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12B1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812B1
KR101899812B1 KR1020120051093A KR20120051093A KR101899812B1 KR 101899812 B1 KR101899812 B1 KR 101899812B1 KR 1020120051093 A KR1020120051093 A KR 1020120051093A KR 20120051093 A KR20120051093 A KR 20120051093A KR 101899812 B1 KR101899812 B1 KR 101899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tate
portable device
displa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288A (ko
Inventor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5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812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08,480 priority patent/US9710213B2/en
Priority to EP12876987.4A priority patent/EP2850911A4/en
Priority to PCT/KR2012/005136 priority patent/WO2013172507A1/en
Priority to CN201280072743.9A priority patent/CN104272853B/zh
Priority to US13/544,772 priority patent/US8416148B1/en
Priority to US13/841,002 priority patent/US8674900B2/en
Priority to US13/858,816 priority patent/US8593371B1/en
Priority to US14/071,445 priority patent/US8872730B2/en
Publication of KR2013012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288A/ko
Priority to US14/577,683 priority patent/US957570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단계, 여기서 잠금해제 명령은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제1 명령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명령 중 어느 하나임, 잠금해제 명령이 제2 명령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단계, 잠금해제 트리거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 및 디텍팅된 잠금해제 트리거에 따라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포터블 디바이스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개인간 통신, 음악 청취뿐만 아니라 웹서핑, 전자 금융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기존의 컴퓨터를 통해 가능했던 서비스들이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위와 같은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포터블 디바이스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양면 디스플레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과 후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여 기존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비해 사용자 편의를 높였다. 양면 디스플레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unlock)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단계, 여기서 잠금해제 명령은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제1 명령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명령 중 어느 하나임, 잠금해제 명령이 제2 명령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단계, 잠금해제 트리거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 및 디텍팅된 잠금해제 트리거에 따라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 방향을 향하도록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거나,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1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활성화하고, 제2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며, 여기서 제2 임계각은 제1 임계각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활성화되었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잠금 해제 트리거는 터치 센서, 중력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 센서 및 밝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텍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제2 명령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에 의해 동시에 디텍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잠금해제 명령을 터치 센서로 입력받고, 터치 센서에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근거하여 제1 명령인지 또는 제2 명령인지를 구분하여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컨텐츠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는 시점에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들 중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유닛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동작, 여기서 잠금해제 명령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제1 명령,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명령 중 어느 하나임, 잠금해제 명령이 제2 명령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동작, 잠금해제 트리거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 및 디텍팅된 잠금해제 트리거에 따라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 방향을 향하도록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거나,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제1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활성화하고, 제2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며, 여기서 제2 임계각은 제1 임계각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컨트롤러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컨트롤러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활성화되었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잠금 해제 트리거는 터치 센서, 중력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 센서 및 밝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텍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제2 명령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에 의해 동시에 디텍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동작은 잠금해제 명령을 터치 센서로 입력받고, 터치 센서에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근거하여 제1 명령인지 또는 제2 명령인지를 구분하여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컨트롤러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동작하고, 여기서 컨텐츠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는 시점에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개별 잠금해제 동작 없이도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반영하여 각 디스플레이 유닛을 잠금해제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동시에 잠금해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의 후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기 위해 포터블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대기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연속성 있게 이용하면서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맞은편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와 해당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명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명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에 따른 잠금해제 실행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 후면에 관계없이 사용자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이 폴딩되어 양면에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 방향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다른 한쪽 면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명령 또는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 상태, 활성화 대기 상태, 활성화 상태의 세 가지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써 디스플레이의 발광 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잠금 상태인 경우에 포터블 디바이스는 해당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거나 잠금해제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나 터치 센서를 부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활성화 대기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기 전의 대기 상태이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을 바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대신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포터블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트리거를 추가로 디텍팅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잠금상태와 달리 별도의 잠금해제 명령이 없더라도 잠금해제 트리거만으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 대기상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잠금상태와 마찬가지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해당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의 상태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거나 잠금해제 트리거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나 터치 센서를 부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된 상태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해당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란, 디스플레이 유닛의 휘도(luminance)를 변화시킬 수 있는 빛을 내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 LE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자체 발광형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CD와 같이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가 아닌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백라이트(backlight)를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거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각 원형 노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잠금상태(1), 활성화 대기상태(3), 활성화 상태(5)를 나타낸다. 노드 상단의 화살표는 양면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고, 노드 하단의 화살표는 양면 디스플레이 중 제1 디스플레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불필요하게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센서의 활성화는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한 오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 해제 명령이 디텍팅되었을 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바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잠금해제 명령을 구분하여 디텍팅할 수 있으며 각 잠금해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상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잠금해제 명령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a)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상태(5)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1)로 유지하는 잠금해제 명령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상태(5)로 전환되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상태(1)를 유지하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센서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a)의 경우에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b)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상태(5)로 전환하는 잠금해제 명령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상태(5)로 전환되며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의 발광소자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는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두 디스플레이가 모두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될 수 없다. 따라서 한번의 잠금해제 명령에 의해 제1, 제2 디스플레이를 모두 활성화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거나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c)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상태(5)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대기 상태(3)로 전환하는 잠금해제 명령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상태(1)에서 활성화 상태(5)로 전환되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활성화 대기 상태(3)로 전환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잠금상태와 마찬가지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해당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의 상태이다. 하지만 잠금상태와 달리, 포터블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거나 잠금해제 트리거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나 터치 센서를 부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명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위치한 하나의 슬라이드바를 이용하여 잠금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unlock)를 명령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디텍팅된 영역에 근거하여 복수의 잠금해제 명령을 구분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도 1에서 설명한 3 종류의 잠금 해제 명령 중 어느 하나임을 구분하여 디텍팅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잠금해제 명령을 제1 명령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화하는 잠금해제 명령을 제2 명령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해제 명령을 제3 명령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이 디텍팅된 영역에 따라 해당 잠금해제 명령이 제1 명령인지, 제2 명령인지 또는 제3 명령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하 제1 명령과 제2 명령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가 제3 명령까지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의 점선에 위치한 잠금해제 탭(12)이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바의 1/2 영역까지만 이동되는 경우(14),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를 제1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 상태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a)의 점선에 위치한 잠금해제 탭(12)이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바의 우측 경계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경우(16),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를 제2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b)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위치한 두 개의 슬라이드바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의 상단 슬라이드바의 점선에 위치한 잠금해제 탭(12-1)이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14),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를 제1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 상태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b)의 하단 슬라이드바의 점선에 위치한 잠금해제 탭(12-2)이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16),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를 제2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잠금해제 트리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도 5 이하에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명령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 방향을 구분하여 디텍팅하고 이에 따른 잠금 해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위치 잠금해제 탭(18)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바의 좌측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슬라이드바의 좌측 영역에 잠금해제 탭(18-1)을 생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에 의해 잠금해제 탭(18-1)이 우측 영역으로 슬라이딩되면 이를 제1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는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바의 우측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슬라이드바의 우측 영역에 잠금해제 탭(18-2)이 생성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에 의해 잠금해제 탭(18-2)이 좌측 영역으로 슬라이딩되면 이를 제 2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은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술한 가변 위치 잠금 해제 탭의 잠금 해제 방향과 제1, 제2 명령에 대한 구분은 실시예에 따라 좌,우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즉, 도 3(a)와 같이 우측으로 잠금해제 되는 경우에 제2 명령으로 디텍팅하고, 도 3(b)와 같이 좌측으로 잠금해제 되는 경우에 제1 명령으로 디텍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방향을 구분하여 디텍팅하고,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만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3(a),(b)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잠금해제 탭(18-1) 영역과 해당 잠금해제 탭(18-1) 영역의 후면에 해당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에 동시에 터치 입력을 디텍팅하고 위와 같이 해당 잠금해제 탭(18-1)이 우측 영역으로 슬라이딩되는 터치 입력을 디텍팅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그 방향에 상관없이 이를 제2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 3(a),(b)의 손 모양과 같이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잠금해제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이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슬라이딩 방향에 상관없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만 잠금 해제 터치 입력이 디텍팅되면 제1 명령으로 디텍팅하고,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동시에 잠금해제 터치 입력이 디텍팅되면 제2 명령으로 디텍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 활성화 대기 상태 및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가 잠금해제 명령을 센싱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상태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상태는 잠금상태 또는 활성화 대기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제1 명령 또는 제2 명령을 디텍팅한 경우이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발광소자 및 터치센서는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거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잠금상태 또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만을 활성화시키고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거나, 터치 센서만을 활성화시키고 발광소자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 유닛 및 터치 센서를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이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켜 파워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대한 터치 센서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이 디텍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는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21,22)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가 제2 명령을 디텍팅한 후 잠금해제 트리거를 추가로 디텍팅하거나, 제3 명령을 디텍팅한 경우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21,22)의 상태는 각각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잠금 해제 트리거의 종류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활성화 상태의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21,22)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나열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거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나열된 아이콘들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전후면의 형상이 동일하여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중 어느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더라도 동일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명령을 디텍팅 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한 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해제 트리거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트리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a)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이나 이동, 뒤집힘 등을 센싱하여 잠금해제 트리거로 인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가 회전하거나 이동, 뒤집혀져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위의 회전, 이동, 뒤집힘 동작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잠금해제 트리거에 대한 디텍팅은 터치 센서, 중력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 센서 및 밝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로의 전환은 해당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와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 동작을 디텍팅하는 동안에는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더라도,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이 디텍팅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센서를 각각 별도의 시점에서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시선이 닿지 않는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도 5(a)의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은 회전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이 닿지 않게 되므로 이를 비활성화하여 파워 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 중이라 하더라도 활성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말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회전이 디텍팅됨과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회전 동작이 완료된 후에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5(b)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특정 영역에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해제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잠금해제 인터페이스(30)에 대한 터치 입력은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인터페이스(30)에 터치 입력이 디텍팅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되었던 잠금해제 인터페이스(30)는 잠금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된 후, 잠금해제 인터페이스(30)에 터치 입력이 디텍팅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에 따른 잠금해제 실행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이나 이동, 뒤집힘 등을 디텍팅하여 잠금해제 트리거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에서 회전하기 전 상태의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명령을 디텍팅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이 감지되면 이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대한 상태 전환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제1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발광소자를 활성화하고, 제2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2 임계각은 제1 임계각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임계각을 45도, 제2 임계각을 180도로 저장하고 있다면, 포터블 디바이스가 45도 회전했을 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발광소자가 활성화 되고, 180도 회전하였을 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발광소자와 터치 센서는 각각 다른 시점에 활성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우선적으로 활성화시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이후에 활성화시켜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나게되므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발광소자는 전력 소비 절감을 위해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는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대한 활성화 대기상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제3 임계각에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제4 임계각에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4 임계각은 제3 임계각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센서를 우선적으로 비활성화시켜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비활성화시켜 소비전력 감소의 파워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대한 활성화 대기상태로의 전환은 옵셔널한 것이며 구현방법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잠금해제 트리거로써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이용하기 위해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는 활성화되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그립 형태를 고려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중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치 입력을 센싱하여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할 수 있다. 잠금해제 트리거로써의 터치 입력은 특정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터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특정 패턴과 동일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어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위에서 활성화된 일부 영역을 포함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전체 영역에 대해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7(b)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잠금 해제 트리거로 디텍팅 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일부 어플리케이션(3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31) 실행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와 함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8에서 설명한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활성화되었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됨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활성화 상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위에서 언급한 잠금해제 트리거 외에도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을 인식하여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거나, 하드웨어 버튼에 대한 클릭, 스타일러스에 의한 터치 입력을 디텍팅하여 이들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이를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촬영자, 32)가 위치한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피사체(33)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32)는 촬영되는 사진의 프리뷰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도 피사체(33)를 디스플레이하여, 촬영 대상이 되는 당사자(33)가 자신의 모습을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을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32)과 사진 촬영의 대상이 되는 당사자(33)가 동시에 프리뷰 이미지를 확인하여 원하는 구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된 제2 디스플레이(22)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진 활영의 대상이 되는 당사자(33)가 터치 입력을 통해 직접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진 촬영의 대상이 되는 당사자(33)는 제2 디스플레이(22)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원하는 구도, 시점에서 제2 디스플레이(22)를 터치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텍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동일한 텍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해당 컨텐츠를 맞은 편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동일한 컨텐츠를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21, 22)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연속성 있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시에,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고 싶은 다른 사용자에게도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9(b)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링크된 상세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에서 상세 컨텐츠가 링크된 특정 컨텐츠(40)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40)를 선택하는 경우 이에 링크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상세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디스플레이한 후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해당 상세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세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상세 컨텐츠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웹페이지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40)를 선택하는 시점에 이미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이 활성화된 상태라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특정 컨텐츠(40)에 링크된 상세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의 특정 컨텐츠(40)에 링크된 상세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를 연속성 있게 이용하면서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을 통해 상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10)가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해당 멀티 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자체에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중 재생 중인 멀티 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성 있게 재생하면서도 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서 영화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영화에 출연하는 배우들에 대한 정보, 감독에 대한 정보, 동일 감독이 제작한 다른 영화에 대한 정보, 영화음악에 대한 정보, 해당 영화의 시리즈에 대한 정보, 제작사에 대한 정보,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 등의 부가 정보가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서 음악을 재생 중인 경우 작곡가, 작사가, 가수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가수의 다른 앨범에 대한 정보, 해당 음악이 사용된 다른 컨텐츠에 대한 정보, 재생 중인 음악이 실린 음반에 대한 정보 등의 부가 정보가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시청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b)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과 독립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는 캘린더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호 관련성이 적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명령을 디텍팅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잠금 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도 4(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나열할 수 있으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디스플레이 유닛(22)에 실행시켜 제1 디스플레이 유닛(21)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토리지 유닛(101), 커뮤니케이션 유닛(102), 센서 유닛(103), 오디오 입출력 유닛(104), 카메라 유닛(105), 디스플레이 유닛(106), 파워 유닛(107), 프로세서(108), 및 컨트롤러(109)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유닛(101)은,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01)은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스토리지 유닛(101)에서 추출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01)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2)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외부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2)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2)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인풋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컨트롤러(109)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싱 유닛은 도 1 내지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해제 명령 및 잠금 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각각 잠금해제 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이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컨트롤러(109)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 유닛(104)은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및 포터블 디바이스로의 오디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 유닛(104)은 오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입출력 유닛은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5)은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5)은 상술한 모션 센서 또는 비쥬얼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105)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명령을 디텍팅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5)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체 정보란 사용자의 얼굴, 지문, 홍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카메라 유닛은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인 경우, 상술한 터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06)에 대한 유저 인풋을 디텍팅하여 컨트롤러(109)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06)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양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방향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파워 유닛(107)은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포터블 디바이스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파워 유닛은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스토리지 유닛(101)에 저장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상술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니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 및 컨트롤러(109)는 하나의 칩(110)으로 구비되어, 상술한 각각의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하에서는 이를 컨트롤러(109)로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109)는 잠금 해제 명령이 디텍팅된 경우 잠금 해제명령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 활성화 대기상태, 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 할 수 있다(S10). 도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 해제 명령을 구분하여 디텍팅 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이나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할 수 있으며 디텍팅된 잠금해제 명령은 컨트롤러에 전달되어 실행될 수 있다. 센서 유닛을 이용한 디텍팅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센서를 이용하거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 센서 및 밝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 유닛을 이용한 디텍팅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카메라 유닛을 통해 인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란 사용자의 얼굴, 지문, 홍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터치입력이 디텍팅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근거하여 잠금해제 명령이 도 2에서 설명한 제1 명령, 제2 명령 또는 제3 명령 중 어느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명령이 디텍팅 되면, 도 4(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20). 활성화 상태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은 실시예에 따라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 상태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써 도 7(a)에서 설명하였듯이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잠금 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제2 디스플레이 유닛 중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한 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할 수 있다(S30). 잠금 해제 트리거는 도 5 내지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이나 이동, 뒤집힘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센싱은 터치 센서, 중력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 센서 및 밝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잠금해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이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이 잠금 해제 트리거로 디텍팅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40).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단계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그 회전 각도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활성화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제1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활성화하고, 제2 임계각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2 임계각은 제1 임계각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활성화와 함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의 전환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한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단계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잠금해제 트리거로 디텍팅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활성화 상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9 및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하거나 연관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연관된 컨텐츠는 포터블 디바이스 내에서 추출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호 관련성이 적은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명령에 대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한 후 잠금해제 트리거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파워세이빙 및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상태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 해제 명령을 디텍팅할 수 있다(S100). 잠금 해제 명령은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잠금 상태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의 센서 유닛 또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디텍팅될 수 있다. 잠금해제 명령은 도 2,3에서 설명한 터치 입력에 의한 방법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 제스쳐를 인식하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디텍팅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텍팅된 잠금해제 명령을 구분한다(S105).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해제 명령은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제1 명령,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명령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제3 명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텍팅된 잠금해제 명령이 제1 명령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110).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S115).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 상태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더라도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지 않는다.
디텍팅된 잠금해제 명령이 제2 명령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20).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S125).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활성화 대기 상태로써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이며 활성화 대기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잠금해제 트리거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기 위해 터치 입력을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할 수 있다(S130). 잠금해제 트리거는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회전, 이동, 뒤집힘을 센싱하여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여 디텍팅할 수 있으며 제1, 제2 디스플레이를 함께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명령을 통해 디텍팅할 수도 있다.
잠금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면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35). 활성화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의 컨텐츠에 링크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와 독립적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는 활성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그중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와 독립적으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텍팅된 잠금해제 명령이 제3 명령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45).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의 발광 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S150).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 상태의 제1,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잠금해제 명령을 구분하여 디텍팅하여 구분된 잠금해제 명령에 따라 제1,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각각 다르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상태에서 활성화 대기상태, 화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나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 잠금 상태 3: 활성화 대기 상태
5: 활성화 상태 10: 포터블 디바이스
12: 잠금해제 탭
14: 제1 명령에 대한 잠금해제 탭의 위치
16: 제2 명령에 대한 잠금해제 탭의 위치
18: 가변 위치 잠금해제 탭 21: 제1 디스플레이 유닛
22: 제2 디스플레이 유닛 30: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3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32: 사용자(촬영자) 33:촬영 대상자
40: 상세 컨텐츠가 링크된 컨텐츠
101: 스토리지 유닛 102: 커뮤니케이션 유닛
103: 센서 유닛 104: 오디오 입출력 유닛
105: 카메라 유닛 106: 디스플레이 유닛
107: 파워 유닛 108: 프로세서
109: 컨트롤러 110: 단일칩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Claims (20)

  1.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는 단계-상기 잠금해제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 중 사용자 방향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상기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명령임-;
    상기 잠금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는 단계-상기 잠금해제 트리거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 및
    상기 디텍팅된 잠금해제 트리거에 따라 상기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대기 상태는,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활성화 상태의 중간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 중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유닛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해제 명령을 디텍팅하되,
    상기 잠금해제 명령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상기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명령임,
    상기 잠금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해제 트리거를 디텍팅하되, 상기 잠금해제 트리거는 활성화 대기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
    상기 디텍팅된 잠금해제 트리거에 따라 상기 활성화 대기 상태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활성화 대기 상태는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활성화 상태의 중간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자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거나,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발생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제1 임계각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를 활성화하고, 제2 임계각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임계각은 상기 제1 임계각 이상의 값을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동작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되었던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발광소자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동작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트리거는
    터치 센서, 중력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임 센서 및 밝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텍팅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명령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에 의해 동시에 디텍팅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삭제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동작하고,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잠금 해제 트리거가 디텍팅되는 시점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인 포터블 디바이스.
KR1020120051093A 2012-05-14 2012-05-14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093A KR101899812B1 (ko) 2012-05-14 2012-05-14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2876987.4A EP2850911A4 (en) 2012-05-14 2012-06-28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CT/KR2012/005136 WO2013172507A1 (en) 2012-05-14 2012-06-28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280072743.9A CN104272853B (zh) 2012-05-14 2012-06-28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US14/408,480 US9710213B2 (en) 2012-05-14 2012-06-28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544,772 US8416148B1 (en) 2012-05-14 2012-07-09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841,002 US8674900B2 (en) 2012-05-14 2013-03-15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858,816 US8593371B1 (en) 2012-05-14 2013-04-08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071,445 US8872730B2 (en) 2012-05-14 2013-11-04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577,683 US9575708B2 (en) 2012-05-14 2014-12-19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093A KR101899812B1 (ko) 2012-05-14 2012-05-14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288A KR20130127288A (ko) 2013-11-22
KR101899812B1 true KR101899812B1 (ko) 2018-09-20

Family

ID=4799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093A KR101899812B1 (ko) 2012-05-14 2012-05-14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9710213B2 (ko)
EP (1) EP2850911A4 (ko)
KR (1) KR101899812B1 (ko)
CN (1) CN104272853B (ko)
WO (1) WO20131725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125B1 (ko) * 2019-12-16 2021-02-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후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ui 또는 ux 개발 방법
US20220283610A1 (en) * 2019-09-30 2022-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1311B2 (ja) * 2010-03-26 2015-01-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762944B2 (ja) * 2011-12-28 2015-08-12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646047B (zh) * 2012-04-20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具有触摸显示屏的终端设备
US9575708B2 (en) 2012-05-14 2017-02-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79348B1 (ko) 2012-07-30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JP2014085946A (ja) * 2012-10-25 2014-05-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作制御方法
FR2998071B1 (fr) * 2012-11-09 2014-11-21 Thales Sa Procede de securisation d'une commande sur u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a surface tactile et systeme associe
US20150339028A1 (en) * 2012-12-28 2015-11-26 Nokia Technologies Oy Responding to User Input Gestures
KR102060155B1 (ko) * 2013-01-11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1430825A (zh) * 2013-01-28 2014-08-01 E Ink Holdings Inc 即時多工操作方法以及電子裝置
KR102120099B1 (ko) * 2013-02-06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JP6121517B2 (ja) * 2013-02-21 2017-04-26 京セラ株式会社 装置
US20150370523A1 (en) * 2013-02-27 2015-12-24 Ne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WO2014157357A1 (ja) * 2013-03-27 2014-10-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072584B1 (ko) 2013-04-19 2020-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75557B2 (en) * 2013-04-19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Grip force sensor array for one-handed and multimodal interaction on handheld devices and methods
KR20140137484A (ko) * 2013-05-22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방법
US20140351617A1 (en) * 2013-05-27 2014-11-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Bringing a Primary Processor Out of Sleep Mode
KR102034584B1 (ko) 2013-06-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7910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TWM470311U (zh) * 2013-08-06 2014-01-11 Sentelic Corp 暫態切換觸控模式之系統及相關電子裝置
US9058480B2 (en) * 2013-11-05 2015-06-16 Google Inc. Directional touch unlocking for electronic devices
CN103793668A (zh) * 2014-01-22 2014-05-14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装置
KR102245363B1 (ko) * 2014-04-21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3995667A (zh) * 2014-05-14 2014-08-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屏幕解锁方法
EP2996019B1 (en) * 2014-05-22 2019-0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Tim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2294597B1 (ko) * 2014-06-02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052873B (zh) * 2014-06-09 2017-01-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多屏的解锁装置、方法及屏幕不同区域的解锁方法
JP2016059751A (ja) * 2014-09-22 2016-04-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2317803B1 (ko) * 2015-01-23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113201B1 (ko) * 2015-02-27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785275B2 (en) * 2015-03-30 2017-10-10 Wacom Co., Ltd. Contact discrimination using a tilt angle of a touch-sensitive surface
CN104809376A (zh) * 2015-04-17 2015-07-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解锁方法
CN104809415A (zh) * 2015-04-17 2015-07-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US10409439B2 (en) 2015-08-0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446625B (zh) * 2015-08-05 2019-08-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43912B1 (ko) 2015-10-05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00708B2 (ja) * 2015-10-09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2468314B1 (ko) 2015-10-21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5955610A (zh) * 2016-04-27 2016-09-21 长沙丰灼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屏手持终端的目标屏识别方法
CN106095312B (zh) * 2016-06-08 2020-12-01 泾县谷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解锁方法和装置
CN106210279A (zh) * 2016-06-30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屏切换装置及方法
CN106231087B (zh) * 2016-07-27 2019-06-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正反面双屏显示设备防误触的方法和装置
KR20180132847A (ko) * 2016-07-27 2018-12-12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오동작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단말기
CN107665082B (zh) * 2016-07-28 2020-06-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解锁方法及装置
CN106412298A (zh) * 2016-09-29 2017-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显示界面的控制方法
CN108183979A (zh) * 2016-12-08 2018-06-19 周安定 一种新型六面体智能终端
US10788934B2 (en) * 2017-05-14 2020-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adjustment
CN107483713B (zh) * 2017-06-27 2018-09-21 惠州学院 一种返回默认桌面的方法及其系统
KR102330999B1 (ko) 2017-08-01 2021-1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197506B (zh) * 2017-11-27 2021-05-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89310B (zh) * 2018-07-27 2020-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及终端设备
CN109460140A (zh) * 2018-10-22 2019-03-12 南昌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解锁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669515A (zh) * 2018-12-17 2019-04-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双面屏显示器及控制其切换的方法
CN109918006A (zh) * 2019-01-28 2019-06-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221801A (zh) * 2019-06-05 2019-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桌牌终端及控制方法、系统、操作终端及控制方法
CN110795020A (zh) * 2019-10-25 2020-0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108B2 (en) 2003-12-10 2008-12-02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961B1 (en) 2004-12-13 2008-12-16 Palm, Inc. Compact palmtop computer system and wireless telephone with foldable dual-sided display
US6577496B1 (en) 2001-01-18 2003-06-10 Palm, Inc. Non-rigid mounting of a foldable display
US20060277488A1 (en) 2005-06-07 2006-12-07 Eastman Kodak Company Information presentation on wide-screen displays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82509B1 (ko) *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KR100829111B1 (ko) * 2006-11-27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42784Y1 (ko) 2007-10-16 2008-12-11 김종필 양면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1501771B1 (ko) 2008-07-11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US8385885B2 (en) 2008-10-17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1820457B (zh) * 2009-02-26 2012-09-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屏幕直板手机
TWI402741B (zh) 2009-05-27 2013-07-21 Htc Corp 解除螢幕鎖定的方法、行動電子裝置及電腦程式產品
US20110001687A1 (en) * 2009-07-06 2011-01-06 Sudharshan Srinivasan Dual display device using single display controller
KR20110020082A (ko) * 2009-08-21 2011-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921538B2 (ja) * 2009-11-24 2012-04-25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子表示装置、携帯電子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子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EP2341418A1 (en) 2009-12-31 2011-07-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US8791898B2 (en) 2010-01-20 2014-07-29 Apple Inc. Motion controllable dual display portable media device
KR101642722B1 (ko) 2010-02-04 2016-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CN102377871B (zh) 2010-08-24 2013-12-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10247065A1 (en) 2011-03-14 2011-10-06 Volodymyr Melnyk Simultaneous screen unlock and operation initi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108B2 (en) 2003-12-10 2008-12-02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3610A1 (en) * 2019-09-30 2022-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211125B1 (ko) * 2019-12-16 2021-02-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후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ui 또는 ux 개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0689A1 (en) 2013-11-14
US9710213B2 (en) 2017-07-18
CN104272853B (zh) 2018-09-21
EP2850911A4 (en) 2015-12-09
US20150234629A1 (en) 2015-08-20
US20140062931A1 (en) 2014-03-06
US8593371B1 (en) 2013-11-26
CN104272853A (zh) 2015-01-07
US8416148B1 (en) 2013-04-09
WO2013172507A1 (en) 2013-11-21
EP2850911A1 (en) 2015-03-25
KR20130127288A (ko) 2013-11-22
US8872730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12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75708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674900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57464B2 (en)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255143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6073792B2 (ja) ジェスチャを用いて積み重ねられた画面表示を閲覧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6010036B2 (ja) タッチセンサ式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15512549A (ja) 透明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デバイス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制御方法、該デバイス及び該記録媒体
WO2021213449A1 (zh) 一种触控操作方法及设备
US20220206645A1 (en) Management of screen content capture
KR102183445B1 (ko)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5607847B (zh) 用于电子装置中的屏幕显示控制的设备和方法
US20150160775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30073956A1 (en) Linking programmatic actions to user actions at different locations
JP6616379B2 (ja) 電子機器
JP6871846B2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CN114461312A (zh) 切换应用及应用中任务的方法、电子设备
JP6073793B2 (ja) デバイス開放と同時のデスクトップ表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