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141B1 -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141B1
KR101855141B1 KR1020120012852A KR20120012852A KR101855141B1 KR 101855141 B1 KR101855141 B1 KR 101855141B1 KR 1020120012852 A KR1020120012852 A KR 1020120012852A KR 20120012852 A KR20120012852 A KR 20120012852A KR 101855141 B1 KR101855141 B1 KR 10185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
sensor
sensing signal
user device
op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508A (ko
Inventor
이경은
전용준
김민철
홍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141B1/ko
Priority to US13/760,506 priority patent/US9436478B2/en
Priority to PCT/KR2013/001009 priority patent/WO2013119064A1/en
Priority to EP13154573.3A priority patent/EP2627061B1/en
Publication of KR2013009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센서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옵션에 대한 설정을 실시간 변경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센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옵션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모드의 상기 옵션을 상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PTION IN A USER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의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등의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옵션(예컨대, 볼륨, 디스플레이 밝기, 네트워크, 언어 포맷 등)의 설정 값들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볼륨 제어를 위해 할당된 물리적인 단축 버튼과 같이 특정 물리적인 키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옵션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로 진입하여 해당 옵션을 검색한 후 그의 설정 값을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중에 하드웨어로 독립적인 버튼이 없는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 등과 같은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멈추고 홈스크린 등의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희망하는 디스플레이 밝기로 설정 값을 변경한 후 다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예컨대, Wi-Fi, 3G) 옵션 설정 변경의 경우, 인디케이터 메뉴를 통해 네트워크 옵션으로 진입하여 해당 네트워크의 온/오프(On/Off) 설정을 변경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검색된 Wi-Fi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 중에 특정 옵션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용 중인 모두를 종료하거나, 멀티태스킹으로 전환한 후 옵션 설정을 위한 여러 뎁스(depth)의 메뉴 진입하여 옵션 설정을 변경한 후 다시 이전 운용 중인 모드를 재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버튼을 제공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다양한 옵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잠시 멈추고 해당 옵션의 설정 메뉴로 진입하여 변경한 후 다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재생해야 한다.
또한, 전자책 뷰어나 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이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보다 밝기에 민감한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단말의 설정이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변경된 옵션 설정 값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체 옵션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의 밝기를 조절하면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한 밝기 값으로 적용이 된다. 즉, 화면 전체에 대한 밝기 조절만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 별로 독자적인 밝기 조절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옵션을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직관적이고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옵션 설정을 변경하고, 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 전용 설정 값으로 저장하여 어플리케이션별 옵션 설정 값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사용자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중단할 필요 없이 센서모듈 기반으로 다양한 옵션들의 설정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옵션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센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옵션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모드의 상기 옵션을 상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 모드별 적어도 하나의 옵션 및 상기 각 모드별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대한 옵션 설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모드에서 옵션 설정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팝업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각 모드별로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대한 옵션 설정 값을 관리하며,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감지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특정 모드의 상기 옵션에 대해 상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으로 운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의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적어도 하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 및 설정 값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의도되는 옵션 설정 값의 변경이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옵션 설장 값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 뷰어를 실행할 때 상기 전자책 뷰어에 의한 실행화면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약간 어둡게 하여 사용자 눈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 값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멈추지 않고 쉽게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업무적인 이메일을 읽을 때와 지인들의 이메일을 읽을 때의 언어의 폰트(예컨대, 컬러, 크기, 글자체 등)를 다르게 변경하여 서로 다른 느낌으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옵션 설정 값에 의한 불필요한 리소스(resource)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운용 중에 디스플레이 밝기를 어둡게 설정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Wi-Fi)를 오프(off) 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중단 없이 빠르고 간단하게 변경하여, 소모전류나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모듈을 이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옵션 설정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여러 센서들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별로 옵션 설정 값을 관리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저장된 옵션 설정 값을 우선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다르게 설정된 옵션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운용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별 최적화된 옵션 설정 값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옵션들에 대한 설정을 어플리케이션별로 간단하고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옵션에 대한 쉬운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옵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옵션 설정을 보다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option)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의 특정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설정 대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옵션은 디스플레이 밝기, 볼륨, 네트워크, 언어 포맷(예컨대, 컬러, 언어, 글자체, 크기 등), 알림 모드(예컨대, 소리, 진동, 무음 등), 알람 등과 같이 설정 값을 가감하거나 기능의 온/오프(On/Off)의 토글이 가능한 모든 설정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각 어플리케이션들마다 독립적으로 옵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되는 옵션 설정 값을 그 대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어플리케이션들마다 옵션에 대한 전용 설정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그의 옵션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옵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 실행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중단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기 옵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옵션 설정 기능을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여러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옵션 설정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옵션 설정 값을 관리하여, 각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때 각 어플리케이션들마다 이전에 설정된 옵션 설정 값을 기반으로 각각 실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디스플레이 밝기 등과 같은 옵션의 설정을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표시부(100), 센서모듈(200), 저장부(300), 그리고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하드 키(Hard key) 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화 등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홈스크린(home screen), 메뉴스크린(menu screen), 발신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채팅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옵션 설정 인터랙션에 따라 옵션의 설정 값을 가이드 하는 팝업 윈도우(pop-up window)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00)의 화면 구성 및 그의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touch)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는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모듈(200)은 다양한 센서들(예컨대, 센서1(210), 센서2(2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모듈(200)을 항상 동작시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센서모듈(200)을 항상 동작시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의 소모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의되는 사용자 설정, 본 발명의 옵션 설정 변경 기능,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센서모듈(200)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모듈(200)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센서1(210)(예컨대, 조도 센서), 센서2(230)(예컨대, 자이로 센서)를 조합하여 운용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즉, 이하의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2개의 센서들을 이용한 옵션 설정 방법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 또는 3개 이상의 센서들의 조합에 의하여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세서 상기 센서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위한 조작 방식 또는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옵션별로 구동할 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200)을 이용한 옵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저장부(30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진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300)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외장 하드디스크,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상기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센서모듈(200)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위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300)는 매핑테이블(310)과 설정정보(330)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핑테이블(310)은 어플리케이션별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위한 센서모듈(200), 그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옵션 및 상기 옵션 설정을 위한 상기 센서모듈(200)의 운용 방식 등에 대한 정보들이 매핑된 테이블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201029081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설정을 지원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옵션 설정 지원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어플리케이션별 옵션 설정 지원을 위한 센서 구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랙션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센서1(210)과 센서2(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밝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센서1(210)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예: 제1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을 위한 이벤트를 실행 즉, 옵션 설정 모드를 진입하고, 센서2(230)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예: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센서1(210)과 센서2(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밝기 및 Wi-Fi 온/오프 토글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진 어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의 경우 센서1(210)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1 인터랙션(예: 제1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을 위한 이벤트를 실행 즉, 옵션 설정 보드를 진입하고, 센서2(230)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2 인터랙션(예: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어플리케이션에서 Wi-Fi 온/오프 토글 옵션의 경우 센서1(210)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3 인터랙션(예: 제3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을 위한 이벤트를 실행하고, 센서2(230) 기반으로 입력되는 제4 인터랙션(예: 제4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변경을 위한 상기 제2 인터랙션(예: 제2 감지신호)과 상기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변경을 위한 상기 제4 인터랙션(예: 제4 감지신호)은 동일한 인터랙션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하나의 센서(예컨대, 센서1(2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밝기 및 Wi-Fi 온/오프 토글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진 어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의 경우 센서1(210)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예: 제1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을 위한 이벤트 실행 및 옵션 설정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어플리케이션에서 Wi-Fi 온/오프 토글 옵션의 경우 센서1(210) 기반으로 입력되는 다른 인터랙션에 따라 옵션 설정을 위한 이벤트 실행 및 옵션 설정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적어도 하나의 옵션이 매핑될 수 있으며, 매핑된 옵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옵션 설정 값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옵션 설정을 위해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따라 그를 운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입력 방식이 매핑될 수 있다. 이러한 매핑테이블은 사용자 디바이스 제조 시 제공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 또는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정보(33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 어플리케이션별 옵션 설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옵션 설정 완료 시 안내 팝업 윈도우의 출력 여부에 대한 정보,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설정 값, 사용자 디바이스 전체에 설정된 각 옵션 설정 값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센서모듈(200)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별 옵션 설정에 따른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센서모듈(200)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특정 옵션 설정을 위한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옵션 설정 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듈(200)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특정 옵션에 대한 설정 값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옵션 설정 모드 진입 시 상기 특정 옵션에 대한 설정 방법 및 변경되는 설정 값의 정도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팝업 윈도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설정 값을 상기 가이드 팝업 윈도우를 통해 실시간 제공하며, 그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설정 값을 실시간 반영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특정 모드 운용 중 상기 센서모듈(200)을 통해 인터랙션(예: 감지신호)을 검출할 시, 상기 인터랙션(예: 감지신호)이 발생한 센서모듈(200)의 종류, 상기 센서모듈(200)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랙션(예: 감지신호)의 종류, 상기 특정 모드에서 센서모듈(200) 및 인터랙션(예: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옵션의 종류 등을 식별하고, 식별된 결과에 따라 옵션 설정 값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휴대용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센서1(210) 및 센서2(230)와 같이 2개의 센서모듈(200)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 2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실행에 따라 그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센서1(210)로부터 제1 검출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2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조도 센서를 특정 물체(예컨대, 손가락 등)로 가릴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도 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예컨대,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예컨대, 제1 검출값)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센서들의 조합에 의한 옵션 설정 기능 운용 시 상기 센서1(210)에 의한 감지신호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초기 한번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옵션 설정 기능 운용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조도 센서의 가림 동작을 유지하거나 또는 최초 한번만 조도 센서를 가린 후 그 동작을 바로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운용 방식이 전자에 해당하는 경우 전자와 같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유효한 입력으로 간주하고, 후자와 같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입력으로 간주하여 그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운용 방식이 후자에 해당하는 경우 전자와 같이 이루어진 경우 유효하지 않은 입력으로 간주하고, 후자와 같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유효한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1(210)로부터 제1 검출값이 입력될 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을 위한 설정 모드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203단계).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제1 검출값이 입력될 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센서모듈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검출값이 확인된 센서모듈 중 옵션 설정 시작을 위한 검출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제1 검출값이 옵션 설정 시작을 위한 검출값에 해당하는 경우 그에 매핑된 옵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현재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앞서 <표 1>의 예시와 같은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검출값이 센서1(210)에 의한 검출값에 해당하는지 판별하고, 센서1(210)에 의한 검출값에 해당하는 경우 옵션 설정 시작으로 간주하고,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옵션이 디스플레이 밝기에 해당함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설정 모드 진입에 따라 옵션 설정을 가이드 하는 팝업 윈도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2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상기 제1 검출값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유효한 검출값인 것으로 판단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옵션 설정을 가이드 하는 팝업 윈도우를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옵션이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과 관련된 팝업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옵션이 볼륨 옵션인 경우 볼륨 설정과 관련된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옵션이 네트워크 옵션인 경우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팝업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팝업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센서2(230)로부터 제2 검출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207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팝업 윈도우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좌 또는 우(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면(예컨대, 팝업 윈도우가 표시된 화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기준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면,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예컨대, 제2 검출값)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제1 검출값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한 제2 검출값이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도 센서를 가리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검출값은 앞서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움직임(즉, 자세 변화)에 대응하게 지속적인 값이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제2 검출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고 그에 따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209단계). 예를 들어, 상기 옵션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세 변화에 따라 밝기를 점차적으로 밝게 하여 나타내거나, 밝기를 점차적으로 어둡게 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옵션이 볼륨 옵션이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세 변화에 따라 볼륨을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출력하거나, 볼륨을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와 같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에 따른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중에 상기 설정에 대한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21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앞서와 같은 동작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될 시 상기 제2 검출값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움직여 원하는 디스플레이 밝기로 변경된 경우, 상기 센서1(210) 및 상기 센서2(220)에 의한 입력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앞서와 같이 조도 센서의 가림 동작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에 의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여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도 센서의 가림 동작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옵션 설정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 감지 동작이 중단될 수 있으며, 상기 조도 센서 기반의 제1검출값이 해제되기 직전에 설정된 옵션 값이 유지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설정에 대한 해제를 감지할 시 옵션 설정 해제 직전에 설정(변경되어 유지)되는 옵션 값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및 저장할 수 있다(215단계). 즉, 제어부(4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에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적용하고 그의 옵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옵션 값으로 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옵션 설정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215단계). 여기서, 상기 변경되어 저장되는 옵션은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옵션 변경에 해당하며,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정된 기본 옵션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옵션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이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정된 기본 밝기 값이 "5"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밝기 옵션 변경에 따라 설정되는 밝기 값이 "7"로 변경되는 경우를 가정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밝기는 "7"로 변경되어 설정되는 반면, 상기 기본 밝기 값 "5"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밝기 값 "7"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시 디스플레이 밝기 값을 기본 밝기 값이 "5"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할 시(301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옵션 및 그의 설정 값을 검색하고(303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옵션 설정 값이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305단계). 즉, 제어부(4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될 시 실행 요청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앞서 <표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된 옵션 및 상기 옵션의 설정 값이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옵션 및 상기 옵션의 설정 값이 존재할 시(305단계의 YES),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옵션 및 상기 옵션의 설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307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옵션에 대한 설정 값만을 적용하고, 나머지 다른 옵션에 대해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본 옵션 설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에 대한 설정 값만이 설정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 설정 값만을 다르게 적용하고, 나머지 다른 옵션(예컨대, 볼륨, 디스플레이 크기, 가로/세로 모드, 언어 등)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본 옵션 설정 값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대해 설정된 옵션 및 상기 옵션의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시(305단계의 NO),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기본 옵션 설정 값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309단계).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311단계). 특히, 제어부(400)는 상기 307단계 또는 상기 309단계에서 적용된 옵션 설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모드를 실행하고 그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4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운용 중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센서모듈(200) 기반의 제1 인터랙션(예: 제1 감지신호) 입력을 검출할 시(403단계) 옵션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405단계). 상기 제1 인터랙션(예: 제1 감지신호)은 사용자의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인터랙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인터랙션 입력은 사용자가 조도 센서를 특정 물체(예컨대, 손가락 등)로 가리는 행위의 입력일 수 있으며, 그러면 조도 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예컨대,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제1 검출값)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제1 검출값이 입력될 시 상기 제1 인터랙션이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인지하고, 운용 중인 상기 특정 모드의 옵션 설정을 위한 설정 모드 진입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옵션 설정 모드 진입 시 상기 특정 모드에 매핑된 옵션을 확인하고(407단계), 매핑된 옵션의 옵션 설정을 가이드 하는 팝업 윈도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4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상기 매핑된 옵션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인 것으로 확인할 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방법을 가이드 하는 팝업 윈도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팝업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센서모듈(200) 기반의 제2 인터랙션(예: 제2 감지신호) 입력을 검출할 시(411단계) 상기 제2 인터랙션(예: 제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옵션 설정을 변경하고 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413단계). 상기 제2 인터랙션(예: 제2 감지신호)은 사용자가 상기 팝업 윈도우를 참조하여 상기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랙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인터랙션 입력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좌/우, 상/하, 전/후 등과 같이 움직이는 행위의 입력일 수 있으며, 그러면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예컨대, 자세 변화, 중력 변화, 가속도 변화 등)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제2 검출값)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제2 검출값이 입력될 시 상기 제2 인터랙션이 옵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 검출값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상태를 함께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옵션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인 경우 상기 제2 검출값에 따라 밝기를 순차적으로 밝게(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기반으로 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울일 시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밝기를 순차적으로 밝게 표시) 표시되도록 나타내거나, 밝기를 순차적으로 어둡게(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중심축을 기반으로 좌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울일 시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밝기를 순차적으로 어둡게 표시) 표시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옵션이 볼륨 옵션인 경우 상기 제2 검출값에 따라 볼륨을 순차적으로 증가(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중심축을 기반으로 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울일 시 그에 따라 볼륨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음향을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감소(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중심축을 기반으로 좌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울일 시 그에 따라 볼륨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제2 인터랙션 입력에 따른 옵션 설정 변경 및 그의 출력을 처리하는 중에 센서모듈(200) 기반의 제3 인터랙션 입력을 검출할 시(415단계) 상기 제3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에 대한 설정 값 적용 및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417단계). 상기 제3 인터랙션은 상기 제2 인터랙션 기반으로 진행하던 옵션 설정 동작 종료를 위한 인터랙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인터랙션 입력은 사용자가 조도 센서를 가린 물체를 떼어내는 행위(예컨대, 조도 센서에 접촉된 손가락을 떼어내는 행위)의 입력일 수 있으며, 그러면 조도 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예컨대,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제3 검출값)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제3 검출값이 입력될 시 상기 제3 인터랙션이 옵션 설정 동작 종료 즉, 상기 옵션 설정 모드 종료를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 인터랙션에 따라 최종 변경된 옵션 설정 값을 상기 특정 모드에 적용 및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용 및 저장되는 옵션 설정 값은 상기 제3 인터랙션에 따라 최종 변경된 옵션 설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특정 모드에 대해 상기에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적용하고 그의 옵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특정 모드에 대한 옵션 설정 값 변경 후 그의 저장이 완료될 시 상기 옵션 설정 모드를 해제하고(419단계), 상기 옵션 설정 모드 진입 이전의 동작 상태로 복귀 제어할 수 있다(421단계). 이때, 제어부(400)는 옵션 설정 모드 해제 시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옵션 설정 모드 진입 이전의 동작 상태로 복귀 시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변경 설정된 옵션 설장 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모드의 복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변경 설정된 옵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밝기를 변경하여 제공하거나, 볼륨 출력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특히, 상기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특정 모드(예컨대, 홈스크린이 나타나는 대기모드)에서 조도 센서(210) 및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모드의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을 조절하는 동작을 예시로 설명한다.
상기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모드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501>과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을 위하여,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도 센서(210)를 가리는 것에 의해 옵션 활성화를 위한 제1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조도 센서(210)를 가릴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부(400)는 상기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상기 조도 센서(210) 기반의 제1 인터랙션 입력을 검출할 시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옵션에 대한 설정을 가이드 하는 팝업 윈도우(510)를 상기 실행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인터랙션에 따라 활성화하는 옵션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방법을 가이드 하는 상기 팝업 윈도우(51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5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조도 센서(210) 기반의 제1 인터랙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팝업 윈도우(510)가 나타날 시,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인터랙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옵션 설정 즉,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사용자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기반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세정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도 센서(210) 기반의 제1 인터랙션이 유지되고 상기 팝업 윈도우(510)가 출력된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 기반의 제2 인터랙션 입력을 검출할 시, 상기 제2 인터랙션 입력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밝기 값으로 디스플레이 밝기를 변경하고 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기반으로 우 방향(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기준의 우 방향)으로 기울일 시 디스플레이 밝기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 정도에 따라 변경하여 어둡게(변화되기 전의 밝기 값을 기준으로 설정 값이 감소되는 경우에 해당)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팝업 윈도우(510) 내에서 가이드 정보(예컨대, 밝기 조절 프로그래스바 등)를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밝기 값에 따라 변경(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바라보는 시점에서 좌 방향으로 프로그래스바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기반으로 좌 방향(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기준의 좌 방향)으로 기울일 시 디스플레이 밝기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 정도에 따라 변경하여 밝게(변화되기 전의 밝기 값을 기준으로 설정 값이 증가되는 경우에 해당)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팝업 윈도우(510) 내에서 가이드 정보(예컨대, 밝기 조절 프로그래스바 등)를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밝기 값에 따라 변경(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바라보는 시점에서 우 방향으로 프로그래스바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밝기의 변화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인터랙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되면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점차적으로 증가할 시 그에 대응하게 디스플레이 발기 값이 점차적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며, 아울러 팝업 윈도우(510)의 가이드 정보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507>과 같은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밝기 값을 희망하는 값으로 변경할 시 참조번호 <5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도 센서(210) 상에 입력된 제1 인터랙션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조도 센서(210)를 가리던 엄지손가락을 떼어내는 행위에 의해 상기 제1 인터랙션의 해제에 대응하는 제3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와 같이 제2 인터랙션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밝기 변경 및 그의 출력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조도 센서(210) 기반의 제3 인터랙션 입력을 검출할 시 상기 참조번호 <5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윈도우(510)를 실행화면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참조번호 <5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값을 최종 반영할 것인지 확인하는 팝업 윈도우(530)를 상기 실행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팝업 윈도우(530)는 사용자 확인을 입력받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옵션 설정 변경을 확인받기 위한 상기 팝업 윈도우(530) 출력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팝업 윈도우(530)를 통한 사용자의 최종 확인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팝업 윈도우(530)가 생략되는 자동 방식으로 운용되는 경우, 상기 참조번호 <509>에서와 같이 상기 제3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시점의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값을 상기 특정 모드에 대한 디스플레이 밝기로 적용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팝업 윈도우(530)가 제공되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참조번호 <5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윈도우(530)의 표시를 제거하고, 변경된 디스플레이 밝기로 상기 특정 모드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8에서는 하나의 특정 모드에 대해 복수의 옵션들(예컨대, 디스플레이 밝기, 볼륨, 언어, 네트워크 등)이 설정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옵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옵션들을 조절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앞서 <표 1>을 참조한 매핑테이블에서 사진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디스플레이 밝기 옵션과 Wi-Fi 온/오프 토글 옵션과 같이 2개 이상의 옵션들이 매핑되고,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각각의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모드를 실행하고 그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6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운용 중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센서모듈(200) 기반의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60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특정 모드에 대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변경을 위한 인터랙션을 센서모듈(20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은 사용자의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한 인터랙션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특정 모드에 설정된 복수의 옵션들 각각에 대한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위해 각 옵션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를 가리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터랙션에 의해 제1 옵션을 활성화하거나, 조도 센서 가림 및 해제를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예컨대, 조도 센서를 손가락으로 가린 후 떼어내는 행위를 3회 반복 등)하는 인터랙션에 의해 제2 옵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인터랙션에 대한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605단계).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모드에 대해 2개의 옵션들(일예로, 디스플레이 밝기, 네트워크)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인터랙션의 타입을 판별하여 제1 옵션을 위한 인터랙션인지 제2 옵션을 위한 인터랙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이 제1 옵션을 위해 매핑된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단할 시, 상기 제1 옵션에 대한 설정 변경으로 결정하고(607단계), 상기 제1 옵션 설정을 위한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609단계).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옵션 설정을 위한 옵션 설정 모드 진입 시 상기 제1 옵션의 설정 변경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팝업 윈도우를 출력할 수 있다(611단계).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61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제1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면서 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옵션의 설정이 완료될 시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6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옵션 설정 완료 시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이 설정된 경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을 최종 반영할 것인지 확인하는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를 상기 실행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는 사용자 확인을 입력받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옵션 설정 변경을 확인받기 위한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 시 상기 가이드 팝업 윈도우의 표시는 생략하고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로 대체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앞서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제1 옵션에 대한 설정 변경이 완료될 시 이전 실행화면으로의 복귀를 제어할 수 있다(6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옵션에 대한 설정 완료 인터랙션을 감지하거나, 또는 앞서와 같이 상기 팝업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의 최종 확인이 있을 시 상기 옵션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601단계에서와 같은 상기 특정 모드의 실행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이전 실행화면으로 복귀 시 상기 제1 옵션에 대해 변경된 설정 값을 반영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이 제2 옵션을 위해 매핑된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단할 시, 상기 제2 옵션에 대한 설정 변경으로 결정하고(619단계), 상기 제2 옵션에 대한 현재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62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모드 운용 중에 네트워크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예컨대, Wi-Fi 서비스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고자 상기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현재 설정된 네트워크 옵션의 설정 값이 온(On) 상태인지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언어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예컨대, 영어에서 한글 또는 한글에서 영어 등)하고자 상기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현재 설정된 언어 옵션의 설정 값이 한글인지 또는 영어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알림 모드 옵션에 대한 설정을 변경(예컨대, 소리 모드에서 무음 모드 또는 무음 모드에서 소리 모드 등)하고자 상기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현재 설정된 매너 모드 옵션의 설정 값이 소리 모드인지 또는 무음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제2 옵션에 대해 확인된 현재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제2 옵션의 현재 설정을 토글할 수 있다(62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네트워크가 온 상태일 시 턴-오프 제어하고, 네트워크가 오프 상태일 시 턴-온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토글이 완료될 시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6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옵션 변경 완료 시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이 설정된 경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을 안내(예컨대, Wi-Fi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턴-온 또는 턴-오프 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팝업 윈도우를 상기 실행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는 사용자의 변경된 제2 옵션에 대한 직관적인 확인을 위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용자의 옵션 설정 변경을 알림하기 위한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앞서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제2 옵션에 대한 설정 변경이 완료될 시 이전 실행화면으로의 복귀를 제어할 수 있다(6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상기 제2 옵션에 대한 설정 완료 인터랙션을 감지하거나, 또는 앞서와 같이 상기 팝업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의 최종 확인이 있을 시 상기 옵션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601단계에서와 같은 상기 특정 모드의 실행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안내 팝업 윈도우 출력 방식에서 일정 시간 경과 시 상기 제2 옵션의 설정 변경됨을 안내하는 상기 팝업 윈도우를 자동 제거하고 상기 실행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상기 제2 옵션이 상기 제1 옵션과 같은 방식으로 그 설정이 변경되는 옵션인 경우 상기 609단계 내지 상기 615단계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상기 제2 옵션에 대한 설정 변경 과정을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옵션 설정 변경을 위한 지원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부 200: 센서모듈
210: 센서1, 조도센서 230: 센서2
300: 저장부 310: 매핑테이블
330: 설정정보 400: 제어부
510: 가이드 팝업 윈도우 530: 안내 팝업 윈도우

Claims (15)

  1.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센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옵션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모드의 상기 옵션을 상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모드에 복수의 옵션들을 매핑하고, 각 옵션별 옵션 설정 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센서 기반으로 제1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 모드를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 설정 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듈의 제2 센서 기반으로 제2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센서모듈의 특정 센서 기반으로 제1 감지신호 또는 제2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신호 검출 시 상기 제1 감지신호에 따라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제2 감지신호 검출 시 상기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센서 기반으로 제1 감지신호 또는 제3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신호 검출 시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값 변경으로 결정하고, 제2 센서 기반의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며,
    상기 제3 감지신호 검출 시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값 변경으로 결정하고, 제2 센서 기반의 제4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옵션 설정 모드 진입 시 가이드 팝업 윈도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센서 기반의 상기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옵션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정도를 상기 가이드 팝업 윈도우를 통해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과정은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된 센서모듈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모듈에 의한 상기 감지신호가 옵션 설정을 위한 감지신호인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신호가 옵션 설정을 위한 감지신호인 경우, 상기 특정 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듈 및 상기 감지신호에 매핑된 옵션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모드의 옵션 설정 값은 상기 특정 모드에서만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옵션 설정 값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 설정 값이 존재할 시 상기 옵션 설정 값을 기반으로 옵션이 설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시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본 옵션 설정 값을 기반으로 옵션이 설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감지신호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옵션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옵션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변경 방법.
  12.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 모드별 적어도 하나의 옵션 및 상기 각 모드별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대한 옵션 설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모드에서 옵션 설정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팝업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각 모드별로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대한 옵션 설정 값을 관리하며, 특정 모드 운용 중에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감지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특정 모드의 상기 옵션에 대해 상기 변경된 옵션 설정 값으로 운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센서 기반으로 제1 감지신호를 검출할 시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옵션 설정 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듈의 제2 센서 기반으로 제2 감지신호를 검출할 시 상기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특정 센서 기반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감지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감지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1 옵션 또는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센서 기반으로 제1 감지신호를 검출할 시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듈의 제2 센서 기반의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센서 기반으로 제3 감지신호를 검출할 시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모드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모드에서 상기 센서모듈의 제2 센서 기반의 제4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옵션의 옵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KR1020120012852A 2012-02-08 2012-02-08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855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852A KR101855141B1 (ko) 2012-02-08 2012-02-08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US13/760,506 US9436478B2 (en) 2012-02-08 2013-02-06 Method for setting a value of options of operational environment in a user device and user device adapted thereto
PCT/KR2013/001009 WO2013119064A1 (en) 2012-02-08 2013-02-07 Method for setting options and user device adapted thereto
EP13154573.3A EP2627061B1 (en) 2012-02-08 2013-02-08 Method for setting options and user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852A KR101855141B1 (ko) 2012-02-08 2012-02-08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508A KR20130091508A (ko) 2013-08-19
KR101855141B1 true KR101855141B1 (ko) 2018-05-09

Family

ID=4774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852A KR101855141B1 (ko) 2012-02-08 2012-02-08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6478B2 (ko)
EP (1) EP2627061B1 (ko)
KR (1) KR101855141B1 (ko)
WO (1) WO2013119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3831B2 (en) 2010-04-07 2017-11-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052926B2 (en) 2010-04-07 2015-06-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8996767B2 (en) * 2012-05-02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control based on surface material detection
KR101634052B1 (ko) * 2012-06-24 2016-06-27 프라우드라이언 아이티 모바일 디바이스 동작 모드 변경
US9477404B2 (en) 2013-03-15 2016-10-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GB2518128B (en) * 2013-06-20 2021-02-10 Nokia Technologies Oy Charging rechargeable apparatus
EP2818985B1 (en) * 2013-06-28 2021-05-12 Nokia Technologies Oy A hovering input field
WO2016082200A1 (zh) * 2014-11-28 2016-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置参数的调整方法和装置
WO2016175854A1 (en) * 2015-04-30 2016-11-03 Advanced Bionics Ag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using sound processing program templates
CN105892788A (zh) * 2015-11-06 2016-08-24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EP4080348A4 (en) * 2019-12-19 2023-09-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8058A (en) * 1997-07-18 1999-09-28 Micron Electronics, Inc. User-selectable power management interface with application threshold warnings
US7928955B1 (en) * 2000-03-13 2011-04-19 Intel Corporation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for displays
US20070078552A1 (en) * 2006-01-13 2007-04-05 Outland Research, Llc Gaze-based power conservation for portable media players
TWI271692B (en) * 2003-07-26 2007-01-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level of display
JP2006129262A (ja) * 2004-10-29 2006-05-18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同機器の消費電力制御方法
US7315989B2 (en) * 2004-12-07 2008-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a statistical analysis screensaver
WO2008023667A1 (fr) * 2006-08-25 2008-02-28 Kyocera Corporation Appareil électronique portable et procédé de commande d'appareil électronique portable
US8001400B2 (en) * 2006-12-01 2011-08-16 Apple Inc.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functional preservation in a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US8063872B2 (en) * 2007-01-07 2011-11-22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uto-dim timers
CN101312034B (zh) * 2007-05-25 2011-09-28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动态调整屏幕亮度的方法
US8423076B2 (en)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CN101547251A (zh) 2008-03-27 2009-09-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和改变电子设备的系统设置的方法
KR101507708B1 (ko) 2008-11-04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00153313A1 (en) 2008-12-15 2010-06-17 Symbol Technologies, Inc. Interface adaptation system
KR20100111351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10025462A (ko) 2009-09-04 201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근접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10084653A (ko) 2010-01-18 201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JP2011191347A (ja) * 2010-03-12 2011-09-2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視聴装置
EP2392995A1 (en) 2010-06-04 2011-12-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10316888A1 (en) * 2010-06-28 2011-12-29 Invensense,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US20120050152A1 (en) * 2010-08-30 2012-03-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daptiv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a display
US9069550B2 (en) * 2010-11-29 2015-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inactivity timeout settings on a display device
US20120280900A1 (en) * 2011-05-06 2012-11-08 Nokia Corporation Gesture recognition using plural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7061B1 (en) 2019-09-18
EP2627061A3 (en) 2014-06-11
US9436478B2 (en) 2016-09-06
EP2627061A2 (en) 2013-08-14
KR20130091508A (ko) 2013-08-19
US20130205131A1 (en) 2013-08-08
WO2013119064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141B1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809693B2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226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nd mobile terminal
JP6301530B2 (ja)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EP346064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US201703002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launching a function of an applica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3279786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US20190073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JP6293909B2 (ja) バックライト輝度制御方法及び装置
KR201601434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23388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5001709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12027458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1015904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1066678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10219788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67452A (ko)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시스템
US120454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zes of split-screen windows
KR102158293B1 (ko) 이미지 촬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559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