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139B1 -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139B1
KR102327139B1 KR1020150088536A KR20150088536A KR102327139B1 KR 102327139 B1 KR102327139 B1 KR 102327139B1 KR 1020150088536 A KR1020150088536 A KR 1020150088536A KR 20150088536 A KR20150088536 A KR 20150088536A KR 102327139 B1 KR102327139 B1 KR 10232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display area
display
display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934A (ko
Inventor
판카즈 아가와
정지수
최원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83,42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52019B2/en
Priority to CN201680034354.5A priority patent/CN107710147B/zh
Priority to EP16780333.7A priority patent/EP3285469B1/en
Priority to PCT/KR2016/003966 priority patent/WO2016167610A1/ko
Publication of KR2016012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934A/ko
Priority to US16/737,346 priority patent/US110549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7Special input arrangements or commands for improving display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이 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밝기로 표시되는 동안에,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in portable device}
본 개시는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휴대 단말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최근 수년 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휴대 단말기의 사용 환경도 다양화되고 있다. 예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댁 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고, 야간 또는 대낮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휴대 단말기 주변의 밝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를 보는 느낌도 각각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 밝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가 잘 보지 않을 수 있다.
주변 밝기가 낮은 환경에서는,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값이 낮게 설정되어도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보는데 별로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휘도 값이 낮게 설정된 상태에서 주변 밝기가 높은 환경으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갑자기 밝아진 주변 밝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보내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밝기를 높이고자 하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검색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나,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검색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밝기가 변경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1 밝기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제1 밝기로 계속하여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밝기보다 낮은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이거나 또는 조도 값의 변화 값이 일정 값 이상이면, 상기 일부 영역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은,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레이아웃 영역,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필드 영역, 또는 상기 UI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상기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4 밝기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잠금 화면의 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밝기는 제1 휘도 값에 대응하는 밝기이고, 상기 제2 밝기는 제2 휘도 값에 대응하는 밝기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밝기를 조절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상기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는,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제1 밝기로 계속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밝기보다 낮은 제3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이거나 또는 조도 값의 변화 값이 일정 값 이상이면, 상기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은,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레이아웃 영역,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필드 영역, 또는 상기 UI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4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 매체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의 밝기만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밝기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몰입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만 밝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밝기가 조절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입력에 서로 다른 UI 엘리먼트가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를 조절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모션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버튼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가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회전시키거나, 장치를 기울이거나, 장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실시 예에서, “다중 입력”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방식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의료 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다수의 의료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일 수 있다.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아이콘, 인덱스 항목, 링크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밝기가 조절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디바이스, 전자북 디바이스, 디지털방송용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나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es), HMD(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의 (a)에서, 사용자(1)는 댁 내에서 휴대 단말기(10)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 중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1)는 댁 내로부터 댁 외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밝은 댁 외로 이동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예로, 주변의 빛의 양이 갑자기 증가되는 경우,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주변 밝기에 따라 조절되기 전까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가 주변 밝기를 감지 중이면, 휴대 단말기(10)는 주변 밝기를 나타내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밝기를 나타낼 수 있는 조도 값의 범위가 조도 값이 낮은 순서로부터 조도 값이 높은 순서로 '1'부터 '10'까지 10 단계의 레벨로 구분된다면, 예로, 휴대 단말기(10)는 조도 값이 '7'레벨 이상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는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11)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11)은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레이아웃 영역,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필드 영역 또는 UI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밝기로 표시되는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제1 밝기로 계속하여 표시되거나 또는 제1 밝기보다 낮은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보다 더 높은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10 룩스 내지 50 룩스 사이의 값이라면,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100 룩스 내지 150 룩스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50 룩스 내지 100 룩스 사이의 값이라면,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150 룩스 내지 200 룩스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100 룩스 내지 200 룩스 사이의 값이라면,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300 룩스 내지 400 룩스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 및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제조자,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또는 운영 시스템의 제공자 등에 의해 다양한 수치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변 밝기의 조도 값에 따라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밝기의 조도 값의 변화가 클수록,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더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는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변경하는 밝기 자동 모드로 동작 중(예로, 자동 모드 옵션(12)이 체크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는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을, 밝기 자동 모드에 따라 결정된 휘도 값보다 더 높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자동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밝기로부터 제3 밝기로 변경된 경우, UI 엘리먼트 대응하는 일부 영역(11)은 제3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의 (b)에서, 일부 영역(11) 내에 제2 밝기로 표시 중인 UI 엘리먼트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제4 밝기로 표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밝기는 제1 밝기보더 더 밝은 밝기가 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감지부(180) 및 제어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의 종류 또는 휴대 단말기(10)의 목적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의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화면들은, 예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화면들에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예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 컨텐츠 또는 휴대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320×320 해상도, 360×480 해상도, 720×1280 해상도, 1280×800 해상도 또는 3940×2160 해상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휴대 단말기(1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감지부(181)과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칩(141), 블루투스 칩(142), 무선 통신 칩(143), NFC 칩(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이파이 칩(141), 블루투스 칩(142)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41)이나 블루투스 칩(1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43)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4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메모리(150)는 휴대 단말기(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9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9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50), 제어부(190) 내 ROM(192), RAM(191) 또는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c를 참조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c에 따르면, 메모리(150)에는 OS(310), 커널(320), 미들웨어(330), 어플리케이션(3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3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3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320)은 감지부(18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3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330)는 휴대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c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X11 모듈(330-1), APP 매니저(330-2), 연결 매니저(330-3), 보안 모듈(330-4), 시스템 매니저(3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윈도우 매니저(330-8),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를 포함한다.
X11 모듈(330-1)은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330-2)는 메모리(1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3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330-2)는 X11 모듈(3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3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3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3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330-5)는 휴대 단말기(1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3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는 휴대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는 각종 UI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UI 엘리먼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휴대 단말기(10)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3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340-1~3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메인 CPU(194)는 어플리케이션 모듈(340)을 이용하여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c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의 종류 또는 휴대 단말기(10)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메모리(15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a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1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또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감지부(18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감지부(18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8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펜 감지 센서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감지 목적에 따라, 터치 감지부(181), 움직임 감지부(182), 조도 감지부(183), 버튼 감지부(184)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물리적인 구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결합하여 감지부들(181,182,183,18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지부(180)의 구성 또는 기능의 일부가 제어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81)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81)의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130)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81)가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예로,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출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81)는 신호 값들로부터 터치 위치 또는 터치 좌표, 터치 개수, 터치 세기, 셀 ID, 터치 각도 또는 터치 면적 등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패널의 메모리(미도시)에 있는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종류가 결정되면,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8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근접 터치 위치(또는 호버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가 터치 감지부(181)의 기능의 일부를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181)는 터치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 값 또는 신호 값으로부터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된 신호 값 또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된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예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터치 입력의 종류로부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통화 버튼이 선택된 것을 검출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상대방에게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82)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틸팅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부(182)는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감지부(182)은 휴대 단말기(1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휴대 단말기(1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82)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휴대 단말기(10)를 기준으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휴대 단말기(1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 단말기(10)의 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18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18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10)가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하면, 움직임 감지부(18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움직임 감지부(182)는 좌표계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도 감지부(183)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광전지를 이용하여 밝기를 감지할 수 있으나, 매우 낮은 밝기에서는 광전관(光電管)을 이용할 수도 있다. 조도 센서의 예로, CDS 조도 센서는 휴대 단말기(10)의 양 면에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1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감지부(183)는 조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펜 감지부(예로, 펜 인식 패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 감지부는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감지부는,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펜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휴대 단말기(10)를 통하여 의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예로, 촬영 시작, 촬영 정지 또는 촬영 종료 등)을 수신하여,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결과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인식 모듈은 마이크가 아닌 제어부(190)의 일부 또는 휴대 단말기(1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또는, 프로세서)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버스(19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등은 버스(1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19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10)가 부팅되면 O/S가 RAM(191)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191)에 저장될 수 있다.
ROM(1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94)는 ROM(1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RAM(1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91)에 복사하고, RAM(1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감지부(180)를 통하여 감지된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에 대응하는 출력 휘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제어부(190)는 기 설정된 수학적 시간 함수, LUT에 저장된 밝기 값 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Driver IC에 사전에 기록된 값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휘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초기 휘도 값, 타겟 휘도 값 및 휘도 변화 시간 등이 고려되어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휘도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결정된 휘도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램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결정된 휘도 값에 기초하여 램프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값에 따라 램프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램프 구동부는, 전압 제어 신호 발생부,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제어 신호 발생부는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된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에 상응하는 전압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컨버터로 전송한다. 컨버터는 수신된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램프 구동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 구동부는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된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에 따라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 휘도 값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램프 구동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단위 또는 픽셀들의 집합인 디스플레이부의 영역 단위로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단위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역 단위마다 각각 전압 제어 신호 발생부, 컨버터 및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픽셀 단위 또는 영역 단위마다 복수의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들을 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는 픽셀 단위 또는 영역 단위마다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들에 따라 픽셀 단위 또는 영역 단위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은 제1 밝기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일부 영역은 제2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결정된 휘도 값에 따라 픽셀들의 R,G,B 값을 상향하여 픽셀 단위 또는 픽셀들의 집합인 영역 단위로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픽셀의 R,G,B 값이 각각 120,100,50 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결정된 휘도 값에 따라 상기 특정 픽셀에의 밝기 스케일러(scaler)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스케일러 값이 1.5인 경우, 특정 픽셀의 R,G,B 값은 180, 150, 75가 될 수 있다. 밝기 스케일러는 픽셀 단위로 적용될 수도 있고, 미리 결정된 영역 단위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밝기 스케일러는 램프 구동부와 함께 이용되어, 밝기 변화의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30), 감지부(180) 및 제어부(19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 밝기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미리 설정된 휘도 값에 대응되는 제1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휘도 값은, 예로, 휴대 단말기(10)의 제조자,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또는 운영 시스템의 제공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휘도 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감지부(18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80)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획득된 전압을 조도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에 기초하여,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휘도 값에 상응하는 전압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수신된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갑자기 밝은 곳으로 이동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3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1 밝기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301)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 또는 조도 값의 변화 값이 일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는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예로, '7'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조도 값의 변화 값이 일정 값 이상(예로, '2'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 또는 조도 값의 변화 값이 일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301)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영역(301)을 제외한 영역은 제1 밝기로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잘 보이도록,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301)을 제외한 영역은 제1 밝기보다 더 낮은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서, 감지부(18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의 조절자를 터치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3의 (c)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제3 밝기로 더 밝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휘도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휘도 값에 기초하여 램프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램프 공급 전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램프 공급 전압 제어 값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130)가 결정된 휘도 값에 대응하는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4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새롭게 나타나고,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302)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 또는 조도 값의 변화 값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새롭게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302)을 제외한 영역은 제1 밝기로 계속하여 표시되거나 제1 밝기보다 더 낮은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4의 (c)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해제됨에 따라,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컨텐츠를 재생 중인 컨텐츠 재생 화면이 표시 중일 수 있다. 컨텐츠 재생 화면에는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컨텐츠 제어 UI 엘리먼트가 포함될 수 잇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5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응하는 영역들(501,502,503)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501) 및 컨텐츠 제어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503)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밝기가 조절되는 UI 엘리먼트는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또는 운영 시스템의 제공자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밝기가 조절되는 UI 엘리먼트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는, 밝기가 조절되는 UI 엘리먼트는 휴대 단말기(10)의 상황 인식(Context Awareness) 기술을 통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UI 엘리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컨텐츠 재생 화면에서 컨텐츠 제어 UI 엘리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도 5의 (b)에서, 제어부(19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502) 또한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의 조절자를 터치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5의 (c)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잠금 화면이 표시 중일 수 있다. 잠금 화면은 디스플레이 영역이 오프 또는 블랙 스크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의 일 측 또는 홈 버튼을 누르는 경우 홈 화면의 진입 전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6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1 밝기로 표시되는 잠금 화면 상에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새롭게 나타나고,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픽셀들(601-1~601-4)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잠금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의 조절자(601-1)를 선택하고 수직으로 터치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6의 (c)와 같이,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의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해제됨에 따라,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잠금 화면 상에서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잠금 화면이 표시 중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7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1 밝기로 표시되는 잠금 화면 상에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 새롭게 나타나고,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701)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잠금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의 조절자(702)를 선택하고 수평으로 터치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7의 (c)와 같이,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의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패턴을 입력 받기 위한 잠금 화면이 표시 중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81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8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의 해제에 필요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영역(801)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영역(801) 상에 사용자의 패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이 해제되고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패턴을 입력 받기 위한 잠금 화면이 표시 중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9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잠금 화면의 해제에 필요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픽셀들(901-1~901-9)이 제2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UI 엘리먼트들 간에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패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잠금 화면이 해제되고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사용자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두운 곳에 미리 있던 제3 자는 갑작스러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의 밝기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10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에서 제2 밝기로 더 어둡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보다 더 낮은 값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밝기를 나타낼 수 있는 조도 값의 범위가 조도 값이 낮은 순서로부터 조도 값이 높은 순서까지 '1'부터 '10'까지 복수의 레벨로 구분된다면, 예로, 제어부(190)는 조도 값이 '3'레벨 이하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보다 더 낮은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100 룩스 내지 150 룩스 사이의 값이라면,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10 룩스 내지 50 룩스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150 룩스 내지 200 룩스 사이의 값이라면,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50 룩스 내지 100 룩스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300 룩스 내지 400 룩스 사이의 값이라면,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100 룩스 내지 200 룩스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 및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의 제조자,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또는 운영 시스템의 제공자 등에 의해 다양한 수치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변 밝기의 조도 값에 따라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밝기의 조도 값의 변화가 클수록,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은 더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는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변경하는 밝기 자동 모드로 동작 중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는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을, 밝기 자동 모드에 따라 결정된 휘도 값보다 더 낮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사용자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11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1101)은 제2 밝기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일부는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밝기의 휘도 값 및 제3 밝기의 휘도 값은 모두 제1 밝기의 휘도 값보다 낮은 값이 될 수 있다. 이 때, 일부 영역(1101)은 UI 엘리먼트 또는 알림 정보(예로, 시간 정보, 날씨 정보, 메시지 정보, SNS 정보, 알람 정보 또는 전화 수신 정보 등)에 대응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UI 엘리먼트 또는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의 밝기는 다른 영역의 밝기보다 더 밝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UI 엘리먼트 또는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1101)은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더 밝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가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로 표시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부(18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사용자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도 12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가 제1 밝기에서 제2 밝기로 더 어둡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새롭게 나타나고,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영역(1201)이 제3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3 밝기의 휘도 값은 제1 밝기의 휘도 값보다 더 높은 값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의 조절자를 터치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2의 (c)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제4 밝기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해제됨에 따라,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입력에 서로 다른 UI 엘리먼트가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로, 도 13A의 (a)에서 제어부(190)는 제1 크기 값으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예로, 게임 어플리케이션, 뮤직 플레이어,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전화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일 측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음량 조절 UI 엘리먼트(1301)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감지부(18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휴대 단말기(10)의 일 측의 버튼을 계속하여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3A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가 제1 크기 값으로부터 제2 크기 값으로 변경되도록 오디오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13B의 (a)에서 제어부(190)는 사운드를 제공하지 않는 제1 어플리케이션(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일 측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301)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감지부(181)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휴대 단말기(10)의 일 측의 버튼을 계속하여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3B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제1 밝기로부터 제2 밝기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공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입력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90)는 감지부(180)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UI 엘리먼트가 다르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별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80)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미리 결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를 조절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401)가 포함된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401)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 일 측의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401)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퀵 패널을 호출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401)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401)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기 이전 또는 바로 직전에 제1 밝기로 표시 중이었던 제1 화면(1402)(예로,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밝기로 표시될 제2 화면(1403)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화면(1402)은 제2 화면(1403)과 동일한 밝기로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1402) 및 제2 화면(1403)은 썸네일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1401) 통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4의 (b)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1 화면(1402)은 제1 밝기를 유지한 체로, 제2 화면(1403)이 제2 밝기로 표시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전에 사용자가 조작하던 제1 화면(1402)과 제2 화면(1403)의 밝기를 비교하면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과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501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503에서, 휴대 단말기(1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1505에서, 휴대 단말기(10)는 감지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중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기존의 제1 밝기로 계속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제1 밝기보다 낮은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601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603에서, 휴대 단말기(10)는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1605에서, 휴대 단말기(10)는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7에서, 조도 값이 일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1605-Y),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 중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밝기는 제1 밝기보다 더 밝을 수 있다. 즉, 제2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반면, 조도 값이 일정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S1605-N), 휴대 단말기(10)는 계속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1609에서, 휴대 단말기(10)는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11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609-Y), 휴대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제3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3 밝기는 제1 밝기보다 더 밝을 수 있다. 즉, 제3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이 제1 밝기에 대응하는 휘도 값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프로세서 19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프로세서 19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15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휴대 단말기(1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휴대 단말기(1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휴대 단말기(10)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1 밝기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제1 밝기 이하인 제3 밝기로 표시하고,
    상기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4 밝기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은,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레이아웃 영역,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필드 영역, 또는 상기 UI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잠금 화면의 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식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밝기는 제1 휘도 값에 대응하는 밝기이고, 상기 제2 밝기는 제2 휘도 값에 대응하는 밝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휴대 단말기의 밝기를 조절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제1 밝기 이하인 제3 밝기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4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밝기 조정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은,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레이아웃 영역, 상기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필드 영역, 또는 상기 UI 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밝기 조정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밝기 조정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UI 엘리먼트는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밝기 조정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밝기 조정 방법.
  20.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 값이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제1 밝기 이하인 제3 밝기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밝기 조절 UI 엘리먼트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4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50088536A 2015-04-16 2015-06-22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10232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83,426 US10552019B2 (en) 2015-04-16 2016-03-29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CN201680034354.5A CN107710147B (zh) 2015-04-16 2016-04-15 能够控制其亮度的便携式终端及其亮度控制方法
EP16780333.7A EP3285469B1 (en) 2015-04-16 2016-04-15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thereof,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for same
PCT/KR2016/003966 WO2016167610A1 (ko) 2015-04-16 2016-04-15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US16/737,346 US11054978B2 (en) 2015-04-16 2020-01-08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8364P 2015-04-16 2015-04-16
US62/148,364 2015-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34A KR20160123934A (ko) 2016-10-26
KR102327139B1 true KR102327139B1 (ko) 2021-11-16

Family

ID=5725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536A KR102327139B1 (ko) 2015-04-16 2015-06-22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85469B1 (ko)
KR (1) KR102327139B1 (ko)
CN (1) CN107710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025B1 (ko) 2016-11-29 2018-10-05 주식회사 바이널익스피리언스 저조도 환경에서 이동단말기 사용제한 방법과 상기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68780B1 (ko) * 2017-06-29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0018301A1 (en) * 2018-07-16 2020-01-23 Corning Incorporated Display with localized brightness adjustment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3186A1 (en) * 2008-10-24 2010-04-29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User Interface Elements in Ambient Ligh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6025B2 (en) * 2002-02-07 2006-04-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computer system display screen
US20060227125A1 (en) * 2005-03-29 2006-10-12 Intel Corporation Dynamic backlight control
CN101071542A (zh) * 2006-05-12 2007-11-14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显示装置的亮度调节装置及方法
KR100732813B1 (ko) * 2006-08-03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90793B2 (en) * 2010-03-26 2014-11-18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Adjusting a brightness level of a backlight of a display device
KR101636765B1 (ko) * 2011-05-03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0134B1 (ko) * 2013-09-25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CN105556585B (zh) * 2013-09-25 2019-04-16 索尼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04182040A (zh) * 2014-08-08 2014-12-0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参数设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3186A1 (en) * 2008-10-24 2010-04-29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User Interface Elements in Ambient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5469A1 (en) 2018-02-21
CN107710147A (zh) 2018-02-16
EP3285469B1 (en) 2023-03-01
CN107710147B (zh) 2021-06-04
KR20160123934A (ko) 2016-10-26
EP3285469A4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0951253B2 (en)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270681B1 (ko)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054978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KR102354763B1 (ko)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US10257670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ce information thereof
US20160357221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1861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37731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알림 정보 표시 방법
KR20140128207A (ko)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5202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102343361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2810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10207722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054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32069A (ko) 커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