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787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787B1
KR101919787B1 KR1020120049103A KR20120049103A KR101919787B1 KR 101919787 B1 KR101919787 B1 KR 101919787B1 KR 1020120049103 A KR1020120049103 A KR 1020120049103A KR 20120049103 A KR20120049103 A KR 20120049103A KR 101919787 B1 KR101919787 B1 KR 101919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mobile terminal
output
displayed
sub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522A (ko
Inventor
권윤미
장민경
권아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787B1/ko
Priority to EP13166817.0A priority patent/EP2663085B1/en
Priority to US13/889,639 priority patent/US9225957B2/en
Priority to CN201310169638.3A priority patent/CN103391469B/zh
Publication of KR2013012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15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동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나 이벤트 발생이 있는 경우,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의 발생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동영상에 대응되는 제 1 자막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동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나 이벤트 발생이 있는 경우,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통한 동영상 감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요 또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감상 상황을 인식하여 이벤트를 상황에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영상 재생시 자막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의 발생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동영상에 대응되는 제 1 자막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제 1 동영상의 음향 출력에 대한 볼륨 조절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마이크를 통해 상기 볼륨 조절시의 주변 음향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볼륨 조절의 방향 및 상기 판단된 주변 음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동영상에 대응되는 제 1 자막의 표시 여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 재생 중 이벤트 발생시 상황에 따라 자막을 제어하여 보다 편리한 감상환경이 사용자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시 자막 제어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볼륨 값 조절에 따른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호신호 착신에 따른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태스킹에 따른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두 동영상이 동시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두 동영상이 동시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제어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두 동영상이 동시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제어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 영상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자막 표시형태가 변경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의 중지에 따른 위젯 전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과 키버튼의 조합에 의한 단계적 기능 수행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탐색 기능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 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통 디스플레이부(151)에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흔히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별도로 설치/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개념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기능이 실행됨에 있어 소정 영역에서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모든 대상을 지시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동시에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151), 이동 단말기 상에 구비되는 다른 영상 표시 수단 및/또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다른 외부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화면 분할되어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만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거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을 둘 이상 동시에 실행하고 제어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황별 자막 제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감상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가 상황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동영상의 자막을 인지된 상황에 적합하게 제어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시 자막 제어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S410). 여기서 동영상의 재생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동영상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동영상을 포함하는 웹페이지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로드된 경우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의 소스는 미리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스트리밍 형태로 메모리에 획득될 수도 있다.
동영상이 재생되던 중,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이벤트의 발생이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 입력, 무선통신부(110)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호신호나 메시지 수신, 센싱부(140)가 감지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 이어폰 잭이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은, 동영상의 볼륨 조절, 동영상의 크기 조절,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입력, 둘 이상의 동영상 동시 재생 명령 입력 등을 포함한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이벤트 발생과 관련하여 상황 인식(Context-Awareness)을 수행한다(S430). 여기서 제어부가 어떠한 정보를 상황 인식에 적용할지 여부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통해 동영상 음향의 볼륨이 변경된 경우 마이크(122)를 이용하여 주변이 조용한지 시끄러운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음향 출력을 사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으로 가로-세로 방향이 변경된 경우 재생중인 동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판단하거나, 호신호 착신시 사용자의 통화 수락/거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황 인식을 수행한 제어부(180)는, 인식된 상황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자막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440). 여기서 표시 상태는, 자막의 ON/OFF 여부, 자막의 크기, 동영상 재생 화면에 대한 자막의 배치 위치나 표시 분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막의 제어를 위해서는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이 존재할 것이 요구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자막이 미리 메모리(160)에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정으로, 제어부(180)는 자막이 메모리(160)에 미리 준비되지 않은 경우 동영상의 메타 정보나 헤더 정보, 용량, 파일 이름 등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웹서버 등에서 자막을 검색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비스 형태의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정보도 함께 스트리밍 데이터에 포함되어 이동 단말기에 획득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별 자막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포함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영상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며, 자막이 표시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볼륨 값 조절에 따른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을 때, 볼륨 조절 메뉴(510)가 선택되어 도 5의 (b)와 같이 볼륨게이지(520)가 일정 값 이하로 내려가며 현재 자막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자막(53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볼륨을 낮추는 것이 조용한 장소이기 때문이라고 제어부(180)가 판단하여, 낮은 음향을 대체하기 위해 자막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상황인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할 때 마이크(122)를 활성화시켜 주변이 시끄러운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로 주변 소음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에만 자막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가 판단한 주변 소음의 정도가 낮은데도 볼륨 게이지(530)가 갑자기 올라가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의 (c)와 같이 임시 저지선(540)을 설정하여 볼륨 상승을 차단할 수 있다. 임시 저지선(540)이 표시된 이후에도 다시 볼륨을 올리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명령에 따라 볼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볼륨 상승을 위한 명령이 입력될 때 주변 소음이 일정 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도 5의 (d)와 같이 자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볼륨 상승 명령이 주변 소음때문에 음향 식별이 어려워 취하는 행동으로 제어부(180)가 인식한 결과, 동영상 감상을 돕기 위해 자막이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이다. 주변 소음을 인식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볼륨이 최대로 올라간 이후에도 볼륨을 상승시키기 위한 명령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반복 명령을 자막 호출 명령으로 인식하고, 자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음향출력부(152)와 인접한 부분에 터치 센서나 조도 센서를 두어,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신호가 감지되거나, 조도 센서를 통해 음향출력부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진 경우 제어부(180)는 자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음향출력부(152)를 손으로 막고 있는 상황으로 제어부(180)가 인식한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자막의 표시와 함께 자동으로 볼륨값을 일정 값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도 5에서는 볼륨 조절 메뉴(510)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볼륨 게이지(520)의 제어로 동영상의 볼륨이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이나, 이동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하드웨어 키버튼(132)으로도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막 제어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호신호 착신에 따른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던 중,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6의 (b)와 같이 통화 수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통화 수락 메뉴(610)를 선택한 경우, 도 6의 (c)와 같이 동영상 재생이 재개되면서 자막(63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동영상에 대한 음향 대신, 통화 관련 음향만이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51)의 일 영역에는 현재 통화시간 등 통화 관련 정보(6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음향 출력을 요구하는 외부 이벤트 발생에 응하는 경우에도 자막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동영상을 중단없이 감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됨에 따른 자막 제어를 설명한다.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될 때 제어부(180)가 상황 인식에 고려하는 사항은, 추가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음향 출력을 수반하는지 여부이다. 만일, 추가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음향 출력을 수반하는 경우, 제어부는 동영상의 음향 출력을 오프하는 대신, 영상 출력이 유지됨과 함께 자막이 표시되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추가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음향 출력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의 영상 출력만이 추가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태스킹에 따른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던 중,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소정의 명령 입력(예를 들어, 홈키 오래 누르기)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731)이 선택된 경우, 도 7의 (c)와 같이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상으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컨트롤 패널(720)이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음향 대신 컨트롤 패널(720)의 조작에 따라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음향을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자막(73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컨트롤 패널(720)은 동영상의 영상 감상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소정 시간동안 조작되지 않는 경우 사라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상으로 해당 부분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다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의 (b)와 같은 상황에서 갤러리(이미지 파일 재생) 어플리케이션(711)이 선택된 경우, 도 7의 (d)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주변 공간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컨트롤 패널(720)이 표시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을 통해 동영상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음향을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표시되는 이미지 주변으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자막(7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의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동시 재생될 다른 동영상이 추가로 선택됨에 따른 자막 제어를 설명한다. 다른 동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때 제어부(180)가 상황 인식에 고려하는 사항은, 어떠한 동영상이 제어 대상인지 여부일 수 있다. 제어 대상 동영상이 특정되면, 해당 동영상에는 소정의 시각효과가 부여될 수 있고, 제어 대상 동영상의 음향만 출력되고 다른 동영상은 음향없이 자막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두 동영상 모두에 재생 명령이 내려진 경우 제어 대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영상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이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두 동영상이 동시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을 때, 터치스크린 상으로 소정의 명령(예를 들어, 롱터치)이 입력됨에 따라 도 8의 (a)와 같이 재생 영역의 네 가장자리에 크기 조절 인디케이터(810)가 표시될 수 있다. 크기 조절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드래그됨에 따라 재생 영역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재생 영역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로 축소되면, 도 8의 (b)와 같이 제어 대상 동영상임을 지시하는 제어 인디케이터(820)가 기존 재생되고 있던 동영상의 재생영역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재생되고 있던 동영상의 재생 영역이 축소됨에 따라 생성된 빈 공간에 새로운 동영상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인디케이터(830)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 인디케이터(830)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선택되면, 메모리(160)에서 미리 검색된 동영상의 리스트나, 추가될 동영상을 파일 시스템 내에서 찾아가기 위한 탐색기가 표시될 수 있다(미도시). 새로 추가될 동영상이 특정되면, 새로 추가된 동영상의 재생 영역으로 제어 인디케이터(820)가 옮겨올 수 있다.
그에 따라, 새로 추가된 동영상의 음향이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되면서, 도 8의 (c)와 같이 기존 동영상에는 자막(841)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기존 동영상의 재생 영역이 터치 입력으로 선택되면, 도 8의 (d)와 같이 제어 인디케이터(820)가 표시되며, 그와 함께 기존 동영상의 음향이 음향출력부(152)로 출력된다. 또한, 추가된 동영상의 음향출력은 중단되고, 대신 자막(843)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c)나 (d)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 인디케이터(820)가 부여된 동영상도 볼륨을 일정 크기 이하로 낮추는 경우에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자막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두 동영상 모두에 자막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재생 영역의 크기 조절을 위해 롱터치가 입력됨에 따라 표시되는 크기 조절 인디케이터(810)를 드래그하는 대신, 서로 다른 두 지점에 멀티 터치를 가한 후, 터치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두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좁힌 후 해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화면 분할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가로보기(Landscape) 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이동 단말기가 가로보기 모드에서 세로보기(Portrait) 모드로 변경된 경우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두 동영상이 동시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제어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도 8의 (c)와 같은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의 배치 방향이 가로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됨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하단에 제어 인디케이터(920)가 표시되는 재생 영역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터치&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9의 (b)와 같이 두 동영상의 위치를 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두 동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때 이어폰의 삽입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 동작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두 동영상이 동시 재생되는 경우 자막 제어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을 통하여 두 동영상이 화면 분할 형태로 동시에 재생된다. 제어 인디케이터(1020)는 우측 동영상에 부여되어 음향출력부를 통해 우측 동영상의 음향이 출력되고 있으며, 좌측 동영상에 대한 음향은 출력되지 않고 대신 자막(1010)이 표시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되면 도 10의 (b)와 같이 좌측 동영상의 재생 영역에는 이어폰으로 음향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텍스트(1031)가 표시되고, 우측 동영상의 재생 영역에는 스피커, 즉, 음향출력부를 통해 음향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텍스트(1033)가 표시될 수 있다. 그와 함께, 좌측 동영상의 음향은 이어폰으로 출력이 시작된다. 물론, 우측 동영상의 음향은 이어폰 연결 전과 같이 음향출력부로 계속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의 (c)와 같이 좌측 동영상이 제어 대상 동영상으로 변경되면, 즉, 좌측 동영상의 재생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 인디케이터(1020)가 좌측 동영상에 부여된다. 그에 따라, 좌측 동영상의 재생 영역에는 음향출력부를 통해 음향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텍스트(1031')가, 우측 동영상의 재생 영역에는 이어폰으로 음향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텍스트(1033')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그와 함께, 좌측 동영상의 음향은 음향출력부로 출력되고, 우측 동영상의 음향은 이어폰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10에서 이어폰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어폰 외에 스피커와 같이 외부 음향출력 기기에 유선 연결되는 경우와 함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음향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들은, 두 사용자가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로 다른 동영상을 동시에 감상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영상의 출력 영상 크기 변경에 따른 자막 제어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 영상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자막 표시형태가 변경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51) 상으로 세로보기 모드에 적합한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다. 이때, 도 11의 (b)와 같이 두 지점(1111 및 1113)에 동시에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 터치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두 터치 지점간의 거리가 화살표 방향으로 좁혀지면, 그에 따라 출력 영상(1120)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출력 영상(1120)의 크기 감소로 생긴 빈 공간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에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자막(113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1의 (b)와 유사한 방법으로, 도 11의 (c)와 같이 출력 영상의 크기가 더욱 축소된 경우(1120'), 축소된 출력 영상(1120')으로 인해 빈 공간이 더 커지면, 제어부(180)는 더 많은 분량의 자막(1130')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가로보기 모드에 적합한 동영상이 가로보기 모드로 재생되던 중 도 11의 (d)와 같이 세로보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동영상의 출력 영상(1140)은 가로세로 비율이 유지되면서 크기가 축소된다. 축소된 출력 영상(1140)에는 현재 재생 시점에 적합한 자막(1151)이 표시될 수 있고, 그 상하로 현재 시점의 이전 자막(1152)과 이후 자막(1153)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0)는 상황인식 단계(S430)에서 기존에 재생되던 동영상의 자막의 표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자막이 표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 S440 단계에서 자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미 자막이 표시되고 있던 상황에서는 제어부(18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추가 동작 없이 계속 자막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가 기능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시의 부가 기능들을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들은,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식을 통한 자막 제어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위젯 전환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의 중지에 따른 위젯 전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던 중, 도 12의 (a)와 같이 재생 일시 중지 버튼(1210)이 롱터치되면, 도 12의 (b)와 같이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위젯 형태(1220)가 되어 홈스크린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위젯(1220)을 통하여 동영상이 재생이 선택되면, 홈스크린의 위젯은 사라지고 다시 도 12의 (a)와 같은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도 11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게, 도 12의 (c)와 같이 점점 출력 영상(1230)이 축소되다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 중지되고 도 12의 (d)와 같이 일지 중시 당시의 스크린샷을 포함하는 위젯(1240)이 홈스크린의 빈 공간에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위젯(1240)의 중앙에는 재생버튼(1241)이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버튼(1241)이 선택되면 홈스크린의 위젯(1240)은 사라지고 다시 도 12의 (a)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어 정지된 부분부터 재생이 재개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재생 중 중지된 동영상이 있으며, 어디까지 재생되었는지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아니라, 해당 부분부터 다시 재생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하드웨어 키버튼과 터치스크린의 동시 조작을 통한 단계적 명령 입력 방법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과 키버튼의 조합에 의한 단계적 기능 수행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도중 도 13의 (a)와 같이 프로그레스바(1310) 영역(1310)에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볼륨조절 키버튼(132)을 조작하는 경우, 키버튼(132)이 조작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구간(예를 들어 5초 또는 10초)만큼 재생 시점이 변경될 수 있다. 키버튼(132)이 일정시간 이상 눌리는 경우, 탐색 속도는 눌린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 재생 시점 변경의 방향(순방향 또는 역방향)은, 키버튼(132)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키버튼(132)을 (+)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예를 들어, 볼륨업 키) 재생 시점은 이후 시점으로 변경될 수 있고, (-)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 재생 시점은 이전 시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 그 반대 방향으로 재생 시점이 변경될 수도 있다.
만일, 프로그레스바(1310) 주변이 아니라 도 13의 (c)와 같이 출력 영상(1320) 주변에 터치(또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가해진 상태로 키버튼(132)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출력 영상의 크기가 키버튼(132)의 조작 회수만큼 일정 비율단위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의 (d)는 출력 영상의 크기가 증가된 경우의 예시이다.
하드웨어 키버튼과 터치스크린의 동시 조작 외에, 동시에 입력되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제어량이 상이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중 재생 영역 상으로 세로 방향의 터치-드래그가 입력되면 볼륨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한 손가락으로 터치 드래그를 입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두 손가락으로 동일한 거리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 볼륨 변경량은 두 배가 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동영상 탐색을 위해 빨리넘기기나 빨리 되감기를 수행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화면 자체가 탐색 시점에 맞게 변경되어 탐색 중에는 계속적인 동영상 재생이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영상은 그대로 두고, 별도의 오버레이 윈도우를 생성시켜 오버레이 윈도우 상에서 탐색이 수행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탐색 기능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도중 빨리 넘기기 버튼(1410)이 조작된다. 버튼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도 14의 (b)와 같이 동영상의 재생 상태에는 변화가 없고(즉, 계속 재생 상태 유지), 재생 화면 가장자리에 오버레이 창(1420)이 생성되어 그 안에서 탐색 영상(즉, 빨리 넘기기 영상)이 표시된다. 빨리 넘기기 버튼(1410)에 대한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도 14의 (c)와 같이 재생되던 영상은 오버레이 창(1420')에 표시되고, 탐색 영상은 전체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오버레이 창(1420')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도 14의 (a)와 같은 상태로 복귀될 수 있고,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도 14의 (d)와 같이 오버레이 창이 사라질 수 있다. 한편, 오버레이 창이 사라진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오버레이 창이 위치하던 지점을 터치하면, 다시 오버레이 창이 사라지던 시점의 상태로 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탐색과 관계없이 끊임없이 동영상의 재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 경우, 홈키 조작 등으로 동영상 재생을 중지시킨 경우 등으로 재생이 중단된 후 다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 일반적으로 중단시점부터 동영상의 재생이 재개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는 설정에 따라 중단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전부터 재생이 재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중단 시점이전 영상을 일부 보여줌으로써 이전 내용을 상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 도중 전원 버튼이나 락(Lock) 버튼을 조작하여 스크린 오프시키는 경우, 버튼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볼륨 키버튼(132)이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스크린 오프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동영상의 음향만을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재생 시간 증대를 위하여 배터리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의 밝기를 어둡게 하면서 볼륨을 추가로 낮출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를 비활성화시킴과 함께 자막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은 동영상 재생 환경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재생 영상과 무관한 부분에 대해서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영상의 자막은 음악의 가사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부;
    제1 동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제1 동영상에 해당하는 제1 자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제1 동영상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2 동영상의 출력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2 동영상 출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제1 동영상의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2 동영상 출력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1 동영상의 표시를 중단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제1 자막을 표시하는 동안 제1 동영상의 오디오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동영상의 제어를 위한 제1 제어 패널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제2 제어 패널과 함께 상기 제1 동영상에 오버레이 표시하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 제1 동영상의 시청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제어 패널이 상기 제1 동영상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주변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주변 소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1 자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볼륨 조절 명령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볼륨 조절 명령이 볼륨 낮춤 명령이고, 상기 측정된 주변 소음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1 자막을 자동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된 볼륨 조절 명령이 볼륨 높임 명령이고, 상기 측정된 주변 소음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1 자막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호 수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한 통화가 수락되고, 제1 자막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1 자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동영상의 오디오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출력이 중단된 오디오 대신에 상기 통화에 대한 통화음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출력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출력을 포함하고 있고, 제1 자막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1 자막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동영상의 오디오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제1 동영상의 영상 표시 영역의 크기 변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영역의 크기 변경에 따라 생성된 빈 공간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빈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제1 자막의 표시 크기를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49103A 2012-05-09 2012-05-09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103A KR101919787B1 (ko) 2012-05-09 2012-05-09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13166817.0A EP2663085B1 (en) 2012-05-09 2013-05-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3/889,639 US9225957B2 (en) 2012-05-09 2013-05-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310169638.3A CN103391469B (zh) 2012-05-09 2013-05-09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103A KR101919787B1 (ko) 2012-05-09 2012-05-09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22A KR20130125522A (ko) 2013-11-19
KR101919787B1 true KR101919787B1 (ko) 2018-11-19

Family

ID=4857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103A KR101919787B1 (ko) 2012-05-09 2012-05-09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25957B2 (ko)
EP (1) EP2663085B1 (ko)
KR (1) KR101919787B1 (ko)
CN (1) CN1033914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6431A (ja) * 2012-08-10 2014-02-24 Kyocera Corp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での表示制御方法
JP5932563B2 (ja) * 2012-08-10 2016-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での処理実行方法
JP6161400B2 (ja) * 2013-05-17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109532A1 (en) * 2013-10-23 2015-04-23 Google Inc. Customizing mobile media captioning based on mobile media rendering
KR20150084524A (ko) * 2014-01-14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681086B2 (en) * 2014-03-12 2017-06-1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KR20150142462A (ko) * 2014-06-12 201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7195B1 (ko) 2014-07-28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소음에 기초하여 자막을 생성하는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N104267903B (zh) * 2014-09-24 2017-09-12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多媒体歌词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2202576B1 (ko) * 2014-12-12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N104657102B (zh) * 2015-03-16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9596429B2 (en) * 2015-05-08 2017-03-14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when loud background noise is present
CN104866094B (zh) * 2015-05-11 2018-12-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及终端的控制方法
WO2017022931A1 (ko) *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6070B1 (ko) * 2015-11-18 2022-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CN105657497B (zh) * 2016-02-01 2019-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设备
CN105739344A (zh) * 2016-04-29 2016-07-06 四川数字工匠科技有限公司 多媒体中央控制系统
CN106060266B (zh) * 2016-06-28 2019-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WO2018146742A1 (ja) 2017-02-08 2018-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JP6800052B2 (ja) * 2017-03-06 2020-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10930276B2 (en) * 2017-07-12 2021-02-23 Universal Electronic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voice input in a controlling device
US11489691B2 (en) 2017-07-12 2022-11-01 Universal Electronic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voice input in a controlling device
CN108668011B (zh) * 2018-03-30 2020-12-18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出方法、输出设备以及电子设备
CN109379631B (zh) * 2018-12-13 2020-11-24 广州艾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移动终端编辑视频字幕的方法
US11290786B2 (en) * 2019-09-13 2022-03-29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losed captioning
CN112201232A (zh) * 2020-08-28 2021-01-08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语音输出控制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DE102021121136B3 (de) * 2021-08-13 2022-12-22 Audi Aktiengesellschaft System zum Darstellen eines Videos
CN113452935B (zh) * 2021-08-31 2021-11-09 成都索贝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横屏和竖屏直播视频生成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4531A (ja) *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46445A1 (en) * 2008-12-08 2010-06-10 Apple Inc. Ambient Noise Based Augmentation of Media Playback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878A1 (fr) * 2002-03-27 2003-10-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CN1320819C (zh) * 2002-04-05 2007-06-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允许内容接收和语音通讯的通讯终端设备
CA2534258A1 (en) 2003-08-06 2005-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water-swellable material comprising coated water-swellable polymers
US20070265031A1 (en) * 2003-10-22 2007-11-15 Sandy Electric Co., Ltd. Mobile Phon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041810B1 (ko) * 2004-08-27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JP4968506B2 (ja) * 2005-03-04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79592A (ja) * 2005-03-29 2006-10-12 Toshiba Corp 放送受信機
JP2007013725A (ja) *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101100596B1 (ko) * 2005-11-22 2011-12-2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기
CN101035213A (zh) * 2006-03-07 2007-09-12 乐金电子(南京)等离子有限公司 根据周围噪音将声音模式转换成字幕模式的电视机及控制方法
JP2008252746A (ja) * 2007-03-30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300902A (ja) * 2007-05-29 2008-12-11 Hitachi Ltd 携帯端末
US7774488B2 (en) * 2008-03-12 2010-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media streams in a client system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s
US7508450B1 (en) * 2008-05-06 2009-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losed captioning of audio video content on a portable playback device
JP2011160152A (ja) * 2010-01-29 2011-08-18 Toshiba Corp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US9544528B2 (en) * 2010-08-17 2017-01-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atrix search of video using closed caption information
KR101808625B1 (ko) * 2010-11-23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4531A (ja) *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46445A1 (en) * 2008-12-08 2010-06-10 Apple Inc. Ambient Noise Based Augmentation of Media Play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22A (ko) 2013-11-19
US9225957B2 (en) 2015-12-29
CN103391469B (zh) 2017-04-26
EP2663085A2 (en) 2013-11-13
US20130302008A1 (en) 2013-11-14
EP2663085B1 (en) 2018-09-12
EP2663085A3 (en) 2013-12-11
CN103391469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7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70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9658768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19197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981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6888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17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126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0920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48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22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44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81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998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스크롤 방법
KR2013013267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18662A (ko)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622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29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54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591B1 (ko) 이동 단말기,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20150050849A (ko) 단말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1330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15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