력 모드에서 상기 기능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PUT FUNCTION WHEN A BREAKDOWN OF TOUCH INTERFACE IN A TOUCH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단말에서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량 시 구비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모드에서 기능키를 이용하여 터치 단말의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구비하는 터치 단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 단말에서는 통상적으로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으로 제공되며, 터치 단말의 경우 그 특성 상 숫자(또는 문자) 키 등의 구성이 생략된다. 그리고 터치 단말의 경우 기본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 단말의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터치 단말에서는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터치 단말을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터치 단말에서 사용자 편의로 제공되는 볼륨 키(volume key), 샌드 키(send key), 홈 키(home key), 앤드 키(end key), 홀드 키(hold key) 등에 의해서는 해당 키들에 할당된 간단한 기능의 제어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볼륨 조절, 카메라 기능 진입 등과 같이 각 키들에 할당된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터치 인터페이스가 불량인 상태에서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카메라 기능과 같이 특정 기능으로 진입하더라도 해당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터치 단말들에서는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특정 메뉴 진입, 특정 기능이 할당된 아이콘 선택 및 그에 의한 기능 실행과 같은 터치 단말의 사용 및 그의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터치 입력을 대신할 수 있는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량 시 하드웨어적인 입력 버튼들을 이용하여 터치 단말의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한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으로 터치 기반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하드웨어적인 기능키 조작에 의해 긴급 입력 모드로 진입하고, 긴급 입력 모드에서 기능키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터치 단말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량 시 터치 기반의 입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 기능을 지원하여 터치 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능키 기반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키가 메인 기능키에 의한 입력일 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될 시 긴급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입력 모드에서 상기 기능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단말에 있어서, 일반 모드와 긴급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 단말의 모드별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에 따라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메인 기능키 기반의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고, 그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긴급 입력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며, 상기 긴급 입력 모드에서 상기 기능키에 의한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량으로 터치 기반의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터치 입력을 대신하는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터치 단말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칩셋(Chip set) 손상, 터치패널 손상 등으로 인해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기존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입력 불능 상황 시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 전환이 가능하며, 전환된 입력 모드에서 기능키를 이용한 입력을 통해 터치 단말의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터치 단말 이용 중 갑작스런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기본적인 기능키를 활용하여 터치 단말의 기본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터치 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접근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의 외형 구성 예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에서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그의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터치 인터페이스(touch interface)의 동작 불능으로 터치 단말의 기능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기존 기능키를 이용한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의 동작 불능 시 기존 기능키를 이용한 설정된 입력을 통해 긴급 입력 모드(emergency input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입력 모드에서 기존 기능키의 조작에 의한 터치 단말의 기능 제어를 지원한다. 이에 의해, 터치 단말의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에도 사용자가 터치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 인터페이스의 갑작스런 고장 시에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는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긴급 입력 모드는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능으로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으로 전환되는 모드로, 긴급 입력 모드에서 기능키는 할당된 본연의 기능 이외에 설정된 다른 기능의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입력 모드에서는 표시부에 제공되는 화면 구성이 터치 인터페이스가 정상 동작하는 일반 모드의 화면 구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단말은 입력부(100), 저장부(200), 표시부(300), 그리고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터치 단말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 Microphone)와 스피커(SPK, 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여러 개의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0)는 긴급 입력 모드 활성화를 위한 입력신호와, 긴급 입력 모드에서 터치 단말의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단말은 표시부(300)의 제공 타입(예컨대, 풀 터치스크린 방식)에 따라 전면 및/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110, 1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터치 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터치 단말의 운영체제, 표시부(3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3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긴급 입력 모드 실행 및 그의 운용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긴급 입력 모드에서 입력부(1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터치 단말의 일반모드와 긴급 입력 모드에서 입력부(100)의 운용을 위한 기능정보(예컨대, 기능키별 할당된 기능에 대한 정보)가 매핑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핑테이블은 하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볼륨 업 키(volume up key), 볼륨 다운 키(volume down key), 홈 키(home key), 단축키(short key) 등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기능키의 기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되거나 터치 단말에서 기본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기능키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능정보들이 모드별로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단말은 일반모드에서 사용자가 볼륨 업 키를 입력할 시 일반모드에서의 볼륨 업 키에 대응하는 기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단말은 기능정보에 매핑된 볼륨 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단말은 긴급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볼륨 업 키를 입력할 시 긴급 입력 모드에서의 볼륨 업 키에 대응하는 기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단말은 기능정보에 매핑된 아이템들 간 포커스 이동(예컨대, 전 방향으로 이동)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단말은 일반모드에서 홈 키에 대한 입력이 발생할 시 그 입력 방식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단말은 입력방식이 일반 방식에 따른 입력(예컨대, 한번 입력과 같은 입력방식1)인 경우 아이템 선택 또는 확인 등에 따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 터치 단말은 입력방식이 설정된 특정 방식에 따른 입력(예컨대, 입력방식2)인 경우 긴급 입력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입력방식2는 홈 키의 길게 누름 입력 또는 홈 키의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입력 등에 따른 입력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 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재생 기능, TV 재생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긴급 입력 모드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터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는 긴급 입력 모드에 따라 운용되는 화면(예컨대, 긴급 입력 모드 화면)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급 입력 모드에 의한 화면 운용에 대해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의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터치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긴급 입력 모드 운용에 따른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터치 단말 운영 중에 입력부(100)의 특정 기능키를 통해 설정된 방식의 입력을 감지할 시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실행 시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알리는 팝업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에서 입력부(100)의 기능키 입력에 따른 동작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앞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모드와 긴급 입력 모드에 따라 구분된 기능키 운용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화면데이터를 일반모드와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일반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데이터)를 변경하여 긴급 입력 모드에 최적화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아이템들 중 실행 대기 중인 특정 아이템 주변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기능키의 조작에 따라 아이템의 활성화 상태(예컨대, 포커스)를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입력 모드 진입에 따른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제어부(400)의 동작 및 그의 상세 제어 방법은 후술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400)는 터치 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데이터 표시 또는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일반모드에서 긴급 입력 모드로의 전환, 긴급 입력 모드에서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에서 입력부(100)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아이템에 의한 기능 실행과 그에 따른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터치 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키에 의한 긴급 입력 모드 실행과 긴급 입력 모드에서 기능키에 의한 기능 제어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및 미디어 폴(media pole)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에서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그의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에 소정 개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표시부(300)의 터치 인터페이스에 의한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 즉, 터치 인터페이스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화면으로 제공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모드에 따른 화면으로 제공되거나, 또 표시부(300)의 턴 오프(turn-off) 상태와 같이 오프 모드에 따른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301과 같은 상태에서 입력부(100)의 기능키들 중 설정된 특정 기능키(예컨대,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이용한 설정된 방식의 입력에 따라 긴급 입력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설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 입력하는 것으로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명령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설정 횟수(예컨대, 5회) 이상 반복 입력하는 것으로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명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301과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위한 특정 기능키의 설정된 방식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허여할 것인지 또는 취소할 것인지 확인하는 팝업창(310)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310)에서 제공된 아이템(330)의 선택을 통해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볼륨 업/다운 키 조작에 의해 <확인> 아이템 또는 <취소> 아이템을 선택하여 활성화한 후 홈 키(예컨대,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이용한 선택 명령에 의하여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참조번호 3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1과 같은 상태에서 기능키(135)를 이용한 설정된 방식의 입력이 발생하면 참조번호 305로 바로 진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3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허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능키(예컨대, 볼륨 업/다운 키, 홈 키 등)의 조작에 의하여 팝업창(310)의 아이템(330)에서 <확인>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이 결정되면 긴급 입력 모드를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301과 같은 화면데이터에 특정 아이템(예컨대, 최상위 아이템)(350)에 포커스가 위치하여 활성화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특정 아이템의 활성화는 해당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 시 해당 아이템에 의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실행 대기 중인 아이템 주변에 포커스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기능키(예컨대, 볼륨 업 키 또는 볼륨 다운 키) 조작에 따라 포커스가 이동되어 해당 아이템을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305의 화면데이터와 터치 인터페이스에 의한 운용이 가능한 경우의 참조번호 301과 같은 기본적인 화면데이터가 동일하지만, 긴급 입력 모드에서의 차이점은 실행 대기 중인 아이템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며, 볼륨 업/다운 키 등을 이용하여 아이템들 간 이동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에서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그의 다른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에 소정 개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표시부(300)의 터치 인터페이스에 의한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 즉, 터치 인터페이스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모드에 따른 화면, 어플리케이션 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부(300)의 오프 모드에 따른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입력부(100)의 기능키들 중 설정된 특정 기능키(예컨대,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이용한 설정된 방식의 입력에 따라 긴급 입력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설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 입력하는 것으로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명령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참조번호 135의 기능키를 설정 횟수(예컨대, 5회) 이상 반복 입력하는 것으로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명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1과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실행을 위한 특정 기능키의 설정된 방식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참조번호 403에 나타난 팝업에 대해서는 앞서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참조번호 403의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 결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허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능키(예컨대, 볼륨 업/다운 키, 홈 키 등)의 조작에 의하여 팝업창(310)의 아이템(330)에서 <확인>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이 결정되면 긴급 입력 모드를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401의 화면데이터와 다른 화면데이터가 나타날 수 있다. 즉, 참조번호 405의 화면데이터는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기능키 조작에 의해 동작 가능한 아이템들만으로 구성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405의 화면데이터에서도 특정 아이템(예컨대, 최상위 아이템)(450)의 포커스가 위치하여 활성화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특정 아이템의 활성화는 해당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 시 해당 아이템에 의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즉, 실행 대기 중인 아이템 주변에 포커스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기능키(예컨대, 볼륨 업 키 또는 볼륨 다운 키) 조작에 따라 포커스가 이동되어 해당 아이템을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량으로 인해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에서도 기능키 조작으로 긴급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입력 모드에 따라 그 기능이 변경되는 기능키의 조작으로 다이얼링, 단축 다이얼링 버튼 선택, 특정 기능 실행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키 조작에 의한 다이얼링의 예시를 간략히 살펴보면, 화면데이터를 구성하는 아이템 중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는 아이템 선택에 의해 실행할 수 있으며, 다이얼링 실행 화면에서 활성화된 가상의 키패드를 볼륨 업/다운 키 및 홈 키의 조작으로 다이얼링 할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숫자(예컨대,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볼륨 업/다운 키 및 홈 키의 조작으로 가상 키패드의 통화 버튼 선택에 의해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기능키 조작에 따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5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화면이 제공되는 대기모드에 따른 운용,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카메라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등) 실행에 따른 화면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드 운용, 표시부(300)의 턴 오프에 따른 오프 모드에서의 터치 단말 동작 운용 중에 기능키에 발생된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기능키 입력을 감지하면 입력된 기능키가 긴급 입력 모드 실행과 관련된 특정 기능키(예컨대, 홈 키)(이하, '메인 기능키'라 칭함)의 입력인지 판별한다(503단계). 본 명세서에서 메인 기능키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입력된 기능키가 메인 기능키가 아니면(503단계의 No) 해당 기능키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 실행을 제어한다(5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볼륨 업 키 입력에 대응하여 터치 단말의 볼륨을 업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카메라 기능 단축키 입력에 대응하여 카메라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입력된 기능키가 메인 기능키이면(503단계의 Yes)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고(507단계) 해당 입력 방식에 따른 입력이 설정된 기준값(Th) 이상 입력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5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설정된 입력 방식이 반복 입력 방식인 경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횟수만큼 입력되는지 체크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입력 방식이 시간 입력 방식인 경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시간만큼 입력되는지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메인 기능키의 입력이 설정된 기준값(Th) 미만 입력(예컨대, 1회 입력 또는 3초 미만 짧게 누름 입력)되면(509단계의 No) 설정 방식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5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메인 기능키의 입력을 무시 처리하거나, 또는 메인 기능키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메인 기능키의 입력이 설정된 기준값(Th) 이상 입력(예컨대, 5회 입력 또는 3초 이상 길게 누름 입력)되면(509단계의 Yes) 긴급 입력 모드 활성화를 제어한다(513단계). 그리고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선택을 위한 팝업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5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선택 아이템(330)을 포함하는 팝업창(310)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팝업 출력 후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지 체크할 수 있다(5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앞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팝업창(310)의 <확인> 아이템 또는 <취소> 아이템 중 기능키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아이템을 식별하고 그에 의해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이 요청되지 않으면(517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519단계). 예를 들어, 출력된 팝업을 취소하고 이전의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517단계의 Yes) 긴급 입력 모드로 진입한다(521단계). 그리고 제어부(400)는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그에 따른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52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앞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 대기 중인 특정 아이템의 포커스를 활성화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기능키 조작에 의한 운용이 가능한 아이템들로만 구성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화면데이터에서 기능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아이템에 의한 기능 실행 및 그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5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기능키 조작에 의하여 특정 아이템을 지정하여 실행 대기 중 아이템으로 활성화한 후 그의 실행을 명령할 시 해당 특정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능 시 기능키에 의한 긴급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긴급 입력 모드에서 기능키 조작에 따른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입력부 110, 130, 135: 기능키
200: 저장부 300: 표시부
310: 팝업창 400: 제어부

Claims (12)

  1.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능키 기반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키가 메인 기능키에 의한 입력일 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될 시 긴급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입력 모드에서 상기 기능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방식으로 입력될 시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알리는 팝업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팝업에 의하여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긴급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긴급 입력 모드 이전의 화면데이터와 차별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이 설정된 횟수 이상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단말의 대기모드, 어플리케이션 모드 및 오프 모드에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의 입력 기능 제공 방법.
  8.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단말에 있어서,
    일반 모드와 긴급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 단말의 모드별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에 따라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메인 기능키 기반의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메인 기능키의 입력 방식을 체크하고, 그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제어하며, 상기 긴급 입력 모드에서 상기 기능키에 의한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입력 모드 진입 시 팝업을 출력하고, 팝업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긴급 입력 모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단말의 대기모드, 어플리케이션 모드 및 오프 모드에서 상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상기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단말의 대기모드, 어플리케이션 모드 및 오프 모드에서 상기 메인 기능키가 설정된 횟수 이상 입력될 시 상기 긴급 입력 모드 진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모드 진입 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데이터를 긴급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로 변경하여 표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단말.
KR1020100051597A 2010-06-01 2010-06-01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1013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97A KR20110131909A (ko) 2010-06-01 2010-06-01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US13/118,755 US20110291974A1 (en) 2010-06-01 2011-05-31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put function when touch interface of a touchscreen-based device mal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97A KR20110131909A (ko) 2010-06-01 2010-06-01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09A true KR20110131909A (ko) 2011-12-07

Family

ID=4502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597A KR20110131909A (ko) 2010-06-01 2010-06-01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91974A1 (ko)
KR (1) KR201101319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5055B2 (en) 2014-04-23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damage to touch area of electronic device
WO2019039880A1 (ko) * 2017-08-23 2019-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4353B (zh) * 2012-09-04 2019-03-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终端装置及控制方法
CN103118183A (zh) * 2013-01-18 2013-05-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操作方法及装置
KR2014011291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7861B1 (ko) * 2013-04-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207804B2 (en) * 2014-01-07 2015-12-08 Lenovo Enterprise Solutions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interactive element placement based around damaged regions on a touchscreen device
CN104954548A (zh) * 2014-03-24 2015-09-30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遮盖控制移动式电子装置的方法、装置及其存储介质
CN104965620B (zh) * 2015-07-10 2017-10-3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屏故障纠错方法及系统
CN104991674B (zh) * 2015-07-13 2018-01-0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屏局部断线的解决方法
US20170357411A1 (en) * 2016-06-11 2017-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initiating a telephone call
CN111610896A (zh) * 2017-02-07 2020-09-01 李丽萍 一种电容触摸屏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CN112416166A (zh) * 2020-11-16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63173A1 (en) 2021-08-31 2023-03-02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38B1 (ko) * 2008-11-28 2015-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면 터치 휴대단말기의 콜 발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5055B2 (en) 2014-04-23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damage to touch area of electronic device
WO2019039880A1 (ko) * 2017-08-23 2019-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91974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KR101924835B1 (ko)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JP7412572B2 (ja) ウィジェット処理方法及び関連する機器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60693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US10217441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U20132376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KR101608673B1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EP3279786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US20180121027A1 (en)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82579B1 (ko) 터치 단말에서 문자 입력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5968A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40142546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10070338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2541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80530A (ko)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855141B1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1005508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2007970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002688B2 (ja)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KR101821160B1 (ko)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키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