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99B1 -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099B1
KR102120099B1 KR1020130013512A KR20130013512A KR102120099B1 KR 102120099 B1 KR102120099 B1 KR 102120099B1 KR 1020130013512 A KR1020130013512 A KR 1020130013512A KR 20130013512 A KR20130013512 A KR 20130013512A KR 102120099 B1 KR102120099 B1 KR 10212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
touch sensing
point
area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335A (ko
Inventor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099B1/ko
Priority to US13/797,436 priority patent/US9448587B2/en
Priority to CN201380071524.3A priority patent/CN104956291B/zh
Priority to PCT/KR2013/007883 priority patent/WO2014123289A1/en
Priority to EP13874493.3A priority patent/EP2954387B1/en
Publication of KR2014010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 터치를 이용한 전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THE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 터치를 이용한 전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핸드헬드(Hand Held)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는 가볍고 크기가 작아 유저에게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가 손에 쥠과 동시에 한 손으로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등을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가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를 쥔 손을 인식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는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를 잡고 손가락으로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고,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가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의 터치 가능한 영역 중에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를 잡은 손이 닿지 않는 영역을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손의 위치를 바꿔서 다시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를 잡거나, 다른 손으로 터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의 입력 패턴을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 터치를 액티베이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액티베이트하되, 유저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의 제 1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의 제 2 지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됨; 상기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그립 패턴에 따라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가 결정될 수 있어, 유저의 필요에 따라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에 따라,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어, 유저의 다양한 그립 패턴에 적합한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호버링을 통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할 수 있어, 한 손으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유저 입력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의 검지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의 그립 패턴의 압력 레벨에 기초하여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여, 항상 후면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경우에만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이하,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센서 유닛(120), 프로세서(130), 커뮤니케이션 유닛(140), 스토리지 유닛(150) 및 파워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PC, PDA(Persone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3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각종 동영상,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20)은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유저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3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센서 유닛(120)은 다양한 유저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저 입력은 터치 입력, 제스쳐 입력,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대한 다양한 입력 패턴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패턴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양 측면에 대한 그립 패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터치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신호 또는 호버링(hovering)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버링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를 스크린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 터치하고자 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머무르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르면, 센서 유닛(120)은 그립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센서는 유저의 손이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접촉하는 경우, 접촉되는 손가락 등의 접촉 형태에 따른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여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위치한 터치 센서는 후면의 터치 센싱이 액티베이트된 경우에만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3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스토리지 유닛(15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30)는 센서 유닛(120)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30)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입력 패턴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양 측면에 대한 그립 패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터치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입력 패턴에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에서 유저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저 입력은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리지 유닛(150)은 동영상,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50)은 플래쉬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워 유닛(16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전면(210), 후면(220) 및 측면(230,240)을 나타낸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통하여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후면(220)의 터치 센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후면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통하여,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잇다. 여기에서, 터치 센싱 영역은 후면(22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영역의 액티베이트 여부는, 디지털 디바이스(200)에서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센싱 영역이 액티베이트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후면 터치를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텍트된 입력 신호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양 측면에 대한 그립 패턴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후면(220)의 터치 센싱 영역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텍트된 입력 신호가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기 설정된 입력 패턴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후면(220)의 터치 센싱 영역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입력 패턴은 터치 센싱 영역을 액티베이트하기 위한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싱 영역이 액티베이트되지 않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후면 터치를 센싱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측면(230, 240)에서 그립 센서를 포함하고, 그립 센서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측면(230, 240)에 배치된 그립 센서를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유저의 디지털 디바이스(200)에 대한 그립 패턴을 나타내는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그립 센서를 통하여 유저의 그립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패턴이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후면을 감싸는 패턴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좌우 측면(230, 240)의 그립 센서는 손가락 등이 터치되는 것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좌측면(230)이 우측면(240)에 비해 터치되는 영역이 많은 경우, 유저가 오른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200)를 잡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우측면(240)이 좌측면(230)에 비해 터치되는 영역이 많은 경우, 유저가 왼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200)를 잡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잡는 경우, 유저의 손가락이 디지털 디바이스(300)에 닿는 패턴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300)는 한 손으로 잡는 것이 가능한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300)는 유저의 오른손 또는 왼손에 의해 잡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은 유저의 오른손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300)가 잡힌 상태에서의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310)을 나타낸다. 또한, 도 3(b)는 유저의 오른손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300)가 잡힌 상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후면(320)을 나타낸다. 이 경우, 유저의 엄지(33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면에 닿고, 검지(34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후면(320)에 닿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유저의 중지(350), 약지(36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좌측면에 닿고, 소지(370)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하측면에 닿아서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아래쪽을 받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크기가 약 4 인치 이하인 경우, 한 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쥔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310)을 터치하여,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유저의 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약 4 인치 크기의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쥔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310)의 일부 영역만 터치 가능할 뿐,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310) 전체를 자유자재로 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300)의 크기가 약 4 인치를 초과하는 경우, 한 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쥔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310)의 모든 영역을 자유 자재로 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30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410)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유저의 한 손에 잡힐 수 있다. 도 4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400)가 유저의 오른손에 잡힌 상태에서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는 유저의 손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입력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가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양 측면에서 디텍트되는 입력 신호인 경우, 입력 패턴은 유저의 손에 의한 그립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그립 패턴이 오른손 또는 왼손에 의한 그립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신호가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디텍트되는 입력 신호인 경우, 입력 패턴은 싱글 터치, 멀티 터치, 터치 앤 드래그, 핀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식별된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식별된 입력 패턴이 기 설정된 그립 패턴에 해당하는 경우,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그립 패턴은 유저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대한 그립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대한 그립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그립 패턴은 유저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대한 그립이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을 감싸는 패턴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대한 그립이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면을 감싸는 패턴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터치 센싱 영역(4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410)은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420)의 위치 및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43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은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점(420)은 식별된 그립 패턴의 제 1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점(430)은 식별된 그립 패턴의 제 2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측면은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왼쪽이고, 제 2 측면을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측면에 유저의 엄지(440)가 접해 있고, 제 1 지점(420)은 유저의 엄지(440)가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접해있는 지점들 중 최상단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측면에 유저의 중지(460), 약지, 소지가 접해있고, 제 2 지점(430)은 가장 위쪽에 위치한 유저의 중지(460)가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접해있는 지점들 중 최상단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410)은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410-1)은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에서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여,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에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410-1)에 대응되는 영역은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40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터치 센싱 영역(410-1)을 이용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의 제어에 대하여 도 7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410)은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410-2)은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에서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 (43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인 제 2 지점(430)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여,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영역(410-2)을 이용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의 제어에 대하여 도 8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410)은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 중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410-3)은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후면에서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지점(420)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여,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410)은 기 설정된 크기의 직사각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사각형 영역의 위치는 검지(45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영역의 크기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터치 센싱 영역(410)에 비해 작은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크기의 직사각형은 3cm*3cm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의 그립 패턴에 따라, 유저의 검지(45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검지(450)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터치 센싱 영역(410)은 유저의 검지(450)가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대한 유저의 그립 패턴이 변하는 경우, 터치 센싱 영역(410)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대한 그립 패턴이 도 4(a)에 나타난 손의 모양과 동일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아래쪽을 잡는 그립 패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싱 영역(400)은 도 4(a)에 나타난 터치 센싱 영역(400-1)에서 아래쪽 영역으로 크기가 확대될 수도 있다. 반대로, 디바이스(400)에 대한 그립 패턴이 도 4(a)에 나타난 손의 모양과 동일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의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위쪽을 잡는 그립 패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싱 영역(400)은 도 4(a)에 나타난 터치 센싱 영역(400-1)에서 위쪽 영역으로 크기가 축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400)를 잡고 있는 손의 그립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 영역(400)이 제공되므로,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유저가 후면 터치를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디지털 디바이스(5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제어 가능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영역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제 1 영역(540)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410-1)은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영역은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제 1 영역(540-1)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4(b)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410-2)은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영역은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제 1 영역(540-1)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4(c)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410-3)은 제 1 지점(420) 및 제 2 지점(43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영역은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제 1 영역(540-1)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제 1 영역(54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 2 영역(5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영역(550)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터치 센싱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여, 제 2 영역(55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제 1 영역(540) 및 제 2 영역(550)에 각각 상이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통해 제어 가능한 제 1 영역(540)은 반투명한 격자 무늬로 도시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통해 제어 가능한 제 2 영역(550)은 반투명한 도트 무늬로 도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 상에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제 1 영역 및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대한 입력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제 2 영역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영역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의 크기 및 위치에 관계없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전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 영역은 디지털 디바이스(500)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더라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의 영역은 전체 영역(540-4)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500)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 및 전면 디스프레이 유닛(510)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디지털 디바이스(600)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인디케이터(64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는 유저에 의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유저에 의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은 유저의 검지(6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대한 입력 신호의 경우, 인디케이터(640)가 없더라도 유저의 손의 위치를 통해 입력 신호의 위치를 유저가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후면의 터치 센싱 유닛에 대한 입력 신호의 경우, 인디케이터(640)가 없는 경우 손의 위치를 유저가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인디케이터(640)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서 디텍트된 입력 신호의 위치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의 위치에 인디케이터(6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디케이터(64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상에서 식별 가능한 어떠한 형태로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640)는 별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 상의 인디케이터(640)를 통해 입력 신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뿐만이 아니라,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대한 입력 신호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와 동시에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대한 입력 신호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유저의 검지(630)에 의한 입력 신호와 동시에 유저의 엄지(620-2)에 의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는 도 5에서 상술한 제 1 영역(540)을,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대한 입력 신호는 도 5에서 상술한 제 2 영역(55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것에 해당할 수도있다.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이 동시에 디텍트되는 경우, 입력 신호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 중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 중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대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이 동시에 디텍트되는 경우, 복수의 입력 신호들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검지(630)를 통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600)는 엄지(630-2)를 통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도 있다.
도 7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는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양 측면에서 디텍트되는 입력 신호, 전면 또는 후면에서 디텍트되는 입력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700)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싱 영역(710)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740)의 위치 및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75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영역(710)은 제 1 지점(740) 및 제 2 지점(750)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지점(740) 및 제 2 지점(750)은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2 입력 신호는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검지(770)의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는 싱글 터치, 멀티 터치, 롱 터치, 터치 앤 드래그, 호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제 2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9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790-a)는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도 7(b)를 참조하면,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510)을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의 제 1 영역(720-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전면의 제 1 영역(720-1)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전면의 제 1 영역(720-1)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과 크기 또는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의 제 1 영역(720-1)을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은 유저의 검지(77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와 동일한 위치로 제 1 영역(720-1) 상에서 인디케이터(79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 및 전면의 제 1 영역(720-1)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면의 제 1 영역(720-1) 상에서 인디케이터(79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유저의 검지(770)를 통한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의 제 1 영역(720-1)에서 터치 앤 드래그 입력과 동일하게 인디케이터(79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의 검지(770)를 통한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호버링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의 제 1 영역(720-1)에서 호버링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디케이터(790-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에 제 1 영역(720-1)뿐만 아니라 제 2 영역(7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영역(720-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등을 통하여, 전면의 제 1 영역(720-1)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7(c)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710)을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 영역(730)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전면 영역(730)은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통해 전면 영역(73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의 크기는 전면 영역(73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 및 전면 영역(730)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후면의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전면 영역(730)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영역(730)에 나타나는 인디케이터(790-b)의 움직임 속도, 스크롤링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과 전면 영역(730)의 크기에 기초하여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한 슬라이딩 입력의 길이가 a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전면 영역(730)에서의 인디케이터(790-b)를 2a 길이의 슬라이딩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7(a)의 터치 센싱 영역(710) 및 도 7(c)이 전면 영역(730)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700)에 나타난 두 영역의 폭은 동일하지만, 높이는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터치 센싱 영역(710)의 상이한 좌우 높이에 각각 기초하여 터치 센싱 영역(710)에 대응되는 전면 영역(730)에서의 인디케이터(790-b)의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터치 센싱 영역(710)의 왼쪽에 대하여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이에 대응되는 전면 영역(730)의 오른쪽에서 터치 앤 드래그 입력 길이의 약 3배의 길이만큼 인디케이터(790-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터치 센싱 영역(510)의 오른쪽에 대하여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700)는 이에 대응되는 전면 영역(730)의 왼쪽에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의 약 2배의 길이만큼 인디케이터(790-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700)의 전면 영역(730)에 대한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810)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먼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800)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터치 센싱 영역(8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810)은 제 1 지점(840) 및 제 2 지점(85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850)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8(b)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810)을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전면의 제 1 영역(820-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전면의 제 1 영역(820-1)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8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전면의 제 1 영역(820-1)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810)과 크기 또는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전면의 제 1 영역(820-1)을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810)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7(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터치 센싱 영역(810)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입력 신호와 동일한 위치로 제 1 영역(820-1) 상에서 인디케이터(89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유저의 검지(870)를 통한 터치 센싱 영역(810)에 대한 슬라이딩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전면의 제 1 영역(820-1)에서 슬라이딩 입력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인디케이터(89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의 검지(870)를 통해 터치 센싱 영역(810)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전면의 제 1 영역(820-1)에서 멀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디케이터(89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등을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영역(820-1)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8(c)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810)을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전면 영역(830)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전면 영역(830)은 도 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810)의 크기는 전면 영역(83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810) 및 전면 영역(830)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후면의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전면 영역(830)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달리, 도 8(a)의 터치 센싱 영역(810) 및 도 8(c)의 전면 영역(830)은 가로 및 세로의 폭과 높이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영역(810)과 전면 영역(830)의 폭은 동일하되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800)는 가로축 방향으로의 입력 신호는 전면 영역(830)에서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하되, 세로축 방향으로의 입력 신호는 전면 영역(830)에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통하여, 디지털 디바이스(800)의 전면 영역(830)에 대한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9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010).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입력 신호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그립 신호, 터치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 신호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 후면 또는 양 측면에서 디텍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S920). 여기에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양 측면에서 디텍트되는 그립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터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S930).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그립 패턴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의 그립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그립 패턴이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을 감싸는 패턴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S930 단계에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S940). 여기에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의 위치 및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점은 식별된 입력 패턴의 제 1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점은 식별된 입력 패턴의 제 2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 중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터치 센싱 영역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 중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950).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입력 신호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은 유저의 검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S960). 여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및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은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0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010).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S1020).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입력 패턴에 따라 후면의 터치 센싱의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030).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S1040).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S1050).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060). 여기에서, 제 3 입력 신호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입력 신호로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060 단계에서,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및 제 3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S1070). 도 6(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을 디텍트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을 디텍트하는 경우, 복수의 입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S1060 단계에서,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S1072).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s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디지털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 유닛
120: 센서 유닛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비율을 기초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영역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비율을 기초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양 측면에서 디텍트되는 그립 패턴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립 패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인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립 패턴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을 감싸는 패턴인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터치 패턴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의 상기 제 2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 중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제어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은 상기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입력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측면의 제 1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의 제 2 지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됨;
    상기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및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비율을 기초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영역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및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비율을 기초로 전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양 측면에서 디텍트되는 그립 패턴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립 패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인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액티베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립 패턴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을 감싸는 패턴인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패턴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터치 패턴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식별된 입력 패턴의 상기 제 2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삭제
KR1020130013512A 2013-02-06 2013-02-06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12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12A KR102120099B1 (ko) 2013-02-06 2013-02-06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13/797,436 US9448587B2 (en) 2013-02-06 2013-03-12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71524.3A CN104956291B (zh) 2013-02-06 2013-09-02 用于识别双侧面触摸的数字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3/007883 WO2014123289A1 (en) 2013-02-06 2013-09-02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874493.3A EP2954387B1 (en) 2013-02-06 2013-09-02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12A KR102120099B1 (ko) 2013-02-06 2013-02-06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35A KR20140100335A (ko) 2014-08-14
KR102120099B1 true KR102120099B1 (ko) 2020-06-09

Family

ID=5125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12A KR102120099B1 (ko) 2013-02-06 2013-02-06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8587B2 (ko)
EP (1) EP2954387B1 (ko)
KR (1) KR102120099B1 (ko)
CN (1) CN104956291B (ko)
WO (1) WO2014123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1830S1 (en) * 2013-08-27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JP2016024292A (ja) 2014-07-18 2016-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TWI708169B (zh) 2015-06-02 2020-10-2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180404B1 (ko) 2015-06-0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7009B1 (ko) 2016-01-05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028101A (zh) * 2016-05-19 2016-10-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功能图标的屏幕显示方法及其系统
US10088915B2 (en) * 2016-07-01 2018-10-02 Deere & Company Method and system with sensors for sensing hand or finger positions for adjustable control
ES2770091T3 (es) * 2016-08-22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terminal de usuario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KR20180064631A (ko) 2016-12-05 2018-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599835B2 (en) * 2017-05-12 2023-03-07 Cloverleaf.M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behavioral assessments
KR102376211B1 (ko) 2017-08-30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29051A (ko) * 2017-09-11 201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WO2019069728A1 (ja) 2017-10-03 2019-04-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操作検出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1126258B2 (en) 2017-10-14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nd mapping multi-sided touch
KR2019005439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90223B2 (en) 2018-09-13 2021-04-27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e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in large surface devices
US11003274B2 (en) 2018-09-13 2021-05-11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tive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KR102645332B1 (ko) 2018-12-19 202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들 간 인터랙팅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513648B2 (en) * 2018-12-26 2022-11-29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with handheld display devices
US11435867B2 (en) * 2020-05-26 2022-09-06 Ching-Chen Li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BR112023024637A2 (pt) 2021-05-27 2024-02-06 Ericsson Telefon Ab L M Interface de usuário traseira para dispositivo portát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2851A (ja) * 2011-05-13 2012-12-10 Lenovo Singapore Pte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341B1 (ko) 2005-06-29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입력방법 및 장치.
WO2009067224A1 (en) * 2007-11-19 2009-05-28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KR101499546B1 (ko) * 2008-01-1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DE602008001493D1 (de) * 2008-01-31 2010-07-22 Research In Motion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dafür
US8130207B2 (en) 2008-06-18 2012-03-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ipulating a device using dual side input devices
KR20100006219A (ko) * 2008-07-09 2010-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8385885B2 (en) * 2008-10-17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368658B2 (en) * 2008-12-02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US20100277420A1 (en)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 Dual Sided Gesture
US20110021251A1 (en) * 2009-07-22 2011-01-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control
KR2011006947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아이리버 사용자 그립 상태를 반영하여 조작가능한 핸드헬드 전자기기 및 조작방법
US8674959B2 (en) * 2010-06-28 2014-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KR101685363B1 (ko) 2010-09-27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1984384B (zh) * 2010-10-27 2012-11-14 大连工业大学 一种移动终端及其操控技术的设计方法
JP2012238128A (ja) * 2011-05-11 2012-12-06 Kddi Corp 背面入力機能を有する情報機器、背面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19719B2 (en) * 2011-06-17 2014-05-06 Google Inc. Graphical icon presentation
US8775966B2 (en) * 2011-06-29 2014-07-0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20130000786U (ko) 2011-07-25 2013-02-04 김재환 후면 터치패드와 측면버튼을 이용한 스마트폰 조작방법
KR101866272B1 (ko) * 2011-12-15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1899812B1 (ko) * 2012-05-14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2851A (ja) * 2011-05-13 2012-12-10 Lenovo Singapore Pte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4387A1 (en) 2015-12-16
CN104956291B (zh) 2018-10-19
US9448587B2 (en) 2016-09-20
KR20140100335A (ko) 2014-08-14
EP2954387A4 (en) 2016-10-05
CN104956291A (zh) 2015-09-30
EP2954387B1 (en) 2017-12-27
US20140218309A1 (en) 2014-08-07
WO2014123289A1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099B1 (ko)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20220129060A1 (en) Three-dimensional object tracking to augment display area
EP40803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KR10216151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775901B2 (en) Techniques for identifying rolling gestures on a device
US20150062025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556428B (zh) 具有显示器的便携式终端及其操作方法
US20140191998A1 (en) Non-contact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KR10209749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7510A (ko) 정보 검색 방법,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KR102162828B1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37524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29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701924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information input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204843B1 (en) Multiple stage user interface
US9395838B2 (en) Input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KR20110115683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 입력방법
KR10229582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15031078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017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device manipulation utilizing sides of device
US10101905B1 (en) Proximity-based input device
KR101723271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