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547A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547A
KR20160053547A KR1020140152752A KR20140152752A KR20160053547A KR 20160053547 A KR20160053547 A KR 20160053547A KR 1020140152752 A KR1020140152752 A KR 1020140152752A KR 20140152752 A KR20140152752 A KR 20140152752A KR 20160053547 A KR20160053547 A KR 2016005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user input
character
bez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경
윤민경
곽지연
김지현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3547A/ko
Priority to US14/932,376 priority patent/US20160124633A1/en
Publication of KR2016005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A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장치는 기존의 스마트폰 형태와 차별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로 구현 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경량, 단순화 등의 디자인으로 생산됨에 따라 기존의 터치스크린의 크기기 작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음성 인식 등을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음성 인식은 주변 소음에 민감하여 정확성이 떨어져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해 소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소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문자 집합에서 상기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는 복수 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변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베젤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와 연결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랩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보드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상기 확대된 키보드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로 입력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은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문자 집합에서 상기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은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베젤부는 복수 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은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베젤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은 터치감지부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대된 키보드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로 입력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을 스크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은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터치스크린에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베젤부에서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제1 문자 집합에서 선택되는 문자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장치의 문자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자장치에서 제1 문자 집합에 포함된 대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대표 문자에 대응하는 하위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하위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한글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스트랩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스트랩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메뉴 화면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은 스트랩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상하좌우 방향 드래그 동작 및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단어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터치스크린에서 감지부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페이지의 첫번째 및 마지막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랩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의 폰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랩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폰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랩의 감지부에서 탭하는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의 폰트 속성을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스트랩의 끝단부에 장착된 감지부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베젤부 및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은 문자 입력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전자장치와 인터렉션 하기 위한 모든 가능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도1a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터치스크린(101), 베젤부(103) 및 스트랩(10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103)는 터치스크린(101)의 외곽을 둘러싸며, 터치스크린(101)을 하우징(housing)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베젤부(103)는 터치감지부(10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는 베젤부(103)의 터치감지부(10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센서와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 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UI 엘리먼트를 터치함으로써 전자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트랩(105)은 밴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팔목에 전자장치(100)를 고정시킬수 있다. 스트랩(105)은 터치감지부(10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트랩(105)을 터치하면 터치감지부(10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가 사용자의 손(107)에 착용되어 있다. 전자장치(100)는 터치스크린(101),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베젤부(103) 및 스트랩(10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손(109)으로 전자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장치(100)의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터치스크린(101), 터치감지부(103a), 제어부(201) 및 저장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 감지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컨텐츠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touch), 드래그(drag), 탭(tap), 플릭(flick) 및 스와이프(swipe)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는 UI 엘리먼트(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103a)는 터치스크린(101)을 둘러싸고 있는 베젤부(103)에 위치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제어부(2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감지부(103a)는 스트랩(105)에 위치 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01)는 터치감지부(103a)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위치 및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베젤부(103)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101)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문자 집합(first set of character)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01)으로부터 상기 베젤부(103)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2 문자 집합(second set of character)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상기 터치스크린(101)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01)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베젤부(103)에 접촉하고 접촉을 유지하면서 터치스크린(101)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플릭 및 스와이프 제스처일 수 있다. 제1 문자 집합은 자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터치스크린(101)에 접촉하고 접촉을 유지하면서 베젤부(103)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플릭 및 스와이프 제스처일 수 있다. 제2 문자 집합은 모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젤부(103)는 터치스크린(101)의 외곽에 배치되며, 터치감지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길이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1)는 상기 이동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문자 집합에 포함되는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101)에 일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01)에 일시적으로 표시된 문자를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문자 집합이 자음으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베젤부(103)에 접촉하고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B’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손가락을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C’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03)는 전자장치(100)에서 진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03)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외장 하드디스크,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03)는 상기 전자장치의 운영체제, 터치스크린(101)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도시되어 있다. 베젤부(103)는 터치스크린(101)의 외곽에 위치하며 터치감지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103)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모양일 수 있으나,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원형 모양일 수 있다. 또한 베젤부(103)는 복수 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젤부는 4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베젤부가 4개의 변을 갖는 예로 설명 할것이지만, 베젤부가 복수 개의 변을 갖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103a)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기신호를 제어부(201)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 탭, 드래그, 스와이프 및 플릭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하면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 대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베젤부(103)에 표시되는 대표 문자는 사용자의 탭 여부와 관계없이 전자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면 항상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베젤부(103)에 표시되는 대표 문자는 문자 입력이 필요한 특정 앱 구동시에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대표 문자는 LED 백라이트를 통해 베젤부(103)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대표 문자는 터치스크린(101)과는 다른 제2 터치스크린을 베젤부(103)로 사용하여 표시될수 있다. 이 때 베젤부(103)는 제2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1)의 외곽부분을 사용하여 대표 문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베젤부(103)가 없는 경우, 터치스크린(101)의 외각에 대표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베젤부(103)가 존재하는 경우, 베젤부(103)에 인접한 터치스크린(101)의 외각에 대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는 자음의 대표 문자가 대응될 수 있다. 대표 문자는 전체 자음중 일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젤부(103)의 상단 변에는 ‘B’가 대응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변에는 ‘P’가 대응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좌측 변에는 ‘V’가 대응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우측 변에는 ‘J’가 대응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상단 우측 모서리에는 ‘F’가 대응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상단 좌측 모서리에는 ‘X’가 대응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우측 모서리에는 ‘M’이 대응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좌측 모서리에는 ‘S’가 대응될 수 있다. 대표 문자는 ‘B’, ‘F’, ‘J’, ‘M’, ‘P’, ‘S’, ‘V’ 및 ‘X’ 일 수 있다. 대표 문자는 베젤부(103)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각 대표 문자는 대응하는 하위 문자를 한 개 이상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표 문자 ‘B’는 하위 문자 ‘C’ 및 ‘D’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F’는 하위 문자 ‘G’ 및 ‘H’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J’는 하위 문자 ‘K’ 및 ‘L’을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M’은 하위 문자 ‘N’을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P’는 하위 문자 ‘Q’ 및 ‘R’을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S’는 하위 문자 ‘T’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V’는 하위 문자 ‘W’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X’는 하위 문자 ‘Y’ 및 ‘Z’를 가질 수 있다.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대표 문자 및 각 대표 문자에 대응되는 하위문자는 전자장치(100)에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될 수 있다. 하위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하면,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에서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문자를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터치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문자를 터치한 후 터치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터치 해제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되는 위치는 커서가 위치한 곳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하면, 제어부(201)는 대표 문자 ‘B’, ‘F’, ‘J’, ‘M’, ‘P’, ‘S’, ‘V’ 및 ‘X’를 표시하도록 베젤부(103)를 제어하고, 베젤부(103)에 표시된 대표 문자 ‘B’를 터치하고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B’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서 터치스크린(101)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베젤부(103)를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하고 터치스크린(101)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플릭 및 스와이프 동작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하고 베젤부(103)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플릭 및 스와이프 동작일 수 있다.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101)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터치스크린(101)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문자 집합은 자음의 집합일 수 있다. 영문 알파벳의 경우 제1 문자 집합은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V’, ‘W’, ‘X’, ‘Y’ 및 ‘Z’로 구성될 수 있다. 한글인 경우 제1 문자 집합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문자 집합은 모음의 집합일 수 있다. 영문 알파벳의 경우 제2 문자 집합은 ‘A’, ‘E’, ‘I’, ‘O’, ‘U’로 구성될 수 있다. 한글인 경우 제2 문자 집합은 ‘ㅏ’, ‘ㅑ’, ‘ㅓ’, ‘ㅕ’ , ‘ㅗ’, ‘ㅛ’, ‘ㅜ’, ‘ㅠ’, ‘ㅡ’, ‘ㅣ’ 로 구성될 수 있다.
베젤부(103)에 대표 문자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문자를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 표시된 문자의 하위 문자를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01)을 제어 수 있다. 이 때 드래그 동작은 제1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1)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의 길이를 결정하고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대응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B’를 터치(301)한 후 터치스크린(101) 방향(303)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B’의 하위문자인 ‘C’가 표시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C’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C’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채 터치스크린(101) 방향(303)으로 계속해서 드래그를 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D’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D’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베젤부(103)에 대표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계속해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대표 문자의 하위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또는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길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C’, ‘D’를 번갈아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플릭 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2 문자 집합은 모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영문 알파벳의 경우 제2 문자 집합은 ‘A’, ‘E’, ‘I’, ‘O’, ‘U’ 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제2 문자 집합에 포함된 문자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1)는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은 터치스크린(101)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및 베젤부(103)의 각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어부(201)는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에 따라 제2 문자 집합에 포함된 문자 중에서 각각 다른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305)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제2 문자 집합에 포함된 문자 중에서 ‘A’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A’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방향에 따라 ‘E’, ‘I’, ‘O’ 또는 ‘U’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A’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307)으로 드래그 하면, 제어부(201)는 ‘I’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 동작은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며, 드래그 동작도 베젤부(10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드래그 동작은 터치스크린(101)에서 시작되어 베젤부(103)에서 끝날 수 있다.
제어부(201)는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로 입력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베젤부(103)는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으며 각 변에는 대응하는 대표 문자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4개의 변 및 모서리 부분에서 감지될 수 있으며,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젤부(103)의 상단 변에는 ‘B’가 대응될 수 있다. ‘B’는 하위문자로 ‘C’ 및 ‘D’를 가질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상단 변에 표시된 ‘B’를 터치하고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B’를 전자장치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상단 변에 표시된 ‘B’를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C’ 또는 ‘D’ 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우측상단 변에는 ‘F’가 대응될 수 있다. ‘F’는 하위문자로 ‘G’ 및 ‘K’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우측상단 변에 표시된 ‘F’를 터치하고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F’를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우측상단 변에 표시된 ‘F’를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G’ 또는 ‘K’를 선택하여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우측 변에는 ‘J’가 대응될 수 있다. ‘J’는 하위문자로 ‘K’ 및 ‘L’을 가질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우측 변에 표시된 ‘K’를 터치하고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K’를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우측 변에 표시된 ‘K’를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K’ 또는 ‘L’을 선택하여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우측하단 변에는 ‘M’이 대응될 수 있다. ‘M’은 하위문자로 ‘N’ 및 ‘Q’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우측하단 변에 표시된 ‘M’을 터치하고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M’을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우측하단 변에 표시된 ‘M’을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N’ 및 ‘K’를 선택하여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일시적으로 표시하고, 제1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201)는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일시적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일시적으로 표시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터치스크린(101)에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스와이프 및 플릭 동작 중 하나의 동작 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에 대표 모음 및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터치스크린(101)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2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제2 문자 집합에 포함된 문자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문자 집합은 모음의 집합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되는 문자는 모음 중에서 대표 모음일 수 있다. 대표 모음은 터치가 감지된 지점 근처에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젤부(103)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제2 문자 집합에 포함된 문자 중에서 현재 터치스크린(101) 에 표시된 문자와는 다른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드래그 방향은 터치가 감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401)하면, 제어부(201)는 터치가 감지된 위치 또는 터치스크린(101)의 중앙 부분에 제2 문자 집합에 포함된 문자 중 하나인 ‘A’ 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A’는 대표 모음 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단 베젤부(103) 방향(411)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U’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 베젤부(103) 방향(415)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O’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 베젤부(103) 방향(417)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E’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단 베젤부(103) 방향(413)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I’를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드래그 동작 이후 터치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함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A’가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단 베젤부(103) 방향으로 드래그 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U’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U’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베젤부(103)에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제1 문자 집합에서 선택되는 문자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한 변을 터치(501)한 후 터치스크린(101) 방향(503)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되는 문자가 ‘B’, ‘C’ 및 ‘D’로 변경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베젤부(103)의 상단(501)을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상단 베젤부(103)에 대표 자음 ‘B’를 표시하도록 베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대표 자음은 대표 문자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 방향(503)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 에 ‘C’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터치스크린(101) 방향(503)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 에 ‘D’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1 사용자 입력의 이동 길이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베젤부(103)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터치가 감지된 위치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문자를 베젤부(103)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되는 문자는 대표 문자 일 수 있다. 대표 문자는 제1 문자 집합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제어부(201)는 드래그 동작의 이동 길이를 결정하고 드래그 동작의 이동 길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C’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드래그 동작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경우에는 ‘D’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C’ 및 ‘D’가 표시되는 위치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드래그 동작 이후 터치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전자장치(100)의 문자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도시되어 있다. 베젤부(103)에는 제1 문자 집합에 포함된 대표 문자 ‘B’, ‘F’, ‘J’, ‘M’, ‘P’, ‘S’, ‘V’, ‘X’ 가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의 좌측상단 영역에는 입력된 문자(601) 및 커서가 표시되어 있다. 즉, 터치스크린(101)에는 문자 입력 창(window)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의 중앙 영역에는 전자장치로 입력될 문자 ‘E’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는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 이후 해제를 하면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 ‘E’가 선택되고, 전자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은 전자장치(100)에서 제1 문자 집합에 포함된 대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문자 집합은 자음의 집합일 수 있다. 대표 문자는 대표 자음 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하면, 베젤부(103)에는 각 변 및 각 모서리에는 대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베젤부(103)에 표시되는 대표 문자는 사용자의 탭 여부와 관계없이 전자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면 항상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베젤부(103)에 표시되는 대표 문자는 문자 입력이 필요한 특정 앱 구동시에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입력이 필요한 문자 메시지 앱이 구동되면, 베젤부(103)에 자동으로 대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에 표시되는 대표 문자는 LED 백라이트를 통해 베젤부(103)에 나타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1)과는 다른 제2 터치스크린(101)을 베젤부(103)에 사용하여 대표 문자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베젤부(103)는 제2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1)의 외곽부분을 사용하여 대표 문자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베젤부(103)는 터치스크린(101)의 외곽부분이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는 자음의 대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대표 자음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젤부(103)의 상단 변에는 ‘B’가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변에는 ‘P’가 표시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좌측 변에는 ‘V’가 표시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우측 변에는 ‘J’가 표시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상단 우측 모서리에는 ‘F’가 표시 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상단 좌측 모서리에는 ‘X’가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우측 모서리에는 ‘M’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좌측 모서리에는 ‘S’가 표시될 수 있다. 대표 문자는 ‘B’, ‘F’, ‘J’, ‘M’, ‘P’, ‘S’, ‘V’ 및 ‘X’ 일 수 있다. 각 대표 문자는 대응하는 하위 문자를 한 개 이상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표 문자 ‘B’는 하위 문자 ‘C’ 및 ‘D’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F’는 하위 문자 ‘G’ 및 ‘H’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J’는 하위 문자 ‘K’ 및 ‘L’을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M’은 하위 문자 ‘N’을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P’는 하위 문자 ‘Q’ 및 ‘R’을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S’는 하위 문자 ‘T’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V’는 하위 문자 ‘W’를 가질 수 있다. 대표 문자 ‘X’는 하위 문자 ‘Y’ 및 ‘Z’를 가질 수 있다.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대표 문자 및 각 대표 문자에 대응되는 하위문자는 전자장치(100)에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설정 할 수 있다. 하위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베젤부(103)에서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의 각 변 및 각 모서리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베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문자를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터치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문자를 터치한 후 터치 해제하면, 제어부(103)는 터치가 해제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되는 위치는 커서가 표시된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701)하면,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 대표 문자 ‘B’, ‘F’, ‘J’, ‘M’, ‘P’, ‘S’, ‘V’ 및 ‘X’ 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대표 문자 ‘B’를 터치하고 해제하면 ‘B’가 전자장치로 입력되고, 터치스크린(101)(705)에는 ‘B’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대표 문자에 대응하는 하위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표시되어 있다. 베젤부(103)에 표시되는 대표 문자는 대응하는 하위 문자를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801)하면,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 대표 문자를 표시하도록 베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대표 문자를 터치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803)을 수행 하면, 제어부(201)는 대표 문자에 대응하는 하위 문자(805)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터치가 해제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807)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으로도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드래그 동작은 제1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또는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대표 문자는 하나 이상의 하위 문자를 가질 수 있으며, 하위 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제어부(201)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제1 하위문자, 제2 하위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번갈아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표 문자 ‘B’의 하위문자가 ‘C’ 및 ‘D’인 경우, 제어부(201)는 드래그 길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C’ 및 ‘D’를 번갈아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C’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드래그 길이가 임계값을 넘게 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D’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 중 터치 해제(release)를 하면, 제어부(201)는 해제 지점에 대응하는 하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하위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의 좌측상단 또는 커서가 있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C’를 입력할 수 있다. ‘D’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D’를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탭(901)하면, 제어부(201)는 대표 모음(903)이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대표 모음(903)은 터치스크린(101)의 중앙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의 중앙부에 표시된 대표 모음(903)을 터치한 후 터치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중앙에 표시된 대표 모음을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대표 모음은 터치스크린(101)의 좌측상단(905) 또는 커서가 있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하위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탭(1001)하면, 제어부(201)는 대표 모음을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하위 모음을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손가락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또는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래그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가 해제된 하위 모음을 전자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하위 모음이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하위 모음 ‘U’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래그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 중앙에 표시된 ‘U’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하위 모음 ‘U’는 터치스크린(101)의 좌측상단(1007) 또는 커서가 있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하위 모음 ‘E’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I’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하위 모음 ‘O’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서 시작해서 베젤부(103)까지 드래그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하위 모음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1)에서만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하위 모음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표시되어 있다. 베젤부(103)에는 한글 대표 자음이 표시될 수 있다. 한글 대표 자음은 ‘ㄱ’, ‘ㄴ’, ‘ㄷ’, ‘ㅁ’, ‘ㅂ’, ‘ㅅ’, ‘ㅈ’ 및 ‘ㅎ’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젤부(103)의 상단 변에는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변에는 한글 자음 ‘ㅂ’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좌측 변에는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우측 변에는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상단 우측 모서리에는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상단 좌측 모서리에는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우측 모서리에는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의 하단 좌측 모서리에는 한글 자음 ‘ㅅ’이 표시될 수 있다.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101)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하면,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 대표 자음을 표시하도록 베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대표 자음을 터치(1101)하고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터치해제된 대표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베젤부(103)에 표시된 대표 자음을 터치(1101)하고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1103)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하위 자음이 터치스크린(10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1)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하위 자음을 번갈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하고, 드래그가 해제되면, 제어부(201)는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위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손가락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또는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베젤부(103)는 4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4개의 변 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제3 문자 집합은 한글의 모음 일부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ㅡ’ 및 ‘ㅣ’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1111, 1113, 1115, 1117)에 따라 한글 모음 ‘ㅡ’ 또는 ‘ㅣ’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우측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1117)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ㅣ’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단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1111)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ㅡ’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좌측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1113)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ㅣ’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하단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1115)을 수행하면 ‘ㅡ’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탭(1105)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ㅓ’ 또는 ‘ㅗ’ 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2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1201, 1203, 1205, 1207)에 따라 ‘ㅡ’ 또는 ‘ㅣ’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단 베젤부(103)에서 가로 방향으로 드래그(1201)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ㅡ’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단 베젤부(103)에서 가로 방향으로 드래그(1205)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ㅣ’가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 또는 탭(1211)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해서 베젤부(103)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1213, 1215)에 따라 ‘ㅗ’ 또는 ‘ㅓ’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고 1초 내지 2초 이내에 우측 베젤부(103)에서 세로 방향(1213)으로 드래그 하면, 제어부(201)는 ‘ㅓ’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고 1초 내지 2초 이내에 하단 베젤부(103)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ㅗ’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베젤부(103)에서 가로 방향(1223) 또는 세로 방향(1225)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해서 터치스크린(101)을 탭(1221) 또는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드래그 방향(1223, 1225)에 따라 ‘ㅏ’ 또는 ‘ㅜ’ 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단 베젤부(103)에서 가로 방향(1223)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해서 터치스크린(101)을 탭(1221)하면, 제어부(201)는 ‘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좌측 베젤부(103)에서 세로 방향(1225)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해서 터치스크린(101)을 탭(1221)하면, 제어부(201)는 ‘ㅏ’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손가락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또는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3은 한글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베젤부(103), 입력한 전체 텍스트 라인(1301) 및 현재 입력중인 문자(1303)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201)는 베젤부(103)에서 감지된 터치, 탭 또는 드래그 동작 및 터치스크린(101)에서 감지된 터치 또는 탭 동작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손가락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또는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탭하면, 제어부(201)는 대표 자음을 베젤부(103)에 표시하도록 베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베젤부(103)에 표시된 대표 자음중 ‘ㄱ’을 터치하고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ㄱ’을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01)을 탭 한후 연속해서 베젤부(103)를 세로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거’(1303)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중인 문자는 터치스크린(101) 중앙에 표시되고, 입력이 완료되면 커서가 있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베젤부(103)가 도시되어 있다. 한글 모음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고 베젤부(103)에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1401)하고 일정시간 이내에 베젤부(103)의 하단(1403) 및 우측(1405)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터치스크린(101)을 터치(1407)하면, 제어부(201)는 한글 모음 ‘ㅘ’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1401)하고 일정시간 이내에 베젤부(103)의 하단(1409) 및 좌측(1411)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터치스크린(101)을 터치(1407)하면, 제어부(201)는 한글 모음 ‘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5는 스트랩(105)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및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베젤부(103)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0)는 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101), 상기 터치스크린(101)을 하우징하는 베젤부(103), 상기 베젤부(103)와 연결되는 스트랩(105), 상기 스트랩(105)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랩(105)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03a) 및 상기 터치감지부(103a)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키보드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상기 확대된 키보드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로 입력 하는 제어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05)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문자 자판(Keyboard)이 표시될 수 있다. 문자 자판은 쿼티(QWERTY) 자판일 수 있다. 문자 자판은 제1 라인, 제2 라인 및 제3 라인(line)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 자판을 직접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문자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트랩(105)을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문자 자판의 3 개 라인 중 제2 라인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109)가 손가락(109a, 109b)으로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상하 방향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확대된 라인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자판의 제2 라인(1503)이 터치스크린(101)에 확대 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상단 방향(1505)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키보드의 제1 라인(1507)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문자 자판 중 제1 라인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2 라인 및 제3 라인은 원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2 라인 및 제3 라인은 제1 라인에 가려 터치스크린(101)에 일부분만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1)에 문자 자판의 제2 라인(1503)이 확대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하단 방향(1509)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제3 라인(1511)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문자 자판 중 제3 라인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은 원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은 제3 라인에 가려 터치스크린(101)에 일부분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확대 표시된 문자 자판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터치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는 터치스크린(101)의 좌측 상단 영역 또는 커서가 있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스트랩(105)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메뉴 화면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베젤부(103)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복수 아이템으로 구성된 메뉴(1603)가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감지부(103a)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01)에 메뉴(1603)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1601)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메뉴 아이템을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1605)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01’ 내지 ‘아이템05’가 메뉴(1603)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상단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메뉴 아이템을 상단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하단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메뉴 아이템을 하단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아이템이 하이라이트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하이라이트 된 아이템을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03’ 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아이템02’을 하이라이트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아이템03’ 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아이템04’을 하이라이트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스트랩(105)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상하좌우 방향 드래그 동작 및 터치스크린(101)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단어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베젤부(103)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문자 자판중 일부분(1701)이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다. 문자 자판이 3개의 라인으로 구성된 경우 하나의 라인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자판중 제1 라인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확대 표시된 제1 라인에서 하나의 문자를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터치된 문자를 다른 문자들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터치된 문자가 하이라이트 되거나 또는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우측 방향(1705)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터치된 문자로 시작되는 추천 단어 리스트(1711)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단어 리스트(1711)는 커서 근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추천 단어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추천 단어 중 하나의 단어가 하이라이트(1711) 될 수 있다. 추천 단어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를 통해 하단 방향(1709)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하이라이트 된 단어를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하이라이트되는 추천 단어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를 탭(1713)하면, 제어부(201)는 하이라이트된 단어를 선택하여 전자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 단어 리스트가 나타날 때 가장 위에 있는 단어인 ‘strip’가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를 통해 아래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하이라이트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strawberry’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된 ‘strawberry’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strawberry’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스트랩(105)의 감지부를 탭하면, 제어부(201)는 ‘strawberry’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는 터치스크린(101)에서 감지부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페이지의 첫 번째 및 마지막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105)은 복수 개의 감지부(1801, 180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05)은 터치스크린(101)을 기준으로 상단 감지부(1803) 및 하단 감지부(180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된 이북(E-book), 웹페이지 및 전자문서 일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터치스크린(101)보다 클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하나의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하면서 하단 감지부(1801)까지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페이지의 첫 부분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시작해서 하단 감지부까지 드래그 동작(1805)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페이지의 첫 부분(1811)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및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하단 감지부까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105)은 복수 개의 감지부(1901, 190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05)은 터치스크린(101)을 기준으로 상단 감지부(1903) 및 하단 감지부(190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된 이북(E-book), 웹페이지 및 전자문서 일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터치스크린(101)보다 클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하나의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하면서 상단 감지부(1905)까지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시작해서 상단 감지부(1903)까지 드래그 동작(1905)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터치스크린(101)에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은 스와이프 및 플릭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상단 감지부(1903)까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터치스크린(101)에는 페이지의 첫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랩(105)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컨텐츠의 폰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105)은 감지부(200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된 이북(E-book), 웹페이지 및 전자문서 일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터치스크린(101)보다 클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2005)에서 감지부(2001)에서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2003)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컨텐츠의 폰트 크기를 확대(2007) 또는 축소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101)에 웹페이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감지부(2001)에서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2003)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컨텐츠의 폰트크기를 확대(2007)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1)에 웹페이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감지부(2001)에서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컨텐츠의 폰트크기를 축소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랩(105)에 포함된 감지부에서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폰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105)은 감지부(210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된 이북(E-book), 웹페이지 및 전자문서 일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터치스크린(101)보다 클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2105)에서 감지부(2101)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2103)하는 동작을 수행 하면, 제어부(201)는 폰트를 다른 폰트로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감지부(2101)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폰트를 원래의 폰트로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101)에 로마체 폰트를 사용한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감지부(2101)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01)는 이탤릭체 폰트로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감지부(2101)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1)는 로마체 폰트로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원래의 폰트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2는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랩(105)의 감지부에서 탭하는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컨텐츠의 폰트 속성을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2 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105)은 감지부(220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된 이북(E-book), 웹페이지 및 전자문서 일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터치스크린(101)보다 클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터치한 상태(2205)에서 감지부(2201)를 탭하면, 제어부(201)는 폰트를 볼드체(Bold)(2207)로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을 탭하면, 제어부(201)는 원래의 폰트로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스트랩(105)의 끝단부에 장착된 감지부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 및 스트랩(105)이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105)의 끝단에는 감지부(2301)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할 경우 감지부는 터치스크린(101)의 반대편에 위치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마치 터치스크린(101)의 후면부를 터치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된 이북(E-book), 웹페이지 및 전자문서 일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터치스크린(101)보다 클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101)에는 문자 자판(230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지부(2301)를 터치하면, 제어부(201)는 문자 자판에서 하나의 문자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에 따라 하이라이트 되는 문자를 변경하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감지부(2301)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면 하이라이트 되는 문자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지부(2301)에서 손가락을 이동시켜 입력을 원하는 문자 위에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키고,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201)는 하이라이트된 문자를 선택하여 전자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201)는 하이라이트를 사라지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주변에 비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부에 손가락을 접촉(2307)하면, 제어부(201)는 문자 자판 중 하나의 문자 위에 포커스를 활성화시키도록 터치스크린(1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위치(2307)는 스트랩(105)의 감지부(2301)이지만,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01)의 후면부를 터치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감지부(2301)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하이라이트 되는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 ‘A(2308)’를 입력하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여서 하이라이트를 ‘A’ 로 이동시키고, 터치를 해제하면 ‘A가 입력되고, 터치스크린(101)에 ‘A’ 가 표시(2309)될 수 있다.
도 24는 베젤부(103) 및 터치스크린(101)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장치(100)는 S2401 단계에서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101)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로 향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베젤부(103)는 터치감지부(10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베젤부(103)를 터치하면 전자장치(100)는 터치감지부(103a)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베젤부(103)에서 터치를 시작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스크린(101)까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후 터치스크린(101)에서 드래그 동작을 끝낼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베젤부(103)에서 터치스크린(10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일 수 있다. 베젤부(103)의 폭(width)은 손가락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은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101)에서 끝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베젤부(103)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일 수 있다. 베젤부(103)가 4개의 변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1)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드래그 동작은 베젤부(103)의 각 변을 향하거나 또는 베젤부(103)의 모서리 부분을 향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S2403 단계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문자 집합은 자음의 집합일 수 있다. 또는 제1 문자 집합은 자음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1 문자 집합이 자음의 일부분인 경우, 제1 문자 집합은 대표 자음의 집합일 수 있다. 각각의 대표 자음은 대응하는 하위 자음을 가질 수 있다.
제2 문자 집합은 모음의 집합일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대표 자음 중에서 하나의 자음을 결정 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드래그 동작인 경우 전자장치(100)는 드래그 동작의 길이에 따라 대표 자음에 대응하는 하위 자음에서 하나의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100)는 선택된 문자를 터치스크린(101)에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는 하위 자음이 표시되고 드래그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하위 자음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동작이 해제되면,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문자가 전자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로 입력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베젤부(103)는 4개의 변 및 4개의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위치는 베젤부(103)의 4개의 변 및 4개의 모서리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각각의 변 및 모서리에는 문자가 대응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베젤부(103)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4개의 변 중 어느 변에서 터치가 감지되었는지 또는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모서리에서 터치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의 인터렉션 방법은 베젤부(103)의 4개의 변 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은 베젤부(103)에서 감지되는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 입력은 베젤부(103)의 변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는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상기 드래그 동작이 어느 변에서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제3 문자 집합은 모음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의 인터렉션 방법은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베젤부(103)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101)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의 인터렉션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101)에서 상기 베젤부(103)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의 인터렉션 방법은 터치감지부(103a)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101)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 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대된 키보드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100)로 입력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의 인터렉션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101)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103a)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을 스크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5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2500)는 베젤부(2501), 터치스크린(2503), 터치감지부(2505) 및 제어부(2507)를 포함한다.
베젤부(2501)는 터치스크린(2503)을 하우징한다. 이때, 터치스크린(2503)이 사각형 형태인 경우, 베젤부(2501)는 4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503)은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감지부(2505)는 베젤부(2501)에 위치하여 베젤부(2501)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제어부(2507)는 전자장치(2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베젤부(2501)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2503)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507)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2503)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507)는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7)는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7)는 선택된 문자를 터치스크린(2503)에 일시적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503)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2507)는 사용자 입력이 해제된 시점의 문자를 전자장치(2500)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7)는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장치(2500)에 입력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베젤부(2501)의 4개의 변 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507)는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장치(2500)를 통해 사용자는 작은 화면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6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2600)는 베젤부(2601), 터치스크린(2603), 터치감지부(2605), 스트랩(2607) 및 제어부(2609)를 포함한다. 한편, 도 26에서 설명한 베젤부(2601), 터치스크린(2603)은 도 25에서 설명한 베젤부(2501), 터치스크린(2503) 와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감지부(2605)는 스트랩(2607)에 위치하여 스트랩(2607)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스트랩(2607)은 베젤부와 연결되어 밴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팔목에 전자장치(2600)를 고정시킬수 있다.
제어부(2609)는 전자 장치(2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터치감지부(2605)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609)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2601)에 표시된 키보드 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601)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된 키보드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609)는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260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동안 터치감지부(2605)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2609)는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스크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2607)에 위치하는 터치감지부(2605)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전자장치(26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203)(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예시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전자장치
101: 터치스크린
103: 베젤부
103a:터치 감지부
201:제어부
203:저장부

Claims (20)

  1.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문자 집합에서 상기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전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시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문자를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하는 전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될 문자를 결정하는 전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복수 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변 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전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전자장치.
  7.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베젤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전자장치.
  9. 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와 연결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랩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보드 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고, 상기 확대된 키보드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 하는 전자장치.
  11.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문자 집합에서 상기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4. 상기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로 입력될 문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복수 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 중 하나의 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7. 베젤부에서 시작해서 터치스크린에서 끝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길이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베젤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2 문자 집합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9. 터치감지부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대된 키보드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문자를 전자장치로 입력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을 스크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KR1020140152752A 2014-11-05 2014-11-05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KR20160053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52A KR20160053547A (ko) 2014-11-05 2014-11-05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US14/932,376 US20160124633A1 (en) 2014-11-05 2015-11-04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action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52A KR20160053547A (ko) 2014-11-05 2014-11-05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47A true KR20160053547A (ko) 2016-05-13

Family

ID=5585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752A KR20160053547A (ko) 2014-11-05 2014-11-05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24633A1 (ko)
KR (1) KR201600535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4900B2 (en) * 2016-02-18 2019-04-09 Tufts University Drifting keyboard
KR101744124B1 (ko) * 2016-08-26 2017-06-07 이진우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10248248B2 (en) 2016-11-04 2019-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selection through intercept points
US10705730B2 (en) * 2017-01-24 2020-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a virtual keyboard on a supplemental physical display plane surrounding a primary physical display plane on a wearable mobile device
KR2019005439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710169B (zh) * 2018-12-29 2023-09-08 深圳市瑞比德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温度传感器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230367470A1 (en) 2022-05-10 2023-11-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6222B1 (en) * 2000-06-30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US7404146B2 (en) * 2004-05-27 2008-07-22 Agere Systems Inc. Input device for portable handset
KR101445196B1 (ko) * 2007-11-23 2014-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장치
KR101102725B1 (ko) * 2008-02-20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667092A (zh) * 2008-05-15 2010-03-10 杭州惠道科技有限公司 实时预测用户输入的人机界面
US8319742B2 (en) * 2008-08-26 2012-11-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245252A1 (en) * 2009-03-30 2010-09-30 Yoram Ghassabian Information input keyboard and keyboard locator associated therewith
US8686955B2 (en) * 2010-03-11 2014-04-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character entry
US9152130B2 (en) * 2011-01-19 2015-10-06 Ph Technical Labs, Llc Mobile communication watch utilizing projected directional sound
US9092192B2 (en) * 2011-02-04 2015-07-2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mobile device seamless key/display structure
US9207775B2 (en) * 2011-02-10 2015-12-08 Tara Chand Singhal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keys in limited key space of handheld mobile wireless devices
US20140269218A1 (en) * 2013-03-15 2014-09-18 Jeffrey Herold Watch Engaged ATIS Reminder Systems
KR20140115060A (ko) * 2013-03-20 2014-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40351760A1 (en) * 2013-05-24 2014-11-27 Google Inc. Order-independent text input
KR20150004253A (ko) * 2013-07-02 2015-01-12 (주) 리얼밸류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WO2015083969A1 (en) * 2013-12-05 2015-06-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31772A1 (en) * 2015-02-09 2016-08-11 Mediatek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touch ope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4633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9082B2 (en) Processing capacitive touch gestures implemented on an electronic device
US20220317874A1 (en)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US9176668B2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and virtual keyboard manipulation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EP2256614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53547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US20110320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gesture recognition overlay
JP2013527539A5 (ko)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322686A1 (en) Multi-Stage Menu Sel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91891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3796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formatting
US201501239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for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747002B2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represent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3278203A1 (en) Enhancement to text selection controls
KR101447886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5414134B1 (ja) タッチ式入力システムおよび入力制御方法
US8949731B1 (en) Input from a soft keyboard on a touchscreen display
KR101505806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포인터 활성화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US10095403B2 (e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JP201415391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23117B1 (ko) 화상키보드 제공방법
KR20150039511A (ko)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60112337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