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53A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253A KR20150004253A KR20140036119A KR20140036119A KR20150004253A KR 20150004253 A KR20150004253 A KR 20150004253A KR 20140036119 A KR20140036119 A KR 20140036119A KR 20140036119 A KR20140036119 A KR 20140036119A KR 20150004253 A KR20150004253 A KR 201500042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edge
- display area
- arrangement window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부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따라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 터치스크린기능을 도입하여, 캐릭터 입력이 필요할 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를 터치함으로써 캐릭터가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캐릭터들 이외의 다른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거나 다른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되는 면적이 급격히 좁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장자리는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와,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제4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3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모두 채울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로서, 상기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가장자리는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와,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제4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3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모두 채울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일 영역이 터치될 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기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일 영역이 터치될 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기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및 y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두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및 y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서 휴대가 가능하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로서 채택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이 일시적으로 이동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캐릭터"라는 용어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등의 입력모드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한글, 영어, 숫자뿐만이 아니라 각종 기호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touch)"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 상에 손가락을 접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래그(drag)"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즉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롭(drop)"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즉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떼는 행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가 통신기능을 갖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통신부(110)를 생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패널(121)과 터치패널(12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패널(121)과 터치패널(123)이 일체화된 단일 패널일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도 가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예컨대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액정디스플레이(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캐릭터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0)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드래그 및 드롭 등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캐릭터 결정부(14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어부(140)의 일부가 아닌 휴대용 단말기의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125)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y 방향에 있어서 x축을 따라 연장된 제1가장자리(E1)와, 제1가장자리(E1)에 인접하며 -x 방향에 있어서 y축을 따라 연장된 제2가장자리(E2)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2가장자리(E2)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로서 제1가장자리(E1)에 인접하며 +x 방향에 있어서 y축을 따라 연장된 제3가장자리(E3)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1가장자리(E1)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로서 +y 방향에 있어서 x축을 따라 연장된 제4가장자리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영역(12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에 있어서 가장자리들의 일부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에만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캐릭터 배열창(CW) 자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영역(125) 전체, 또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일부로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따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내부)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러한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그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캐릭터 결정부(141)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2가장자리(E2) 자체가 아니고 제2가장자리(E2)에 인접한 지점(a1)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1)에 대응하는 제2가장자리(E2)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ㄱ"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ㄱ"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만일 그 지점(a1)을 연속해서 두 번 터치하게 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1)에 대응하는 제2가장자리(E2)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ㅋ"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ㅋ"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만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3가장자리(E3) 자체가 아닌 지점(a2)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2)에 대응하는 제3가장자리(E3)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ㅅ"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ㅅ"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도 3의 경우에는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등에서는 캐릭터 배열창(CW)이 ㄱ, ㅋ, ㄴ, ㄹ 등의 한글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하는 캐릭터들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과 같은 다양한 국가의 언어뿐만이 아니라, 숫자 또는 각종 기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에, 즉 지점(a1)이나 지점(a2)을 비롯한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부(120)가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제1가장자리(E1)의 중앙 근방이 터치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스페이스바에 대응하는 스페이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세팅 변경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일부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기 입력된 일부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캐릭터 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할 시,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는지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영역들 중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선택된 캐릭터(예컨대 "ㅅ")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아닌 사전설정된 다른 부분(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우상단 구석이나 중앙 등)에 선택된 캐릭터(예컨대 "ㅅ")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이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한다. 즉,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까지 모두 복수개의 영역들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지점(a1)은 제2가장자리(E2)의 일부와 이에 인접한 부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점(a1)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1)에 대응하는 제2가장자리(E2)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ㄱ"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ㄱ"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지점(a1)의 면적은 도 4에 표시된 지점(a1)보다 더 넓어지기에,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점(a2)은 제3가장자리(E3)의 일부와 이에 인접한 부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점(a2)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2)에 대응하는 제3가장자리(E3)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ㅅ"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ㅅ"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에, 즉 지점(a1)이나 지점(a2)을 비롯한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부(120)가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영역(12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에 있어서 가장자리들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즉,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따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내부)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영역(125)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분이되, 캐릭터 배열창(CW)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러한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그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캐릭터 결정부(141)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에, 즉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a3)는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지 않기에, 그러한 중앙부(a3)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예컨대 스페이스 입력이나 일부 입력된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그러한 특수기능은 통상의 멀티태스킹 기능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한 화면에서 실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일의 캐릭터 배열창(CW)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 스와이핑(swiping)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스와이핑 과정에서 중앙부(a3)를 활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복수개의 영역들 중 캐릭터 "ㄱ"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a3)로 드래그하고, 이어 캐릭터 "l"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중앙부(a3)로 드래그하고, 이어 캐릭터 "."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중앙부(a3)로 드래그하며, 마지막으로 캐릭터 "l"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개"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a3)를 스와이핑 시 이용함으로써, 스와이핑을 통한 정확한 캐릭터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만 모두 채우도록 하거나,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만 모두 채우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이후에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의 지점이 터치되더라도 해당 터치가 캐릭터 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니라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캐릭터 입력 모드가 종료 또는 일시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갖고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이용한 사전설정된 제스쳐 인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의 사전설정된 패턴의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스마트워치를 도시하고 있다.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거치하는 특성 상, 그 디스플레이영역의 면적이 넓지 않다. 따라서 그러한 좁은 면적의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종래의 통상적인 캐릭터 입력을 위한 자판 등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자판 이외의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은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스마트워치와 같이 디스플레이영역의 면적이 좁다 하더라도,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좁은 면적에만 캐릭터 배열창을 배열하고 나머지 넓은 면적이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울러 캐릭터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은 좁은 면적의 캐릭터 배열창 부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부분까지 확장되므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캐릭터 배열창(CW1, CW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영역(A)에서는 한글이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부영역(B)에서는 영어가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 중 어느 하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캐릭터 배열창(CW1) 또는 캐릭터 배열창(CW2)은 동영상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부영역(A)과 상부영역(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0)은 사각 형상이 아닌 원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캐릭터 배열창(CW)은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와 같이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예컨대 영역(a1) 또는 영역(a2))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도 1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이한 것은, 디스플레이영역 중앙부(a3)는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러한 중앙부(a3)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예컨대 스페이스 입력이나 일부 입력된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그러한 특수기능은 통상의 멀티태스킹 기능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한 화면에서 실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일의 캐릭터 배열창(CW)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친다. 물론 이 경우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복수개의 영역들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거친다.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의 경우,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특히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따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내부)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러한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및 제3가장자리(E3)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그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복수개의 영역들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하는 캐릭터들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과 같은 다양한 국가의 언어뿐만이 아니라, 숫자 또는 각종 기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에, 즉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반드시 캐릭터만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즉,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을 일종의 캐릭터로 간주할 수도 있다. 예컨대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CW)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스페이스바에 대응하는 스페이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세팅 변경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일부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캐릭터 배열창(CW)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기 입력된 일부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선택된 캐릭터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아닌 사전설정된 다른 부분(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우상단 구석이나 중앙 등)에 선택된 캐릭터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는지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더 넓힐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이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한다. 즉,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까지 모두 복수개의 영역들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에, 즉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 외에 제4가장자리(E4)에도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따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내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할 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영역(125)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분이되, 캐릭터 배열창(CW)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할 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에, 즉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또는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a3)는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지 않기에, 그러한 중앙부(a3)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예컨대 스페이스 입력이나 일부 입력된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 스와이핑(swiping)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스와이핑 과정에서 중앙부(a3)를 활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복수개의 영역들 중 캐릭터 "ㄱ"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a3)로 드래그하고, 이어 캐릭터 "l"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중앙부(a3)로 드래그하고, 이어 캐릭터 "."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중앙부(a3)로 드래그하며, 마지막으로 캐릭터 "l"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개"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a3)를 스와이핑 시 이용함으로써, 스와이핑을 통한 정확한 캐릭터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3가장자리(E3)를 제외한 부분만 모두 채우도록 하거나, 제1가장자리(E1) 내지 제4가장자리(E4)를 제외한 부분만 모두 채우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이후에는 복수개의 영역들 내의 지점이 터치되더라도 해당 터치가 캐릭터 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등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캐릭터 입력 모드를 종료 또는 일시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갖고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이용한 사전설정된 제스쳐 인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의 사전설정된 패턴의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캐릭터 배열창(CW1, CW2)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하부영역(A)에서는 한글이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부영역(B)에서는 영어가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 중 어느 하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캐릭터 배열창(CW1) 또는 캐릭터 배열창(CW2)은 동영상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부영역(A)과 상부영역(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0)이 사각 형상이 아닌 원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갖도록 하고,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그와 같이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예컨대 영역(a1) 또는 영역(a2))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 중앙부(a3)는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그러한 중앙부(a3)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예컨대 스페이스 입력이나 일부 입력된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그러한 특수기능은 통상의 멀티태스킹 기능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한 화면에서 실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일의 캐릭터 배열창(CW)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부(130)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기록매체는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도 포함한다. 여기서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것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든 것이다.
예컨대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컨대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i)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와,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와, 제1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제4가장자리를 갖는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 내지 제3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ii)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포서버의 경우, 예컨대 공식적인 안드로이드 마켓인 구글플레이, 상술한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제작자에 의해 설정된 파일 제공 서버, 또는 상술한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21: 디스플레이패널
123: 터치패널 125: 디스플레이영역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41: 캐릭터 결정부 CW: 캐릭터 배열창
120: 디스플레이부 121: 디스플레이패널
123: 터치패널 125: 디스플레이영역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41: 캐릭터 결정부 CW: 캐릭터 배열창
Claims (22)
-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는,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와,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제4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3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로서,
상기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분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는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와,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제4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3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가장자리 내지 상기 제4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과,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4/005821 WO2015002421A1 (ko) | 2013-07-02 | 2014-06-30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CN201480038466.9A CN105493022A (zh) | 2013-07-02 | 2014-06-30 | 控制移动设备的方法、存储实施该方法所用程序的记录媒介、分布应用程序的分布服务器、以及移动设备 |
US14/901,942 US20170003873A1 (en) | 2013-07-02 | 2014-06-30 |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distributing server for distributing application, and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7195 | 2013-07-02 | ||
KR1020130077195 | 2013-07-02 | ||
KR1020130085736 | 2013-07-20 | ||
KR20130085736 | 2013-07-20 | ||
KR1020130095630 | 2013-08-12 | ||
KR20130095630 | 2013-08-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253A true KR20150004253A (ko) | 2015-01-12 |
Family
ID=52476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36119A KR20150004253A (ko) | 2013-07-02 | 2014-03-27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KR1020140036118A KR101598568B1 (ko) | 2013-07-02 | 2014-03-27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6118A KR101598568B1 (ko) | 2013-07-02 | 2014-03-27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003873A1 (ko) |
KR (2) | KR20150004253A (ko) |
CN (1) | CN10549302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81166A1 (en) * | 2015-05-14 | 2016-11-17 | University Of Dundee |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ng ico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3547A (ko) * | 2014-11-05 | 2016-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
JP6925789B2 (ja) * | 2016-06-29 | 2021-08-25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719995B2 (ja) * | 2016-06-30 | 2020-07-08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1744124B1 (ko) * | 2016-08-26 | 2017-06-07 | 이진우 |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USD896239S1 (en) * | 2018-08-29 | 2020-09-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896240S1 (en) * | 2018-08-29 | 2020-09-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10109589B (zh) * | 2019-04-29 | 2022-03-18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扁平化交互操控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95408B2 (ja) * | 2004-05-07 | 2010-01-06 | Hoya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付き入力装置 |
KR20080042056A (ko) * | 2008-04-23 | 2008-05-14 | (주)씨에스랩글로벌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
JP5213033B2 (ja) | 2008-06-12 | 2013-06-19 |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ソフトウェア入力キー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端末 |
CN101847055A (zh) * | 2009-03-24 | 2010-09-29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基于触摸屏的输入方法 |
US20100245252A1 (en) * | 2009-03-30 | 2010-09-30 | Yoram Ghassabian | Information input keyboard and keyboard locator associated therewith |
KR20110018075A (ko) * | 2009-08-17 | 2011-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KR101039605B1 (ko) | 2010-10-27 | 2011-06-09 | 한일 |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
KR20120065146A (ko) * | 2010-12-10 | 2012-06-20 | 윤정호 | 화면 터치폰에서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
KR20130109389A (ko) * | 2012-03-27 | 2013-10-08 | 박승배 | 개인화 가상키보드 제공방법 |
-
2014
- 2014-03-27 KR KR20140036119A patent/KR2015000425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4-03-27 KR KR1020140036118A patent/KR1015985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06-30 CN CN201480038466.9A patent/CN105493022A/zh active Pending
- 2014-06-30 US US14/901,942 patent/US20170003873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81166A1 (en) * | 2015-05-14 | 2016-11-17 | University Of Dundee |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ng ic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003873A1 (en) | 2017-01-05 |
KR101598568B1 (ko) | 2016-02-29 |
KR20150004252A (ko) | 2015-01-12 |
CN105493022A (zh) | 2016-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5993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 |
KR20150004253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
US1019816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
KR102255830B1 (ko) | 복수 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 |
US9292161B2 (en) |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 |
US8276101B2 (en) | Touch gestures for text-entry operations | |
US9870144B2 (en) |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 |
KR20170062954A (ko) |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EP3343341B1 (en) |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 |
US10387033B2 (en) |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 |
US20140015785A1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40164976A1 (en) |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the same | |
KR102381051B1 (ko) |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US20150261431A1 (en) | Information terminal | |
CN111309241B (zh) | 显示装置以及存储了显示控制程序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844808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JP2014164718A (ja) | 情報端末 | |
KR102466990B1 (ko) |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0101906B2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 |
KR101663909B1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JP2013218486A (ja) |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 |
JP2017120605A (ja) | 携帯用端末機の制御方法、これ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保存した記録媒体、アプリケーション配布サーバー及び携帯用端末機。{Methodforcontrollingmobiledevice,recordingmediumstoringprogramtoimplementthemethod,distributingserverfordistributingapplication,andmobiledevice} | |
US20170031589A1 (en) | Invisible touch target for a user interface button | |
RU2608148C1 (ru) |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на сенсорном диспле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21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15 Effective date: 2017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