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199B1 -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199B1
KR102037199B1 KR1020180052719A KR20180052719A KR102037199B1 KR 102037199 B1 KR102037199 B1 KR 102037199B1 KR 1020180052719 A KR1020180052719 A KR 1020180052719A KR 20180052719 A KR20180052719 A KR 20180052719A KR 102037199 B1 KR102037199 B1 KR 10203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layback
playback status
input
stat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반석
전한경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는 앱 페이지 출력단계;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재생상태바 표시단계; 및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숨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laying application and user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기능과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폰, 이른바 스마트폰이 등장하였다. 스마트폰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오디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오디오 컨텐츠를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다운받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의 오디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오디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 가능한 기능이 다양해질수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잡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재생상태바의 표시 여부를 제어하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직관적인 입력방식을 통하여, 재생상태바의 표시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는 앱 페이지 출력단계;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재생상태바 표시단계; 및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숨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는 앱 페이지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재생상태바 표시부; 및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숨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며,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재생상태바의 표시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재생상태바에 의하여 화면이 일부 가려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직관적인 입력방식을 통하여 손쉽게 재생상태바의 표시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재생상태바를 숨기는 경우에도 재생상태아이콘을 고정표시영역 내에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화면을 가리는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상태바 숨김 및 숨김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상태 페이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상태 페이지의 출력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간편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 부대되는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음악, 라디오, 팟캐스트 등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단말장치(100)를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재생된 컨텐츠는,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햅틱(haptic)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시 촉각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장치(100)는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에 접속하여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200) 또는 타 기기(미도시)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 등의 고정형 장치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단말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를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전용의 장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에게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200)에는 단말장치(100)에 제공가능한 복수의 컨텐츠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단말장치(100)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streaming)하거나, 컨텐츠를 전송하여 단말장치(100)가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받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앱 페이지 출력부(110), 재생상태바 표시부(120), 숨김부(130), 숨김해제부(140), 재생상태 페이지 출력부(150) 및 간편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앱 페이지 출력부(11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앱 페이지를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앱 페이지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앱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앱 페이지를 통하여,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나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앱 페이지에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카데고리별로 구별하여 제공하는 카테고리 페이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하는 컨텐츠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페이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품질이나 스트리밍 방식 등의 설정을 제어하는 설정 페이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최초로 실행되는 초기화면에 해당하는 홈 페이지,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설정하는 개인정보 페이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앱 페이지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앱 페이지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제작과정에서 설계되어 생성될 수 있다.
도4(a)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앱 페이지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 페이지는 유동컨텐츠표시영역(A)과 고정표시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동컨텐츠표시영역(A)은 각각의 앱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기능 등에 대응하는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도4(a)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구별된 복수의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유동컨텐츠표시영역(A)에 표시되는 내용은 각각의 앱 페이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고정표시영역(B)은 앱 페이지 내의 고정된 위치에 설정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UI(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UI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Global Navigation bar) 또는 툴바(Tool Ba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UI이면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표시영역(B)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모든 앱 페이지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등 제어 UI의 위치를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제어 UI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부 앱 페이지에 대하여는 고정표시영역(B)의 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고정표시영역(B)의 표시를 생략하는 등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4(a)는 고정표시영역(B)에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하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에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뉴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뉴 아이콘에 입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메뉴 아이콘에는 각각의 앱 페이지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뉴 아이콘을 이용하여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앱 페이지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는 도구(tool)들의 모음인 툴 바(tool bar)를 고정표시영역(B)의 제어 UI로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4(a)를 참조하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에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t1, t2, t3, t4)들이 포함될 수 있다. 메뉴 아이콘 "홈"(t1)에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에 해당하는 홈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메뉴 아이콘"카테고리"(t2)에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카테고리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아이콘 "나의페이지"(t3)의 경우에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나타내는 개인정보 페이지로 이동하고, 메뉴 아이콘 "더보기"(t4)의 경우 다양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메뉴 아이콘들을 더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아이콘 "더보기"(t4)에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영역을 추가적으로 표시하고 해당 영역 내에 복수의 메뉴 아이콘들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도4(a)에서는 고정표시영역(B) 내에 4개의 메뉴 아이콘(t1, t2, t3, t4)을 포함하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에 포함되는 메뉴 아이콘(t1, t2, t3, t4)의 종류와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4(a)에서는 고정표시영역(B)이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고정표시영역(B)의 위치는 앱 페이지의 상단이나 측면 등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재생상태바 표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앱 페이지 상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재생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재생상태바를 앱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재생상태바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제목, 출연진 또는 실연자(實演者), 저작권자, 카테고리, 장르, 전체재생시간, 현재재생시점 등의 세부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 중인 컨텐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재생, 일시정지, 빨리감기, 뒤로감기, 15초 전으로 이동, 15초 후로 이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상태바 표시부(120)는 재생상태바(C)를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표시영역(B)의 상부에 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표시영역(B)은 재생상태바(C)에 의하여 겹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재생상태바(C)의 추가에 불구하고, 용이하게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유동컨텐츠표시영역(A)은 재생상태바(C)와 겹치는 영역만큼 축소될 수 있다. 즉, 도4(a)와 도4(b)를 비교하면, 유동컨텐츠표시영역(A)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4(b)에서는 재생상태바(C)가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표시영역(B)의 상부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나, 재생상태바(C)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앱 페이지 중에서 고정표시영역(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내에 다양한 방식으로 재생상태바(C)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상태바(C)의 크기나 형상 등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고정표시영역(B)이 앱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재생상태바(C)가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숨김부(130)는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숨김부(130)는 재생상태바 대신에 재생상태아이콘을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표시하여, 재생상태바가 유동컨텐츠표시영역의 일부를 가리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바 대신에 재생상태아이콘을 표시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숨김 입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가 입력부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숨김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생상태바(C)를 터치한 상태에서 고정표시영역(B)으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을 숨김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바(C)를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로 끌어내리는 것은 직관적으로 재생상태바(C)를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표시하라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숨김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우스 등의 별도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재생상태바(C)를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로 드래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숨김 입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숨김입력이 인가되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상태아이콘(D)을 고정표시영역(B)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유동컨텐츠표시영역(A)이 확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재생상태아이콘(D)를 통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상태아이콘(D)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재생상태아이콘(D)을 통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아이콘(D)의 둘레에 표시되는 진행상황바를 통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과 현재재생시점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재생상태아이콘(D)의 둘레의 길이를 전체 재생시간으로 설정하고, 전체 재생시간 중에서 현재재생시점까지의 비율을 진행상황바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5(b)에서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원형으로 표시되는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생상태아이콘(D)의 형상이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숨김입력을 특정한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앱 페이지 중에서 설정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앱 페이지 내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상태에 대한 표시방법으로 재생상태바(C)와 재생상태아이콘(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정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설정버튼에 입력을 인가하여 재생상태아이콘(D)을 선택하면, 숨김부(130)는 숨김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고, 재생상태바(C) 대신에 재생상태아이콘(D)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숨김부(130)는 숨김입력이 입력되면, 재생상태바(C)를 재생상태아이콘(D)으로 변환하여 고정표시영역 내로 삽입하는 애니메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바(C)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되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constraint layout)을 이용하여, 재생상태바(C)를 포함하는 레이아웃과 재생상태아이콘(D)이 표시된 레이아웃을 겹치도록 표시한 후, 숨김입력에 대응하여 각각의 레이아웃이 서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고, 숨김입력에 대응하여 각각의 레이아웃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애니메이션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숨김부(130)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고정표시영역(B) 내에 삽입될 때, 메뉴 아이콘(t1, t2, t3, t4)들의 위치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정렬할 수 있다. 기존에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는 메뉴 아이콘(t1, t2, t3, t4)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재생상태아이콘(D)을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메뉴 아이콘(t1, t2, t3, t4)과 겹치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숨김부(130)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될 때, 서로 겹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메뉴 아이콘의 위치 또는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재생상태바(C)를 포함하는 레이아웃과 재생상태아이콘(D)이 표시된 레이아웃을 겹치도록 표시한 후, 숨김입력에 대응하여 각각의 레이아웃이 서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상태아이콘(D)이 표시된 레이아웃에서 미리 메뉴 아이콘(t1, t2, t3, t4)과 재생상태아이콘(D) 사이의 위치와 크기 등을 조절하여 설정해둘 수 있다. 도5(b)에서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의 중앙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삽입된 재생상태아이콘(D)의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재생상태아이콘(D)이 고정표시영역(B) 내에 삽입되지 않고, 유동컨텐츠표시영역(A) 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숨김입력은 재생상태바(C)를 터치한 후 유동컨텐츠표시영역(A) 내의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숨김해제부(140)는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숨김해제 입력이 인가되면, 재생상태아이콘의 표시를 중단하고, 재생상태바를 앱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재생상태아이콘의 경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 정보가 상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으므로, 숨김해제부(140)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숨김해제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상태바가 앱 페이지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숨김해제 입력은 재생상태아이콘(D)을 고정표시영역(B) 밖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인가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아이콘(D)을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밖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숨김해제 입력에 해당함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숨김해제부(140)는 숨김해제입력을 특정한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재생 중인 컨텐츠에 재생상태에 대한 표시방법으로 재생상태바(C)와 재생상태아이콘(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정버튼이 존재할 수 있으며, 설정버튼에 대한 입력을 숨김해제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정버튼에 입력을 인가하여 재생상태바(C)를 선택하면, 숨김해제부(140)는 숨김해제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고, 재생상태아이콘(D) 대신에 재생상태바(C)를 표시할 수 있다.
재생상태 페이지 출력부(150)는 재생상태바 또는 재생상태아이콘에 선택입력이 인가되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재생상태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재생상태페이지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앱 페이지에 해당한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상태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의 제목, 대표 이미지, 출연진 또는 실연자(實演者), 저작권자, 카테고리, 장르, 전체재생시간, 현재재생시점 등의 세부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 일시중지, 다음 에피소드, 이전 에피소드, 빨리 감기, 뒤로 감기 등의 제어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댓글이나, 선호도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외부로 아웃링크하는 버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재생상태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입력은, 재생상태바 또는 재생상태 아이콘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상태바(C)를 앱 페이지의 상단으로 스와이핑(swiping)하는 입력에 따라 재생상태페이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입력에 따라 재생상태 페이지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는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재생상태바(C)를 빠르게 2번 연속으로 터치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상태페이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상태아이콘을 짧게 1번 터치하는 경우에도, 재생상태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간편제어부(160)는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재생 중에, 사용자가 재생상태아이콘(D)을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면,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상태아이콘(D) 상에 일시정지를 나타내는 "||"가 일정시간 또는 일시정지되는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중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상태아이콘(D)을 다시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재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재생을 나타내는 "▷"가 재생상태아이콘(D) 상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프로세서(10), 메모리(40) 등의 물리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40) 내에는 프로세서(10)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모듈에는, 앱 페이지 출력모듈, 재생상태바 표시모듈, 숨김 모듈, 숨김해제 모듈, 재생상태페이지 출력모듈 및 간편제어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변인터페이스부(30)는, 컴퓨터 장치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0), 메모리(40)에 연결할 수 있으며, 메모리 제어기(20)는 프로세서(10)나 컴퓨터 장치의 구성요소가 메모리(40)에 접근하는 경우에, 메모리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세서(10), 메모리 제어기(20) 및 주변인터페이스부(30)를 단일 칩 상에 구현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4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0)는 프로세서(10)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장치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엑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 저장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부(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랙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50)에는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음성이나 음향 등을 청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50)에 햅틱부 등을 더 포함하여, 촉각을 통하여 컨텐츠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50)는 시각, 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재생 중인 컨텐츠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받는 것으로서,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마우스(mouse), 터치펜(touch pen),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이 입력부(60)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메모리(40)에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응용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앱 페이지 출력모듈, 재생상태바 표시모듈, 숨김 모듈, 숨김해제 모듈, 재생상태페이지 출력모듈 및 간편제어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모듈들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집합으로, 메모리(4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프로세서(10)가 메모리(40)에 액세스하여 각각의 모듈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앱 페이지 출력모듈, 재생상태바 표시모듈, 숨김 모듈, 숨김해제 모듈, 재생상태페이지 출력모듈 및 간편제어모듈은 상술한 앱 페이지 출력부, 재생상태바 표시부, 숨김부, 숨김해제부, 재생상태페이지 출력부 및 간편제어부에 각각 대응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은 앱 페이지 출력단계(S10), 재생상태바 표시단계(S20), 숨김단계(S30), 숨김해제단계(S40), 간편제어단계(S50) 및 재생상태페이지 출력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앱 페이지 출력단계(S10)에서는,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앱 페이지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앱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앱 페이지를 통하여,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나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앱 페이지는 유동컨텐츠표시영역과 고정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동컨텐츠표시영역에는 각각의 앱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기능 등에 대응하는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유동컨텐츠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내용은 각각의 앱 페이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고정표시영역에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UI(User Interface)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 UI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GNB: Global Navigation Bar) 또는 툴바(Tool Ba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UI이면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표시영역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앱 페이지 내에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앱 페이지의 상단이나 측면 등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재생상태바 표시단계(S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앱 페이지 상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재생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재생상태바를 앱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재생상태바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제목, 출연진 또는 실연자(實演者), 저작권자, 카테고리, 장르, 전체재생시간, 현재재생시점 등의 세부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 중인 컨텐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재생상태바는 앱 페이지 중에서 고정표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내에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상태바의 크기나 형상 등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재생상태바가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표시영역의 상부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표시영역은 재생상태바에 의하여 겹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재생상태바의 추가에 불구하고, 용이하게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등의 제어 UI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유동컨텐츠표시영역은 재생상태바와 겹치는 영역만큼 축소될 수 있다.
숨김단계(S30)에서는,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바 대신에 재생상태아이콘을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표시하여, 재생상태바가 유동컨텐츠표시영역의 일부를 가리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바 대신에 재생상태아이콘을 표시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재생상태아이콘에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아이콘의 둘레에 표시되는 진행상황바를 통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과 현재재생시점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숨김 입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재생상태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고정표시영역으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을 숨김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숨김 입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앱 페이지 중에서 설정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앱 페이지 내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상태에 대한 표시방법으로 재생상태바와 재생상태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정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설정버튼에 입력을 인가하여 재생상태아이콘을 선택하면, 숨김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재생상태바대신에 재생상태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숨김단계(S30)에서는 숨김입력에 대응하여 재생상태바를 재생상태아이콘으로 변환하여 고정표시영역 내로 삽입하는 애니메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되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아이콘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될 때,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정렬할 수 있다. 기존에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는 메뉴 아이콘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재생상태아이콘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재생상태아이콘이 메뉴 아이콘과 겹치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숨김단계(S30)에서는 재생상태아이콘이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삽입될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메뉴 아이콘의 위치 또는 크기 등을 조절하여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재생상태바를 포함하는 레이아웃과 재생상태아이콘이 표시된 레이아웃을 겹치도록 표시한 후, 숨김입력에 대응하여 각각의 레이아웃이 서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상태아이콘이 표시된 레이아웃에서 미리 메뉴 아이콘과 재생상태아이콘 사이의 위치와 크기 등을 조절하여 설정해둘 수 있다.
숨김해제단계(S40)에서는,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숨김해제 입력이 인가되면, 재생상태아이콘의 표시를 중단하고, 재생상태바를 앱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재생상태아이콘의 경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 정보가 상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으므로, 숨김해제단계(S4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숨김해제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상태바가 앱 페이지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숨김해제 입력은 재생상태아이콘을 고정표시영역 밖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인가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아이콘을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밖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숨김해제 입력에 해당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숨김해제입력을 특정한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재생 중인 컨텐츠에 재생상태에 대한 표시방법으로 재생상태바와 재생상태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정버튼이 존재할 수 있으며, 설정버튼에 대한 입력을 숨김해제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정버튼에 입력을 인가하여 재생상태바를 선택하면, 숨김해제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재생상태아이콘 대신에 재생상태바를 표시할 수 있다.
간편제어단계(S50)에서는,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면,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 또는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컨텐츠의 재생 중에, 사용자가 재생상태아이콘을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면,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상태아이콘 상에 일시정지를 나타내는 "||"를 일정시간 또는 일시정지되는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중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상태아이콘을 다시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재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재생을 나타내는 "▷"가 재생상태아이콘 상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재생상태 페이지 출력단계(S60)에서는, 재생상태바 또는 재생상태아이콘에 선택입력이 인가되면, 특정 컨텐츠의 재생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재생상태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재생상태페이지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앱 페이지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재생상태페이지에는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의 제목, 대표 이미지, 출연진 또는 실연자(實演者), 저작권자, 카테고리, 장르, 전체재생시간, 현재재생시점 등의 세부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 일시중지, 다음 에피소드, 이전 에피소드, 빨리 감기, 뒤로 감기 등의 제어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재생상태페이지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댓글이나, 선호도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외부로 아웃링크하는 버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재생상태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입력은, 재생상태바 또는 재생상태 아이콘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예를들어, 재생상태바를 앱 페이지의 상단으로 스와이핑(swiping)하는 입력에 따라 재생상태페이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입력에 따라 재생상태 페이지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는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바를 빠르게 2번 연속으로 터치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상태페이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재생상태아이콘을 짧게 1번 터치하는 경우에도, 재생상태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프로세서 20: 메모리 제어부
30: 주변인터페이스부 40: 메모리
50: 디스플레이부 60: 입력부
100: 단말장치 110: 앱 페이지 출력부
120: 재생상태바 표시부 130: 숨김부
140: 숨김해제부 150: 재생상태 페이지 출력부
160: 간편제어부 200: 서비스 서버
S10: 앱페이지 출력단계 S20: 재생상태바 표시부
S30: 숨김단계 S40: 숨김해제단계
S50: 간편제어단계 S60: 재생상태 페이지 출력단계

Claims (16)

  1.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는 앱 페이지 출력단계;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재생상태바 표시단계; 및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숨김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은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표시영역은
    상기 앱 페이지 내의 고정된 위치에 설정되며, 상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표시영역은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GNB: Global Navigation Bar) 또는 툴바(Tool Bar)를 상기 제어 UI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바 표시단계는
    상기 앱 페이지 중에서 상기 고정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기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바 표시단계는
    상기 앱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표시영역의 상부에 접하도록 상기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재생상태바를 상기 고정표시영역 내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단계는
    상기 숨김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상태바를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으로 변환하고,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애니메이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단계는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이 삽입되면, 상기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 내에 포함된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숨김해제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를 상기 앱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숨김해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해제 입력은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고정표시영역의 밖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바 또는 재생상태아이콘에 선택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컨텐츠의 재생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재생상태 페이지를 출력하는 재생상태 페이지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입력은
    상기 재생상태바를 상기 앱 페이지의 상단으로 스와이핑하는 입력 또는 상기 재생상태바를 빠르게 2번 연속으로 터치하는 입력이거나,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을 짧게 1번 터치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면,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 또는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간편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장치의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는 앱 페이지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는 재생상태바 표시부; 및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숨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은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6.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앱 페이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앱 페이지 상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상태바를 표시하며,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한 숨김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재생상태바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재생상태바에 대응하는 재생상태아이콘을 상기 앱 페이지에 포함된 고정표시영역 내에 삽입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재생상태아이콘은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180052719A 2018-05-08 2018-05-08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10203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19A KR102037199B1 (ko) 2018-05-08 2018-05-08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19A KR102037199B1 (ko) 2018-05-08 2018-05-08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99B1 true KR102037199B1 (ko) 2019-10-29

Family

ID=6842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719A KR102037199B1 (ko) 2018-05-08 2018-05-08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979A (ko) * 2010-08-27 201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표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979A (ko) * 2010-08-27 201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표시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8223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5666122B2 (ja) 表示情報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891473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153868B2 (ja) アイテムをディスプレー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32012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emo function cooperating with audio recording function
JP2010506307A (ja) 視聴覚閲覧のため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090179867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isplay operating guid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90195515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capable of detecting a plurality of forms of touch on menus or background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80530A (ko)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12525773A (ja) 方向タッチリモート操作
KR20120031357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JP2017519256A (ja) メディア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WO2014066098A1 (en) User interface for streaming media stations with virtual playback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US96904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4116010A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3243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US11099731B1 (en) Techniques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a gesture sensitive element
JP2007183940A (ja) ユーザ端末装置及びその音楽ファイル管理方法
KR201600947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07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7199B1 (ko)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N113392260B (zh) 界面显示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0948290B1 (ko)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