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696B1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696B1
KR102047696B1 KR1020130018047A KR20130018047A KR102047696B1 KR 102047696 B1 KR102047696 B1 KR 102047696B1 KR 1020130018047 A KR1020130018047 A KR 1020130018047A KR 20130018047 A KR20130018047 A KR 20130018047A KR 102047696 B1 KR102047696 B1 KR 10204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croll bar
output
mark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183A (ko
Inventor
유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96B1/ko
Priority to US14/176,913 priority patent/US10031658B2/en
Priority to EP14155527.6A priority patent/EP2770415B1/en
Priority to CN201410058774.XA priority patent/CN104007921B/zh
Publication of KR2014010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손쉽게 컨텐트 출력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조절 하기 위한 스크롤 바와 상기 컨텐트의 특정 출력 위치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상기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스크롤 바의 제 1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가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지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위치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컨텐트 출력 변경을 위한 스크롤 기능을 강화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 확장으로, 이동 단말기는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ㄱㅁ상하는 사용자는 스크롤 입력을 통해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고정형 단말에 비해 작아, 스크롤 바 길이 역시 고정형 단말에 비해 짧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의 스크롤 바는 고정형 단말에서의 스크롤 바보다 미세 조정이 어려워, 사용자가 소망하는 지점으로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출력 시점을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면, 사용자가 손쉽게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조절 하기 위한 스크롤 바와 상기 컨텐트의 특정 출력 위치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상기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스크롤 바의 제 1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가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지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위치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조절 하기 위한 스크롤 바와 상기 컨텐트의 특정 출력 위치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상기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스크롤 바의 제 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지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면, 사용자가 손쉽게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컨텐트의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노멀 스크롤 바가 지능형 스크롤 바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지능형 스크롤 바 위 단위 시간 간격 단위로 마커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지능형 스크롤 바 위 메타 데이터가 변경되는 지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사의 출력 시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의 결정 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추가되는 마커의 색상이나 모양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마커의 모양 혹은 색상을 이용하여 색인 작업(indexing)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컨텐트의 출력이 포인터의 이동 방향 위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8은 스크를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지능형 스크롤 바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노멀 스크롤 바의 일부 구간을 확대하여 지능형 스크롤 바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의 요약 정보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가 즐겨찾기로 추가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가 즐겨찾기로 추가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25는 스크롤 바에 즐겨 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 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 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 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 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을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60),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및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이 선택되면, 컨텐트의 현재 출력 위치를 가장 가까운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위치로 조절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10)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트 및 스크롤 바의 출력 단계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컨텐트와 컨텐트의 출력 지점을 조절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이다(S401).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텐트는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문서 파일 및 웹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컨텐트 또는 컨텐트의 목록을 표시하면서, 컨텐트나 컨텐트 목록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 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가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 등과 같이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컨텐트이거나, 이북(e-book) 등과 같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어 페이지 단위로 스크롤 되는 문서 파일인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 등의 재생 시점을 조절하거나, 이북 등의 페이지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트가 웹 페이지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분량보다 큰 경우, 스크롤 바는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컨텐트 목록의 출력 분량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분량보다 큰 경우, 스크롤 바는 컨텐트 목록의 출력 위치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컨텐트의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 설명하는 컨텐트는 동영상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 바(5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현재 동영상 파일의 A1 시점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A2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이 터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영상 파일의 재생 시점이 A2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스크롤 바(510) 위에 표시되는 출력 인디케이터(512)는 컨텐트의 현재 출력 지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자는 스크롤 바(510) 위 출력 인디케이터(51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도면에서는,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스크롤 바 위 출력 인디케이터의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출력 인디케이터의 표시가 생략되어 있더라도 스크롤 바 위에는 컨텐트의 현재 출력 지점을 가리키는 출력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에 스크롤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스크롤 바 및 컨텐트의 특정 출력 지점을 가리키는 마커가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2).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스크롤 바를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롱터치(Long Touch), 스크롤 바를 재빨리 두번 터치하는 더블 터치(Double Touch), 스크롤 바에 포인터(10)를 접촉시키지 않고, 포인터(10)를 스크롤 바에 근접 위치시키는 근접 터치(Approximate Touc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거된 다수의 터치 행위 이외의 터치 행위가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터치 입력 이외에 이동 단말기의 물리 키(Physical Key)를 조작하는 것 또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을 선택하는 것 등이 사용자 입력으로 취급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커가 표시되기 전의 스크롤 바를 노멀(Normal) 스크롤 바라 하고, 마커가 표시된 이후의 스크롤 바를 지능형(Intelligent) 스크롤 바라 칭하기로 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노멀 스크롤 바와 지능형 스크롤 바를 구분하지 않고 스크롤 바라 기술된 것은 문맥에 따라 노멀 스크롤 바나 지능형 스크롤 바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거나, 노멀 스크롤 바 및 지능형 스크롤 바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능형 스크롤 바에 마커가 표시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노멀 스크롤 바가 지능형 스크롤 바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트는 동영상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노멀 스크롤 바(6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노멀 스크롤 바(610)가 지능형 스크롤 바(620)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멀 스크롤 바(610)가 지능형 스크롤 바(620)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지능형 스크롤 바(6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커(62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b에 도시된 지능형 스크롤 바(620)에서 마커(622)가 표시되지 않는 지점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지능형 스크롤 바(620)가 다시 노멀 스크롤 바(610)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지능형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되는 마커는 컨텐트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컨텐트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음악 파일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 >
컨텐트가 음악 파일인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i) 간주가 끝나고 가사(lyric)가 시작되는 시점
ii) 노래의 후렴(chorus)이 시작되는 시점
iii) 노래의 2절이 시작되는 시점
iv) 단위 시간 간격별 출력 시점
항목 i)의 예와 같이, 음악 파일이 가곡, 가요, 오페라 등 가사를 포함하는 노래인 경우, 제어부(180)는 간주가 끝나가 가사가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항목 ii) 및 iii)의 예와 같이, 제어부(180)는 음악 파일을 분석하여, 노래의 후렴이 시작되는 시점 또는 음악 파일의 1절이 끝나고 2절이 시작되는 시점 등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v)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노래의 단위 시간 간격별 출력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위 시간 간격이 1분인 경우, 제어부(180)는 지능형 스크롤 바 위 1분 간격으로 마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시간 간격은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7은 지능형 스크롤 바 위 단위 시간 간격 단위로 마커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단위 시간 간격이 1분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지능형 스크롤 바 위 1분 간격으로 마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 파일의 러닝 타임이 4분 30초인 것으로 가정하면, 지능형 스크롤 바에는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1분, 2분, 3분 및 4분에 대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총 4개의 마커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단위 시간 간격은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7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단위 시간 간격이 2분으로 조절된 경우, 제어부(180)는 2분 간격으로 마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2분 및 4분에 대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총 2개의 마커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동영상 파일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 >
컨텐트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i) 광고가 종료되거나 시작되는 시점
ii) 영화 인트로가 종료되는 시점
iii) 영화 아웃트로가 시작되는 시점
iv) 대사 씬(Scene)이 시작되는 시점이나 자막이 최초 디스플레이되는 시점
v) 옴니버스 또는 복수의 챕터로 구성된 동영상의 경우, 단편이 종료되는 시점이나 단편이 시작되는 시점
vi) 사용자가 메모나 북마크를 추가한 시점
vii) 단위 시간 간격별 출력 시점
항목 i)의 예와 같이, 동영상 파일에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광고가 종료되고 메인 프로그램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항목 ii) 및 iii)의 예와 같이, 동영상 파일이 영화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경우, 제어부(180)는 영화의 인트로가 종료되는 시점이나 영화 아웃트로가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영화의 인트로는 제작사나 배급사의 로고 재생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영화 아웃트로는 엔딩 크레딧(credit)의 재생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항목 iv)의 예에서와 같이, 최초 등장 인물의 음성이 감지되는 대사 씬의 시작 시점 또는 자막이 최초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동영상이 복수의 단편이 병합된 옴니버스식 구성을 갖는 경우, 제어부(180)는 항목 v)의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편이 종료되고 다음 단편이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동영상을 감상하는 도중, 특정 장면에서 메모나 북마크를 추가한 경우, 제어부(180)는 항목 vi)의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메모를 추가한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vi)의 예에서와 같이, 동영상의 단위 시간 간격별 출력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시간 간격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80)는 재생 시점이 10분, 20분, 30분에 해당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시간 간격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음은 앞서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 문서 파일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 >
컨텐트가 문서 파일인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i) 새로운 챕터(Chapter)가 시작되는 페이지
ii) 사용자의 메모가 삽입된 페이지
iii) 북마크 설정된 페이지
iv) 단위 페이지 간격별 출력 페이지
항목 i)의 예에서와 같이, 문서 파일이 복수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180)는 각 챕터의 시작 페이지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 파일이 3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챕터 1의 시작 페이지, 챕터 2의 시작 페이지 및 챕터 3의 시작 페이지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항목 ii)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메모가 삽입된 페이지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문서 파일을 읽는 동안 사용자가 밑줄을 긋거나 필기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페이지에 메모를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를 삽입한 페이지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사후 자신이 메모한 내용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항목 iii)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북마크 설정된 페이지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v)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단위 페이지 간격별 출력 페이지에 자동으로 마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페이지 간격이 10페이지인 경우, 제어부(180)는, 11페이지, 21페이지, 31페이지 등과 같이 10페이지 간격으로 마커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페이지 간격은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음은 앞서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 컨텐트 목록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 >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다음 중 어느 하나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i) 컨텐트들이 소정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소팅되어 있을 경우, 메타 데이터가 변경되는 지점
ii) 사용자가 즐겨찾기 설정한 컨텐트가 위치한 지점
항목 i)의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들의 소정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컨텐트들이 소팅되어 있을 때, 제어부(180)는 메타 데이터가 변경되는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은 지능형 스크롤 바 위 메타 데이터가 변경되는 지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트 목록에는 2013-1-1 촬영된 이미지 파일들과 2013-2-1 촬영된 이미지 파일들 및 2013-2-2 촬영된 이미지 파일들이 촬영된 날짜 순서대로 오름차순 정렬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2013-1-1 촬영된 이미지 파일과 2013-2-1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경계, 즉, 2013-2-1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최초 노출되는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하고 마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2013-2-1 촬영된 이미지 파일과 2013-2-2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경계, 즉, 2013-2-2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최초 노출되는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하고 마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메타 데이터가 변경되는 지점마다 마커가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컨텐트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컨텐트들 중 사용자가 즐겨찾기 설정한 컨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항목 ii)의 예에서와 같이, 즐겨찾기 설정한 컨텐트가 노출되는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 마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멀 스크롤 바가 지능형 스크롤 바로 변화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추가 혹은 삭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9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스크롤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스크롤 바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되거나, 기 설정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9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의 A1 시점을 터치한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A1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설정하고, A1 시점에 마커(90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 위의 A1 시점에 대응되는 마커(902)를 터치한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A1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서 해제하고 A1 시점에 표시되던 마커(902)가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출력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 1 방향을 윗 방향, 제 2 방향을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아랫 방향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다른 터치 입력에 의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거나 해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현 재생 시점 또는 현 출력 위치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영상 파일의 A1 시점이 재생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포인터(10)를 이용하여 재생 영상을 더블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A1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하고, A1 시점에 마커(1002)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점 또는 컨텐트의 현재 출력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하고, 추가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 마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되는 컨텐트가 음악 파일인 경우, 제어부(180)는 노래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가 선택하 가사의 출력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사의 출력 시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음악 파일 재생 중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노래의 가사(Lyric)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노래 가사 중 특정 단어가 선택되면(도 11a에서는 단어 'Twinkle'이 선택된 것으로 예시됨), 제어부(180)는 도 11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단어가 가사로 출력되는 시점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하고 지능형 스크롤 바에 마커(1102)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은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하거나,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2는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의 결정 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팝업 창(12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의 팝업 창(1210)에서, 베이직 모드(Basic Mode)는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사용자 모드(User Mode)는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혼합 모드(Mixed Mode)는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결정하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더욱 결정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자동으로 결정할 것인지, 수동으로 결정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추가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 표시되는 마커의 색상이나 모양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마커를 종류별로 그룹화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는 마커는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모양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3은 추가되는 마커의 색상이나 모양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해, 도 13에서는 추가되는 마커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한다.
제어부(180)는 도 13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마커의 모양을 변경하기 위한 팝업 창(131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a의 팝업 창(1310)에서 제 1 모양의 마커가 선택된 상태에서 A1 시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된 경우, 제어부(180)는 A1 시점에 제 1 모양의 마커(13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3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팝업 창(1310)에서 제 2 모양의 마커가 선택된 상태에서 A2 시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추가된 경우, 제어부(180)는 A2 시점에 제 2 모양의 마커(133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 표시되는 마커의 색상 또는 모양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지능형 스크롤 바에 새롭게 마커가 추가되는 경우에 마커의 모양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지능형 스크롤 바에 마커가 추가된 이후에 마커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마커의 모양뿐만 아니라, 마커의 색상이 조절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양한 모양 혹은 색상의 마커가 지능형 스크롤 바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마커의 모양 혹은 색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마커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4는 마커의 모양 혹은 색상을 이용하여 색인 작업(indexing)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능형 스크롤 바에는 제 1 모양(마름모)의 마커(1422,1424)와 제 2 모양(타원형)의 마커(1432,1434)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라 가정한다.
도 14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색인 작업을 위한 팝업 창(1410)이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a의 팝업 창에서, 모두 표시 항목은 제 1 모양의 마커(1422,1424)와 제 2 모양의 마커(1432,1434)가 모두 지능형 스크롤 바에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팝업 창(1410)에서, 제 1 모양의 마커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모양의 마커(1422,1424) 및 제 2 모양의 마커(1432,1434) 중 제 1 모양의 마커(1422,1424)만 지능형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팝업 창(1410)에서, 제 2 모양의 마커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모양의 마커(1422,1424) 및 제 2 모양의 마커(1432,1434) 중 제 2 모양의 마커(1432,1434)만 지능형 스크롤 바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스크롤 바에 마커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이 터치된 이후(S403),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S404),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출력 지점이 포인터(10)의 이동 방향 위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5). 즉, 스크롤 바를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평인 제 1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출력이 터치 지점으로부터 제 1 방향에 위치한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크롤 바를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평인 제 2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출력이 터치 지점으로부터 제 2 방향에 위치한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 또는 드래그(Drag) 되는 경우,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컨텐트의 출력이 변경되는 것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컨텐트의 출력이 포인터의 이동 방향 위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트는 A1 시점을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이고, 지능형 스크롤 바는 터치스크린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인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이 터치된 이후, 포인터(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의 우측 방향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한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컨텐트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5a의 예에서는 터치 지점의 우측 방향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한 마커(1520)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이 A2이므로, 동영상 파일의 출력이 A1에서 A2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도 15a에서는 출력 인디케이터(1510)가 A1에서 A2로 이동하였음).
이와 반대로, 도 1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이 터치된 이후, 포인터(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의 좌측 방향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한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컨텐트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5b의 예에서는 터치 지점의 좌측 방향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1530)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이 A3 이므로, 동영상 파일의 출력이 A1에서 A3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도 15에서는 출력 인디케이터(1510)가 A1에서 A3로 이동하였음).
도 15에서는 스크롤 바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어, 사용자가 스크롤 바 터치 후 포인터(10)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움직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도 15의 예에서와 달리 스크롤 바가 세로 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스크롤 바 터치 후 포인터(10)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여 컨텐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컨텐트의 출력이 포인터(10)의 이동 방향 위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출력이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피드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진동, 소리 및 LED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이 터치된 이후(S403),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라면(S404), 제어부(180)는 노멀 스크롤 바에서와 마찬가지로 컨텐트의 출력을 터치 지점이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조절할 수 있다(S406).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6은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트는 A1 시점을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이고, 지능형 스크롤 바는 터치스크린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인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된 이후, 포인터(1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이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컨텐트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지점이 B1 시점을 가리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동영상 파일의 출력이 A1에서 B1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16에서는 출력 인디케이터(1610)가 A1에서 B1으로 이동한 것으로 예시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 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S404), S405 단계를 대체하여 컨텐트의 출력이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7은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6에서와 같이, 컨텐트는 A1 시점을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이고, 지능형 스크롤 바는 터치스크린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놓인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이 터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의 출력이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에서는 터치 지점(B1)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1720)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이 B2 이므로, 제어부(180)는 동영상 파일의 출력이 A1에서 B2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17에서는 출력 인디케이터(1710)가 A1에서 B2로 이동한 것으로 예시됨).
컨텐트의 출력이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하는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출력이 마커가 가리키는 출력 지점으로 변경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피드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진동, 소리 및 LED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접촉 해제된 경우(S404), S405 단계를 대체하여 터치 지점 양쪽의 마커에 의해 설정된 구간이 반복 재생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8은 스크를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포인터(10)가 B1 시점을 가리키는 마커 및 B3 시점을 사이의 B2 시점을 터치한 뒤 접촉 해제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 양쪽의 마커(1810,1820)에 의해 정의되는 B1 내지 B3 사이의 구간이 반복적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B1 내지 B3 사이의 구간은 사용자의 종료 입력이 있을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으나, B1 내지 B3 사이 구간의 터치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B1 내지 B3 사이의 B2 시점을 n회 터치한 경우, 제어부(180)는 B1 내지 B3 사이의 구간이 n회 반복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에서, 지능형 스크롤 바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형태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노멀 스크롤 바가 지능형 스크롤 바로 변경되는 경우, 스크롤 바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9는 지능형 스크롤 바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U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지능형 스크롤 바(19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9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꺾은 선 형태로 지능형 스크롤 바(1920)를 표시할 수도 있다. 꺾은 선 형태로 지능형 스크롤 바를 표시하는 경우, 꺾은 선의 꺾인 부분에는 도 19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마커가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표시할 마커의 수만큼 지능형 스크롤 바(1920)가 꺾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지능형 스크롤 바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은 노멀 스크롤 보다 지능형 스크롤 바의 길이를 더욱 증가시켜, 사용자가 지능형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노멀 스크롤 바의 일부 구간을 확대하여 지능형 스크롤 바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0은 노멀 스크롤 바의 일부 구간을 확대하여 지능형 스크롤 바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노멀 스크롤 바(2010)를 지능형 스크롤 바(2020)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노멀 스크롤 바(2010)의 일부 구간을 확대하여 지능형 스크롤 바(20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지능형 스크롤 바(2020)를 통해 탐색 가능한 구간이 노멀 스크롤 바(2010)의 일부 구간인 A1-A2 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20의 예에서, 지능형 스크롤 바(2020)의 좌측 또는 우측 화살표(2022,2024)가 터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지능형 스크롤 바(2020)의 탐색 가능 구간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지능형 스크롤 바(2020)가 노멀 스크롤 바(2010)의 일부 구간을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지능형 스크롤 바(2020)를 이용하여 더욱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의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여부에 따라, S405 단계에 따른 동작 및 S406 단계에 따른 동작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S405 단계 및 S406 단계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 할 것이어서, S404 단계 및 S405 단계가 생략된 채, S403 단계 이후, S406 단계가 수행되거나, S406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지능형 스크롤 바에 표시되는 마커에 의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지능형 스크롤 바에 마커를 표시하는 것 대신 또는 마커와 함께,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의 요약 정보가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음악 파일의 가사 중 특정 단어가 출력되는 시점이 의미 있는 출력 지점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단어(2102,2104,2106)가 의미 있는 출력 시점을 대표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복수의 특정 단어(2102,2104,210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음악 파일의 재생 시점이 선택된 특정 단어가 가리키는 의미 있는 출력 시점, 즉, 선택된 특정 단어가 가사로 출력되는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특정 단어(2102,2104,2106) 이외에도, 제어부(180)는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챕터 정보, 페이지 정보 등을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의 요약 정보로 취급할 수 있다. 이때,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의 요약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무작위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스크롤 바에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가리키는 마커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의미 있는 출력 지점을 설정할 수 있음에 더하여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을 결정하고,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이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은 두개의 의미 있는 출력 지점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interval)일 수 있으며,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을 정의하는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2는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의 A1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A1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 22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의 A2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A2 지점을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의 종료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시작 지점에 표시되는 마커(2210)와 종료 지점에 표시되는 마커(2220)가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스크롤 바에 복수개의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각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을 식별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도 22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각 의미 있는 구간을 정의하는 마커의 모양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2c에서는 타원형 모양의 마커(2232,2234)에 의해 정의된 A1-A2 구간 및 마름모 모양의 마커(2242,2244)에 의해 정의된 B1-B2 구간이 의미 있는 출력 구간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S403 내지 S406 단계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롤 바 임의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평인 소정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포인터(10)의 포인터(10)의 이동 방향 위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한 마커에 의해 정의된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트가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을 재생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의미 있는 출력 구간이 반복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웹 페이지를 즐겨찾기로 추가하는 경우, 추가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와 위치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란 웹 페이지를 즐겨찾기로 추가할 당시 스크롤 바 위 출력 인디케이터의 위치 정보이거나, 즐겨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한 구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즐겨찾기 목록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면서,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부분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가 즐겨찾기로 추가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웹 페이지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분량보다 큰 크기인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웹 페이지가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웹 페이지가 상하 스크롤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3a에 도시된 세로축 스크롤 바(2310)의 출력 인디케이터(2312)를 조절하고, 웹 페이지가 좌우 스크롤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3a에 도시된 가로축 스크롤 바(2320)의 출력 인디케이터(2322)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현재 출력되는 부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웹 페이지가 즐겨찾기로 추가되는 경우, 웹 페이지 주소와 스크롤 바 위 출력 인디케이터의 위치 정보가 연계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3a의 예에서 가로축 스크롤 바(2320) 위 출력 인디케이터(2322)는 시작점으로부터 x1 만큼 떨어져 있고, 세로축 스크롤 바(2310) 위 출력 인디케이터(2312)는 시작점으로부터 y1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웹 페이지와 함께, 출력 인디케이터(2322,2312)의 좌표 정보(예컨대, (x1, y1))가 연계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웹 페이지의 좌우 폭이 터치스크린의 폭과 같아 가로축 스크롤 바(2320)가 필요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세로축 스크롤 바(2310) 위 출력 인디케이터(2312)의 좌표 정보(예컨대, (0,y1))가 웹 페이지에 연계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도 23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즐겨찾기 목록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23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면서,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부분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웹 페이지와 연계 저장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즐겨 찾기로 추가할 당시 출력 부분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가 즐겨찾기로 추가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읽는 동안 필요한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필기를 입력함으로써, 메모를 삽입할 수 있다. 메모가 삽입된 웹 페이지가 즐겨 찾기로 추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웹 페이지에 추가된 메모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 정보가 웹 페이지에 연계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4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웹 페이지에 포함된 메모(2430)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 인디케이터의 좌표(2412,2422)가 (x2, y2)라면 제어부(180)는 웹 페이지와 함께 출력 인디케이터(2412,2422)의 좌표 정보가 연계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웹 페이지의 좌우 폭이 터치스크린의 폭과 같아 가로축 스크롤 바(2420)가 필요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세로축 스크롤 바(2410) 위 출력 인디케이터(2412)의 좌표 정보(예컨대, (0,y2))가 웹 페이지에 연계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도 24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즐겨찾기 목록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24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면서,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부분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4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에는 웹 페이지와 함께 웹 페이지에 추가된 메모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3b 및 도 24b에서는 즐겨 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 목록이 텍스트 기반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본 발명에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도 23b 및 도 24b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스크롤 바에 즐겨 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 목록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5는 스크롤 바에 즐겨 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각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롤 바에 즐겨 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 목록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5의 예에서, 스크롤 바(2510)에 표시되는 마커는 즐겨 찾기로 추가된 웹 페이지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각 마커의 위치는 각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대응한다. 즉, 도 25의 예에서, 시작점에서 y1 만큼 이격된 마커(2512)는 위치 정보의 좌표 값 중 세로축 값이 y1인 웹 페이지를 가리키며, 시작점에서 y2 만큼 이격된 마커(2514)는 위치 정보의 좌표값 중 세로축 값이 y2인 웹 페이지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크롤 바에 마커가 표시되는 경우,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S403 내지 S406 단계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스크롤 바 임의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10)가 스크롤 바와 수평인 소정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180)는 포인터(10)의 포인터(10)의 이동 방향 위에 놓인 마커 중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한 마커가 가리키는 웹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의 위치 정보를 고려할 수 있음은 앞서 도 23 및 2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앞서, 도 1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 바 임의 지점을 터치한 포인터(10)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과 가장 근접 위치한 마커가 가리키는 웹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5)

  1. 컨텐트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스크롤 바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트의 특정 출력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상기 스크롤 바 상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트의 현재 출력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스크롤 바 상에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바의 제 1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에 상기 제 1 지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마커가 나타내는 출력 위치로 변경하며,
    상기 인디케이터의 출력 위치를 상기 제 1 지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마커가 나타내는 출력 위치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은, 상기 스크롤 바와 수평인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현재 표시된 상기 컨텐트가 터치된 경우, 상기 스크롤 바 상에 상기 컨텐트의 현재 표시된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바 상의 제 2 지점을 터치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스크롤 바와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스크롤 바 상에 상기 제 2 지점을 나타내는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마커를 터치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스크롤 바 상에서 상기 마커를 삭제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바 상에 특정 색상 또는 특정 모양에 해당하는 마커를 선별적으로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사용자가 상기 컨텐트에 메모를 추가한 지점을 더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가 복수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크롤 바 상의 각 챕터의 시작 지점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을 터치한 상기 포인터가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고 접촉 해제된 경우,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상기 제 1 지점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의 출력 위치를 상기 제 1 지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마커에 나타내는 출력 위치로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18047A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4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47A KR102047696B1 (ko)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4/176,913 US10031658B2 (en) 2013-02-20 2014-02-10 Mobile terminal having intelligent scroll bar
EP14155527.6A EP2770415B1 (en) 2013-02-20 2014-02-1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410058774.XA CN104007921B (zh) 2013-02-20 2014-02-20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47A KR102047696B1 (ko)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83A KR20140104183A (ko) 2014-08-28
KR102047696B1 true KR102047696B1 (ko) 2019-11-22

Family

ID=5018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47A KR102047696B1 (ko)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31658B2 (ko)
EP (1) EP2770415B1 (ko)
KR (1) KR102047696B1 (ko)
CN (1) CN1040079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4300B2 (en) 2011-12-21 2017-08-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and related method
US9677555B2 (en) 2011-12-21 2017-06-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US9295778B2 (en) 2011-12-21 2016-03-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US9789247B2 (en) 2011-12-21 2017-10-1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and related method and system
US11217340B2 (en) 2011-12-21 2022-01-0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having a pressure sensor assembly
US10722645B2 (en) 2011-12-21 2020-07-2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and related method and system
US9675756B2 (en) 2011-12-21 2017-06-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US11295846B2 (en) 2011-12-21 2022-04-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USD738901S1 (en) * 2012-11-08 2015-09-15 Uber Technologies, Inc. Computing device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4349S1 (en) * 2012-11-08 2015-07-14 Uber Technologies, Inc. Computing device with computer-generated information panel interface
USD732063S1 (en) * 2013-02-22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7756S1 (en) 2013-06-11 2016-09-2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735319S1 (en) 2013-06-11 2015-07-2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736370S1 (en) 2013-06-11 2015-08-1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740849S1 (en) * 2013-06-27 2015-10-1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1355S1 (en) * 2013-06-27 2015-10-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5646S1 (en) * 2013-10-16 2018-04-17 Tomtom International B.V. Display panel of an electronic navigation device with a computer generated icon
USD733744S1 (en) * 2013-10-21 2015-07-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6319S1 (en) * 2013-11-25 2015-12-29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9542S1 (en) 2013-12-20 2017-02-21 Sanford, L.P.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8716S1 (en) * 2013-12-20 2016-10-1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lay screen of a medical pump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782S1 (en) * 2013-12-20 2016-07-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lay screen of a medical pump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9326S1 (en) * 2013-12-20 2016-10-18 Sanford, L.P.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A2934359C (en) 2014-02-21 2023-02-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having a pressure sensor assembly
USD760272S1 (en) * 2014-04-30 2016-06-2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6298S1 (en) * 2014-05-01 2017-05-09 Beijing Qihoo Technology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0798S1 (en) * 2014-09-02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079S1 (en) * 2014-09-02 2016-05-2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6044146A2 (en) 2014-09-18 2016-03-2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fluid through a tube by appropriately heating the tube
USD801519S1 (en) 2015-02-10 2017-10-3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eristaltic medical pump
USD803386S1 (en) 2015-02-10 2017-11-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medical pump
USD805183S1 (en) 2015-02-10 2017-12-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USD803387S1 (en) 2015-02-10 2017-11-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medical pump
USD777756S1 (en) * 2015-05-28 2017-01-31 Koombea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442618B2 (en) 2015-09-28 2022-09-13 Lenovo (Singapore) Pte. Ltd. Flexible mapping of a writing zone to a digital display
US11076042B2 (en) * 2017-02-27 2021-07-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Favorite-object display method and terminal
KR102536267B1 (ko) * 2017-12-26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더 트랙 및 슬라이더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098752B2 (ja) * 2018-05-07 2022-07-1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ブビデオフィード及び録画ビデオを閲覧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D877174S1 (en) * 2018-06-03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754516B2 (en) * 2018-06-05 2020-08-25 Ge Inspection Technologies, Lp User interface
US11707615B2 (en) 2018-08-16 2023-07-2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pump
JP7193797B2 (ja) * 2018-11-06 2022-12-2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USD887433S1 (en) * 2018-12-03 2020-06-16 Allstate Insurance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363071B2 (en) 2019-05-3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KR20210087843A (ko)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589010B2 (en) 2020-06-03 2023-02-21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657614B2 (en) 2020-06-03 2023-05-23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D1009887S1 (en) * 2020-06-09 2024-01-02 Waters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20021756A (ko) * 2020-08-14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189682A1 (en) 2020-09-05 2023-06-0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for media i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20976A1 (en) 2010-06-29 2011-12-29 Piersol Kurt W Position bar and bookmark function
US20120179967A1 (en) 2011-01-06 2012-07-12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Based Control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588A (en) * 1992-12-14 1997-04-22 New York University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US8381126B2 (en) * 1992-12-14 2013-02-19 Monkeymedia, Inc.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US20080158261A1 (en) 1992-12-14 2008-07-03 Eric Justin Gould Computer user interface for audio and/or video auto-summarization
US6738084B1 (en) * 1999-09-13 2004-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scrolling reference method
US6816174B2 (en) * 2000-12-18 2004-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density scroll area
US6778192B2 (en) * 2001-04-05 2004-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rkers on scroll bar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20186252A1 (en) 2001-06-07 2002-1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xt to a computer display window
US20030048280A1 (en) * 2001-09-12 2003-03-13 Russell Ryan S. Interactive environment using computer vision and touchscreens
US7328411B2 (en) * 2004-03-19 2008-0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ollbar enhancement for browsing data
US7630531B2 (en) * 2006-01-31 2009-12-08 Mevis Medical Solutions, Inc. Enhanced navigational tools for comparing medical images
US8196061B1 (en) * 2008-12-30 2012-06-05 Intui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croll bar enabled bookmarks in electronic document displays
KR101510484B1 (ko) 2009-03-31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418077B2 (en) * 2009-08-18 2013-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content navigation using binary search
CN102043434A (zh) 2009-10-23 2011-05-04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电子产品、电子产品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91938B1 (ko) 2010-01-06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US9864501B2 (en) * 2010-07-30 2018-01-09 Apaar Tuli Displaying information
JP2012048555A (ja) * 2010-08-27 2012-03-08 Fujifilm Corp 文書表示方法、文書表示装置及び文書表示プログラム
US10372316B2 (en) * 2010-11-30 2019-08-06 Ncr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US9182897B2 (en) * 2011-04-22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uitive wrapping of lists in a user interface
US9001059B2 (en) * 2012-06-08 2015-04-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oosing an intended target element from an imprecise touch on a touch screen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20976A1 (en) 2010-06-29 2011-12-29 Piersol Kurt W Position bar and bookmark function
US20120179967A1 (en) 2011-01-06 2012-07-12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Based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83A (ko) 2014-08-28
CN104007921A (zh) 2014-08-27
US20140237419A1 (en) 2014-08-21
CN104007921B (zh) 2017-07-04
EP2770415A1 (en) 2014-08-27
EP2770415B1 (en) 2019-01-16
US10031658B2 (en)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883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KR102127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717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7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42588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561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75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1866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8699A (ko) 식별모듈 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264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음악재생 제어방법
KR201100807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7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5004998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스크롤 방법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13267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104515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297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000994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20269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64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64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9197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0191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