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719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719A
KR20140051719A KR1020120118095A KR20120118095A KR20140051719A KR 20140051719 A KR20140051719 A KR 20140051719A KR 1020120118095 A KR1020120118095 A KR 1020120118095A KR 20120118095 A KR20120118095 A KR 20120118095A KR 20140051719 A KR20140051719 A KR 20140051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display unit
indicator bar
icons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719A/ko
Priority to US13/795,037 priority patent/US9280263B2/en
Publication of KR2014005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복잡한 조작을 야기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 실행 아이콘을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멀티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 바의 모양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멀티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포 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기능 설정에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인접한 일 영역에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상기 객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스크롤 바를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바에 대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되, 상기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화된 터치 제스처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진입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에 필요한 사용자의 조작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결국,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4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이하, '사용자 추적부'라고 칭함)(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추적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추적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적외선 센서(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복잡한 조작을 야기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기능 실행 아이콘을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화면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홈 스크린(home screen), 독 스크린(dock screen), 커버 플로우(cover flow), 웹 페이지(web page) 및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일 방향으로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 플리크 입력 및 슬라이드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기 설정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복수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인디케이터 바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실행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단말기 본체의 기능 설정과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바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면적 이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인디케이터 바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를 검출하고,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디스플레이부(151)에 드래그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감지부(140)는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의 지속 시간,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방향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지속 시간,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화된 터치 제스처로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진입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에 필요한 사용자의 조작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결국,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화면 정보, 예를 들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터치 입력, 예를 들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된 터치 입력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 바(252)와 인접한 일 영역에 객체(select cue)(253)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253)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터치 지점과 동일선상에 배치된 아이콘과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를 참조하면,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객체(25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길이만큼 객체(25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전체 화면의 길이 대비 드래그 입력의 길이, 즉, 전체 화면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길이의 비율만큼 객체(25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객체(253)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를 통해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객체(253)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252a)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252a)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퀵 보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디스플레이부(251)에 퀵 보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로서, 터치 입력의 종류 및 터치 입력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화면 정보, 예를 들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왼쪽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도 5의 (a) 및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를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의 모양을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화면 정보, 예를 들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1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아이콘들이 가로로 배열된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253)도 제 1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터치 입력의 이동에 연동하여 객체(253)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 바(252)는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또 다른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업 키 또는 사이드 다운 키에 인가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반면, 도 6의 (a) 및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아이콘들이 원형으로 배열된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속되는 제 2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및 객체(253)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제 2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객체(253)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로서,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에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표시할지, 아니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표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화면 정보, 예를 들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 예를 들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의 제조 과정에서 개발자들에 의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제어부(180)가 랜덤하게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제어부(180)가 사용자의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반면, 도 7의 (a) 및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터치 입력, 예를 들어, 2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화면에서,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의 배치 방법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에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들을 표시할지, 아니면, 단말기 본체의 기능 설정과 관련된 아이콘들을 표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 예를 들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바(252)에는 사진 촬영 아이콘, 공유 아이콘, 잘라내기(crop)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면, 도 8의 (a) 및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터치 입력, 예를 들어, 2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기능 설정과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바(252)에는 와이파이 실행 아이콘, 블루투스 실행 아이콘, 진동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에 터치 입력, 예를 들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드래그 입력의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객체(25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드래그 입력이 화면의 아래쪽을 향해 진행됨에 따라, 객체(253)도 화면의 아래쪽에 위치한 아이콘(252a)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객체(253)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252a)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252a)에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아이콘의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아이콘 편집을 위한 팝업 창(254)을 표시할 수 있다.
팝업 창(254)에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추가할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팝업 창(254)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54a)이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와이파이 실행 아이콘(252b)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되는 아이콘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와이파이 실행 아이콘(252b)을 인디케이터 바(252)에서 사라지게 하고, 그 자리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54a)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바(252)에 스크롤 바(255)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1)에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고, 드래그 입력이 화면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까지 계속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스크롤 바(255)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스크롤 바(255)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크롤링이란,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의 양이 한 화면 분량을 넘는 경우, 정보 전체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링이 수행됨에 따라, 인디케이터 바(252)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 예를 들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객체(253)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252a)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되는 오른쪽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252a)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퀵 보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디스플레이부(251)에 퀵 보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되는 오른쪽 방향의 터치 입력을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팝업 창(256)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되는 왼쪽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252a)을 인디케이터 바(252)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콘(252a)이 사라짐에 따라,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새롭게 포함될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 바(252)에 새롭게 포함될 아이콘은 아이콘들의 우선 순위 정보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에 의해 아이콘이 선택되는 과정에 대해, 도 13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되는 왼쪽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새롭게 포함될 아이콘을 선택 받기 위한 팝업 창(257)을 표시할 수 있다.
팝업 창(257)에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추가할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팝업 창(257)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볼륨 조절 아이콘(257a)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바(252)에는 선택된 아이콘(퀵 보이스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52a)이 사라지고, 볼륨 조절 아이콘(252b)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4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를 참조하면,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 예를 들어, 3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멀티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객체(253)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 예를 들어, 연락처 아이콘(252a)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되는 오른쪽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연락처 아이콘(252a)과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258)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오른쪽 방향의 터치 입력의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관련된 아이콘들(258)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관련된 아이콘들(258)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관련된 아이콘들(258)은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로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동작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포 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 또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또는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252a)가 선택되는 경우,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252a)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예를 들어, 웹 사이트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이미지의 제어와 관련된 아이콘들 또는 이미지를 이용한 기능 실행과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공유 아이콘(252a)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공유 아이콘(252a)과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258)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련된 아이콘들(258)은 이미지를 공유할 대상으로서, 복수의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복수의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대상으로서, 복수의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25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 바(252)에 포함된 연락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252a)가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선택된 연락처 아이콘(252a)과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258)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련된 아이콘들(258)은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로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다른 단말기에 대한 미러링 기능(miracast)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 바(252)는 다른 단말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멀티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 바의 모양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멀티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포 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터치 입력과 다른 제 2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기능 설정에 관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인접한 일 영역에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상기 객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아이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스크롤 바를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바에 대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스크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방향의 터치 입력에 연속하는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되,
    상기 제 2 방향의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관련된 다른 아이콘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화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를 상기 화면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118095A 2012-10-23 2012-10-2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1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95A KR20140051719A (ko) 2012-10-23 2012-10-2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3/795,037 US9280263B2 (en) 2012-10-23 2013-03-1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95A KR20140051719A (ko) 2012-10-23 2012-10-2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719A true KR20140051719A (ko) 2014-05-02

Family

ID=5048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095A KR20140051719A (ko) 2012-10-23 2012-10-2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0263B2 (ko)
KR (1) KR20140051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8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툴바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091B2 (en) 2010-06-04 2017-0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US9792017B1 (en) 2011-07-12 2017-10-17 Domo, Inc. Automatic creation of drill paths
US9202297B1 (en) 2011-07-12 2015-12-01 Domo, Inc. Dynamic expansion of data visualizations
US10001898B1 (en) 2011-07-12 2018-06-19 Domo, Inc. Automated provisioning of relational information for a summary data visualization
USD745540S1 (en) * 2012-01-06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0299S1 (en) * 2012-10-17 2015-10-06 Aol In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40115483A1 (en) 2012-10-18 2014-04-24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organizing electronic content
KR101990036B1 (ko) 2012-10-31 201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025459B2 (en) * 2013-03-14 2018-07-17 Airwatch Llc Gesture-based workflow progression
US10073587B2 (en) * 2013-05-29 2018-09-1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mp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EP2816761A1 (en) * 2013-06-17 2014-12-24 Thomson Licensing Wifi display compatible network gateway
USD745533S1 (en) * 2013-08-27 2015-12-1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6302S1 (en) * 2013-09-03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2078S1 (en) * 2013-10-03 2016-03-22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98162B2 (en) 2014-05-30 2018-02-20 Apple Inc.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US9971500B2 (en) 2014-06-01 2018-05-15 Apple Inc. Displaying options, assigning notification, ignoring messages, and simultaneous user interface displays in a messaging application
USD765669S1 (en) * 2014-06-10 2016-09-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15816B1 (ko) * 2014-07-09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9509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160034776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D768676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6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7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274S1 (en) * 2015-02-11 2016-08-09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098752A (ko) * 2015-02-11 2016-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D768677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434339B2 (ja) * 2015-02-25 2018-12-0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351500B1 (ko) * 2015-05-12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3135A (ko) * 2015-06-04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D791164S1 (en) * 2015-08-05 2017-07-0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748669B1 (ko) 2015-11-12 2017-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74358B2 (en) * 2016-02-29 2019-11-12 Google Llc Computing devices having dynamically configurable user inpu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0620812B2 (en) 2016-06-10 2020-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11543936B2 (en) 2016-06-16 2023-01-03 Airwatch Llc Taking bulk actions on items in a user interface
EP3333688B1 (en) * 2016-12-08 2020-09-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562327B (zh) * 2017-10-27 2020-12-0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邮箱账号的管理方法和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US11171910B2 (en) 2019-10-02 2021-11-09 Facebook, Inc. Social network status
US11216169B2 (en) * 2019-10-02 2022-01-04 Facebook, Inc. Social network inter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3543T2 (de) * 1994-12-13 2002-04-04 Microsoft Corp Taskbar mit Startmenü
US7030861B1 (en) * 2001-02-10 2006-04-18 Wayne Carl Westerma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US7814439B2 (en) * 2002-10-18 2010-10-12 Autodesk, Inc. Pan-zoom tool
US20070136690A1 (en) * 2005-12-12 2007-06-14 Microsoft Corporation Wedge menu
JP5203797B2 (ja) * 2008-05-13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表示情報編集方法
US8245156B2 (en) * 2008-06-28 2012-08-14 Apple Inc. Radial menu selection
US8493344B2 (en) * 2009-06-07 2013-07-2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DE102009024656A1 (de) * 2009-06-12 2011-03-24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e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JP5315415B2 (ja) * 2009-08-31 2013-10-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gui)環境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に対するメニュー選択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9367205B2 (en) *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20120030566A1 (en) * 2010-07-28 2012-02-02 Victor B Michael System with touch-based selection of data items
US9104308B2 (en) * 2010-12-17 2015-08-11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touch finger registration and its applications
US8826128B2 (en) * 2012-07-26 2014-09-02 Cerner Innovation, Inc. Multi-action rows with incremental gestures
US9195368B2 (en) * 2012-09-13 2015-11-24 Google Inc. Providing radial menus with touchscre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8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툴바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5455A1 (en) 2014-04-24
US9280263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683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954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1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31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900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2715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14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9521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1305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181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770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1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91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685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411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5866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753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05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8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4492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