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52A -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52A
KR20150004252A KR1020140036118A KR20140036118A KR20150004252A KR 20150004252 A KR20150004252 A KR 20150004252A KR 1020140036118 A KR1020140036118 A KR 1020140036118A KR 20140036118 A KR20140036118 A KR 20140036118A KR 20150004252 A KR20150004252 A KR 2015000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haracter
area
sub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568B1 (ko
Inventor
박규환
김효수
Original Assignee
(주) 리얼밸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얼밸류 filed Critical (주) 리얼밸류
Priority to PCT/KR2014/0058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02420A1/ko
Publication of KR2015000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위하여, (i)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ii)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distributing server for distributing application,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부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따라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 터치스크린기능을 도입하여, 캐릭터 입력이 필요할 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를 터치함으로써 캐릭터가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캐릭터들 이외의 다른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거나 다른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되는 면적이 급격히 좁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i)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ii)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i)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ii)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을 모두 채울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제1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부분 이외의 제3부분과 상기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2부분 이외의 제4부분에 추가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을 제2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2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추가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추가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추가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스와이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기 캐릭터 배열창에 대응하는 축소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스와이핑 경로를 상기 축소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로서, 상기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i)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ii)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로서, 상기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i)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ii)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를 포함하고, (i)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며, (ii)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를 포함하고, (i)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며, (ii)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을 모두 채울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제1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부분 이외의 제3부분과 상기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2부분 이외의 제4부분에 추가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을 제2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2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추가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추가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추가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스와이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기 캐릭터 배열창에 대응하는 축소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스와이핑 경로를 상기 축소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이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의 제1서브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도 6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일 영역이 터치될 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기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디스플레이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의 제1서브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및 y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두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및 y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서 휴대가 가능하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로서 채택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이 일시적으로 이동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캐릭터"라는 용어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등의 입력모드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한글, 영어, 숫자뿐만이 아니라 각종 기호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touch)"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 상에 손가락을 접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래그(drag)"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즉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롭(drop)"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즉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떼는 행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가 통신기능을 갖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통신부(110)를 생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패널(121)과 터치패널(12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패널(121)과 터치패널(123)이 일체화된 단일 패널일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도 가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예컨대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액정디스플레이(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캐릭터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0)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드래그 및 드롭 등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캐릭터 결정부(14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어부(140)의 일부가 아닌 휴대용 단말기의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125)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y 방향에 있어서 x축을 따라 연장된 제1가장자리(E1)와, 제1가장자리(E1)에 인접하며 -x 방향에 있어서 y축을 따라 연장된 제2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2가장자리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로서 제1가장자리(E1)에 인접하며 +x 방향에 있어서 y축을 따라 연장된 제3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1가장자리(E1)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로서 +y 방향에 있어서 x축을 따라 연장된 제4가장자리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영역(12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E1) 방향(-y 방향)의 제1부분(P1, 도 2 참조)과, 제3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E1) 방향(-y 방향)의 제2부분(P2, 도 2 참조)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에 있어서 가장자리들의 일부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캐릭터 배열창(CW) 자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도 2 참조)와, 제1부분(P1, 도 2 참조)과, 제2부분(P2, 도 2 참조)과, 제1부분(P1)의 제1가장자리(E1) 반대쪽(+y 방향) 끝과 제2부분(P2)의 제1가장자리(E1) 반대쪽(+y 방향)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Sub1)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이와 같은 제1서브영역(Sub1)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 결정부(141)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그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캐릭터 결정부(141)는,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부분(P1) 자체가 아니고 제1부분(P1)에 인접한 지점(a1)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1)에 대응하는 제1부분(P1)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q"를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q"가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만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자체가 아닌 지점(a2)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2)에 대응하는 제1가장자리(E1)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w"를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w"가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자체가 아닌 지점(a3)을 터치할 경우에도,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3)에 대응하는 제1가장자리(E1)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e"를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e"가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5에서는 마치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도 캐릭터 배열창이 표시되는 것과 같이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제1서브영역(Sub1)에서 특정 지점이 터치될 시 캐릭터 결정부(141)가 어떤 캐릭터를 결정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에만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 내에서는 캐릭터 배열창(CW)이 복수개의 행들에 걸쳐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의 배열이 예컨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qwerty 자판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하는 캐릭터들은 한글, 영어 또는 숫자뿐만이 아니라, 각종 기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부(120)가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중앙을 표시하는 점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제1가장자리(E1)의 중앙 근방이 터치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스페이스바에 대응하는 스페이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세팅 변경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일부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기 입력된 일부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캐릭터 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제1서브영역(Sub1) 내의 지점을 터치할 시,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는지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선택된 캐릭터(예컨대 "h")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아닌 사전설정된 다른 부분(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우상단 구석 등)에 선택된 캐릭터(예컨대 "h")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까지 모두 복수개의 영역들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서브영역(Sub1)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지점(a1)은 제1부분(P1)의 일부와 제1부분(P1)에 인접한 부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점(a1)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1)에 대응하는 제1부분(P1)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q"를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q"가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지점(a1)의 면적은 도 5에 표시된 지점(a1)보다 더 넓어지기에,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지점(a4)은 제1부분(P1)의 일부와, 제1가장자리(E1)의 일부와, 이들에 인접한 부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점(a4)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4)에 대응하는 제1가장자리(E1)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z"를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z"가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8에서는 마치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도 캐릭터 배열창이 표시되는 것과 같이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제1서브영역(Sub1)에서 특정 지점이 터치될 시 캐릭터 결정부(141)가 어떤 캐릭터를 결정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에만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 외에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20)가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20)가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중앙을 표시하는 점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캐릭터 입력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서브영역(Sub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제2가장자리의 제1부분(P1) 이외의 제3부분(P3)과 제3가장자리의 제2부분(P2) 이외의 제4부분(P4)에 추가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3부분(P3)에 "삭제"에 해당하는 "DEL"을, 제4부분(P4)에 스페이스바를 의미하는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서브영역(Sub1) 이외의 부분을 제2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캐릭터 결정부(141)는, 제2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추가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추가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추가캐릭터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3부분(P3)에 인접한 지점(a5)이 터치되면 "삭제"에 해당하는 "DEL"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4부분(P4)에 인접한 지점(a6)이 터치되면 "스페이스"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지점(a5)과 지점(a6)에서 제3부분(P3)과 제4부분(P4) 이외의 영역에는 대응하는 캐릭터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디스플레이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 스와이핑(swiping)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캐릭터 "a"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캐릭터 "n"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캐릭터 "t"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ant"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스와이핑이 이루어질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서브영역(Sub1) 이외의 영역에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축소이미지(TCW)를 디스플레이하고, 스와이핑 경로를 예컨대 화살표 등을 이용해 이 축소이미지(TCW)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스와이핑으로 캐릭터를 입력할 시 정확히 어느 부분으로 터치 및 드래그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의 제1서브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20)와 캐릭터 결정부(141)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영역(125)의 -y 방향에 위치하며 x축을 따라 연장된 제1가장자리와,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y 방향)의 제1부분과,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y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와 달리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장자리에는 한 행으로 캐릭터들이 배열된,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에 있어서 가장자리들의 일부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캐릭터들이 배열된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캐릭터 배열창(CW) 자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따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Sub1, 도 12 참조)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이와 같은 제1서브영역(Sub1)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 결정부(141)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그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캐릭터 결정부(141)는,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부분 자체가 아니고 제1부분에 인접한 지점을 터치하거나 또는 제1부분과 그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지점(a7)을 터치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7)에 대응하는 제1부분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ㄱ"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ㄱ"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만일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 그 지점(a7)을 연속해서 두 번 터치하게 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그 지점(a7)에 대응하는 제1부분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ㅋ"을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ㅋ"이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만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까지 포함한 전 영역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3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부(120)가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중앙을 표시하는 점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채울 경우,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결정부(141)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일부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기 입력된 일부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캐릭터 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제1서브영역(Sub1) 내의 지점을 터치할 시,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는지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선택된 캐릭터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아닌 사전설정된 다른 부분(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우상단 구석 등)에 선택된 캐릭터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이후에는 제1서브영역(Sub1) 내의 지점이 터치되더라도 해당 터치가 캐릭터 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니라 제1서브영역(Sub1) 등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캐릭터 입력 모드가 종료 또는 일시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갖고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이용한 사전설정된 제스쳐 인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의 사전설정된 패턴의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캐릭터 배열창(CW1, CW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서는 좌측의 영역(A)에서는 한글이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우측의 영역(B)에서는 영어가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1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 중 어느 하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캐릭터 배열창(CW1) 또는 캐릭터 배열창(CW2)은 동영상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영역(A)과 영역(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이 컨택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은 상호 이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x축을 따라 좌우로 분할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y축을 따라 상하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자의 경우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은 각각 "U" 형태를 가지며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지금까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E1) 방향의 제1부분(P1)과, 제3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E1) 방향의 제2부분(P2)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친다. 물론 이 경우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거친다.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의 경우,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부분(P1) 자체가 아니고 제1부분(P1)에 인접한 지점(a1)을 터치하면,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그 지점(a1)에 대응하는 제1부분(P1)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q"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5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가장자리(E1) 내에서 복수개의 행들에 걸쳐 캐릭터들을 표시하는 단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의 배열이 예컨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qwerty 자판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하는 캐릭터들은 한글, 영어 또는 숫자뿐만이 아니라, 각종 기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중앙을 표시하는 점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반드시 캐릭터만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즉,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을 일종의 캐릭터로 간주할 수도 있다. 예컨대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스페이스바에 대응하는 스페이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세팅 변경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일부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기 입력된 일부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은,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선택된 캐릭터(예컨대 "h")를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아닌 사전설정된 다른 부분(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우상단 구석 등)에 선택된 캐릭터(예컨대 "h")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는지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까지 모두 복수개의 영역들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서브영역(Sub1)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캐릭터 배열창(CW)을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에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 외에 복수개의 영역들에도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중앙을 표시하는 점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서브영역(Sub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제2가장자리의 제1부분(P1) 이외의 제3부분(P3)과 제3가장자리의 제2부분(P2) 이외의 제4부분(P4)에 추가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서브영역(Sub1) 이외의 부분을 제2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제2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추가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추가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추가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 스와이핑(swiping)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캐릭터 "a"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캐릭터 "n"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캐릭터 "t"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ant"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스와이핑이 이루어질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제1서브영역(Sub1) 이외의 영역에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축소이미지(TCW)를 디스플레이하고, 스와이핑 경로를 예컨대 화살표 등을 이용해 이 축소이미지(TCW)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스와이핑으로 캐릭터를 입력할 시 정확히 어느 부분으로 터치 및 드래그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에도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125)의 -y 방향에 위치하며 x축을 따라 연장된 제1가장자리와,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y 방향)의 제1부분과,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y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와 달리, 제1가장자리에는 한 행으로 캐릭터들이 배열된,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에 있어서 가장자리들의 일부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캐릭터들이 배열된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캐릭터 배열창(CW) 자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따라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Sub1, 도 12 참조)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캐릭터 입력을 위해 터치해야 하는 부분은 이와 같은 제1서브영역(Sub1)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가 된다.
예컨대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 배열창(CW)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부분 자체가 아니고 제1부분에 인접한 지점을 터치하거나 또는 제1부분과 그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 지점(a7)을 터치하면,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그 지점(a7)에 대응하는 제1부분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ㄱ"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가 된다. 만일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 그 지점(a7)을 연속해서 두 번 터치하게 되면,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그 지점(a7)에 대응하는 제1부분 내에 표시된 캐릭터인 "ㅋ"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가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릭터 입력 모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영역(125) 내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제외한 넓은 면적의 부분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 등을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해 입력할 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작게 표시된 캐릭터 배열창(CW) 내의 좁은 면적의 부분만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면적의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의 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캐릭터 입력 시 오터치나 오입력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매우 신속하게 캐릭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서브영역(Sub1)을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캐릭터 입력 시의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이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까지 포함한 전 영역을 모두 채우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캐릭터들을 반투명 상태 등으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배열창(CW)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물론 도 13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서브영역(Sub1)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이 아니라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의 중앙을 표시하는 점들을 제1서브영역(Sub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서브영역(Sub1) 내에서 캐릭터 배열창(CW)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이, 제1서브영역(Sub1)에서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채울 경우,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CW)이 표시된 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일부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가장자리(E1), 제1부분(P1) 및 제2부분(P2)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기 입력된 일부 문자를 바탕으로 한 추천단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캐릭터 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제1서브영역(Sub1) 내의 지점을 터치할 시, 사용자가 정확히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는지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서브영역(Sub1)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선택된 캐릭터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아닌 사전설정된 다른 부분(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125)의 우상단 구석 등)에 선택된 캐릭터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이후에는 제1서브영역(Sub1) 내의 지점이 터치되더라도 해당 터치가 캐릭터 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니라 제1서브영역(Sub1) 등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 중 사전설정된 특정영역이 터치되면, 캐릭터 입력 모드를 종료 또는 일시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갖고 있는 카메라 모듈 등을 이용한 사전설정된 제스쳐 인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영역(125)에서의 사전설정된 패턴의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캐릭터 배열창(CW1, CW2)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서는 좌측의 영역(A)에서는 한글이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1)을 디스플레이하고, 우측의 영역(B)에서는 영어가 포함된 캐릭터 배열창(CW2)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1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 중 어느 하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캐릭터 배열창(CW1) 또는 캐릭터 배열창(CW2)은 동영상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영역(A)과 영역(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이 컨택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은 상호 이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x축을 따라 좌우로 분할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영역(125)을 y축을 따라 상하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자의 경우 캐릭터 배열창(CW1)과 캐릭터 배열창(CW2)은 각각 "U" 형태를 가지며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부(130)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기록매체는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도 포함한다. 여기서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것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제어방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든 것이다.
예컨대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i)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ii) 제1가장자리와, 제1부분과, 제2부분과, 제1부분의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제2부분의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i)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ii)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따라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1가장자리,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포서버의 경우, 예컨대 공식적인 안드로이드 마켓인 구글플레이, 상술한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제작자에 의해 설정된 파일 제공 서버, 또는 상술한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21: 디스플레이패널
123: 터치패널 125: 디스플레이영역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41: 캐릭터 결정부 CW: 캐릭터 배열창
Sub1: 제1서브영역

Claims (25)

  1.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2.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제1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부분 이외의 제3부분과 상기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2부분 이외의 제4부분에 추가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을 제2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2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추가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추가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추가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스와이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기 캐릭터 배열창에 대응하는 축소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스와이핑 경로를 상기 축소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13.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로서,
    상기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14.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배포서버로서,
    상기 캐릭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15.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과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반대쪽 끝을 연결한 가상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캐릭터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영역의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대향되며 상기 제1가장자리에 인접한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1가장자리 방향의 제2부분에,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중앙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면적의 부분을 제1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캐릭터 배열창에 포함된 캐릭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캐릭터들 중,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터치가 발생한 영역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은 상기 제1서브영역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모두 채우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사전설정된 적어도 일부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사전설정된 특수기능 수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서브영역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선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점들을 상기 제1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의 상기 제1부분 이외의 제3부분과 상기 제3가장자리의 상기 제2부분 이외의 제4부분에 추가캐릭터 배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부분을 제2서브영역이라고 할 시, 상기 캐릭터 결정부는, 상기 제2서브영역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추가캐릭터 배열창이 포함하는 추가캐릭터들 중 대응하는 추가캐릭터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영역 내에서 스와이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서브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기 캐릭터 배열창에 대응하는 축소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스와이핑 경로를 상기 축소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40036118A 2013-07-02 2014-03-27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59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5818 WO2015002420A1 (ko) 2013-07-02 2014-06-30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95 2013-07-02
KR20130077195 2013-07-02
KR20130085736 2013-07-20
KR1020130085736 2013-07-20
KR1020130095630 2013-08-12
KR20130095630 201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52A true KR20150004252A (ko) 2015-01-12
KR101598568B1 KR101598568B1 (ko) 2016-02-29

Family

ID=52476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118A KR101598568B1 (ko) 2013-07-02 2014-03-27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40036119A KR20150004253A (ko) 2013-07-02 2014-03-27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6119A KR20150004253A (ko) 2013-07-02 2014-03-27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03873A1 (ko)
KR (2) KR101598568B1 (ko)
CN (1) CN1054930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547A (ko) * 2014-11-0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GB201508292D0 (en) * 2015-05-14 2015-06-24 Univ Dundee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ng icons
JP6925789B2 (ja) * 2016-06-29 2021-08-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44124B1 (ko) * 2016-08-26 2017-06-07 이진우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D896239S1 (en) * 2018-08-29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6240S1 (en) * 2018-08-29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109589B (zh) * 2019-04-29 2022-03-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扁平化交互操控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056A (ko) * 2008-04-23 2008-05-14 (주)씨에스랩글로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JP2009301269A (ja) * 2008-06-12 2009-12-24 Nec Infrontia Corp ソフトウェア入力キー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端末
KR101039605B1 (ko) * 2010-10-27 2011-06-09 한일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KR20120065146A (ko) * 2010-12-10 2012-06-20 윤정호 화면 터치폰에서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5408B2 (ja) * 2004-05-07 2010-01-06 Hoya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入力装置
CN101847055A (zh) * 2009-03-24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基于触摸屏的输入方法
US20100245252A1 (en) * 2009-03-30 2010-09-30 Yoram Ghassabian Information input keyboard and keyboard locator associated therewith
KR20110018075A (ko) * 2009-08-17 2011-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30109389A (ko) * 2012-03-27 2013-10-08 박승배 개인화 가상키보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056A (ko) * 2008-04-23 2008-05-14 (주)씨에스랩글로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JP2009301269A (ja) * 2008-06-12 2009-12-24 Nec Infrontia Corp ソフトウェア入力キー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端末
KR101039605B1 (ko) * 2010-10-27 2011-06-09 한일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KR20120065146A (ko) * 2010-12-10 2012-06-20 윤정호 화면 터치폰에서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53A (ko) 2015-01-12
KR101598568B1 (ko) 2016-02-29
CN105493022A (zh) 2016-04-13
US20170003873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56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US874452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module for projecting images on a projection surface exter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28026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5830B1 (ko) 복수 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9870144B2 (en)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09818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239153A1 (en)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US201703514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icon, an apparatus and non-volatile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582541B1 (ko)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KR20160128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1172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입체영상 제어방법
JP62259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61431A1 (en) Information terminal
KR2010013661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 입력 오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23051A1 (en) Graphic object selection by way of directional swipe gestures
CN102893250B (zh) 确定操作对象的方法和终端
US20110025718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JP201310966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40122076A (ko) 휴대형 전자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Kwon et al. Drag-and-type: a new method for typing with virtual keyboards on small touchscreens
KR102466990B1 (ko)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64718A (ja) 情報端末
US201403311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