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693B1 -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693B1
KR101760693B1 KR1020100092840A KR20100092840A KR101760693B1 KR 101760693 B1 KR101760693 B1 KR 101760693B1 KR 1020100092840 A KR1020100092840 A KR 1020100092840A KR 20100092840 A KR20100092840 A KR 20100092840A KR 101760693 B1 KR101760693 B1 KR 10176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interaction
home screen
content
conten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357A (ko
Inventor
이상기
윤수정
임경애
심수미
임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9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69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86895.7A priority patent/EP3779652B1/en
Priority to JP2013530091A priority patent/JP6033226B2/ja
Priority to PCT/KR2011/007017 priority patent/WO2012039587A1/en
Priority to US13/241,807 priority patent/US8938673B2/en
Priority to CN201180045781.0A priority patent/CN103119541B/zh
Priority to EP22189535.2A priority patent/EP4109226A1/en
Priority to EP11827015.6A priority patent/EP2619643B1/en
Priority to CN201610161524.8A priority patent/CN105843492B/zh
Priority to ES20186895T priority patent/ES2926306T3/es
Publication of KR2012003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home screen) 편집 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 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페이지에 의한 홈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 운용 중 제1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인터랙션이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이면 전환모드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제2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제2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A TOUCH DEVICE}
본 발명은 터치 기반 입력 인터페이스(touch-based input interface)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home screen) 편집 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구비하는 터치 디바이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에서는 통상적으로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으로 제공되며, 터치 디바이스의 경우 그 특성 상 숫자(또는 문자) 키 등의 구성이 생략된다. 그리고 터치 디바이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터치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 디바이스 이용에 따른 편의 향상 및 새로운 부가 기능 요구에 따른 새로운 기능 구현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홈스크린의 컨텐츠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구성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스크린 편집 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홈스크린을 구성하는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에 대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홈스크린 편집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 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페이지에 의한 홈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 운용 중 제1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인터랙션이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이면 전환모드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제2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제2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의해 제공되는 홈스크린을 표시하며, 상기 홈스크린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과, 특정 페이지에 의한 상기 홈스크린 운용 중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 및 그의 배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홈스크린은 홈스크린의 특정 페이지에 구성된 컨텐츠의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전환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전환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영역은 상기 홈스크린의 일영역에 나타나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 및 페이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홈스크린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홈스크린 편집에 따른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홈스크린 상에서 간단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홈스크린 편집 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기존의 복잡한 단계를 간소화하며, 터치 기반의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및 그에 따른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랙션의 운용 방식에 따라 홈스크린의 특정 페이지에서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다른 페이지로 한 번에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페이지의 컨텐츠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 시 현재 나타난 특정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또는 컨텐츠가 이동되는 다른 페이지로의 전환을 사용자 인터랙션의 운용 방식에 따라 적응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스크린 구성 및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에 보다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위한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몇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홈스크린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touch-based input interface)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보다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홈스크린(home screen) 편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홈스크린에서 싱글터치 기반 또는 멀티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하고,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정해진 룰에 따라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페이지에 배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은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위해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랙션의 입력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스크린은 다수개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며, 각 페이지들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위젯과 같은 위젯 아이콘, 및 폴더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여 홈스크린을 구성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부(100), 저장부(200), 그리고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및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을 비롯하여,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재생 기능, TV 재생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 방송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 재생 기능), 위젯 기능, 메모 기능, 게임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화면을 표시할 때 터치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을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홈스크린을 표시하며,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특정 페이지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컨텐츠 페이지 간 이동 지원을 위해 홈스크린 상에 전환영역을 일 영역에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한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 및 그의 배치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1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홈스크린의 편집모드(edit mode)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홈스크린 편집 기능의 운용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0)는 홈스크린 편집 시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 기능의 운용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다수개의 페이지들 중 요청되는 특정 페이지를 통한 홈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페이지들 간 전환을 제어하고, 전환된 해당 페이지를 홈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발생하면 해당 인터랙션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것인지, 또는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것인지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해 정해진 전환영역을 기반으로 입력되는지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인터랙션인지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인지하면 해당 인터랙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현재 홈스크린에 나타난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다른 페이지로 이동된 컨텐츠를 정해진 룰에 따라 상기 다른 페이지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컨텐츠 이동 시 홈스크린에 현재 나타난 페이지를 그대로 유지하고 컨텐츠의 이동만을 제어하거나, 또는 컨텐츠 이동 시 홈스크린의 현재 페이지를 상기 컨텐츠가 이동되는 다른 페이지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싱글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에 따라 지정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페이지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멀티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에 따라 지정된 다수개의 컨텐츠들에 대한 페이지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 편집 시 현재 페이지에서 주어진 컨텐츠들을 동일 페이지 내에서 위치 이동을 제어하거나, 특정 컨텐츠의 삭제, 대체, 이름 변경 등과 같은 홈스크린 편집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종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넷북(Net-book)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기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홈스크린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 홈스크린은 다수개의 페이지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에를 들어,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스크린은 다섯 개의 페이지들(예컨대, 페이지1(201), 페이지2(203), 페이지3(205), 페이지4(207), 페이지5(209))을 포함하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페이지를 홈스크린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에서는 참조번호 2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섯 개의 페이지들 중 페이지3이 홈스크린으로 나타난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을 위한 각 페이지들은 사용자 설정에 따란 각각의 컨텐츠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페이지들을 구성하는 컨텐츠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위젯과 같은 위젯 아이콘, 및 폴더 등을 나타낸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디바이스는 홈스크린 구동 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개의 페이지들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홈스크린으로 나타난 페이지에서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예컨대, 플릭 인터랙션 등)으로 홈스크린으로 나타낼 페이지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홈스크린으로 나타난 페이지3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상기 참조번호 2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서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예컨대, 플릭 인터랙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홈스크린에는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참조번호 205의 페이지3이 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라지고 참조번호 203의 페이지2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들 간 전환은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홈스크린을 구성하는 모든 페이지들 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홈스크린에 특정 페이지가 나타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될 시 해당 인터랙션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페이지와 인접된 다음 또는 이전의 페이지가 순차적으로 쉬프트(shift)되어 전환될 수 있다.
한편,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을 편집(edit) 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종래 방법에서는 홈스크린의 편집모드에서 특정 페이지의 컨텐츠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고자 할 때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페이지가 있는 방향의 화면 끝으로 가져가서 홀드(hold)하면 한 페이지씩 페이지가 전환되고 이에 의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페이지가 홈스크린으로 나타날 시 해당 페이지 내의 세부적인 위치에 컨텐츠를 드롭(drop)함으로써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의 컨텐츠를 몇 단계에 걸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고자 할 시 컨텐츠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사용자 불편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현재 홈스크린에 페이지1이 나타나고 페이지1의 특정 컨텐츠를 페이지5로 이동하고자 할 시 사용자는 앞서와 같은 동작으로 홈스크린에 페이지5가 나타날 때까지 오랜 시간 입력 및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페이지의 컨텐츠를 다수의 단계에 걸친 페이지 전환에 의한 이동 시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함으로써 홈스크린 편집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러면 이하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00)는 홈스크린을 크게 전환영역(130)과 컨텐츠 영역(15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환영역(130)은 홈스크린의 편집모드 진입을 위한 인터랙션 입력 영역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전환영역(130)은 홈스크린의 편집모드 중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특정 컨텐츠가 위치할 시 페이지 전환모드 실행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을 발생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전환영역(130)에 통해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모드를 실행하고 그에 의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환영역(130)은 터치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과 페이지 간 전환 이동 및 식별의 용이성을 위해 제공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에 의해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에 의해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하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과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을 하나의 영역으로 운용하는 것에 의해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영역(130)을 이용한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 내에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정적 텍스트, 동적 텍스트 등의 정보 아이템으로 제공되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아이템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은 터치 디바이스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통신과 관련된 신호 세기를 알리는 아이템,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아이템, 진동/소리/무음 정보를 알리는 아이템, 블루투스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상태를 알리는 아이템, 와이파이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상태를 알리는 아이템, 배터리 충전(또는 잔량) 상태를 알리는 아이템, 시간정보를 알리는 아이템 등의 정보 아이템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아이템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상술한 아이템들 이외에 다양한 아이템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에는 앞서와 같은 다수개의 정보 아이템들 중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의 아이템이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은 홈스크린을 위해 할당된 페이지들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스크린을 위한 페이지들이 앞서 도 1을 예시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섯 개의 페이지들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은 상기 다섯 개의 페이지들에 각각 대응되는 다섯 개의 페이지 아이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에서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홈스크린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에서 아이템들 상에 이동되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예컨대, 스윕 인터랙션 등)에 따라 페이지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은 생략되고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으로만 전환영역(130)을 구성하여 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컨텐츠 영역(150)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들이 배치되어 제공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컨텐츠 영역(150)은 홈스크린을 통해 현재 나타나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이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위젯과 같은 위젯 아이콘, 및 폴더 등을 나타낸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홈스크린 편집 시 상기 전환영역(130)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5)에 대응하는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나타난 임의의 컨텐츠(410)를 이용하여 홈스크린 편집모드 진입을 위해 정의된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컨텐츠(410)를 선택하여 지정하고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 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 발생 시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편집이 가능한 편집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홈스크린의 편집모드가 활성화됨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홈스크린에 나타난 각 컨텐츠들 상에 편집모드임을 알리는 아이템(420)(이하, '에디터 아이템'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편집모드임을 알리기 위해 상기 에디터 아이템(420) 외에도 각 컨텐츠들을 희미하게 반투명 형태로 변경하여 제공하거나, 이 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직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편집모드 진입을 위한 위의 절차는 생략되고 후술하는 동작에 의해 홈스크린 상태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3 및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430)를 선택하여 지정한 후 전환영역(130)으로 선택된 컨텐츠(430)를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는 상기 전환영역(130) 중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을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홈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 페이지들이 12개이고 각 페이지들은 다수개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430)를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430)를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 상에 오버랩(overlap)하여 일정시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전환영역(130)을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의 편집모드 중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즉, 전환모드 진입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된 상기 컨텐츠(430)가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5)의 임의의 영역에 오버랩 되어 위치할 시,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구성 가능한 설정된 모드 페이지들을 홈스크린 내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을 위해 구성된 모든 페이지들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썸네일들을 홈스크린 내에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 페이지들에 대응하는 썸네일은 표시부(120)의 공간적 크기를 고려하여 특정 크기로 리사이징 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페이지들에 대응하는 썸네일은 홈스크린들은 구성하는 페이지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특정 크기로 리사이징 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홈스크린을 구성하는 페이지들이 12개인 경우를 가정함에 따라 홈스크린에는 상기 12개의 페이지들에 대응하는 12개의 썸네일들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환모드에 따른 썸네일을 나타낼 시 사용자의 직관성을 고려하여 전환모드 진입 전에 활성화된 페이지(예컨대, 페이지5) 즉, 이동하고자 하는 컨텐츠(430)가 속해있던 페이지(페이지5)를 다른 페이지들과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430)가 속한 해당 페이지(예컨대, 페이지5)를 포커싱 후 하이라이트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썸네일들은 참조번호 400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페이지들의 프리뷰(preview)를 보여주어 컨텐츠 이동을 위한 페이지들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7과 같이 전환모드에 따라 전환된 화면(예컨대, 썸네일 화면)이 홈스크린에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4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난 썸네일들 중 희망하는 페이지(예컨대, 페이지12)에 대응된 썸네일(470)의 위치로 선택된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홀드 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썸네일(470)에 대응된 페이지(예컨대, 페이지12)를 홈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이 유지되고 있는 위치(예컨대, 상기 썸네일(470)의 오버랩된 위치)에 상기 컨텐츠(430)를 위치시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1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4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난 페이지(예컨대, 페이지12)의 임의의 위치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드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위치로 상기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상기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430)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앞서 참조번호 40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에 나타난 썸네일들 중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12)에 대응된 썸네일(470)의 위치로 상기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드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페이지12에 대응하는 썸네일(470)의 위치로 선택된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상기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썸네일(470)에 대응하는 페이지(예컨대, 페이지12)를 홈스크린에 나타내고 상기 컨텐츠(430)를 해당 페이지의 적절한 위치에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랙션 방식에 대응하여 앞서 설명한 참조번호 411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앞서 참조번호 40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에 나타난 썸네일들 중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12)에 대응된 썸네일(470)의 위치로 상기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드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페이지12에 대응하는 썸네일(470)의 위치로 선택된 컨텐츠(430)를 이동한 후 상기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의 썸네일(470)에 대응된 페이지로 상기 컨텐츠(430)를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430) 이동 시 참조번호 409의 표시 상태는 유지하면서 상기 컨텐츠(430)만 사라진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409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예컨대, 탭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되는 썸네일에 대응된 해당 페이지를 홈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앞서와 같은 동작에서는 싱글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하나의 컨텐츠(430)에 대한 페이지 이동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와 같은 동작 시 멀티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을 선택하고, 앞서와 같은 동작을 기반으로 선택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한 번에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운용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2)에 대응하는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참조번호 501과 같은 상태에서 홈스크린 상에 나타난 임의의 컨텐츠(510)를 이용하여 홈스크린 편집모드 진입을 위해 정의된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아이템(420)을 이용하여 편집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편집모드 진입을 위한 위의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5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3 및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530)를 선택하여 지정한 후 전환영역(130)으로 선택된 컨텐츠(530)를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상기 전환영역(130) 중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을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홈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 페이지들이 5개이고 그에 대응하여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에는 다섯 개의 페이지 아이템들이 나타난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에 나타난 페이지 아이템들 중 희망하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아이템으로 선택된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를 페이지5에 대응하는 페이지 아이템 상에 오버랩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전환영역(130)을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의 편집모드 중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즉, 전환모드 진입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된 상기 컨텐츠(530)가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의 특정 페이지 아이템 상에 오버랩되어 위치할 시,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페이지를 상기 컨텐츠가 오버랩된 페이지 아이템에 대응하는 페이지(예컨대, 페이지5)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507과 같이 페이지가 전환된 페이지(예컨대, 페이지5)가 홈스크린에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5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난 페이지(예컨대, 페이지5)의 임의의 위치로 선택된 컨텐츠(530)를 이동한 후 드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위치로 상기 컨텐츠(530)를 이동한 후 상기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5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530)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만약 참조번호 5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된 인터랙션을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 상에서 다른 페이지 아이템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스윕 입력에 따라 컨텐츠가 위치하는 해당 페이지 아이템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페이지5에 대응하는 페이지 아이템 상에 위치한 컨텐츠를 페이지4, 페이지3, 페이지2, 페이지1에 대응하는 각 페이지 아이템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인터랙션에 따라 이동하는 컨텐츠 위치의 해당 페이지 아이템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홈스크린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페이지 아이템을 이용한 페이지 전환은 컨텐츠의 순차적인 이동에 따라 페이지 아이템들에 따른 페이지들이 순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가 페이지5에서 페이지1로 중간 페이지들을 걸치지 않고 바로 이동될 시 해당 페이지 아이템으로 점프(jump)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앞서와 같은 동작에서는 싱글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하나의 컨텐츠(530)에 대한 페이지 이동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와 같은 동작 시 멀티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을 선택하고, 앞서와 같은 동작을 기반으로 선택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한 번에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운용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3)에 대응하는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참조번호 601과 같은 상태에서 홈스크린 상에 나타난 임의의 컨텐츠(610)를 이용하여 홈스크린 편집모드 진입을 위해 정의된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아이템(420)을 이용하여 편집모드에 따른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낼 페이지들을 일정 크기로 리사이징하고, 현재 페이지에 대응된 리사이징 페이지(650)를 홈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전환모드에 따른 페이지들의 리사이징 시 현재 페이지에 대응된 리사이징 페이지(650)와 인접된 이전 및 다음 페이지들에 대응된 리사이징 페이지들(640, 660)의 일부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리사이징 페이지들(640, 650, 660)과 함께 홈스크린의 일영역(예컨대, 화면 하단)에 페이지 영역(6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영역(600)은 각 페이지들의 프리뷰를 보여주는 소정 개수의 썸네일들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페이지 영역(600)에 4개의 썸네일들이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지 영역(600)의 썸네일들은 상기 홈스크린에 나타난 페이지(예컨대, 참조번호 650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영역(600)의 최 좌측에 참조번호 650에 대응된 페이지의 썸네일이 위치하며, 상기 썸네일을 기준으로 참조번호 650에 대응된 다음 페이지의 썸네일들이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페이지 영역(6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환영역(130)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전환영역(130),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 및 페이지 영역(6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6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내에서 특정 컨텐츠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3 및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620)를 홈스크린 내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620)를 홈스크린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6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페이지 영역(600)의 썸네일을 다른 페이지에 대응되는 썸네일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페이지 영역(600)에 나타난 썸네일의 스크롤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예컨대, 플릭 인터랙션, 스윕 인터랙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페이지 영역(600)의 썸네일들을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스크롤 제어하고 그에 따라 변경되는 썸네일을 페이지 영역(600)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6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3 및 참조번호 6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페이지 영역(600)에 나타난 임의의 썸네일(673)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예컨대, 탭 인터랙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6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리사이징 페이지(650)가 상기 선택된 썸네일(673)에 대응하는 리사이징 페이지(670)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스크린의 현재 리사이징 페이지(650)가 페이지3이고 상기 선택된 썸네일(673)에 대응된 페이지가 페이지5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참조번호 6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리사이징 페이지(650)가 상기 페이지5에 대응하는 리사이징 페이지(670)로 전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 전환에 의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6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5 및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630)를 선택하여 지정한 후 페이지 영역(600)의 임의의 썸네일(675)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페이지 영역(600)에 나타난 썸네일들 중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4)에 대응된 썸네일(675)의 위치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630)를 이동한 후 드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페이지4에 대응하는 썸네일(675)의 위치로 상기 컨텐츠(630)를 이동한 후 상기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6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의 썸네일(675)에 대응된 페이지로 상기 컨텐츠(630)를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6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낸 페이지의 전환 없이 기존 페이지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존 페이지에서 상기 컨텐츠(630)가 사라진 상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607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630)를 선택하여 지정한 후 페이지 영역(600)의 임의의 썸네일(675)로 이동한 후 홀드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페이지 영역600)에 나타난 썸네일들 중 특정 페이지(예컨대, 페이지4)에 대응된 썸네일(675)의 위치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630)를 이동한 후 홀드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6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썸네일(675)에 대응된 페이지(예컨대, 페이지4)의 리사이징 페이지(660)를 홈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이 유지되고 있는 위치(예컨대, 상기 썸네일(675)의 오버랩된 위치)에 상기 컨텐츠(630)를 위치시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61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6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난 리사이징 페이지(660)의 임의의 위치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630)를 이동한 후 드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위치로 상기 컨텐츠(630)를 이동한 후 상기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6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630)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7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다수개의 컨텐츠들로 이루어진 특정 페이지에 의한 홈스크린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특정 페이지에 의한 홈스크린 운용 중에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7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 표시 중에 사용자가 홈스크린 상에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표시부(100)는 상기 인터랙션에 대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홈스크린 운용 중에 표시부(100)에서 전달된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입력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탭(tap) 입력, 드래그(drag) 입력, 드래그앤드롭(drag&drop) 입력, 스윕(sweep) 입력, 플릭(flick)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터랙션을 싱글터치 기반 또는 멀티터치 기반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인터랙션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지 또는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지 판단한다(7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해 정해진 룰에 따라 입력되는지를 분석하여 해당 인터랙션을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에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전환영역(130) 중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133)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경우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에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전환영역(130) 중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경우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에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입력된 인터랙션이 일정시간 유지(예컨대, 터치앤홀드 입력)될 시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해 정의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단하면(705단계의 NO)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7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특정 컨텐츠에 더블 탭과 같은 방식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하면,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그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단하면(705단계의 YES) 전환모드를 실행하고(709단계), 전환모드 실행에 따른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7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에 따라 앞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환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페이지들을 썸네일로 구성하여 홈스크린에 모두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135)에서 지시되는 해당 페이지로 전환하여 홈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 나타난 특정 페이지를 일정 크기로 리사이징하여 작게 나타내면서 홈스크린의 일영역(예컨대, 화면 하단)에 소정 개수의 페이지들(상기 특정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페이지를 기준으로 정렬됨)을 썸네일로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전환모드에 따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를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감지하면(713단계), 인터랙션 이동에 대응하는 해당 페이지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이동하여 배치할 수 있다(7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전환모드에 따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앞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를 임의의 페이지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페이지들이 썸네일로 나타난 홈스크린에서 사용자가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한 컨텐츠를 임의의 페이지로 이동하여 릴리즈할 시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된 해당 페이지에 상기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페이지들이 썸네일로 나타난 홈스크린에서 사용자가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한 컨텐츠를 임의의 페이지로 이동하여 홀드할 시 해당 페이지로의 화면 전환을 제어하고, 전환된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에 상기 컨텐츠를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페이지로 전환되어 나타난 홈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에 상기 컨텐츠를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이지 영역(600)을 통해 소정의 페이지들이 썸네일로 나타난 홈스크린에서 사용자가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한 컨텐츠를 임의의 페이지로 이동하여 릴리즈할 시 상기 인터랙션이 릴리즈된 해당 페이지에 상기 컨텐츠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이지 영역(600)을 통해 소정의 페이지들이 썸네일로 나타난 홈스크린에서 사용자가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한 컨텐츠를 임의의 페이지로 이동하여 홀드할 시 해당 페이지로의 화면 전환을 제어하고, 전환된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에 상기 컨텐츠를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 제어 후 요청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7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전환모드를 종료하거나, 특정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 내에서의 위치 이동, 특정 컨텐츠의 이름 변경, 특정 컨텐츠의 삭제 등과 같은 요청 동작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간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시부 200: 저장부
300: 제어부 130: 전환영역
133: 디바이스 인디케이터 영역
135: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
150: 컨텐츠 영역 600: 페이지 영역

Claims (17)

  1.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 운용 방법에 있어서,
    홈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 - 상기 홈스크린은 복수의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함 - 과,
    제1인터랙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상기 복수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과정과,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페이지 중 타겟(target)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thumbnail)로 이동 시키는 제2인터랙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로 이동한 후 릴리즈 하는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로 이동하여 소정 시간 유지한 후 릴리즈 하는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상에 릴리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상기 타겟 페이지 상에 릴리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의 수행 중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상에 소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상기 타겟 페이지와 관련된 타겟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타겟 페이지 상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릴리즈 하여, 상기 타겟 페이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페이지는 홈스크린보다 크기가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홈스크린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 상기 홈스크린은 복수의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함 -;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인터랙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상기 복수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을 표시하도록 하고,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페이지 중 타겟(target)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thumbnail)로 이동 시키는 제2인터랙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로 이동하여 배치하도록 하는 터치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로 이동한 후 릴리즈 하는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로 이동하여 소정 시간 유지한 후 릴리즈 하는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상에 릴리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상기 타겟 페이지 상에 릴리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의 수행 중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겟 페이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상에 소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상기 타겟 페이지와 관련된 타겟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타겟 페이지 상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릴리즈 하여, 상기 타겟 페이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페이지는 홈스크린보다 크기가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7.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 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페이지를 포함하는 홈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 운용 중 제1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인터랙션이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이면 전환모드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제2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제2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제1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인터랙션이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위한 상기 페이지 전환 인터랙션인지 또는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 운용 방법.


KR1020100092840A 2010-09-24 2010-09-24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176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840A KR101760693B1 (ko) 2010-09-24 2010-09-24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JP2013530091A JP6033226B2 (ja) 2010-09-24 2011-09-23 タッチデバイスでホームスクリーン編集方法及び装置
PCT/KR2011/007017 WO2012039587A1 (en) 2010-09-24 2011-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touch device
US13/241,807 US8938673B2 (en) 2010-09-24 2011-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touch device
EP20186895.7A EP3779652B1 (en) 2010-09-24 2011-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touch device
CN201180045781.0A CN103119541B (zh) 2010-09-24 2011-09-23 用于在触摸设备中编辑主屏幕的方法和装置
EP22189535.2A EP4109226A1 (en) 2010-09-24 2011-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touch device
EP11827015.6A EP2619643B1 (en) 2010-09-24 2011-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touch device
CN201610161524.8A CN105843492B (zh) 2010-09-24 2011-09-23 用于在触摸设备中编辑主屏幕的方法和装置
ES20186895T ES2926306T3 (es) 2010-09-24 2011-09-23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ditar la pantalla de inicio en un dispositivo táct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840A KR101760693B1 (ko) 2010-09-24 2010-09-24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357A KR20120031357A (ko) 2012-04-03
KR101760693B1 true KR101760693B1 (ko) 2017-08-04

Family

ID=4587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840A KR101760693B1 (ko) 2010-09-24 2010-09-24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8673B2 (ko)
EP (3) EP3779652B1 (ko)
JP (1) JP6033226B2 (ko)
KR (1) KR101760693B1 (ko)
CN (2) CN105843492B (ko)
ES (1) ES2926306T3 (ko)
WO (1) WO2012039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6959A1 (en) * 2009-12-30 2012-10-11 Cywee Group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nd motion sensor, and mobile device
KR101740436B1 (ko) * 2010-12-0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329604B (zh) 2010-12-14 2017-04-05 Lg电子株式会社 用于测量观测到达时间差otdoa的方法和装置
US9268481B2 (en) * 2011-08-29 2016-02-23 Kyocera Corporation User arrangement of objects on home screen of mobile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JP5792017B2 (ja) * 2011-09-28 2015-10-07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46482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2812784A4 (en) * 2012-02-07 2015-11-11 Blackberry Ltd METHODS AND DEVICES FOR MERGING CONTACT RECORDINGS
CN102681778A (zh) * 2012-04-25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桌面图标进行批量管理的方法及数字移动设备
AU2013202944B2 (en) *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102028724B1 (ko) * 2012-09-20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15452B1 (ko) * 2013-01-21 2013-10-14 (주)브라이니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182890B2 (en) * 2013-01-31 2015-11-10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01652B1 (ko) * 2013-03-04 2021-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88097B1 (ko) * 2013-03-04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18091B1 (ko) * 2013-03-06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57964B1 (ko) * 2013-03-08 2019-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745542S1 (en) * 2013-03-13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079816B1 (ko) * 2013-05-14 2020-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D732562S1 (en) * 2013-06-26 2015-06-2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786S1 (en) 2013-06-26 2016-05-3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913S1 (en) * 2013-08-16 2016-09-20 Yandex Europe Ag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n image search engine results page
CN110602807B (zh) * 2013-09-26 2022-09-20 弗思特费斯有限公司 控制通信终端主界面的方法、通信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752077S1 (en) * 2013-10-03 2016-03-22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605804B (zh) 2013-12-06 2018-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桌面对象进行排序的方法及系统
CN105874417A (zh) * 2013-12-27 2016-08-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跨界面数据转移方法和终端
CN103902186B (zh) * 2014-04-29 2017-02-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桌面应用中的文件夹分解方法
DE102014208502A1 (de) * 2014-05-07 2015-1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Wechseln zwischen Bildschirmansichten einer Anwenderschnittstelle
KR102276272B1 (ko) * 2014-05-21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867584B2 (en) 2014-06-27 2020-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and scalable touch user interface display
USD757015S1 (en) * 2014-07-01 2016-05-24 Google Inc. Electronic module
USD764457S1 (en) * 2014-07-01 2016-08-23 Google Inc. Portion of a handheld device
USD772863S1 (en) * 2014-07-01 2016-11-29 Google Inc. Portion of a handheld device
KR102418119B1 (ko) 2014-08-25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계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웨어러블 전자장치
KR102269598B1 (ko) * 2014-12-08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화면의 내용에 대응하여 객체를 배열하는 방법 및 장치
USD766952S1 (en) 2014-12-09 2016-09-20 Jpmorgan Chase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9388S1 (en) * 2014-12-09 2017-06-13 Jpmorgan Chase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6281S1 (en) * 2014-12-09 2017-05-09 Jpmorgan Chase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9954S1 (en) 2014-12-09 2017-06-20 Jpmorgan Chase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1633S1 (en) * 2015-04-22 2019-10-01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Headphone with surface treatment
KR102409202B1 (ko) * 2015-07-21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폴더 내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USD888733S1 (en) 2015-08-03 2020-06-30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8458S1 (en) 2015-08-03 2019-05-14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9027S1 (en) 2015-08-03 2019-05-21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3332S1 (en) * 2015-08-12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0289S1 (en) * 2015-08-12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521070B2 (en) * 2015-10-23 2019-12-31 Oath Inc. Method to automatically update a homescreen
USD816103S1 (en) * 2016-01-22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20154B2 (en) 2016-06-13 2020-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based home screen customization
CN106293483B (zh) * 2016-09-29 2019-10-08 福州新锐同创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显示屏板书区域调度显示方法
JP6702900B2 (ja) * 2017-01-31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3938B2 (ja) * 2017-01-3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7001614A1 (de) * 2017-02-18 2018-08-23 Man Truck & Bus Ag Bediensystem, Verfahren zum Bedienen eines Bediensystems und ein Fahrzeug mit einem Bediensystem
US11409428B2 (en) * 2017-02-23 2022-08-09 Sap Se Drag and drop minimization system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US11048374B2 (en) * 2018-03-08 2021-06-29 Ebay Inc. Online pluggable 3D platform for 3D representations of items
WO2020067585A1 (ko) * 2018-09-27 2020-04-0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대화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D923041S1 (en) * 2018-12-12 2021-06-22 Pearson Education,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1634199S (ko) * 2018-12-17 2019-06-17
US20200249823A1 (en) * 2019-01-31 2020-08-0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of reordering apps on a user interface
KR102276048B1 (ko) * 2019-05-13 2021-07-12 네이버 주식회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231899A (zh) * 2019-05-29 2019-09-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515507B (zh) * 2019-08-16 2021-03-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标显示方法及终端
CN110928614B (zh) * 2019-10-11 2021-06-2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455085B2 (en) * 2020-03-10 2022-09-2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KR102323440B1 (ko) * 2020-12-01 2021-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4089884A (zh) * 2021-09-24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桌面编辑方法和电子设备
EP4273678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US20230367440A1 (en) 2022-05-10 2023-11-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26B1 (ko) * 2007-04-11 2009-01-23 스프레드텔레콤(주) 맞춤형 대기화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575B1 (en) * 2000-09-21 2004-08-24 Handsp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ddressing elements
JP2007079858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文書編集方法及び装置
US7844918B1 (en) * 2005-12-22 2010-1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Desktop thumbnails with page controllers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10503342B2 (en) * 2006-08-04 2019-12-10 Apple Inc. User interface spaces
JP4775332B2 (ja) * 2007-06-14 2011-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選択装置および画像選択方法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KR100861656B1 (ko) 2007-10-30 2008-10-0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설정 시간에 따라 대기화면에 설정된 모바일 위젯을표시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CN101349961B (zh) * 2008-08-11 2010-07-2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自动切换便携式终端显示模式的方法及装置
KR101549553B1 (ko) * 2008-10-20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US8453057B2 (en) * 2008-12-22 2013-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KR101332643B1 (ko) * 2009-02-17 2013-1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브라우징 이력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1667101A (zh) * 2009-09-30 2010-03-10 深圳市凯立德计算机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及其界面的显示方法
CN101778166B (zh) * 2010-01-06 2014-12-3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多个窗口切换的方法、系统和移动终端
US8881060B2 (en) *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26B1 (ko) * 2007-04-11 2009-01-23 스프레드텔레콤(주) 맞춤형 대기화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19541A (zh) 2013-05-22
CN105843492B (zh) 2020-01-14
EP2619643B1 (en) 2020-07-22
US20120079432A1 (en) 2012-03-29
EP3779652B1 (en) 2022-08-10
CN103119541B (zh) 2016-04-13
WO2012039587A1 (en) 2012-03-29
CN105843492A (zh) 2016-08-10
JP2013544385A (ja) 2013-12-12
EP2619643A1 (en) 2013-07-31
KR20120031357A (ko) 2012-04-03
EP3779652A1 (en) 2021-02-17
ES2926306T3 (es) 2022-10-25
US8938673B2 (en) 2015-01-20
JP6033226B2 (ja) 2016-11-30
EP2619643A4 (en) 2017-03-29
EP4109226A1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693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AU2016225811B2 (en) Navigating among content items in a browser using an array mode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JP5982369B2 (ja) タッチ感応式デバイスにおけるフォルダー運用方法および装置
KR102006470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8334264B (zh) 在便携式终端中用于提供多点触摸交互的方法和设备
AU2012231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tems on clipboard of portable terminal
KR101722616B1 (ko)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11804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087997A1 (en) List scrolling method and device adapted to the same
KR10191174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