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584B1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584B1
KR102034584B1 KR1020130070806A KR20130070806A KR102034584B1 KR 102034584 B1 KR102034584 B1 KR 102034584B1 KR 1020130070806 A KR1020130070806 A KR 1020130070806A KR 20130070806 A KR20130070806 A KR 20130070806A KR 102034584 B1 KR102034584 B1 KR 10203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display screen
touch
sensor unit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73A (ko
Inventor
김용신
이도영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584B1/ko
Priority to US13/967,009 priority patent/US9377892B2/en
Priority to CN201380077428.XA priority patent/CN105283833B/zh
Priority to EP13887303.9A priority patent/EP3011425B1/en
Priority to PCT/KR2013/007681 priority patent/WO2014204048A1/en
Publication of KR2014014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정확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면(front side)에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후면(back side)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양면(double sided)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각각 센싱하는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temporarily) 액티베이트하는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부재(lack)를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포터블 디바이스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개인간 통신, 음악 청취뿐만 아니라 웹 서핑, 전자 금융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기존의 컴퓨터를 통해 가능했던 서비스들이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위와 같은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포터블 디바이스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양면 디스플레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과 후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여 기존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비해 사용자 편의를 높였다. 양면 디스플레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활성화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경우, 인액티브 상태의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센싱을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에 대응된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동시에 센싱된 경우, 후면 터치 입력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이동에 의해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이동에 의해 다양한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센싱을 디액티베이트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면(front side)에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후면(back side)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양면(double sided)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각각 센싱하는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temporarily) 액티베이트하는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부재(lack)를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센싱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조작 없이 보다 쉽게 후면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센싱을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하므로, 지속적인 후면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함으로써 낭비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에 대응한 후면 터치 입력에 따라 후면 터치 센서를 액티베이트하므로, 후면 터치를 액티베이트 시키고자 하는 유저의 의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후면 터치 센서를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면 터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전면 및 후면 터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제어하므로, 보다 쉬운 줌잉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면 터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전면 및 후면 터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다양한 이벤트를 제어하므로, 보다 쉬운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면 터치 센싱을 액티베이트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후면 터치 센싱을 디액티베이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직관적인 후면 터치 디액티베이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전환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터치 입력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2 터치 입력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ineraction)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줌잉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터치 입력 인터랙션에 따라 이벤트가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에 따라 화면 배열이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디바이스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이동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를 통칭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로 지칭하도록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동성을 갖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태블릿 피씨,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로 약칭할 수도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유닛은 그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컨텐츠, 이미지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조합으로서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탑재 방식에 관한 보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 1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이란, 디스플레이의 양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양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양면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실시예로서, 복수의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반으로 폴딩 또는 밴딩되어 양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존재하는 형태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을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후면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은 사용자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내며, 후면은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은 앞서 상술한 도 1-(a)에서의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가로 탑재한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필수적으로 구비하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적으로 추가 구비할 수 있다.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한 면에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과는 달리,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한쪽 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거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한쪽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동일 면에 위치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c)는 복수의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양면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의 하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hinge)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필요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d)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밴딩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유저를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 영역이 유저의 반대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때, 폴딩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이와 겹치는 전면의 디스플레이 영역(10)을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 영역이 유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폴딩되는 한, 폴딩 횟수 및 폴딩 지점은 도면에 도시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반으로 폴딩된 경우에는,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는 상호 연결된 복수의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일 실시예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탑재 방식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는 도 1-(b) 내지 도 1-(d)에서 상술한 내용과 상응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전면 및 후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면 및 후면에 겹쳐지는(overlap)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을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겹치지 않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을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이라 할 수 있다. 단, 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는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면 및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칭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20), 터치 센서 유닛(21) 및 프로세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의 양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여, 양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의 한 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여, 한 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으며, 탑재 방식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프로세서(22)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22)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기타 다양한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유저의 터치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유닛(20)은 기설정된 배율 및 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1)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22)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 유닛(21)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21)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함께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1)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다양한 터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1)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 유닛(21)은 유저의 롱-프레스(long-press) 터치 입력, 숏-프레스(short-press) 터치 입력, 드래그(drag) 터치 입력, 릴리즈(release)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센서 유닛(21)은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터치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2)에 전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는 컨텐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2)는 터치 센서 유닛(21)을 통한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22)는 터치 입력의 센싱 결과에 따라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터치 센서 유닛(21)을 액티베이트하거나, 인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터치 센서 유닛을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프로세서(22)는 터치 센서 유닛을 기설정된 영역만 액티베이트 시킴으로써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는 터치 센서 유닛(21)이 센싱된 터치 센싱 결과 중 일부만 프로세서(22)에 전달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 유닛(21)으로부터 전달된 터치 센싱 결과를 센싱 위치에 따라 프로세서(22)가 바이패스(bypass)하거나 무시함으로써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는 터치 입력의 센싱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22)는 확대 또는 축소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2)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와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구비된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각 원형 노드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인액티브 상태(inactive state)(30), 액티브 대기 상태(ready to active state)(31) 및 액티브 상태(active state) (32)를 나타낸다.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제 2 터치 센서 유닛은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인액티브 상태(30), 액티브 대기 상태(31) 및 액티브 상태(32)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중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유저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에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전력을 인가한다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유저에 의해 그립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터치 유닛의 활성화는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센싱되었을 때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에 대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인액티브 상태(30)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비활성화된(deactivated)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인액티브 상태(30)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전원 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인액티브 상태(30)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에 전달하지 않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인액티브 상태(30)는, 프로세서가 터치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터치 센싱 결과를 바이패스하거나 무시함으로써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인액티브 상태(30)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31)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센싱되면,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는 도 5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액티브 상태(32)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활성화된(activated)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액티브 상태(32)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전원 또는 전력을 인가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상태(32)에서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터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의 제어도 가능하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에 따라 액티브 상태(32)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30)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센싱되면,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디액티베이트 또는 인액티베이트 할 수 있다.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인액티브 상태(30)로의 전환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액티브 대기 상태(31)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액티브 대기 상태(31)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액티베이트되어, 일시적으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액티브 대기 상태(31)에서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일부 영역을 액티베이트 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일부 영역을 액티브 상태, 그 외의 영역을 인액티브 상태(30)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설정된 영역의 터치 입력만을 센싱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액티브 대기 상태(31)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30) 또는 액티브 상태(32)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센싱되면,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베이트하거나, 디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6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전환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 본 명세서에서 제 1 터치 입력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터치 입력은 다양한 실시예로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실시예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만일,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에서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41). 액티브 대기 상태란,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시키는 것을 나타내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로 회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터치 입력의 부재가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로 회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액티브 대기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 본 명세서에서 제 2 터치 입력은 제 2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터치 입력은 제 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터치 입력은 제 1 터치 입력에 디펜던트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터치 입력은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과 대칭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터치 입력은 제 1 터치 입력과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터치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만일,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43). 액티브 상태란,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전원 또는 전력을 인가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액티브 상태에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으며, 제 2 터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액티브 상태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 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44). 인액티브 상태란,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전원 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인액티브 상태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에 의해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나아가,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에 의해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 또는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1 터치 입력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터치 입력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은 인액티브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은 인액티브 상태임을 가정한다.
우선, 일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은 롱-프레스 터치 입력(52)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롱-프레스 터치 입력(52)이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접촉(contact)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접촉이 유지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인액티브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터치 입력(52)의 지속 시간을 인디케이트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52)을 센싱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 다운 함으로써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을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인디케이터가 인디케이트하는 시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52)을 유지시킴으로써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51)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지점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인디케이터를 기설정된 지점에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해당 지점을 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터치 활성화에 관한 안내 메시지(50)를 기설정된 지점에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기설정된 지점을 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방향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 1 터치 입력(51)을 유도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센싱되면, 즉, 제 1 터치 입력(51)이 센싱되면, 인액티브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53)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스쳐 입력이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접촉한 상태로 일정한 패턴을 그리는 터치 입력(53)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스처 입력이 기설정된 제스처와 매칭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인액티브 상태의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유저가 기설정된 제스처와 매칭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패턴 경로를 인디케이트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 오브젝트(54-1) 및 패턴 경로(54-2)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기설정된 제스처와 매칭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센싱된 제스처 입력(53)이 기설정된 제스처와 매칭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인액티브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압력 초과로 프레스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나아가, 제 1 터치 입력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롱-프레스 터치 입력(50, 51)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지점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이 유지된 터치 입력(50, 51)일 수 있다. 제 1 터치 입력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유저의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렇듯 기설정된 터치 입력인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인액티브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액티브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하면,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2 터치 입력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제 2 터치 입력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 2 터치 입력(60-1, 60-2)은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 2 터치 입력(60-1, 60-2)은 액티브 대기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은 액티브 대기 상태임을 가정한다.
우선, 일 실시예로서, 제 2 터치 입력은 제 1 터치 입력(61)에 대칭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터치 입력(60-1)은 제 1 터치 입력(61)이 센싱된 지점과 대칭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 2 터치 입력(60-1)은 제 1 터치 입력(61)이 완료된 지점과 대칭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61)이 제스처 입력인 경우, 제 2 터치 입력(60-1)은 제 1 터치 입력(61)의 제스처가 완료된 지점의 대칭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2 터치 입력(60-1)은 제 1 터치 입력(61)에 의존적일 수 있다.
유저는 제 1 터치 입력(61)에 연속된 동작으로서 제 1 터치 입력(61)에 대칭되는 터치 입력인 제 2 터치 입력(60-1)을 입력하거나, 제 1 터치 입력(61) 및 제 2 터치 입력(60-1)을 동시에 디바이스에 입력함으로써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두 손가락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집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는 액티브 대기 상태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해,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전체 영역 또는 제 1 터치 입력(61)에 대칭되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특정 영역을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61)에 대칭되는 지점에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만 판단하면 되므로, 해당 영역만 부분적으로 액티베이트 시키는 것이 파워 세이빙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터치 입력은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60-2)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기설정된 지점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디바이스의 설계 또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유저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방향성 이미지(62-1)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 2 터치 입력(60-2)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인디케이터로서 화살표(62-1)를 디스플레이하여, 터치 지점을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62-1, 62-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인디케이터(62-2)를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칭되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63)의 특정 지점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 2 터치 입력(60-2)을 유도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은 유저의 반대 방향을 향하므로, 유저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바이스는 유저의 시선에 노출된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63)에 인디케이터(62-2)를 디스플레이하여, 제 2 터치 입력(60-2)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은 유저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정확한 터치 입력은 유저에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서 일정한 범위의 오차를 허용한다. 즉,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지점에 대한 정확한 터치 입력은 아니지만, 해당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센싱된 터치 입력도 제 2 터치 입력(60-2)으로 판단하여,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입력(60-2)을 센싱하기 위해,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전체 영역 또는 기설정된 영역을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의 기설정된 지점에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만 판단하면 되므로, 해당 지점을 포함한 특정 영역만 부분적으로 액티베이트 시키는 것이 파워 세이빙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영역은 상술한 오차 범위를 포함한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터치 입력(60-1, 60-2)은 기설정된 시간 또는 압력 초과로 센싱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터치 입력(60-1, 60-2)은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대한 접촉이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지속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 2 터치 입력(60-1, 60-2)은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대한 접촉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초과로 센싱되는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되면,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시간 또는 기설정된 압력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센싱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 다운함으로써 해당 시간을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63)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인디케이터가 인디케이트하는 시간 동안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에 대한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인디케이터가 인디케이트하는 압력 초과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64)을 접촉함으로써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상태 전환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시각적 피드백(70, 71)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피드백(70, 71)은, 유저의 시각을 통해 일정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알림 이미지 또는 알림 메시지(70)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각적 피드백(70, 7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터치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라는 알림 메시지(70)를 디스플레이하여,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시각적 피드백(70, 71)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70)의 내용은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조도, 명암, 대비, 색조 등을 제어함으로써 유저에게 시각적 피드백(7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실행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조절함으로써 시각적 피드백(7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화면의 명암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변경 전의 명암으로 돌아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실행 화면에 깜빡임,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등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시각적 피드백(70, 71)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시각적 피드백(70, 71)은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하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청각적 피드백(73)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청각적 피드백(73)은, 유저의 청각을 통해 일정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알림 소리,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함으로써 청각적 피드백(73)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액티브 상태로 전환된 경우, 디바이스는 “후면 터치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을 알리는 청각적 피드백(73)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바이스는 다른 실시예로서 촉각적 피드백(72)을 제공할 수도 있다. 촉각적 피드백(72)은 택타일 피드백, 진동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유저의 촉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후술하기로 한다. 즉, 후술하는 디바이스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은 액티브 상태이며,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다양한 실시예를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ineraction)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줌잉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2)의 인터랙션에 의해 이미지의 줌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줌잉이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85)의 확대 또는 축소를 나타낼 수 있다. 줌잉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줌잉은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의 인터랙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미지(85)를 줌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2)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83)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85)를 줌-인(88)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83)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85)를 줌-아웃(89)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은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일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설계,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유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줌-인과 줌-아웃은 상호 반대되는 줌잉 동작이므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직관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방향이 좌측 방향(86-1)일 경우, 제 2 방향은 좌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우측 방향(87-1)일 수 있다. 본 도면에는 일 실시예로서 제 1 방향을 좌측 방향(86-1), 제 2 방향을 우측 방향(87-1)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의 이동이 센싱되면,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이 센싱된 지점을 기준으로 이미지(85)의 줌잉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이 센싱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지름을 가진 원형 영역을 줌잉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줌잉 영역은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디바이스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해 줌잉 제어를 제공하는 경우, 이때의 줌잉 배율은 상술한 실시예의 줌잉 배율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에 의한 줌잉 배율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한 줌잉 배율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83)에 복수의 터치 입력이 센싱되고, 센싱된 터치 입력이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이미지(85)를 줌인할 수 있다. 다만, 이때의 줌인 배율은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에 의한 줌인 배율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터치 입력에 따른 줌잉 배율이 ‘2배’이었다면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에 따른 줌잉 배율은 ‘4배’일 수 있다. 상호 동일한 줌잉 배율을 제공하면, 동일한 줌잉 제어에 대해 복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비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이는 유저에게 줌잉 제어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각 터치 입력에 따라 상이한 줌잉 배율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양쪽의 줌잉 배율은 디바이스의 설계,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유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구비된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84)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82)에 따라서도 이미지(85)를 줌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제 2 터치 입력(81) 및 제 3 터치 입력(82)의 인터랙션에 의해 이미지(85)를 줌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도, 상술한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의 인터랙션에 따른 줌잉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터치 입력(80) 내지 제 3 터치 입력(82)의 이동 방향에 따라 줌잉의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이 제 3 터치 입력(82)과 상호 멀어지는 방향(86-1, 86-2)으로 이동한 경우, 또는 제 3 터치 입력(82)이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과 상호 멀어지는 방향(86-1, 86-2)으로 이동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85)를 줌인(88)할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이 제 3 터치 입력(82)과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87-1, 87-2)으로 이동한 경우, 또는 제 3 터치 입력(82)이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2 터치 입력(81)과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87-1, 87-2)으로 이동한 경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85)를 줌 아웃(89)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터치 입력(80) 내지 제 3 터치 입력(82)이 센싱된 지점을 기준으로 이미지의 줌잉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80) 및 제 3 터치 입력(82)의 거리를 지름으로 하는 원형 영역을 줌잉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줌잉 영역은 제 1 터치 입력(80) 내지 제 3 터치 입력(82)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디바이스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83)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84)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에 따라 줌잉을 제어하는 경우, 줌잉 배율은 상술한 실시예의 줌잉 배율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터치 입력(80) 내지 제 3 터치 입력(82)에 의한 줌잉 배율은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한 줌잉 배율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 또한, 상호 동일한 줌잉 배율을 제공하면, 동일한 줌잉 제어에 대해 복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비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쪽의 줌잉 배율은 디바이스의 설계,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유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멀티 태스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멀티 태스킹 기능이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지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각각 다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유저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실행 화면을 보기 위해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유저를 향하도록 디바이스를 돌려야 한다. 이렇듯 디바이스를 돌리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린다거나 디바이스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90) 내지 제 3 터치 입력(91)의 인터랙션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실행 화면(94)을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도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를 돌리는 등의 불편을 감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실행 화면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94)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 1 터치 입력(90) 및 제 2 터치 입력의 제 1 방향(92-1)으로의 이동(92-1)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화면(93-1)을 제 1 방향(92-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 3 터치 입력(91)의 제 2 방향(92-2)으로의 이동이 센싱되면, 디바이스는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화면(93-2)을 제 2 방향(92-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방향(92-1)과 제 2 방향(92-2)이 상이한 경우, 상기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일정한 여백이 생길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러한 여백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9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면들의 이동에 의해 보여지는 배경 이미지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9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버스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4)을,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3-1, 93-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터치 입력(90) 및 제 2 터치 입력의 좌측(92-1)으로의 이동 및 제 3 터치 입력(91)의 우측(92-2)으로의 이동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화면(93-1, 93-2)을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지도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93-1, 93-2)이 두 화면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심 영역에 일정한 여백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여백에 버스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9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렇듯 간단한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을 통해 유저는 디바이스를 돌려보지 않고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94)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멀티 태스킹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화면 분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의 여백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94)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만을 도시하였으나, 홈 화면, 제 1 및 제 3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유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실시예와 같이 이미지가 분리 및 이동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화면의 찢어짐 효과와 같은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이러한 시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촉각적, 청각적 효과를 함께 부여할 수 있다.
유저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 1 터치 입력(90) 및 제 2 터치 입력에 연속된 동작으로서 상술한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렇게 센싱된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 1 터치 입력(100) 및 제 2 터치 입력(101)에 의해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100) 및 제 2 터치 입력(101)에 연속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이러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벤트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은 반드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적일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연속적일 수 있다.
제 1 터치 입력(100) 및 제 2 터치 입력(101)의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10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입력이라면, 제 2 터치 입력(101)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대 방향은 실질적인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일정한 범위의 오차를 허용한다. 제 1 터치 입력(100) 또는 제 2 터치 입력(101)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제 1 터치 입력(10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제 2 터치 입력(101)은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터치 입력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c) 및 10-(d)는 제 1 터치 입력(100)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 2 터치 입력(101)은 하측 또는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터치 입력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이러한 제 1 터치 입력(100) 및 제 2 터치 입력(101)의 인터랙션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발생하는 이벤트의 종류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벤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이어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이벤트를 각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과 매칭시킬 수 있다. 또는, 유저가 일종의 단축키로서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를 매칭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터치 입력 인터랙션에 따른 적절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종류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 없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제 1 터치 입력(100)이 좌측으로 제 2 터치 입력(101)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경우,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화면의 회전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발생하는 고정된 이벤트 종류는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유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서,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제 1 터치 입력(100) 및 제 2 터치 입력(101) 또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도 디바이스는 다양한 이벤트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가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도 10의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에 따른 이벤트의 제어에 대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터치 입력 인터랙션에 따라 이벤트가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볼륨 업/다운’, ‘빨리 감기/뒤로 감기’ 등이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가장 부합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실시예로서 ‘볼륨 업/다운’, ‘빨리 감기/뒤로 감기’ 이벤트를 도 10에서 상술한 터치 인터랙션과 매칭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터치 입력이 우측, 제 2 터치 입력이 좌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10), 디바이스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해 ‘빨리 감기’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이 좌측, 제 2 터치 입력이 우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11), 디바이스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해 ‘뒤로 감기’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이 상측, 제 2 터치 입력이 하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12), 디바이스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해 ‘볼륨 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이 하측, 제 2 터치 입력이 상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13), 디바이스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해 ‘볼륨 다운’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듯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센싱된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에 따라 결정된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행 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발생하는 이벤트의 종류 또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줌인, 줌아웃, 화면의 회전, 실행 취소, 이전 또는 다음 객체로의 전환, 이전 또는 다음 동영상 매체의 실행,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이벤트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2는 터치 입력의 인터랙션에 따라 화면 정렬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이미지를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은 도 9에서 상술하였다. 따라서, 도 9의 실시예외에도, 기설정된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를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유저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는 도 10에서 상술한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복수의 화면을 정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터치 입력(120) 및 제 2 터치 입력(121)의 인터랙션에 따라 디바이스는 복수의 화면을 정렬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복수의 홈 화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페이지 또는 복수의 이미지를 가지는 컨텐츠라면 상술한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우선,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 1 홈 화면(125),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 2 홈 화면(124)이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120) 및 제 2 터치 입력(121)의 인터랙션에 의해 상술한 복수의 홈 화면을 정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터치 입력(120)이 우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좌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27), 디바이스는 제 2 홈 화면(124)→제 1 홈 화면(125) 순서로 복수의 홈 화면을 정렬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120)이 좌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우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28), 디바이스는 제 1 홈 화면(125)→제 2 홈 화면(124) 순서로 복수의 홈 화면을 정렬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120)이 상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하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29), 디바이스는 제 1 홈 화면(125)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에, 제 2 홈 화면(124)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입력(120)이 하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상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30), 디바이스는 제 1 홈 화면(125)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에, 제 2 홈 화면(124)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마치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가 유저의 손가락에 붙은 채로 이동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렇게 유저의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화면이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는 화면 정렬에 대한 보다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복수의 화면들 중 어느 한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터치 입력(120, 121)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 1 홈 화면(125)을 제 2 홈 화면(124)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 2 홈 화면(124)을 제 1 홈 화면(125)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추가로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3 홈 화면(126)도 제 1 및 제 2 홈 화면(124, 125)과 함께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120)이 좌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우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28), 디바이스는 제 1 홈 화면(125)→제 2 홈 화면(124)→제 3 홈 화면(126) 순서로 복수의 홈 화면을 정렬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디바이스에서의 홈 화면 정렬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디바이스가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추가로 구비한 경우, 복수의 홈 화면은 기설정된 시퀀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홈 화면은 ‘제 2 홈 화면(124)→제 1 홈 화면(125)→제 3 홈 화면(126)’으로 나열되는 시퀀스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터치 인터랙션에 의해 제 1 및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각각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및 제 3 홈 화면(125, 126)을 다른 홈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120)이 우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좌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27), 디바이스는 제 1 홈 화면(125)을 제 2 홈 화면(124)으로, 제 3 홈 화면(126)을 제 1 홈 화면(125)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역시, 유저의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화면을 전환시킴으로써, 디바이스는 화면 전환에 대한 보다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내지 제 3 홈 화면(124, 125, 126)이 순환하는 시퀀스를 가지는 경우, 기설정된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복수의 홈 화면은 연속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입력(120)이 좌측, 제 2 터치 입력(121)이 우측으로의 슬라이딩이 센싱된 경우(128), 디바이스는 제 1 홈 화면(125)을 제 3 홈 화면(126)으로, 제 3 홈 화면(126)을 제 2 홈 화면(124)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를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순서도에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 방법은 도 4에서 상술한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의 전환 방법과 유사하며, 이러한 유사성을 이용해 유저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쉬운 인액티브 전환 방법을 제시한다. 한편, 본 순서도에서 도 4의 내용과 유사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은 액티브 상태일 수 있다(S130).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1). 여기서, 제 1 터치 입력은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 제 2 터치 입력은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음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순서도에서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은 도 5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액티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130). 다시 말하면, 제 1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의 부재가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액티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130).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입력이 추가로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2). 또는,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 1 터치 입력이 추가로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3). 여기서, 대응되는 터치 입력이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센싱된 터치 입력에 대칭되는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및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상기 대응되는 터치 입력을 인디케이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제 1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 1 터치 입력이 추가로 센싱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액티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130).
그러나, 제 1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입력 또는 제 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34).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인액티브 상태란, 제 2 터치 센서 유닛에 전원 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상태 전환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너비, 면적, 방향 및 길이는 정확한 값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너비, 면적, 방향 및 길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터치 입력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며, 특정 범위의 오차 범위를 허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터치 입력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은,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며, 이 역시 특정 범위의 오차 범위를 허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60 : 제 2 터치 입력
61: 제 1 터치 입력
62: 인디케이터
63: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64: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

Claims (22)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면(front side)에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후면(back side)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양면(double sided)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각각 센싱하는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제 2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temporarily) 액티베이트하는 액티브 대기 상태(ready to active state)로 전환하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active state)로 전환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부재(lack)를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inactive state)로 전환하고,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되고, 상기 센싱된 제 1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센싱된 제 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에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 으로서, 상기 단면(single sided)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동일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됨,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3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제 3 터치 센서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 3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이 상기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의 기설정된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액티베이트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체 영역(Overall region) 또는 부분 영역(Partial Region)인,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브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과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이 서로 대칭되는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상기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었음이 센싱된 경우, 상기 방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볼륨 조절,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정렬, 이미지의 회전 또는 줌잉, 및 동영상 매체의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센싱된 경우,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를 제 1 배율로 축소 또는 확대하고,
    상기 제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제 3 터치 입력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제 2 배율로 축소 또는 확대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이 센싱되고, 상기 제 3 터치 입력의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이 센싱된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이미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이미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가 이동함에 따라 보여지는 배경 이미지(background image)는 홈 화면 이미지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인,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브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액티브 상태로의 전환을 알리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진동 피드백, 소리 피드백, 택타일 피드백 및 시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단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지속된 터치 입력 및 기설정된 압력 초과로 지속된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은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및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1. 삭제
  22.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면에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후면에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temporally) 액티베이트하는 액티브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터치 입력의 부재(lack)를 센싱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센싱되고, 상기 센싱된 제 1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센싱된 제 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센싱된 경우, 상기 제 2 터치 센서 유닛을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30070806A 2013-06-20 2013-06-20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06A KR102034584B1 (ko) 2013-06-20 2013-06-20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3/967,009 US9377892B2 (en) 2013-06-20 2013-08-14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77428.XA CN105283833B (zh) 2013-06-20 2013-08-27 便携式装置及其控制方法
EP13887303.9A EP3011425B1 (en) 2013-06-20 2013-08-27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7681 WO2014204048A1 (en) 2013-06-20 2013-08-27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06A KR102034584B1 (ko) 2013-06-20 2013-06-20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73A KR20140147473A (ko) 2014-12-30
KR102034584B1 true KR102034584B1 (ko) 2019-10-21

Family

ID=5211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806A KR102034584B1 (ko) 2013-06-20 2013-06-20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77892B2 (ko)
EP (1) EP3011425B1 (ko)
KR (1) KR102034584B1 (ko)
CN (1) CN105283833B (ko)
WO (1) WO20142040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11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188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97361B1 (ko)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444091B1 (ko) 2013-08-06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10021B1 (ko) 2013-12-19 2015-04-16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29B2 (en) *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08216A (ko) * 2014-03-17 201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872599A1 (en) * 2014-05-23 202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201606638A (zh) * 2014-08-08 2016-02-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多模式觸控輸入裝置
US10235037B2 (en) 2014-12-30 2019-03-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44181B1 (ko) * 2015-05-14 202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TWI708169B (zh) 2015-06-02 2020-10-2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180404B1 (ko) 2015-06-0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325728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446625B (zh) * 2015-08-05 2019-08-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US10409439B2 (en) 2015-08-0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353838A (zh) * 2015-09-28 2016-02-24 淄博环能海臣环保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设有u面触控屏自设定握姿输入键盘笔记本电脑
CN105094237A (zh) * 2015-09-28 2015-11-25 淄博环能海臣环保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u形布置触控屏握姿输入自设定键盘智能平板机
US10739968B2 (en) * 2015-11-23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3D objects on a mobile device screen
CN108369465B (zh) * 2015-12-08 2021-10-1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触摸面板、触摸面板的指令输入方法及显示系统
KR102499110B1 (ko) * 2016-01-14 2023-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514963B1 (ko) * 2016-04-18 202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643178A (zh) * 2016-04-28 2019-04-16 尤塔设备Ipr有限公司 具有用户界面的移动设备
CN106201521A (zh) * 2016-07-12 2016-12-07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6250276A (zh) * 2016-07-19 2016-12-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80018150A (ko) * 2016-08-12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74365B1 (ko) * 2016-08-22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압력 감지 방법
US10768804B2 (en) * 2016-09-06 2020-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language for a device with multiple touch surfaces
CN106484228B (zh) * 2016-09-28 2019-07-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切换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6504646B (zh) * 2016-10-31 2019-02-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08153456B (zh) * 2016-12-05 2021-08-20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界面切换方法及装置
KR102601644B1 (ko) * 2016-12-30 2023-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788934B2 (en) 2017-05-14 2020-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adjustment
KR102487389B1 (ko) * 2018-01-30 202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94101B1 (ko) 2018-02-14 202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06321B2 (en) * 2019-02-19 2021-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10032326A (zh) * 2019-03-29 2019-07-1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移动终端显示画面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752464A (zh) 2019-03-29 2020-10-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1010527A1 (ko) * 2019-07-18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세트 및 그 제어방법
WO2021033804A1 (ko) 2019-08-22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21085662A1 (ko) * 2019-10-29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333831A1 (en) * 2020-04-23 2021-10-28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9760A1 (en) 2007-09-14 2010-11-18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9922B1 (ko) 2008-11-2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4364B1 (ko) * 2009-01-23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컨텐츠 제어방법
KR20100125934A (ko) 2009-05-22 201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87211B1 (ko) 2009-05-25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832574B2 (en) * 2009-06-30 2014-09-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622635B1 (ko) * 2010-02-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103718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8922493B2 (en) * 2010-09-19 2014-12-30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enablement of a rear-face entry in a mobile device
JP5694867B2 (ja) * 2011-06-27 2015-04-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8797286B2 (en) * 2011-07-29 2014-08-05 Motorola Mobility Ll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managing a user interface state between a locked state and an unlocked state
JP5804498B2 (ja) * 2011-08-22 2015-11-0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状態制御装置、状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13937A4 (en) * 2012-02-08 2016-01-20 Nec Corp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899812B1 (ko) * 2012-05-14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6642B1 (ko) * 2013-07-30 2020-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9760A1 (en) 2007-09-14 2010-11-18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11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5596A1 (en) 2014-12-25
EP3011425A1 (en) 2016-04-27
CN105283833B (zh) 2018-06-05
CN105283833A (zh) 2016-01-27
KR20140147473A (ko) 2014-12-30
EP3011425A4 (en) 2017-01-11
WO2014204048A1 (en) 2014-12-24
US9377892B2 (en) 2016-06-28
EP3011425B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584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4162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d interacting with a companion-display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11947724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20200183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US1083133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radial menu system
ES2748044T3 (es) Aparato de pantall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JP6039574B2 (ja) タイムラインバーを用いるタッチスクリーン制御方法及び装置、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る記録媒体
KR10220388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57742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7885B2 (ja) 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20374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4186735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具備する携帯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携帯装置
KR20150040246A (ko) 멀티 윈도우 동작을 위한 제스처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JP2018512676A (ja) テキスト選択制御への向上
US20110119579A1 (en) Method of turning over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by use of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WO2014003012A1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462034B (zh) 觸控式電子裝置及其數位資訊選取方法
US20220197494A1 (en) Devices and methods of multi-surface gesture interaction
TWI459288B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數位資訊之畫面控制方法
JP6299430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TW201232347A (en) Electrical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operating method applying thereof
TW201109991A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input function and touch inpu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