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904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904A
KR20150055904A KR1020130138463A KR20130138463A KR20150055904A KR 20150055904 A KR20150055904 A KR 20150055904A KR 1020130138463 A KR1020130138463 A KR 1020130138463A KR 20130138463 A KR20130138463 A KR 20130138463A KR 20150055904 A KR20150055904 A KR 2015005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detected
user
t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정병주
김나영
지재영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904A/ko
Priority to EP20140190395 priority patent/EP2874051A1/en
Priority to US14/528,588 priority patent/US9733828B2/en
Priority to CN201410645965.6A priority patent/CN104639738A/zh
Publication of KR2015005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감지된 복수의 탭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이나 재생 및 인터넷 검색이나 SMS,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현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더 많은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서 보다 편리하고 쉽게 원하는 기능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 중인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이동 단말기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메뉴 선택 화면을 여러번 거치는 복잡한 과정 없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감지된 복수의 탭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그래픽 객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미확인 이벤트 중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연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가상 키보드를 각각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미확인 이벤트와 연관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대응되는 미확인 이벤트가 확인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상태로 판단된 이벤트를 제외한 나머지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또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복수 회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에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된 경우,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탭이 서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감지된 경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본체를 두드리는 복수의 탭(tap)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수의 탭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가해졌는지 또는 서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가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상기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가해진 경우와 서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가해진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이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어두운 주변 상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밝기 또는 기존의 사용자 설정에 근거한 밝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가 통화 볼륨의 조절과 관련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가 상기 통화 볼륨의 조절과 관련된 위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화 볼륨의 조절과 관련된 위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스피커가 위치한 부분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사용자의 귀가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 뒷면의 일 부분이며, 상기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가 사용자의 입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마이크가 위치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감지된 복수의 탭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 수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며, 상기 가상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선택받은 기능에 연관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된 위치 주변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상기 가상 입력 수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 본체에 대한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실행 가능한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문자 입력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미확인 이벤트에 근거하여 문자 입력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웹 검색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8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전화 통화 상태일 때 사용자의 탭에 근거하여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탭이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의 환경 상태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주변의 밝기에 근거하여 연관된 동작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a와 1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본체에 가해진 탭의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각 피사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a), 후면 카메라(121b))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사운드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부(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감지부(140)는 사용자가 본체를 두드리는 탭(tab) 또는 탭 제스처(tab gesture)를 감지하기 위한 탭 감지부(141)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 감지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탭 감지부(141)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 또는 물체를 두드리는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이동 단말기(100) 본체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이동 단말기(100) 본체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 본체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상기 탭 제스처가 가해지는 물체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 및 이동 단말기(100)가 놓여진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탭 또는 탭 제스처는 탭 감지부(141)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다.
즉, 가속도 센서는 탭 제스처에 의해 발생하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움직임(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이동 단말기(100) 본체와 가깝게 위치하는 물체가 탭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하면, 상기 탭이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를 통해 탭을 감지하는 경우, 탭이 감지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류 또는 전력이 소모되는 특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모드는 '도즈 모드(또는 Doze mode)'라고 명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즈 모드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구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소자만이 오프(off)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즈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즈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되고, 상기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가 모두 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즈 모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이 오프된 상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된 상태(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 지점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특정 지점에 상기 탭을 가하는 경우, 온(on) 되어 있는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탭이 가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탭 감지부(141)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기준 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를 가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대상체에 의하여 한 번의 탭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가해지는 경우, 탭 감지부(141)는 상기 한 번의 탭을 터치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한 번의 탭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한 번의 탭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른 기능(예를 들어, 상기 터치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탭 감지부(141)에 의해,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 번)의 탭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탭'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탭 제스처들은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 제스처가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실질적으로 복수 회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등의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탭이,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상기 탭이 사용자의 각각 다른 손가락에 의해 감지된 것인지 하나의 손가락에서 감지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탭들이 감지된 경우, 상기 탭들이 가해진 부분에서 감지되는 지문을 이용하여 상기 탭들이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또는 각각 다른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탭 감지부(141)에 구비된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상기 탭들이 감지된 위치 또는 상기 탭들로 인해 발생된 가속도를 인식하여 상기 탭들이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또는 각각 다른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각도 및 거리, 또는 상기 지문이 인식된 방향등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탭들을 한 손 또는 한 손가락을 통해 입력한 것인지 또는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입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들은 기준시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 회의 두드림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ms 내지 2s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탭 감지부(141)에 위해 이동 단말기(100) 본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탭 감지부(141)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다음번 두드림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다음 번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탭 감지부(141) 또는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탭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유효한 탭'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고자 하는지, 또는 실수로 탭이 가해진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한 탭'이 인식되도록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되는 것을 상기 '유효한 탭'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준 횟수와 상기 제2 기준 횟수의 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횟수는 1회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 횟수는 2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기준 횟수 및 제2 기준 횟수는 모두 1회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탭이 "소정의 영역" 내에서 가하진 경우에 한하여, "탭"들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또는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준시간 및 소정의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탭 및 제 2 탭은 기준 시간 및 소정의 영역 뿐만 아니라, 각 탭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별개의 탭으로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감지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복수의 터치, 즉 복수의 두드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각각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들 역시 동시에 감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탭의 최초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각 위치에서 감지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각 위치에서 제1 기준 횟수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감지부(142)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감지부(142)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 즉 현재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동작 상태 중인지, 또는 카메라 촬영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감지부(142)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환경 상태에 대해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 상태라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방향,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인지, 아래쪽 방향을 항하고 있는 상태인지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옆으로 뉘어져 있는 상태인지 또는 세워져 있는 상태인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태 감지부(142)는 자이로(gyro)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통화 스피커가 위쪽 방향에, 통화 마이크가 아래쪽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자이로(gyro) 센서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 가 들려진 상태 또는 이동 단말기(100)가 놓여진 상태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화 스피커가, 상기 통화 마이크에 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수직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위쪽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그 반대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아래쪽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옆으로 뉘어져 있는 상태인지 세워져 있는 상태인지 역시, 상기 상태 감지부(142)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감지부(142)는 자이로 센서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에 있는지 또는 수직 상태로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인 경우, 옆으로 뉘어져 있는 상태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수직 상태인 경우, 세워져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감지부(142)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등을 더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감지부(142)는 조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값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대한 탭이, 탭 감지부(141)로부터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회 감지된 탭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회의 탭이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탭을 가할 때 하나의 손가락이나 한 손만을 이용하였는지,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이나 양손을 모두 이용하였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동작 상태 및 이동 단말기(100)의 환경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 회 탭에 근거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하나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능이 실행된다'고 함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또는 구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조명을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를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잠금 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통신망을 설정하는 기능,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문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 회의 탭을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가할 때, 상기 복수 회 탭들의 입력 상태에 근거하여 IME(Input method Editor)에 관련된 화면, 즉,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와 같은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탭 감지부(141)의 탭 감지 결과 사용자가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 또는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복수 회의 탭을 입력한 경우에 상기 가상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문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제공에 사용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등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탭 감지부(141)의 탭 감지 결과 사용자가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 또는 양손을 모두 이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메뉴 화면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탭 감지부(141)의 감지 결과, 상기 복수 회의 탭이,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 또는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80)는 문자 입력 기능과 같이, 사용자가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회의 탭이,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 또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경우, 동영상 감상이나 음악 감상 등 사용자가 한손만을 주로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60),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 132, 13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에는 음향 출력부(160) 및 카메라(121)가 배치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 유닛들(131, 132, 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음향 출력부(160)가 배치되는 단부와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및 제3 조작 유닛(132, 133)은 음향 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일 측면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171)과 유/무선 데이터 포트(17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트들(171, 172)은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b)는 카메라(121a,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a,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은 프론트 케이스의 음향 출력부(160,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음향 출력부(160)가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는 사용자 입력부(132, 133)와 연결 포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포트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연결 포트는, 인터페이스(17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가해진 복수 회 탭들의 입력 상태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문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가해진 복수 회 탭들의 입력 상태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들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0).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S300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탭이 유효한 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탭이 감지된 이후, 소정의 시간내에 제2 탭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탭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탭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탭은 제1 기준 횟수 또는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그 이상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가해진 두드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준 횟수 또는 제2 기준 횟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최초의 두드림이 감지된 이후, 상기 최초의 두드림이 감지된 영역을 중심으로 생성된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이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탭이 인지된 이후,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시 두드림이 감지되고, 다시 두드림이 감지된 영역을 중심으로 생성된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림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탭이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30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제1 및 제2 탭이 사용자의 한손 또는 한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또는 사용자의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탭이 감지된 방향이나 각도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탭이 사용자의 한 손 또는 한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방향이나 각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 서로 다른 경우, 즉, 예를 들어 제1 탭은 이동 단말기(100)의 왼쪽에서 가해지고, 제2 탭은 이동 단말기(100)의 오른쪽에서 가해진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탭을 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탭을 가한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인식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탭이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아니면 동일한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S30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사용자가 적어도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탭이 일정 거리 이상 서로 이격되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복수의 터치, 즉 복수의 두드림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각각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들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탭의 최초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각각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위치에서 제1 기준 횟수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상기 제1 기준 횟수와 제2 기준 횟수가 같거나 비슷하다면,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횟수와 제2 기준 횟수가 모두 1회 인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은 동시에 감지될 수 있다.
한편, S300단계에서, 제1 및 제2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한다(S302).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S302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태가 온(활성화)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02단계의 이동 단말기(100) 상태 감지 결과와 상기 S300단계의 복수의 탭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S300단계에서 감지된 복수의 탭이, 사용자의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라면,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S304).
도 4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을 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탭 감지부(141)의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진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복수의 탭들(400, 402)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 확인 결과,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가상 키보드(450)를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로부터 입력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452)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다른 일부분에 더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 및, 상기 입력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452)이 출력되는 영역을 제외한 다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은, 상기 도즈 모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즈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소자가 오프되는 상태임을 말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S300단계에서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출력되는 영역 및 상기 입력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452)이 출력되는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상기 도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줄어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300단계 및 S302단계에서는, 복수의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즈 상태 또는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 있을 때 이미 현재의 상태를 인지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지 S300단계에서 복수의 탭이 감지되면, 바로 상기 S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탭 감지 결과와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S304단계에서 가상 키보드(450)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6). 예를 들어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표시된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문자 입력 관련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정보는 상기 입력 결과 표시 화면(452)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S306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한 어느 하나와 연관되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S304단계에서 가상 키보드(450)를 출력하기 전 또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출력된 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S306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306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은, SMS 메시지 전송이나 SNS 포스팅(Posting), 또는 인터넷 검색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S306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S308).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S306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하거나, SNS 포스팅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S306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탭(400, 402)이 가해지는 경우, 가상 키보드(450)가 출력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400, 402)이 가해지는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450)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400. 402)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하단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소정 영역에서 감지되는 복수의 탭(400, 402)이 적어도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된 경우, 즉 사용자가 양손으로 상기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탭(400, 402)을 가한 경우에만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대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간단한 탭을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 입력 관련 기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메뉴를 거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바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S306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들 중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와 연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복수의 탭이 감지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화면에 출력되기 전에 먼저 사용자로부터 특정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선택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5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탭 감지부(141)의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진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탭(400) 및 제2 탭(402)는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이 유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이 유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관련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입력 관련 기능들은 SMS 메시지 전송이나 SNS 포스팅(Posting), 또는 인터넷 검색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문자 입력 관련 기능들이 상기와 같은 경우, 도 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인터넷 검색과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500), SMS 메시지 전송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502), 그리고 SNS 포스팅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504)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상기 복수의 탭(400, 402)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된 위치를 중심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은 도 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2 탭(402)이 감지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탭(402)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은 상기 복수의 탭(400, 402) 중 어느 하나가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만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탭(400, 402)이 각각 복수의 터치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상기 탭들을 이루는 복수의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입력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만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400, 402) 또는 상기 복수의 터치 중 감지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탭 또는 터치 주변에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이 표시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과 관련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400, 402) 중 마지막 탭(402)이 감지된 위치에서 시작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마지막 탭(402)이 감지된 위치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터치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바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 5의 (a)에서는 그래픽 객체들(500, 502, 504)이 SMS 메시지 전송이나 SNS 포스팅(Posting), 또는 인터넷 검색에 각각 대응되는 3개가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더 많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각각의 기능들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마지막 탭(402)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기능들의 수가 기 설정된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복수의 탭(400, 402) 각각에 분산하여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SNS 포스팅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504)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SNS 포스팅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그래픽 객체(504)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504)와 관련된 SNS 화면(510)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NS 화면이란, 상기 그래픽 객체(504)와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SNS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SNS 게시판에 게시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한편, SNS 화면(510)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출력되면, 제어부(180)는 도 5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가상 키보드(450) 및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결과가 표시되는 화면(452)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현재 선택된 문자 입력 관련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할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는, 도 5의 (c)에서 결과 표시 입력창(452)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문자들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문자들을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에 근거하여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51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객체(512)는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에 근거하여 변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512)가 표시된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객체(512)가 표시된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그 때까지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현재 선택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에 맞게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서와 같이, 현재 선택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SNS 포스팅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512)가 표시된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기 전까지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SNS 포스팅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들은 SNS 게시판에 포스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객체(512)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한 문자들이 SNS 게시판에 포스팅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5의 (d)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다시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 모드 상태(예를 들어 도즈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다시 복수의 탭을 가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슬립(sleep) 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시키고, 특정 메뉴 화면으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바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복수의 탭이 감지된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 이동 단말기(100)에 발생한 미확인 이벤트에 근거하여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미확인 이벤트에 근거하여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6a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도즈 모드 상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웨이크 업 상태(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키(예를 들어 파워 키)를 입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를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도즈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탭을 가하는 경우에,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도 6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잠금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602)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6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의 주변에, 상기 미확인된 이벤트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확인 이벤트가, 미확인 SMS 메시지 1개 및 미확인 SNS 포스팅 2개인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도 6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미확인 이벤트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주변에, 미확인된 개수에 대응되는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도 6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탭(400, 402)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졌는지 여부를 탭 감지부(141)의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탭(400) 및 제2 탭(402)는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들 각각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a의 (b)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복수의 탭(400, 402)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 각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각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미확인 이벤트가, 미확인 SMS 메시지 1개 및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가 2개인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복수개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SMS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610)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612)을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도 6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또 다른 영역에 가상 키보드(450) 및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452)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입력 결과 화면(452)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a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들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된 문자들을 이용할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화면들(610, 612)에서, 어느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는지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들에 대한 정보들이 표시된 화면(612)에서, 어느 하나의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612a)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SNS 포스팅 메시지에 관련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도 6a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어느 하나의 SNS 포스팅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선택된 SNS 포스팅 메시지(612a)와 관련된 기능을 선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SNS 포스팅 메시지(612a)를 게시한 상대방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선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그래픽 객체(62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620)은 사용자가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에 근거하여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620)가 표시된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즉, 제어부(180)는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SNS 포스팅 메시지(620a)를 게시한 상대방에게, 상기 입력 결과 표시 화면(452)에 표시된 문자들을 응답 메시지 형태로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6b의 (d)는 이러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의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그래픽 객체(62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도 6b의 (d)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어느 하나의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620a)가 확인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SNS 포스팅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현재 미확인 SNS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620)에서 상기 확인된 SNS 포스팅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b의 (e)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600) 역시 이를 반영하여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미확인 이벤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600)의 주변에 표시된 미확인 이벤트의 개수를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개수만큼 감소시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미확인 이벤트가 더 이상 없는 경우, 해당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더 이상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b의 (f)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미확인 메시지가 도 6a의 (a) 내지 (c) 및 도 6의 (d) 내지 (e)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확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다시 잠금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로 재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화면에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60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종료되는 경우에도 재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화면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600)은, 도 6b의 (e)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술한 과정, 즉, 복수의 탭(400, 40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이 출력되고, 표시된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과정을 통해 확인된 이벤트의 개수가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잠금 화면에서만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600)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잠금 화면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600)이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6b의 (e)에서 미확인 이벤트들의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610, 612) 및 가상 키보드(450)와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되는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52)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600)을 더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 그래픽 객체들(6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것으로 판단되는 이벤트의 개수가 반영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한 문자들을 응답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선택된 SNS 포스팅 메시지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표시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6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감지된 복수의 탭(400. 402)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미확인 이벤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먼저 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가 SNS 포스팅 메시지인 경우, 상기 SNS 포스팅 메시지를 게시한 게시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이름, ID, 연락처) 및, 상기 SNS 포스팅 메시지의 전체 내용과 상기 SNS 포스팅 메시지가 게시된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가상 키보드(45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어느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출력하고, 다른 어느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도 6a의 (c)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을, 그래픽 객체(620)을 통해 현재 선택된 미확인 SNS 포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형태로 임의의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도 6b의 (d), (e), (f)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이벤트의 수가 미확인 이벤트의 표시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미확인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 복수의 탭을 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미확인 이벤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와 연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미확인 이벤트를 복수의 탭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바로 이와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남은 미확인 이벤트를, 상기 미확인 이벤트 각각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가상 키보드가 출력되는 영역을 제외한 다른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남은 미확인 이벤트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고, 이와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미확인 이벤트의 예로서 SMS 메시지 또는 SNS 포스팅 메시지등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미확인 이벤트는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미확인 이벤트로서, 미수신 통화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수신 통화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수신 통화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거나 상기 미수신 통화가 대응되는 상세 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미수신 통화의 상대방에게 가상 키보드(450)를 이용한 응답 메시지 전송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미수신 통화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는, 상기 미수신 통화의 상대방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이름이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6a 및 6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현재 이동 단말기에 발생한 미확인 이벤트에 관련하여 특정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선택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잠금 화면에서 바로 출력될 수 있는 가상 키보드(450)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관련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잠금 화면을 해제 및, 다수의 메뉴 화면을 거칠 필요 없이 바로 잠금 화면 상태에서 특정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SNS 포스팅, 또는 SMS 메시지의 전송등과 같은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는 이러한 기능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에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은, 메모 입력이나, 일정 관리, 또는 인터넷 검색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처럼 사용자의 탭 입력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웹 검색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7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 즉, 예를 들어 도즈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탭 감지부(141)의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진 제1 탭(400) 및 제2 탭(402)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탭(400) 및 제2 탭(402)는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가상 키보드(450) 및 상기 가상 키보드(450)를 통해 입력된 결과가 표시되는 입력 결과 표시 화면(452)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 키보드(450)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검색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검색 결과들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엔진(search engine)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엔진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검색 엔진별로 검색된 결과들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c)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7의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복수의 검색 엔진을 이용한 검색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엔진(Web1, Web2, Web3)별로 검색된 결과들을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검색 엔진(예를 들어 Web1)으로부터 검색된 결과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복수의 영역(700, 702, 70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영역(700, 702, 70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영역에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검색 엔진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선택된 검색 엔진으로부터 검색된 결과들만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d)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영역(700, 702, 704) 중 검색 엔진 Web1에서 검색된 결과들이 표시되는 영역(700)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검색 엔진 Web1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7의 (d)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검색 엔진 Web1로부터 검색된 결과들만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를 출력 및 상기 가상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웹 검색 기능과 연관되어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바로 웹 검색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형태의 가상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연관되어 실행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상기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실행되어 질 수 있는 기능으로, 문자 입력 기능과는 다른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의 형태가 아니라, 다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가상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출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가상 키패드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감지된 복수의 탭이, 한 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또는,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구분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 가상 키보드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가상 키보드나 가상 키패드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을 감지하기 위한 제1 기준횟수 또는 제2 탭을 감지하기 위한 제2 기준횟수에 근거하여 특정 가상 키보드의 출력을 결정하거나 또는 가상 키보드나 가상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인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하는 것만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두드리는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을 감지한다(S800). 상기 S80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을 이루는 제1 탭 및 제2 탭이 유효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최초의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최초의 탭이 제1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기준 횟수 이상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탭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가해진 제1 탭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제1 탭이 가해진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가해진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가해진 탭이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가해졌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탭이 유효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80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리어 케이스(202) 또는 프론트 케이스(201)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탭 감지부(141)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S800단계에서 유효한 복수의 탭, 즉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되고,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또는 환경 상태를 적어도 하나 감지한다(S802).
상기 S8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동작 상태 중인지, 또는 카메라 촬영 동작 중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S802단계에서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환경 상태에 대해서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환경 상태라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방향,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인지, 아래쪽 방향을 항하고 있는 상태인지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수평으로 뉘어져 있는 상태인지 또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8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 등,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환경을 더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S802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가 적어도 하나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 또는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S800단계에서 감지된 제1 탭 및 제2 탭의 감지 여부 또는 감지 위치 및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한다(S804).
제어부(180)는, 상기 S804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중인 경우 상기 통화 볼륨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현재 통화중인 내용이 녹음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디스플레이 모드인지 포트레이트(portrait) 디스플레이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가능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화면 또는 어느 하나의 기능이 직접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처럼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가해진 복수의 탭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위치, 그리고 현재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 또는 환경 상태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특정한 기능이 실행되거나 또는 현재 실행중인 기능을 제어하는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통화중인 상태라면, 상기 S800단계에서 감지된 제1 탭 및 제2 탭의 위치에 근거하여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 또는 현재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위한 기능을 선택하고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전화 통화 상태일 때 사용자의 탭에 근거하여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9a의 (a) 및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복수의 탭(900 또는 950)을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900 또는 950)이 가해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전화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상기 전화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다.
즉, 도 9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복수의 탭(900)이 가해진 위치가, 통화 스피커(902)가 이동 단말기(100)에 배치된 위치 또는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즉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뒷면의 리어 케이스(102) 일부분인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볼륨과 관련된 기능의 제어를 위해 가해진 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 9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가해진 복수의 탭(900)에 근거하여 통화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900)을 구성하는 제1 탭 및 제2 탭의 감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2 탭이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서 감지된 위치가,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위치보다 위쪽인 경우 상기 통화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상기 제2 탭이 감지된 위치가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위치보다 아래쪽인 경우에는 상기 통화 볼륨이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이 감지된 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중인 경우, 상기 통화 볼륨과 관련된 기능의 제어를 위한 탭이 감지되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탭의 감지 위치 및 탭의 횟수에 따라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통화 볼륨의 제어를 위한 탭이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보다 위쪽에 2회의 탭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통화 볼륨을 2단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통화 볼륨의 제어를 위한 탭이 감지된 위치보다 아래쪽에 2회의 탭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통화 볼륨을 2단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쪽 방향 및 아래쪽 방향이라는 것은, 상기 탭이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통화 스피커(902)가 배치된 방향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100) 통화 마이크(904)가 배치된 방향을 아래쪽으로 가정한 것이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의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통화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경우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탭이 1회 감지되면 상기 통화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제2 탭이 2회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통화 볼륨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b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복수의 탭(950)이 가해진 위치가, 통화 마이크(904)가 이동 단말기(100)에 배치된 위치 또는 사용자의 입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즉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에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뒷면 리어 케이스(102)의 일부분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950)을 전화 통화와 관련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950)이 감지되는 경우, 도 9b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종료 신호가 감지되기 전까지 상기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료 신호는 상기 전화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입력으로도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자의 임의의 입력은, 사용자가 다시 한번 복수의 탭(950)을 입력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상기 S800단계에서 감지된 제1 탭 및 제2 탭에 근거하여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들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기능들은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의 위치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인 경우라면, 상기 도 3 및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80)는,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라면,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특정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일 때, 사용자의 탭이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1000 또는 1050)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복수의 탭(1000 또는 1050)이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동 단말기(100)의 통화 스피커(902) 부분 또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위한 별도의 스피커가 있는 경우 상기 별도의 스피커가 배치된 위치에, 상기 복수의 탭(1000)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10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음악 재생을 위한 기능의 실행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10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음악 재생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또는 볼륨(volume))를 조절하거나, 재생되는 음악이 다른 음악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음악 재생기능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임의의 일 영역 중 상단부에서 탭이 추가로 감지되는 경우, 볼륨(또는 음량)을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임의의 일 영역 중 하단부에서 탭이 추가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볼륨이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임의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는 다른 일 영역 중 우측에서 탭이 추가로 감지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음악 다음에 재생될 음악이 바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임의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는 다른 일 영역 중 좌측에서 탭이 추가로 감지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재생되기 전에 재생되었던 음악이 다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동 단말기(100)의 통화 마이크(904) 부분 또는,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별도의 마이크가 있는 경우 상기 별도의 마이크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탭(1050)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10b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음향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기능의 실행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10b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레코딩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도 10a의 (b)의 설명에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레코딩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녹음되는 음향 신호의 볼륨을 조절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음향 신호가 녹음이 종료된 시간이 미리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가해진 탭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가 이동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위치는, 사용자가 통상적, 관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위치가 카메라(121a, 121b)가 배치된 부분일 경우, 카메라(121a, 121b)를 구동하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가한 탭의 위치가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 카메라(121a)가 배치된 위치 또는 그 주변일 경우, 전면 카메라(121a)를 구동하여 셀프 촬영 기능, 즉 전면 카메라(121a)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가한 탭의 위치가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 카메라(121b)가 배치된 위치 또는 그 주변일 경우, 후면 카메라(121b)를 구동하여 후면 카메라(121b)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전면 카메라(121a) 또는 후면 카메라(121b)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이미지를 화상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이 감지된 경우, 현재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수평으로 뉘어져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은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의 (a) 및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제어부(180)는 탭 감지부(141)의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수평으로 뉘어져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가해진 제1 탭(1100) 및 제2 탭(1102)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탭(1100) 및 제2 탭(1102)는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동영상 재생, 카메라 촬영,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청등 일반적으로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의 (b)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1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1의 (a)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수평으로 뉘어져 있는 상태에서 제1 탭(1100) 및 제2 탭(1102)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감지하여 랜드스케이프 디스플레이 모드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탭(1100) 및 제2 탭(1102)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들(1152, 1154, 1156)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1152, 1154, 1156)은 상기 랜드스케이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것들 일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1100. 1102)이 감지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즉 랜드스케이프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현재 감지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근거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이 바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들(1152, 1154, 1156)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가해지는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현재 실행되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11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그래픽 객체들(1152, 1154, 1156) 중 '카메라'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152)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카메라 기능과 관련된 기능, 즉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대한 추가적인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탭에 근거하여 현재 실행중인 카메라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복수의 탭이, 이동 단말기(100)의 플래쉬(223)가 배치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감지되는 경우라면, 플래쉬(223)의 온 또는 오프를 상기 사용자의 추가적인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154)를 선택하는 경우라면, 동영상 재생 기능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동영상 재생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1에서는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에,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복수 회의 탭이 아닌 탭 제스처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탭 제스처가 가해진 경우에,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연관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2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탭을 가한 이후, 각각의 탭이 가해진 위치에서 일정한 제스처(예를 들어 양방향 드래그:1200, 1202)를 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제스처(1200, 1202)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거나, 또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탭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단순히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와 구분하여, 탭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 중, 특정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탭 제스처(1200, 1202)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진이나 영화 또는 웹 상에 공개된 동영상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2의 (b)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탭 제스처(1200, 1202)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사진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영화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및 웹 상에 공개된 동영상을 바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된 동작 모드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현재 동작 모드에 포함된 각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1250, 1252, 1254)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이 상기 동작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탭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감지된 탭에 근거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기능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감지된 환경 상태에 따라 특정 동작 모드 상태로 동작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탭 또는 탭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에 원래의 동작 모드 또는 다른 새로운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인지 아래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의 환경 상태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대한 복수의 탭(1300)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감지하여 특정 동작 모드, 예를 들어 무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아래쪽 방향으로 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은, 도 1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통화 스피커(902)가, 통화 마이크(904)에 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세워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위쪽 방향으로 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은, 상기 통화 스피커(902)가, 통화 마이크(904)에 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수직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세워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자이로 센서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이동 단말기(100)의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또는 아래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아래쪽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복수의 탭(1300)이 가해지는 경우,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로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묵음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어떤 음향 신호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상기 묵음 수신(Incomming call mute) 모드는, 통화 요청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에 수신되는 경우, 벨소리나 알람 등의 음향 신호 대신, LED(Light Emitted Diode) 와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통화 요청 신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하는 동작 모드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회의실 또는 극장등과 같이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진입하는 경우, 단순히 이동 단말기(100)를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복수의 탭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가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이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1350)이 감지되는 경우, 도 13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가 위쪽을 향하고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결과, 이동 단말기(100)가 위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1350)이 현재 설정된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13의 (d)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묵음 모드 또는 묵음 수신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동작 모드로 재전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밝기에 따라 연관된 동작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주변의 밝기에 근거하여 연관된 동작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탭(1400, 1402)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조도 센서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1400, 1402)가 가해지는 경우, 홈 화면 또는 언락(unlock)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조도 센서의 감지값이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고, 어두운 환경 상태에 대응되게 기 설정된 밝기로 상기 홈 화면 또는 언락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두운 주변 상태에 대응되게 기 설정된 밝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 수준 미만의 밝기일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80)는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값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가 밝은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사용자 설정에 근거한 밝기로 상기 홈 화면 또는 언락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밝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1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비활성된 상태인 도즈 모드 상태에서, 복수의 탭(1400, 1402)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조도 센서의 밝기 감지 결과,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 1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통상적인 상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밝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 주변이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c)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주변이 어두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어두운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정보가 보다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컬러 화면 대신, 흑백으로 처리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함으로써, 흑백 명암차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간략한 정보 및, 현재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들은, 음악의 재생이나 녹음 기능, 또는 플래쉬의 온/오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도 실행 가능한 기능들 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들의 목록은 그래픽 객체들(1420)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객체들(1420)은 통상의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이 밝은 상태일 때 보다, 더 큰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화면의 밝기 및 상기 그래픽 객체들(1420)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밝기 감지 결과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뿐만 아니라,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화면의 밝기 및 실행 가능한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사용자의 한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또는 사용자의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사용자의 한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또는 사용자의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각도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영역 사이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각도들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된 각도 간의 차가 일정 수준 이하로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한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수회 탭을 감지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각도들 사이의 차이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상기 감지된 각도들이 서로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수 회 탭을 감지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탭을 가하는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탭이 서로 다른 손가락을 통해 가해졌음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사용자의 한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또는 사용자의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각각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한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로 한손 또는 하나의 손가락이 이용되는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이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로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이 이용되는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a와 15b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본체에 가해진 탭의 상태에 근거하여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5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도즈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탭(1500, 1502)을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탭(1500, 1502)이 가해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탭(1500, 1502)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1500, 1502)이 감지된 위치가 서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1500, 1502)을 사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5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문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151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문자 입력 기능의 경우, 가상 키보드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상 키보드와 같이 다수의 키를 이용하는 경우, 한 손의 손가락으로 입력하는 것보다, 양손 손가락으로 입력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5b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도즈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손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수의 탭(1550, 1552)을 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탭(1550, 1552)이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탭(1500, 1502)이 감지된 위치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탭(1500, 1502)가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5b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전화통화, 주소록 검색, 카메라 기능등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156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기능들이, 상기 문자 입력 기능과는 달리,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할 키가 많지 않으므로,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서도 충분히 상기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즈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손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수의 탭을 가하는 경우, 기 설정된 홈 화면에 배치된 그래픽 객체들(156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가 한손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수의 탭을 가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가해진 복수의 탭이, 단순히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 상태(웨이크 업(wake up) 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인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관련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후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선택된 문자 입력 관련 기능과 연관되어 처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을 문자 입력 기능이 아니라 다른 기능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실행될 기능으로 특정 음악 파일을 이용하는 기능을 선택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탭이 가해지는 경우 특정 음악 파일을 선곡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특정 음악 파일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해당 음악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연관된 기능, 즉 벨소리 설정이나, 알람 설정, 또는 음악 재생 기능 등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현재 선곡된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감지된 복수의 탭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그래픽 객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미확인 이벤트 중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연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에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 정보 및, 상기 가상 키보드를 각각 출력하며,
    상기 화면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미확인 이벤트와 연관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대응되는 미확인 이벤트가 확인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상기 확인된 상태를 반영하며,
    상기 확인된 상태가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또 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고, 상기 복수 회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에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된 경우,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탭이 서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감지된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이동 단말기의 본체를 두드리는 복수의 탭(tap)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수의 탭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가해졌는지 또는 서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가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상기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가해진 경우와 서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가해진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및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이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어두운 주변 상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밝기 또는 기존의 사용자 설정에 근거한 밝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가 통화 볼륨의 조절과 관련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가 상기 통화 볼륨의 조절과 관련된 위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볼륨의 조절과 관련된 위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스피커가 위치한 부분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사용자의 귀가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 뒷면의 일 부분이며,
    상기 통화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가 사용자의 입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 마이크가 위치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이동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복수 회 감지되면 감지된 복수의 탭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기능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 수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며, 상기 가상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선택받은 기능에 연관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들은,
    적어도 하나의 게임 기능 또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임 기능 또는 문자 입력 관련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게임 기능을 위한 가상 키패드 또는 상기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위한 가상 키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138463A 2013-11-14 2013-11-14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5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463A KR20150055904A (ko) 2013-11-14 2013-11-14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20140190395 EP2874051A1 (en) 2013-11-14 2014-10-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528,588 US9733828B2 (en) 2013-11-14 2014-10-30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10645965.6A CN104639738A (zh) 2013-11-14 2014-11-14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463A KR20150055904A (ko) 2013-11-14 2013-11-14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04A true KR20150055904A (ko) 2015-05-22

Family

ID=5339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463A KR20150055904A (ko) 2013-11-14 2013-11-14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554A (ko) * 2019-08-22 2021-09-08 주식회사 오핀 큐알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이의 결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554A (ko) * 2019-08-22 2021-09-08 주식회사 오핀 큐알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이의 결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82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151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17905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33850B1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KR1018802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596842B1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5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0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314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2011031238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51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920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1795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전자 노트 시스템
KR1016794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4988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101599807B1 (ko)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3342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992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34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59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776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