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530A -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530A
KR20110080530A KR1020100000798A KR20100000798A KR20110080530A KR 20110080530 A KR20110080530 A KR 20110080530A KR 1020100000798 A KR1020100000798 A KR 1020100000798A KR 20100000798 A KR20100000798 A KR 20100000798A KR 20110080530 A KR20110080530 A KR 2011008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mark
repeat
playback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938B1 (ko
Inventor
주종성
서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38B1/ko
Priority to US12/984,876 priority patent/US8839108B2/en
Priority to CN201180005552.6A priority patent/CN102714514B/zh
Priority to EP11731900.4A priority patent/EP2522079B1/en
Priority to PCT/KR2011/000049 priority patent/WO2011083962A2/en
Priority to AU2011204097A priority patent/AU2011204097B2/en
Priority to JP2012547955A priority patent/JP5739451B2/ja
Publication of KR2011008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구간 반복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을 위한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바를 따라 이동시켜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반복 재생 구간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F REPEAT PLAYING S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파일의 반복 재생 구간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함께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 예컨대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사진 촬영 기능, 음악 감상 기능,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 이메일(E-mail) 서비스 기능,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오디오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멀티 미디어 재생 기능은 일정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구간 반복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은 기 설정된 키 입력을 통해 시작 위치를 설정하고, 종료 위치까지 재생되도록 기다리거나 스킵 동작을 통해 종료 설정하고가 하는 위치로 이동 후 키 입력을 통해 종료 위치를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구간 변경 시 종래에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 어느 하나만을 변경할 수 없고,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동시에 재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간 반복 설정 방법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구간 반복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을 위한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바를 따라 이동시켜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는 상기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반복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완료 신호 입력 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이용하여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 재생 구간의 재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고,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 정보를 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오디오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이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MP3 플레이어,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 PMP) 등을 포함한다. 덧붙여,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를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130), 입력부(140), 무선 통신부(150) 및 오디오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부(131) 및 터치 패널(132)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120)는 멀티미디어 파일 저장 영역(121)과 재생 제어 정보 저장 영역(122)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140)는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키 및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40)는 구간 반복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축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40)는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출력되는 구간 선택 마크를 이동시키는 기능키(예컨대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마크는 입력부(140)의 좌우 방향키 신호에 따라 이동되고, 구간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종료 마크는 상하 방향키 신호에 따라 이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130), 일반적인 키 배열의 버튼식 키패드, 쿼티 방식의 버튼식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화 기능에 필요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5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고, 상승 변환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상기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저잡음 증폭된 수신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수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외부(웹 서버,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 등)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저장부(120)의 멀티미디어 파일 저장 영역(121)에 저장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16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하거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키 입력음, 기능 실행에 따른 효과음 및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OS),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신호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오디오 파일,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저장 영역(121)과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제어 정보(예컨대, 볼륨 정보, 음색 정보, 전체 재생 시간 정보, 반복 재생 구간 정보 등)를 저장하는 재생 제어 정보 저장 영역(122)을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저장 영역(121)은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화면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131)와 터치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32)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1)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에 따라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 키 조작 등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설정 정보 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1)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화상 통화 화면, 문서 편집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1)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 및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을 위한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AM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표시부(131)의 전면에 장착되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입력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입력 이벤트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멀티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및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중 구간 반복 기능이 활성화되면, 구간 선택 마크를 표시부(13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간 선택 마크는 시작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시작 마크와 끝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종료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생 바를 따라 상기 시작 마크 및 종료 마크를 이동시킴으로써 반복 재생할 구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구간 반복 기능 해제 신호가 입력되기 이전까지 설정된 구간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구간 선택 마크의 터치 이동 후 상기 구간 선택 마크의 터치 해제 이벤트 및 기 설정된 재생 신호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부(120)의 재생 제어 정보 영역(122)에 저장하거나, 상기 재생 제어 정보 영역(122)에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을 호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201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은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오디오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표시부(131)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이하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현재 재생 위치 및 전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바,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의 옵션 메뉴(구간 반복 기능, 다음곡 재생, 이전곡 재생, 일시 정지, 재생 모드 변경, 불러오기, 저장하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203 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205 단계에서 구간 반복 기능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간 반복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217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재생 속도 증가를 요청하는 메뉴가 활성화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음 파일 재생을 요청하는 메뉴가 활성화되는 경우 리스트상에서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다음에 위치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간 반복 기능이 활성화 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207 단계로 진행하여 반복 재생할 구간을 선택하는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간 선택 마크는 반복 재생할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마크와 끝 위치를 나타내는 종료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이용하여 반복 재생하고자 하는 구간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130)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구간 선택 마크(시작 마크, 종료 마크)를 터치한 상태에서 재생바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209 단계에서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구간 선택 마크의 터치 해제 이벤트 발생 시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설정된 구간의 반복 재생을 요청하는 재생 소프트 키 입력 이벤트 발생 시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207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10)는 211 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구간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213 단계에서 구간 반복 기능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간 반복 기능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11 단계로 복귀하고, 구간 반복 기능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215 단계로 진행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2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터치를 이용하여 반복 재생을 구간을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방향키, 조그키,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마크 또는 종료 마크를 선택한 후 방향키 또는 조그키를 이용하여 시작 마크 또는 종료 마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노트북과 같이 마우스를 포함하는 경우 마우스를 이용하여 시작 마크 또는 종료 마크를 선택(클릭)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고, 선택(클릭)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요청하면 제어부(110)는 참조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표시부(13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부호 310의 화면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은 표시부(131)의 일부 영역에 팝업창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참조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에서, 참조 부호 301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현재 재생 시간(306) 및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305)을 나타내는 재생바이다. 상기 재생바(301)는 재생 진행에 대응하여 특정 색상으로 채워져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재생바(301)는 재생 진행 정도에 따라 재생바(30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 302는 구간 반복 기능을 활성화하는 구간 반복 소프트키이고, 참조 부호 300은 이전 파일 재생 소프트키(31), 일시 정지 소프트키(32) 및 다음 파일 재생 소프트키(33)를 포함하는 메뉴키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304는 리스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모드(리스트에 포함된 파일을 순서대로 재생하는 일반 재생(Normal) 모드, 리스트에 포함된 파일을 랜덤한 순서로 재생하는 랜덤 재생(Shuffle) 모드, 선택된 파일을 반복 재생하는 반복 재생(Repeat)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재생 모드 소프트키 표시 영역이고, 참조 부호 307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리스트를 출력하는 리스트 소프트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 3의 색인 "A"는 시작 마크임을 나타내고, 색인 "B"는 종료 마크임을 의미한다.
상기 참조 부호 31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구간 반복 소프트키(302)를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터치 패널(132)을 통해 입력되는 구간 반복 소프트키(302)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응답하여 참조 부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 재생할 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구간 선택 마크(321, 32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참조 부호 321은 반복 재생 구간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마크이고, 참조 부호 322는 반복 재생 구간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종료 마크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를 현재 재생 위치(1분 18초 이하 01:18)에 출력하고, 재생바(301)를 기준으로 시작 마크(321)를 상단에 출력하고, 종료 마크(322)를 하단에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는 상단 또는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31)의 일 측에는 상기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의 위치를 시각 정보로 나타내는 시각 정보창(323)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구간 반복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리스트 소프트키(307)는 구간 반복 기능을 해제하는 해제 소프트키(324),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는 저장 소프트키(325) 및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 정보를 호출하는 불러오기 소프트키(326)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모드 소프트키 표시 영역(304)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구간 반복 소프트키(302)는 화면에서 사라지거나, 상기 구간 반복 소프트키(302)는 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참조 부호 320과 같은 상태에서 이벤트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시작 마크(321)는 구간 반복 기능이 활성화된 시각 "01:18"에 고정되고, 종료 마크(322)는 멀티미디어 재생에 상응하여 재생바(30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 부호 320의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없이 20 초가 흐른 것으로 가정하면, 참조 부호 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마크(321)는 "01:18"의 위치에 있고, 종료 마크(322)는 "01:38"의 위치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일시 정지 소프트키(32)를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및 종료 마크(322)의 이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시 정지 소프트키(32)는 재생 소프트키(34)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소프트키(34)의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110)는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가 위치하는 "1:18"에서 "1:38" 사이의 구간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부호 320 또는 3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반복 재생할 구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 부호 3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종료 마크(322)를 "1:58"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60)는 기 설정된 음(예컨대 빠른 탐색음)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시각 정보창(323)은 상기 종료 마크(322)의 이동에 따라 시각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종료 마크(132)의 터치 해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시작 마크(321)의 위치에서부터 종료 마크(322)의 위치까지의 구간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1:18"에서 "1:58"로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구간 반복 해제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 부호 34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작 마크(321)를 이동시켜 반복 재생 구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참조 부호 340 및 3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작 마크(321)를 터치하여 "1:28"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60)는 기 설정된 효과음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시각 정보창(323)은 상기 시작 마크(321)의 이동에 따라 시각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시작 마크(131)의 터치 해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1:28"에서 "1:58"로 설정된 구간을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36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구간을 재생하는 도중 일시 정지 소프트키(32)가 터치되면, 제어부(110)는 구간 반복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일시 정지 소프트키(32)는 참조 부호 37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재생 소프트키(34)로 변경된다. 상기 참조 부호 37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제 소프트키(324)를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구간 반복 기능을 해제하고, 참조 부호 3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부호 380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표시부(131)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구간 선택 마크(321, 322) 및 시각 정보창(323)을 제거하고, 상기 비활성화되었던 재생 모드 선택 소프트키 표시 영역(304)을 활성화하며, 상기 해제 소프트키(324), 저장 소프트키(325) 및 불러오기 소프트키(326)를 리스트 소프트키(307)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일시 정지 후 구간 반복 기능을 해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간 반복 재생 중에 상기 해제 소프트키(324)의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면 구간 반복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복 재생 구간 설정 후 상기 저장 소프트키(325)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은 각 멀티미디어 파일에 매핑되어 저장되고,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 삭제 시 함께 삭제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반복 재생 구간 정보가 매핑된 멀티미디어 파일 삭제 시 상기 반복 재생 구간 정보의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을 출력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불러 오기 소프트키(326)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기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 정보를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하여 표시부(13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시작 마크(321)와 종료 마크(322)를 각각 터치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시작 마크(321)와 종료 마크(322)를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 터치를 통해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를 동시에 이동시켜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요청하면, 제어부(110)는 참조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 중이므로 메뉴키 영역(300)에는 이전 곡 재생 소프트키(31), 일시 정지 소프트키(32) 및 다음 곡 재생 소프트키(33)가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구간 반복 소프트키(302)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중지하고, 참조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를 재생바(301)의 일측 끝(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작 위치)와 타측 끝(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종료 위치)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이 중지됨에 따라 상기 일시 정지 소프트키(32)는 재생 소프트키(34)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 창(323)은 색인 정보(A, B)만을 출력하고, 시각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시각 정보창(323)은 시작 마크(321)에 대응하여 "00:00"을 출력하고, 종료 마크(322)에 대응하여 전체 재생 시각(03:54)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반복 재생할 구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참조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시작 마크(321)를 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부호 430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마크(321)를 "1:38"의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 정보창(323)은 구간 반복의 시작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색인 정보 "A" 에 대응하여 시각 정보 "1:38"를 출력하고, 색인 정보 "B"에 대응하여 시각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4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반복 재생할 구간의 끝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종료 마크(322)를 터치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종료 마크(322)가 시작 마크(321)의 위치까지 이동된 경우 종료 마크(322)가 시작 마크(321)의 왼쪽에 위치하지 못하도록 종료 마크(322)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 부호 4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 마크(322)를 "3:02"의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 정보창(323)은 시작 위치를 알리는 색인 정보 "A"와 시각 정보 "1:38"를 출력하고, 끝 위치를 알리는 색인 정보 "B"와 시각 정보 "3:02"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가 역방향 재생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종료 마크(322)는 시작 마크(321)의 왼쪽에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설정된 구간을 역방향으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이 완료되면, 참조 부호 440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설정된 구간을 반복 재생하기 위하여 재생 소프트키(34)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소프트키(34)의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1:38"에서 "3:02"로 설정된 구간을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반복 재생 도중 참조 부호 4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반복 해제 소프트키(324)가 터치되면, 제어부(110)는 구간 반복을 종료하고, 참조 부호 4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구간 반복 시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시 시작 위치를 설정한 후 종료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종료 위치를 설정한 후 시작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 예에서는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이 중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제1실시 예와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중지하지 않고, 재생바(301)의 처음 및 끝 위치에 구간 선택 마크(321, 322)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요청하면, 제어부(110)는 참조 부호 510과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구간 반복 소프트키(302)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참조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마크와 종료 마크임을 알리는 색인 표시가 없는 미색인 마크(521)를 현재 재생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할 때가지 상기 미색인 마크(521)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에 상응하여 이동되고, 상기 시각 정보창(323)은 색인 "A" 및 색인 "B"에 현재 재생 위치에 해당하는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미색인 마크(521)를 특정 방향(앞 또는 뒤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사용자가 미색인 마크(521)를 왼쪽 방향(멀티미디어 파일의 역재생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10)는 이동 후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시작 마크(321)를 출력하고, 터치 이동 전 재생 위치에 종료 마크(32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참조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제어부(110)는 "00:46"의 위치에 시작 마크(321)를 출력하고, "01:18"의 위치에 종료 마크(322)를 출력한 후, 설정된 구간("00:46" ~ "01:18")을 반복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종료 마크(322)를 이동하여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 부호 5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 마크(322)를 "01:38"의 위치로 이동시켜 반복 재생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마크(322)의 터치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설정된 구간("00:46" ~ "01:38")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참조 부호 550의 화면 예시도는 상기 참조 부호 540의 화면 예시도에서 종료 마크(322)의 터치 해제 이벤트 발생 후 10초가 경과한 화면이다. 상기 반복 재생 중 해제 소프트키(324)의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구간 반복 기능을 해제하고, 참조 부호 56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참조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색인 마크(521)를 오른쪽 방향(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미색인 마크(521)는 상기 오른쪽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 정보 창(323)의 색인 "A" 및 "B"의 재생 시각은 미색인 마크(521)의 이동에 상응하여 변경되고, 시작 마크(321) 및 종료 마크(322)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 재생 구간의 재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고,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 정보를 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31 : 표시부
132 : 터치 패널
140 : 입력부
150 : 무선 통신부
160 : 오디오 처리부

Claims (23)

  1.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구간 반복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
    반복 재생 구간 설정을 위한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바를 따라 이동시켜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는 과정; 및
    기 저장된 반복 재생 구간을 호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반복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각 정보창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정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구간 선택 마크의 터치 이동 후 터치 해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과정; 및
    기 설정된 재생 신호 입력 시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은
    구간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 및
    구간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종료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시작 마크 및 종료 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여 상기 재생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시작 마크 및 상기 종료 마크를 현재 재생 위치에 각각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시작 마크 및 상기 종료 마크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이동 이벤트 발생 이전까지 상기 시작 마크를 상기 현재 재생 위치에 고정하는 과정; 및
    상기 종료 마크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에 대응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시작 마크를 상기 재생바의 일측 끝에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종료 마크를 상기 재생바의 타측 끝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은
    미색인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색인 마크는
    터치 이동 이벤트 발생 이전까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역재생 방향으로 상기 미색인 마크의 터치 이동이 발생하는 과정;
    상기 미색인 마크의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에 시작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터치 이동 전 재생 위치에 종료 마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방향으로 상기 미색인 마크의 터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미색인 마크를 상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16.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반복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 선택 마크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완료 신호 입력 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를 이용하여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반복 재생 구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선택 마크는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마크와 상기 반복 재생 위치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종료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간 선택 마크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각 정보창을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 반복 기능 활성화 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 선택 마크의 터치 해제 이벤트 및 기 설정된 재생 신호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반복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멀티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장치.
KR1020100000798A 2010-01-06 2010-01-06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91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98A KR101691938B1 (ko) 2010-01-06 2010-01-06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US12/984,876 US8839108B2 (en) 2010-01-06 2011-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ction of a multimedia file with a progress indicator in a mobile device
CN201180005552.6A CN102714514B (zh) 2010-01-06 2011-01-05 用于在移动装置中设置多媒体文件的片段的方法和设备
EP11731900.4A EP2522079B1 (en) 2010-01-06 2011-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ction of a multimedia file in mobile device
PCT/KR2011/000049 WO2011083962A2 (en) 2010-01-06 2011-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ction of a multimedia file in mobile device
AU2011204097A AU2011204097B2 (en) 2010-01-06 2011-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ction of a multimedia file in mobile device
JP2012547955A JP5739451B2 (ja) 2010-01-06 2011-01-05 携帯端末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区間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98A KR101691938B1 (ko) 2010-01-06 2010-01-06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530A true KR20110080530A (ko) 2011-07-13
KR101691938B1 KR101691938B1 (ko) 2017-01-03

Family

ID=442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798A KR101691938B1 (ko) 2010-01-06 2010-01-06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39108B2 (ko)
EP (1) EP2522079B1 (ko)
JP (1) JP5739451B2 (ko)
KR (1) KR101691938B1 (ko)
CN (1) CN102714514B (ko)
AU (1) AU2011204097B2 (ko)
WO (1) WO20110839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093A (ko) * 2012-12-20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610B1 (ko) * 2010-05-06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10108706B2 (en) * 2011-09-23 2018-10-23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 representation of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a digital work
JP5930709B2 (ja) * 2011-12-27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901929B1 (ko) * 2011-12-28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9386357B2 (en) * 2012-04-27 2016-07-05 Arris Enterprises, Inc. Display of presentation elements
US10198444B2 (en) * 2012-04-27 2019-02-05 Arris Enterprises Llc Display of presentation elements
US10389779B2 (en) 2012-04-27 2019-08-20 Arris Enterprises Llc Information processing
KR101976178B1 (ko) * 2012-06-05 201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6188295B2 (ja) * 2012-08-21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4375763B (zh) * 2013-08-15 2018-03-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进度调节方法及电子设备
US9354797B2 (en) * 2013-01-14 2016-05-31 Lenovo (Beijing) Co., Ltd. Progress adjust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047696B1 (ko) * 2013-02-20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716706A (zh) * 2013-12-06 2014-04-0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播放进度与显示进度同步的方法及装置
KR102059882B1 (ko) * 2014-05-28 2019-12-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재생을 위한 방법 및 단말기
KR102350770B1 (ko) * 2014-12-16 2022-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610993B (zh) * 2015-10-23 2019-12-10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视频预览的展示方法、装置
CN105654974B (zh) * 2015-12-28 2019-07-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多媒体播放装置及方法
CN105657546A (zh) * 2015-12-29 2016-06-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及终端
CN105657518A (zh) * 2016-02-04 2016-06-08 厦门幻世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动画的方法及装置
US10983688B2 (en) * 2016-06-12 2021-04-20 Apple Inc. Content scrubber bar with real-world time indications
CN106896997B (zh) 2016-06-28 2020-11-1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滑动控件控制方法及装置、滑块选择器
JP6687288B2 (ja) * 2016-07-28 2020-04-22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再生制御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CN106993097B (zh) * 2017-03-31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乐播放方法及移动终端
CN110652190B (zh) * 2018-06-29 2022-12-0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菜单的显示方法和装置、烹饪器具
CN108920060A (zh) * 2018-07-06 2018-11-30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音量的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GB2575975A (en) * 2018-07-27 2020-02-05 Less Is Mor Lt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for generating and selecting media data
CN113852852A (zh) * 2020-06-28 202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6719444A (zh) * 2022-09-19 2023-09-08 荣耀终端有限公司 打开文件的方法、创建项目快捷方式的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711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파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KR20080101414A (ko) * 2007-05-18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872A (ja) * 1995-03-30 1996-10-18 Toppan Printing Co Ltd 音声記録システム
US6351765B1 (en) * 1998-03-09 2002-02-26 Media 100, Inc. Nonlinear video editing system
US6262724B1 (en) * 1999-04-15 2001-07-17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media information
KR100357242B1 (ko) * 1999-12-06 2002-10-18 박규진 디지탈데이터 맵핑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반복재생방법
US20050045373A1 (en) * 2003-05-27 2005-03-03 Joseph Born Portable media device with audio prompt menu
CN1853407A (zh) 2003-09-15 2006-10-25 联合视频制品公司 利用交互式电视应用输出数字内容的系统和方法
KR100582956B1 (ko) 2003-11-28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기기에서의 구간 반복 재생방법
KR100595421B1 (ko) 2004-02-19 2006-07-05 김성철 미디어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JP4438994B2 (ja) * 2004-09-30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の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データの編集方法
US7890867B1 (en) * 2006-06-07 2011-02-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deo editing functions displayed on or near video sequences
JP4906874B2 (ja) * 2006-12-19 2012-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tv番組録画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DE202007014957U1 (de) * 2007-01-05 2007-12-27 Apple Inc., Cupertino Multimedia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Berührungsbildschirm, der auf Gesten zur Steuerung, Manipulierung und Editierung von Mediendateien reagiert
US7956847B2 (en)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20080168382A1 (en) * 2007-01-07 2008-07-10 Louch John O Dashboards, Widgets and Devices
KR101407636B1 (ko) * 2007-11-05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9701B1 (ko) 2007-12-03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멀티 터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
US8352877B2 (en) * 2008-03-06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Adjustment of range of content display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
JP4650701B2 (ja) * 2008-05-12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ステータスバー表示方法及びステータスバー表示プログラム
US9032320B2 (en) * 2008-09-08 2015-05-12 Disney Enterprises, Inc. Time and location based GUI for accessing media
US8527879B2 (en) * 2008-12-23 2013-09-03 Vericorder Technology Inc. Digital media editing interface using a supercursor for selecting media clips for editing
US8854549B2 (en) * 2009-07-30 2014-10-07 Vizio, Inc. Dual slider bar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711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파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KR20080101414A (ko) * 2007-05-18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093A (ko) * 2012-12-20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04097A1 (en) 2012-07-26
JP5739451B2 (ja) 2015-06-24
AU2011204097B2 (en) 2015-07-23
WO2011083962A2 (en) 2011-07-14
EP2522079A4 (en) 2016-03-02
US8839108B2 (en) 2014-09-16
JP2013516885A (ja) 2013-05-13
CN102714514B (zh) 2014-12-03
KR101691938B1 (ko) 2017-01-03
EP2522079B1 (en) 2019-04-10
CN102714514A (zh) 2012-10-03
US20110167347A1 (en) 2011-07-07
EP2522079A2 (en) 2012-11-14
WO2011083962A3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38B1 (ko)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JP6301530B2 (ja)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KR101948645B1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85323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8673B1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8146019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playing and displaying music
WO2018184488A1 (zh) 视频配音方法及装置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77283B2 (en) Displaying lists as reacting against barriers
KR101971067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5359121A (zh) 使用接收数据的应用远程操作
WO2018157812A1 (zh) 一种实现视频分支选择播放的方法及装置
KR20140142546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MX2011007439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JP2013054738A (ja) 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20139897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20079925A (ko) 휴대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JP6913812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037199B1 (ko)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JP2022095286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87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