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28B1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228B1
KR102077228B1 KR1020150125128A KR20150125128A KR102077228B1 KR 102077228 B1 KR102077228 B1 KR 102077228B1 KR 1020150125128 A KR1020150125128 A KR 1020150125128A KR 20150125128 A KR20150125128 A KR 20150125128A KR 102077228 B1 KR102077228 B1 KR 10207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ategory
information
playli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195A (ko
Inventor
한지연
김지광
김준수
홍지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28B1/ko
Priority to US15/139,627 priority patent/US10235036B2/en
Publication of KR2017002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기는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리모컨이나 조작 버튼을 통해 음악 컨텐츠를 재생/정지하거나 다른 음악 컨텐츠로 이동하거나 볼륨을 조절하는 등의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저장하고 있던 음악 컨텐츠나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 DVD, 카세트테이프 등)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는 기존과 같이 제한된 숫자의 음악 컨텐츠가 아닌 무한한 숫자의 음악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늘어난 음악 컨텐츠의 숫자만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악 컨텐츠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도 증가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음악 컨텐츠를 일일이 검색하여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 컨텐츠를 검색하여도 외부의 오디오 장치와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히 검색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장치로 전송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악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각각의 크기 비율에 따라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가 겹쳐진 경우, 겹쳐진 영역의 비율만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들에 모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원형 UI 엘리먼트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 또는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그리고,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재생 목록은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음원 제공자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맵의 일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만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받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하며, 상기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각각의 크기 비율에 따라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가 겹쳐진 경우, 겹쳐진 영역의 비율만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들에 모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원형 UI 엘리먼트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 또는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오디오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재생 목록은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음원 제공자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맵의 일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만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재생 목록을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재생 목록을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음악 성향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음악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카테고리 맵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음악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도시한 블럭도,
도 4a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면체 UI를 이용하여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으로서, 터치 인터렉션, 벤딩 인터렉션, 음성 인터렉션, 버튼 인터렉션, 모션 인터렉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 감지, 사용자 조작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인터렉션”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버튼 감지”은 사용자가 장치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감지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감지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오디오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30)는 원형 UI 엘리먼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렉션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자주 듣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사용자 선호 정보,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의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정보 등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들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 음악 컨텐츠의 출시 시기, 음악 컨텐츠의 가수명, 음악 컨텐츠의 분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재생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음악 컨텐츠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들 중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들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가 "힙합","빅뱅"인 경우, 제어부(130)는 장르가 힙합이고, 가수명이 빅뱅인 음악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들 중 결정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의 서버로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가 "힙합" 및 "빅뱅"인 경우, 제어부(130)는 카테고리 "힙합"에 대응되는 제1 원형 UI 엘리먼트, 카테고리 "빅뱅"에 대응되는 제2 원형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를 통해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형 UI 엘리먼트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 또는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크기 및 위치가 조절된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각각의 크기 비율에 따라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가 겹쳐진 경우, 제어부(130)는 겹쳐진 영역의 비율만큼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들에 모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결정된 음악 컨텐츠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를 통해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를 통해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오디오 기기는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재생 목록은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음원 제공자에 따라 전자 장치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오디오 장치와 카테고리 맵을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타일의 음악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테고리 맵의 일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만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원형 UI 엘리먼트가 사용자 정보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원형 UI 엘리먼트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며,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상황 정보에는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주변의 밝기 정보, 위치 정보, 소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오디오 처리부(240), 오디오 출력부(250), 감지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200)의 목적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의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화면 또는 UI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 정보, 상황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정사각형, 정삼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내에는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320×320 해상도, 360×480 해상도, 720×1280 해상도, 1280×800 해상도 또는 3940×2160 해상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 장치(2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 감지부(211)과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칩(221), 블루투스 칩(222), 무선 통신 칩(223), NFC 칩(2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이파이 칩(221), 블루투스 칩(222)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221)이나 블루투스 칩(22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23)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22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220)는 외부의 서버로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로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의 오디오 장치로부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제어부(2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2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230), 제어부(270) 내 ROM(272), RAM(271) 또는 전자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에는 디스플레이부(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메모리(2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메모리(230)에는 OS(310), 커널(320), 미들웨어(330), 어플리케이션(3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3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3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320)은 감지부(26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3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X11 모듈(330-1), APP 매니저(330-2), 연결 매니저(330-3), 보안 모듈(330-4), 시스템 매니저(3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윈도우 매니저(330-8),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를 포함한다.
X11 모듈(330-1)은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330-2)는 메모리(23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3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330-2)는 X11 모듈(3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3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3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3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330-5)는 전자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3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는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는 디스플레이부(21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는 각종 UI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UI 엘리먼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26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전자 장치(200)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3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340-1~3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음악 재생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메인 CPU(274)는 어플리케이션 모듈(340)을 이용하여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200)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메모리(23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4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4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5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0)는 오디오 처리부(24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5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6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또한, 감지부(260)는 전자 장치(200)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감지부(260)는 전자 장치(200)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감지부(26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감지부(26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6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6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펜 감지 센서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260)는 감지 목적에 따라, 터치 감지부(261), 움직임 감지부(262), 버튼 감지부(263) 및 리모컨 신호 감지부(264)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물리적인 구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결합하여 감지부들(261 내지 26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지부(260)의 구성 또는 기능의 일부가 제어부(27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261)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의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210)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가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예로,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출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는 신호 값들로부터 터치 위치 또는 터치 좌표, 터치 개수, 터치 세기, 셀 ID, 터치 각도 또는 터치 면적 등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패널의 메모리(미도시)에 있는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종류가 결정되면,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근접 터치 위치(또는 호버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가 터치 감지부(261)의 기능의 일부를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 값 또는 신호 값으로부터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수신된 신호 값 또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된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62)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틸팅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부(262)는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감지부(262)은 전자 장치(2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262)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20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전자 장치(20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200)의 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26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26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200)가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하면, 움직임 감지부(26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움직임 감지부(262)는 좌표계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튼 감지부(263)는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신호 감지부(264)는 외부의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에 대응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밖에, 감지부(260)는 펜 감지부(예로, 펜 인식 패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 감지부는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감지부는,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펜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의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예로, 촬영 시작, 촬영 정지 또는 촬영 종료 등)을 수신하여,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결과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인식 모듈은 마이크가 아닌 제어부(270)의 일부 또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또는, 프로세서)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RAM(271), ROM(272), 그래픽 처리부(273), 메인 CPU(2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 275-n), 버스(27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271), ROM(272), 그래픽 처리부(273), 메인 CPU(2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 275-n) 등은 버스(27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27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가 부팅되면 O/S가 RAM(271)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271)에 저장될 수 있다.
ROM(2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74)는 ROM(2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230)에 저장된 O/S를 RAM(2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74)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71)에 복사하고, RAM(27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7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감지부(26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274)는 메모리(23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2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74)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내지 27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내지 27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자주 듣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 정보,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 가수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 컨텐츠를 듣는 경우,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듣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빈도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듣는 음악 컨텐츠 중 감상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10회)인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장르 정보, 가수 정보, 분위기 정보, 출시 시기 정보 등과 같은 메타 데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특정 키워드로 검색을 수행할 경우, 제어부(270)는 검색을 위해 이용된 특정 키워드 중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 이상 이용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기설정된 횟 이상 이용된 키워드 중 음악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 선호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미리 저장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가수, 장르, 분위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테고리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 음악 컨텐츠의 출시 시기, 음악 컨텐츠의 가수명, 음악 컨텐츠의 분위기, 사용자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컨텐츠의 장르로는 댄스, 재즈, 뉴에이지, 힙합, 발라드, 클래식, 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의 출시 시기로는 80년대 음악 컨텐츠, 90년대 음악 컨텐츠, 2000년대 음악 컨텐츠, 2010년대 음악 컨텐츠, 최근 음악 컨텐츠, 올드 팝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의 가수로는 그룹 가수, 개인 가수, 이름이 A~G로 시작하는 가수, 이름이 H~M으로 시작하는 가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의 분위기로는 easy, chill out, feeling, good, dreamy, energetics, melancholic, mpsitiv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카테고리는 사용자 활동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로서, cooking, studying, party, working, exercis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 듣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가 "힙합"인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로 "힙합"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음악 컨텐츠의 가수가 "빅뱅"인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로 "빅뱅"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컨텐츠의 출시 시기가 "2010년대"인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로 "2010년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활동적인 분위기의 음악을 자주 듣는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로 "energetic"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통해 현재 사용자 활동이 근무중인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로 "working"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 저장된 음악 컨텐츠 중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카테고리가 "힙합", "2010년대"인 경우, 제어부(270)는 기 저장된 음악 컨텐츠 중 "힙합" 또는 "2010년대"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테고리에 모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만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보다 복수의 카테고리 모두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우선순위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카테고리가 "힙합", "2010년대"인 경우, 제어부(270)는 "2010년 대 힙합"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우선순위로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서버는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일 수 있다.
외부 서버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한 경우, 제어부(27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재생 목록을 수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하고,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재생 목록에 추가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황 정보는 날씨 정보, 시간 정보, 밝기 정보, 소음 정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날씨 정보가 눈이 내리는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추가될 음악 컨텐츠의 카테고리로 "calm"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시간 정보가 새벽 2시인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추가될 음악 컨텐츠의 카테고리로 "클래식" 또는 "발라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밝기 정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의 밝기인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목록에 추가될 음악 컨텐츠로 "good"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정보 또는 상황 정보를 통해 결정된 음악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따라 자동으로 재생 목록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카테고리를 생성, 추가, 삭제, 수정하여 재생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 또는 상황 정보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원형 UI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에 따라 "한국 노래", "2000년대", "댄스", "빅뱅", "일렉트로닉"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노래"에 대응되는 제1 원형 UI 엘리먼트(410), "2000년대"에 대응되는 제2 원형 UI 엘리먼트(420), "댄스"에 대응되는 제3 원형 UI 엘리먼트(430), "빅뱅"에 대응되는 제4 원형 UI 엘리먼트(440), "일렉트로닉"에 대응되는 제5 원형 UI 엘리먼트(4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커질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원형 UI 엘리먼트(450)가 가장 큰 경우, "일렉트로닉"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정보 및 상황 정보에 따라 "calm", "90년대", "발라드", "Relaxed", "New age"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lm"에 대응되는 제6 원형 UI 엘리먼트(460), "90년대"에 대응되는 제7 원형 UI 엘리먼트(470), "발라드"에 대응되는 제8 원형 UI 엘리먼트(480), "Relaxed"에 대응되는 제9 원형 UI 엘리먼트(490), "뉴 에이지"에 대응되는 제10 원형 UI 엘리먼트(49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원형 UI 엘리먼트(480)가 가운데에 위치하는 경우, "발라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원형 UI 엘리먼트는 사용자 정보 또는 상황 정보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직접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원형 UI 엘리먼트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의 일 지점에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롱프레스 인터렉션 등)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일 지점에 제1 원형 UI 엘리먼트(5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UI 엘리먼트(510) 내에 장르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리스트를 통해 댄스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7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UI 엘리먼트(510) 내에 "Dance"라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다른 지점에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다시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다른 지점에 제2 원형 UI 엘리먼트(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형 UI 엘리먼트(520) 내에 장르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유형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형 UI 엘리먼트(520) 내에 출시 시기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를 통해 90년대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70)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형 UI 엘리먼트(520) 내에 "90년대"라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원형 UI 엘리먼트 내에 디스플레이된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리스트를 통해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한다. 우선, 제어부(27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UI 엘리먼트(610) 내에 장르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댄스"를 다른 장르와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댄스"를 다른 장르보다 크게 표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댄스"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다른 장르와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윗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 아래 버튼을 선택하는 버튼 인터렉션 등)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장르 카테고리 내에 다른 장르인 "일렉트로닉"을 다른 장르와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렉트로닉"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일렉트로닉"을 재생 목록 생성을 위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왼쪽 방향의 화살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화살표를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 왼쪽 버튼을 선택하는 버튼 인터렉션 등)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유형인 출시 시기 카테고리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리스트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직접 카테고리를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원형 UI 엘리먼트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통해 원형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 또는 원형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을 통해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원형 UI 엘리먼트(710 내지 75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원형 UI 엘리먼트(730)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760)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원형 UI 엘리먼트(730)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원형 UI 엘리먼트(750)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770)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원형 UI 엘리먼트(750)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원형 UI 엘리먼트(810 내지 85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원형 UI 엘리먼트(840)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제3 원형 UI 엘리먼트(830)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860)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원형 UI 엘리먼트(840)의 위치를 제3 원형 UI 엘리먼트(830)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 UI 엘리먼트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형 UI 엘리먼트 각각의 면적 및 적어도 두개의 원형 UI 엘리먼트가 겹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70)는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각각의 크기 비율에 따라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가 겹쳐진 경우, 제어부(270)는 겹쳐진 영역의 비율만큼 적어도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들에 모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910,920)가 겹쳐진 경우, 제1 원형 UI 엘리먼트(910)만이 차지하는 면적이 40%이고, 제2 원형 UI 엘리먼트(920)만이 차지하는 면적이 30%이고, 제1 및 제2 원형 UI 엘리먼트(910,920)가 공통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30%이면, 제어부(290)는 "90년대가 아닌 댄스 음악"을 40% 비율로 선택하고, "90년대 노래 중 댄스 음악이 아닌 음악"을 30% 비율로 선택하며, "90년대 노래 중 댄스 음악"을 30% 비율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재생 목록에 추가될 음악 컨텐츠의 수가 100개인 경우, 제어부(270)는 제어부(290)는 "90년대가 아닌 댄스 음악"을 40개 선택하고, "90년대 노래 중 댄스 음악이 아닌 음악"을 30개 선택하며, "90년대 노래 중 댄스 음악"을 30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원형 UI 엘리먼트(930 내지 950)가 겹쳐진 경우, 제3 원형 UI 엘리먼트(930)만이 차지하는 면적이 20%이고, 제4 원형 UI 엘리먼트(940)만이 차지하는 면적이 20%이고, 제5 원형 UI 엘리먼트(950)만이 차지하는 면적이 20%이고, 제3 및 제4 원형 UI 엘리먼트(930,940)가 공통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10%이며, 제3 및 제5 원형 UI 엘리먼트(930,950)가 공통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10%이고, 제4 및 제5 원형 UI 엘리먼트(940,950)가 공통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10%이며, 제3 내지 제5 원형 UI 엘리먼트(930 내지 950)가 공통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10%이면, 제어부(290)는 "90년대가 아니고, 룰라 음악이 아닌 댄스 음악"을 20% 비율로 선택하고, "댄스 음악도 아니고, 룰라 음악도 아닌 90년대 음악"을 20% 비율로 선택하며, "90년대 음악도 아니고, 댄스 음악도 아닌 룰라 음악"을 20% 비율로 선택하고, "90년 음악이 아니나 댄스음악이면서 룰라 음악"을 10% 비율로 선택하고, "룰라 음악은 아니나, 90년 대 댄스 음악"을 10% 비율로 선택하며, "댄스 음악은 아니나 90년대 룰라 음악"을 10% 비율로 선택하고, "90년대 룰라의 댄스 음악"을 10%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결정된 음악 컨텐츠의 카테고리 비율에 따라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 목록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70)는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하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 재생 목록을 수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정보, 상황 정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원형 UI 엘리먼트를 생성하거나 추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에 의해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복수의 원형 UI 엘리먼트의 종류, 위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파티 모드(Party mode)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refresh"에 대응되는 제1 원형 UI 엘리먼트(1010), 카테고리 "2000년대"에 대응되는 제2 원형 UI 엘리먼트(1020), 카테고리 "댄스"에 대응되는 제3 원형 UI 엘리먼트(1030), 카테고리 "Exciting"에 대응되는 제4 원형 UI 엘리먼트(1040) 및 카테고리 "일렉트로닉"에 대응되는 제5 원형 UI 엘리먼트(1050)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해 주말 모드(Weekend Mode)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calm"에 대응되는 제6 원형 UI 엘리먼트(1060), 카테고리 "90년 대"에 대응되는 제7 원형 UI 엘리먼트(1070), 카테고리 "발라드"에 대응되는 제8 원형 UI 엘리먼트(1080), 카테고리 "Relaxed"에 대응되는 제9 원형 UI 엘리먼트(1090) 및 카테고리 "뉴 에이지"에 대응되는 제10 원형 UI 엘리먼트(1095)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맵의 일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70)는 일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만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UI 엘리먼트(1110) 및 제2 원형 UI 엘리먼트(1120)로 구성된 카테고리 맵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원형 UI 엘리먼트(1120)만이 차지하는 영역에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롱프레스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댄스 음악이 아닌 90년대 음악 컨텐츠만으로 재생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맵을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오디오 기기는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재생 목록은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저장하고 있는 음악 컨텐츠,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음원 제공자에 따라 전자 장치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제1 오디오 기기(1210) 및 제2 오디오 기기(1220)에 카테고리 맵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기기(1210)는 제1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음악 컨텐츠를 제공받으며, 제2 오디오 기기(1220)는 제2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음악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오디오 기기(1210)는 제1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로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재생 목록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오디오 기기(1220)는 제2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로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재생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기기(1210) 및 제2 오디오 기기(1220)는 상이한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재생 목록을 수신하므로, 동일한 카테고리 맵에 의해 상이한 재생 목록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전자 기기는 서로 카테고리 맵을 공유하여 하나의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전자 기기(1310 내지 1330)가 오디오 기기(1340)로 제1 카테고리 맵 내지 제3 카테고리 맵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기기(1340)는 복수의 전자 기기(1310 내지 1330)로부터 수신한 카테고리 맵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자 기기(1310 내지 1330)로부터 수신한 카테고리 맵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선곡 비율을 높여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 내지 제3 전자 기기(1310 내지 1330)의 카테고리 맵에 "Exciting"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오디오 기기(1340)는 "Exciting" 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영상 컨텐츠, 방송 컨텐츠, 사진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목록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UI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형태(예를 들어, 정사각형, 정삼각형, 타원 등)의 UI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1410).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자주 듣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사용자 선호 정보,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사용자 스케줄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의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한다(S142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 등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들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 음악 컨텐츠의 출시 시기, 음악 컨텐츠의 가수명, 음악 컨텐츠의 분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재생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한다(S14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 4a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카테고리 맵을 이용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악 성향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음악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카테고리 맵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음악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1500)은 오디오 장치(1510), 사용자 단말(1520) 및 컨텐츠 제공 서버(1530)를 포함한다. 이때, 오디오 장치(1510)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520)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520)은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52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520)의 사용 이력을 바탕으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520)은 도 4a 내지 도 1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선호 카테고리 정보로서 카테고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510)는 사용자 단말(1520)로부터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510)는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장치(1510)는 선호 카테고리 정보 및 기 저장된 음악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여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510)는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30)에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하고, 선호 카테고리 정보에 의해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510)는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30)가 아닌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에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하여 재생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510)는 생성된 재생 목록을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15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510)는 통신부(1511), 저장부(1512), 오디오 출력부(1513) 및 제어부(1514)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부(1511)는 외부의 다양한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511)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520)로부터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30)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512)는 오디오 장치(15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12)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30)로부터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임시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13)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513)는 생성된 재생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514)는 오디오 장치(15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14)는 통신부(1511)를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1520)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하며, 생성된 재생 목록을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51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14)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520)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선호 카테고리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 가수, 출시 시기, 분위기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선호 카테고리 정보는 앞서 언급한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14)는 수신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14)는 저장부(1512)에 저장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 중 선호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14)는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30)에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530)로부터 선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5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선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은 앞서 설명한 카테고리 맵을 통해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14)는 수신된 재생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5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14)는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재생 순서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임의의 순서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우선, 오디오 장치(151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한다(S1710).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51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520)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선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1520)의 사용 이력을 통해 판단된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510)는 선호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생성한다(S1720).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510)는 기 저장된 음악 컨텐츠로부터 선호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하거나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30)로부터 선호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재생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1510)는 재생 목록을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한다(S1730).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스피커에 별도의 재생 목록을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정보만을 수신하여 재생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일일이 재생 목록에 추가될 음악 컨텐츠를 지정하는 번거로움을 거치지 않더라도 단순히 선호 카테고리 정보만을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컨텐츠를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전자 장치(200))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3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전자 장치(20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210: 디스플레이부 120, 260: 감지부
130, 27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메모리 240: 오디오 처리부
250: 오디오 출력부

Claims (22)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UI 엘리먼트 각각의 크기 비율에 따라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UI 엘리먼트가 겹쳐진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겹쳐진 영역의 비율만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들에 모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UI 엘리먼트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 또는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재생 목록은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음원 제공자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와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맵의 일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만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카테고리 맵을 생성하며,
    상기 카테고리 맵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UI 엘리먼트 각각의 크기 비율에 따라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의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적어도 두 개의 UI 엘리먼트가 겹쳐진 경우, 겹쳐진 영역의 비율만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들에 모두 속하는 음악 컨텐츠의 비율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UI 엘리먼트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멀어지는 핀치 아웃 인터렉션 또는 UI 엘리먼트에 두 지점을 터치한 후 두 지점이 가까워지는 핀치 인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UI 엘리먼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생 목록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재생 목록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외부의 오디오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는,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맵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재생 목록은 상기 외부의 오디오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 또는 음원 제공자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와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맵의 일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일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만을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재생 목록에 포함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125128A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7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28A KR102077228B1 (ko)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5/139,627 US10235036B2 (en) 2015-09-03 2016-04-2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28A KR102077228B1 (ko)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195A KR20170028195A (ko) 2017-03-13
KR102077228B1 true KR102077228B1 (ko) 2020-04-07

Family

ID=5818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128A KR102077228B1 (ko)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35036B2 (ko)
KR (1) KR102077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1963A1 (en) * 2019-03-18 2020-09-24 Pandora Media, Llc Mode-Based Recommendations in Streaming Music
CN110069658A (zh) * 2019-05-05 2019-07-30 华南理工大学 一种在锁屏状态下控制音频切换方法和装置
US20220207081A1 (en) * 2020-12-31 2022-06-30 Volvo Car Corporation In-vehicle music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27B1 (ko) * 2006-04-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의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890993B1 (ko) * 2008-06-17 2009-03-31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지능형 음악정보 검색 시스템과 검색 방법
US20100131844A1 (en) * 2008-11-25 2010-05-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6015B2 (en) * 2007-12-21 2012-11-20 Lemi Technology, Llc Tunersphere
US8233999B2 (en) * 2009-08-28 2012-07-31 Magix Ag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music properties
US8686270B2 (en) 2010-04-16 2014-04-0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displaying and selecting music files
KR101262700B1 (ko) * 2011-08-05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JP5850736B2 (ja) * 2011-12-21 2016-02-03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55798B2 (en) 2012-01-06 2014-10-07 Gracenote, Inc. User interface to media files
KR101606190B1 (ko) * 2012-08-21 2016-04-04 네이버 주식회사 라디오의 음원 분석을 통한 사용자 상황 및 선호도 반영 음악 추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음악 추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27B1 (ko) * 2006-04-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의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890993B1 (ko) * 2008-06-17 2009-03-31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지능형 음악정보 검색 시스템과 검색 방법
US20100131844A1 (en) * 2008-11-25 2010-05-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media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35036B2 (en) 2019-03-19
KR20170028195A (ko) 2017-03-13
US20170068505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759B2 (en) User terminal device with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7128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122038B1 (en) Portab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hoto thereof
US201403517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KR102137731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알림 정보 표시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3746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05508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Previewing Content Items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79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KR102226535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38245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43361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94223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AU2013309655B2 (en)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7722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809872B (zh) 具有视差滚动功能的移动装置和控制所述移动装置的方法
KR102351634B1 (ko) 사용자 단말장치, 음향 시스템 및 외부 스피커의 음량 제어 방법
KR20160018269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US201700685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10832B2 (en) Selecting user interface elements to display linked documents with a linking document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