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404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404B1
KR102180404B1 KR1020160105700A KR20160105700A KR102180404B1 KR 102180404 B1 KR102180404 B1 KR 102180404B1 KR 1020160105700 A KR1020160105700 A KR 1020160105700A KR 20160105700 A KR20160105700 A KR 20160105700A KR 102180404 B1 KR102180404 B1 KR 10218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sub
processor
displayed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258A (ko
Inventor
김대명
박현섭
이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4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장치 활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Out Bending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뒷면까지 확장된 전자 장치(Half Round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좀더 넓은 전면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전자 장치를 사용하므로 후면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를 뒤집어 주어야 했다.
한편, 후면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존 전자 장치와는 다르게 후면 터치를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해졌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뒷면까지 확장된 전자 장치가 점차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해 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UI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curved)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UI를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고,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른 터치 입력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curved) 형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후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UI를 전면에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뒤집지 않고 후면의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c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메인 표시영역, 서브 표시영역 및 라운드 표시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d는 서브 표시영역 상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 지점을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d는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 입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서 제어한 결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11g는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터치 입력에 대한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확장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나 중요도에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연결(coupled)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하는 것은,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disclosure)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임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수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표현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의 좌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 1a의 우측 도면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는 후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후면 디스플레이는 전면 디스플레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 디스플레이 및 후면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메인 표시영역(10), 후면 디스플레이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설명한다.
도 1b의 좌측 도면은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된 전체 디스플레이의 전면도를 나타내고, 도 1b의 우측 도면은 전체 디스플레이의 후면도를 나타낸다.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각을 이룰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고, 각진 형상일 수도 있다. 라운드 표시영역(30)은 경계 라인(30-1, 30-2)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과 구분된다.
도 1b에 도시된 경계 라인(30-1, 30-2)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계 라인(30-1, 30-2)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경계 라인(30-1, 30-2)은 제조사에 의해 제조 시에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경계 라인(30-1, 30-2)이 변경되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의 영역 크기가 변경되고,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측,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측면이 아닌 복수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각종 센서 및 리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지향성 리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일체형 커버에 리시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리시버가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화 통화 시에 상하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서브 표시영역(20)이 메인 표시영역(10)으로부터 곡면 형상의 라운드 표시영역(30)을 거쳐 연장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도 실시 예를 확장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으로부터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쪽, 그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설명한다.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는 경우와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는 경우의 좌측 및 우측을 반대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10),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을 연결하는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서브 표시영역(2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을 전부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단어이고, 특별히 단어의 의미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하여는 일 측면 및 타 측면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전체를 디스플레이(110)로 덮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서브 표시영역(20)은 메인 표시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U'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ㄷ'자와 같이 연결 부분이 90°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형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결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UI, 전화 통화를 위한 UI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각각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을 연동시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동영상과는 무관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별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서브 표시영역(20)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메인 표시영역(10)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타입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스토리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GPS 칩(145), 통신부(150), 감지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감지부(155)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3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컨텐츠 재생 모듈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UI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GPS 칩(14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12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4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감지부(155)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155)는 상술한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후면, 테두리,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터치 센서 외에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182)는 제어 주체의 모션을 촬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밖에,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c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의 소프트웨어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c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는 OS(191), 커널(192), 미들웨어(193), 어플리케이션(194)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91)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91)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92)은 디스플레이(11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9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9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c에 따르면, 미들웨어(193)는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윈도우 매니저(193-2),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 보안 모듈(193-4), 시스템 매니저(193-5), 연결 매니저(193-6), X11 모듈(193-7), APP 매니저(193-8),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를 포함한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영역(1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보안 모듈(193-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93-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93-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93-1)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93-3)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93-6)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93-6)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X11 모듈(193-7)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93-8)는 스토리지(13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93-8)는 X11 모듈(193-7)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즉, APP 매니저(193-8)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9)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스토리지(13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a 내지 도 3d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하나만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메인 표시영역(10)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느 한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다른 두 영역에는 정보를 제공하는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화 또는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가까운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82)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 후면 및 라운드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라운드면은 라운드 표시 영역(30) 부근의 측면을 의미한다.
카메라(182)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면, 후면 및 라운드면 중 하나에만 구비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인식 여부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만 카메라(182)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서브 표시영역(20)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정보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라이브 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화 기능이 실행된 경우, 수신 화면, 발신 화면, 통화 중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시지 수신 화면, 메시지 내용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시선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가깝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에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인식되더라도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적어도 하나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다가 사용자가 인식되거나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향하는 경우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정보가 제공될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을 연속하여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정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될 영역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잠금 화면에 대하여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마다 잠금 화면의 UI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3a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각 영역별 잠금 해제 패턴은 모두 다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각 영역별 잠금 해제 방법을 모두 다르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도 3c와 같은 패턴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는 비밀번호 잠금 화면을 제공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지문인식 잠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c에는 잠금 화면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는 프리뷰 영상 외에 다양한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될 영역이 서브 표시영역(20)으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20)는 프리뷰 영상만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될 영역이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20)는 설정 메뉴만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별로 홈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면, 관련된 UI를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도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마다 다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프로세서(120)는 홈 화면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d에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서브 표시 영역(20)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등에 따라 라운드 표시영역(30)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제공할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의 홈 화면은 시간 정보, 일반 어플리케이션 및 독바(dock bar)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나, 서브 표시영역(20)의 홈 화면은 시간 정보 및 독바 어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에서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일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정보를 제공할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오브젝트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의 크기, 내용 및 레이아웃을 모두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할 영역이 작아지는 경우, 오브젝트를 일부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오브젝트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좀더 많은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오브젝트 간격을 좁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전화가 연결된 UI 또는 문자 내용을 서브 표시영역(2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프리뷰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기존에 촬영된 이미지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분할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인 표시영역(10)에 프리뷰 및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프리뷰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설정 메뉴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두 영역이 이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고, 설정 메뉴를 라운드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4a와 같이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서브 표시영역(2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화 수신 UI를 터치하여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 통화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을 음소거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일 일시 정지해둘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화 수신 UI를 터치하여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 통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의 재생을 중지한 후 재생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등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메인 표시영역(10)과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이 이용되는 방법 및 서브 표시영역(20) 라운드 표시영역(30)이 이용되는 방법도 동일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동영상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전부를 이용하여 서로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배터리 상태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두 영역에 서로 관련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면,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조합하거나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분할하여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c와 같은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을 계속하여 시청하면서 전화를 수신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을 계속하여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e의 하단 우측의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 실제 사용자는 도 4e의 하단 좌측의 도면과 같이 메인 표시영역(10)의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변경 없이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을 컨트롤하기 위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을 추가로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직접 보지 않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f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설정 값을 조절하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어느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인지에 따라 설정 값의 조절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드래그 조작의 방향에 따라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한 드래그 조작으로도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드래그 조작이 메인 표시영역(10)인 경우보다 서브 표시영역(20)인 경우에 재생 시간 또는 볼륨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f에 도시된 방향을 나타내는 GUI(410, 4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터치가 있으면,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4 방향의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f의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은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f의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및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얼마든지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각 영역과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드래그 입력 전에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영역을 통해서도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브 표시영역(20)은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서 메인 표시영역(10)의 일 영역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메인 표시영역(10)은 정보를 제공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의 일 영역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제공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특정 영역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방송 컨텐츠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라운드 표시영역(3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컨텐츠의 채널 또는 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된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두 번 연속으로 터치 입력이 수신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의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입력으로 메인 표시영역(10)에 제공되는 정보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메인 표시영역(10),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대하여도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홈 화면, 잠금 화면, 알림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각 화면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될 때와는 오브젝트의 크기, 위치 및 레이아웃 등을 달리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한 후, 서브 표시영역(2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터치 기능만을 활성화하여 서브 표시영역(20)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a에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의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의 상단이 아닌 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변경하여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메인 표시영역(10)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에서 설명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6a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에 임의의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만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도 6b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은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디스플레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는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은 공급되나 백라이트를 턴 오프한 상태, 디스플레이(110)가 검은 색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 기능은 별개로, 디스플레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어도 터치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터치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어도 디스플레이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을 활성화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메인 표시영역(10)을 향하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는 경우에만,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약,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는 경우에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배터리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하면 메인 표시영역(10), 서브 표시영역(20) 및 라운드 표시영역(30)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도 6b의 경우에는 메인 표시영역(1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c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20)이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표시영역(1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와 비교하여 더 간단한 디자인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전화 아이콘 및 그에 대응되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전화 아이콘만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대응되는 문구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이 비활성화되어 있고 메인 표시영역(10)만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을 활성화시키고 기설정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이 비활성화되어 있고 메인 표시영역(10)만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UI는 전화 기능 및 메시지 기능 등을 포함하는 UI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활성화 없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UI가 아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UI, 서브 표시영역(20)이 비활성화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던 UI,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관련된 UI 및 소프트키 중 어느 하나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활성화 여부에 상관 없이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 UI에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추가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터치 입력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이 모두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을 활성화시키고 기설정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만을 활성화시켜 기설정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만을 활성화시켜 기설정된 UI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UI 대신 다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영역을 활성화시킬지는 사용자의 시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방향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의 투명도를 올려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UI 요소만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영역은 투명하게 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7a에서 UI 요소는 전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및 인터넷 아이콘 등일 수 있다.
도 7b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의 일부를 가리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의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UI의 상단에 표시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 지점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50)를 메인 표시영역(10)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의 메인 표시영역(10)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50)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과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50)의 상대적 위치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으며,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프로세서(120)는 GUI(5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의 투명도를 부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프로세서(120)는 GUI(50)가 전화 아이콘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전화 아이콘의 투명도를 낮춰 전화 아이콘의 시각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전화 아이콘의 투명도 만을 낮추고 GUI(5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메시지 아이콘 및 인터넷 아이콘의 투명도는 변경하지 않거나 더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GUI(50)가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화살표 형태의 GUI, 손가락 형태의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9d는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 입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서브 표시영역(20)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요소는 전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및 인터넷 아이콘 등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왼쪽에 배치된 전화 아이콘을 메인 표시영역(10)의 오른쪽에 배치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UI 요소가 대칭되도록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UI 요소가 대칭되는 것이고, UI 자체가 대칭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에 따르면,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에서 전화 아이콘이 기울어져 있는 방향이 동일하며, UI 자체가 대칭된 것은 아니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20)는 UI 자체가 대칭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9b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도 9a와 같은 설정에서 터치 입력이 오른쪽 방향을 향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GUI(50)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전화 아이콘으로부터 메시지 아이콘을 거쳐 인터넷 아이콘으로 이동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GUI(50)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터넷 아이콘으로부터 메시지 아이콘을 거쳐 전화 아이콘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용이하나, 서브 표시영역(20)에 터치되는 UI 요소와 메인 표시영역(10)의 GUI(50)가 위치하는 UI 요소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과 GUI(50)의 이동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터치되는 UI 요소와 메인 표시영역(10)의 GUI(50)가 위치하는 UI 요소가 달라질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메인 표시영역(10)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GUI(50)가 위치하는 UI 요소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메인 표시영역(10)이 위쪽을 향하는 경우라도,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터치되는 UI 요소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메인 표시영역(10)을 보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GUI(50)가 위치하는 UI 요소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c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 자체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좌측부터 전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및 인터넷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d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도 9c와 같은 설정에서 터치 입력이 오른쪽 방향을 향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GUI(50)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전화 아이콘으로부터 메시지 아이콘을 거쳐 인터넷 아이콘으로 이동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GUI(50)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화 아이콘으로부터 메시지 아이콘을 거쳐 인터넷 아이콘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과 GUI(50)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d에서는 UI 요소의 좌우 정렬 방향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였으며, 프로세서(120)는 UI 요소 자체 및 UI 요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좌우대칭하여 얼마든지 다른 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UI 요소를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여 정렬할 수도 있고, 완전히 새롭게 재구성하여 정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가 메인 표시영역(10)에 어떠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지 및 터치 입력 방향과 GUI(50)의 방향에 대하여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시선이 메인 표시영역(10)을 향하는 경우에,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한 후에도, 서브 표시영역(20)을 비활성화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을 흐리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어한 결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제어한 결과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은 잠금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전화 수신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전화 수신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제공하면, 프로세서(120)는 상대방과 전화 연결을 하고, 전화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는 홈 화면을 유지하고, 서브 표시영역(20) 또는 라운드 표시영역(30)에 전화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 결과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화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전화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세(120)는 제어 결과를 나타내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던 동영상 컨텐츠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화면을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동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도 10a 및 도 10b는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미리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 등을 설정해둘 수도 있다. 또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11g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타입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음악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악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저장하고 있는 UI 중 음악 컨텐츠에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b에 따르면,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동영상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동영상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저장하고 있는 UI 중 동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c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영역(10)에 인터넷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의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UI가 없는 경우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UI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이를 판단하여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서브 표시영역(20)에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해둘 수도 있다.
도 11d에 따르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지도 앱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지도 앱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도 앱을 제어하기 위한 UI는 지도 앱에서 제공되는 U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지도 앱이 재생되고 있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저장하고 있는 UI 중 지도 앱에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터치 앤 드래그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우측에 지도의 축척을 바꾸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가 나타내는 지명을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a 내지 11d에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될 UI가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e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에 기초하여 서브 표시영역(20)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는 무관한 광고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수직에 가깝게 세워져 있어 타인에게 서브 표시영역(20)이 노출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음악 앱이 실행되고 있으면, 음악에 관련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놀이동산에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놀이동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놀이동산의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장난감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인터넷 쇼핑을 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관련 상품에 대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광고 노출 횟수와 노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수익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업체로부터 통신비를 지원받을 수도 있고, 할인 쿠폰 등을 지원받을 수도 있다.
도 11f에 따르면, 메인 표시영역(10)에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전화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문자 메시지,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스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UI, WiFi 연결 관련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WiFi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1g는 도 11f와 유사한 실시 예로, 메인 표시영역(10)에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배터리가 부족해지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배터리가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절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음악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음악 컨텐츠를 계속하여 재생하되, 메인 표시영역(1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터치 입력에 대한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가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터치하다가 손을 떼는 순간 곧바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해제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사라지도록 하거나,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UI의 투명도를 올려서 서서히 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없더라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다가, 두 번 연속으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UI를 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b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한 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대응되는 기능을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UI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가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의 전화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전화 통화를 위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3a의 좌측 도면과 같이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한 점에서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이 연결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태 바(노티피케이션 바(Notification Bar))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바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도 13a의 우측 도면과 같이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의 연결 부위로부터 서브 표시영역(20)이 연장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 바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방향의 드래그 입력에 대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단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아닌 꺾은 선의 드래그 입력 또는 곡선의 드래그 입력에 대하여도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한 손가락을 이용하는 입력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는 입력에 대하여도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기설정된 제스처 및 대응되는 기능에 대하여는 제조사에서 기설정해둘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에 소문자 "m"의 형태로 드래그 입력을 하는 경우, 메시지에 관련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해둘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도 13b의 좌측 도면과 같이 음악이 실행되는 UI 화면이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한 점으로부터 내리는 입력이 수신되면, 음악의 재생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도 13b의 우측 도면과 같이 음악의 재생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서브 표시영역(20) 상의 한 점으로부터 올리는 입력이 수신되면, 음악의 재생 리스트를 제거하고 음악이 실행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이상과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대기 상태 및 음악 실행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이 메인 표시영역(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동영상의 재생 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촬영 이미지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이용하던 중에 센서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뒤집는 동작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 준비를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 준비를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재정렬하여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5와 같이 복수의 UI 요소를 일렬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얼마든지 다른 정렬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정렬 방식을 입력받아 그에 따라 정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에 포커스(1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를 두껍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어둡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따라 포커스(15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20)는 연속 터치의 횟수 또는 서브 표시영역(20)이 연장된 방향과 직각인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으로 포커스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재정렬하여 라운드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와 전혀 별개의 UI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서브 표시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하고, 소프트키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에 포커스(1610)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포커스(1610)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도 16a에서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따라 UI 요소가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통신 상태, 배터리 상태 및 메모리 정보 등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등 필요에 따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6b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인터넷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표시영역(20)에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과 서브 표시영역(20)에 서로 관련이 없는 기능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 및 서브 표시영역(20)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활성화된 영역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관련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 인터넷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면, 소프트키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면, 음악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영역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관련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소프트키가 아닌 인터넷 화면의 주소 등을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음악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아닌 재생되고 있는 음악 컨텐츠의 정보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비활성화된 영역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관련된 UI를 라운드 표시영역(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고 있어 서브 표시영역(2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10)에는 인터넷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음악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20)을 바라보고 있어 메인 표시영역(10)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서브 표시영역(20)에는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운드 표시영역(30)에는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는 디스플레이(110)의 터치 입력의 기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앞면에서 좌측 상단을 기준으로 우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양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디스플레이(110)의 뒷면에서는 우측 하단을 기준으로 좌측 및 상측으로 갈수록 양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며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터치 패널 역시 하나가 이용되며, 구부러지는 형태로 인해 좌표값이 반대로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도 17b는 상하 방향의 터치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서브 표시영역(20)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면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하측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Y축에 대하여 값이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GUI에 대하여 Y축에 대하여 값이 커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c는 좌우 방향의 터치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 상에서 X축 방향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표시영역(10)을 바라보면서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표시영역(20)의 UI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서브 표시영역(20)의 우측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X축에 대하여 값이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디스플레이된 GUI에 대하여 X축에 대하여 값이 커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확장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810)은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되고, 접혀지지 않은 영역(1820)은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810)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접혀서 뒤집어진 영역(181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접혀지지 않은 영역(18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a에서는 뒤집어진 영역(1810)의 면적이 접혀지지 않은 영역(1820)의 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정확히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번 접어 라운드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라운드 표시영역에 대한 실시 예도 적용 가능하다.
도 18b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1830)는 메인 표시영역(10)에 대응되고, 후면 디스플레이(1840)는 서브 표시영역(20)에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실시 예 중 라운드 표시영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시 예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앞뒤로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910). 그리고,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920).
여기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 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서브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영역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메인 표시영역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서브 표시영역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UI를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하는 단계(S1910)는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서브 표시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고,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920)는 메인 표시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하는 단계(S1910)는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른 터치 입력이고,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표시영역은 메인 표시영역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curved) 형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후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UI를 전면에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를 뒤집지 않고 후면의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표시영역 및 서브 표시영역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얼마든지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만을 이용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메인 표시영역의 터치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서브 표시영역을 보고 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는 메인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절전 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전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프로세서는 서브 표시영역의 터치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절전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프로세서는 메인 표시영역의 터치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UI를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0 : 메인 표시영역 20 : 서브 표시영역
30 : 라운드 표시영역 120 : 프로세서
130 : 스토리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5 : GPS 칩 150 : 통신부
155 : 감지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카메라
183 : 마이크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UI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UI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UI를 상기 제2 UI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curved) 형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UI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요소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위치에 기설정된 투명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터치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상이한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UI를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고,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방향을 반대로 인식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UI를 상기 제2 UI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표시영역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에 따른 터치 입력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측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후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구부러진 영역은 곡면(curved) 형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제어 방법.
KR1020160105700A 2015-06-02 2016-08-19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0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9732P 2015-06-02 2015-06-02
US62/169,732 2015-06-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58 Division 2015-06-02 2015-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58A KR20160142258A (ko) 2016-12-12
KR102180404B1 true KR102180404B1 (ko) 2020-11-18

Family

ID=5757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700A KR102180404B1 (ko) 2015-06-02 2016-08-19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43687B2 (ko)
KR (1) KR102180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4003B2 (en) *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21518B1 (ko) * 2017-06-27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829304A (zh) * 2018-05-29 2018-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US20200410153A1 (en) 2019-05-30 2020-12-31 Celera, Inc. Automated circuit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2368B2 (ja) 2002-05-1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101488391B1 (ko) 2008-08-22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64212A1 (en) 2008-09-11 2010-03-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er Input Interface Opposite a Display
KR101548958B1 (ko)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34391A (ko) 2008-09-24 201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156887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Extended user interface
US8417297B2 (en) 2009-05-22 2013-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8497884B2 (en) 2009-07-20 2013-07-3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graphic user interface elements
US9152314B2 (en) * 2009-11-30 2015-10-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80158B1 (ko) * 2009-11-30 2015-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7260A (ko)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아이리버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컨트롤 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방법
JP2011150511A (ja) 2010-01-21 2011-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JP2011203808A (ja)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携帯情報端末
KR101688942B1 (ko)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WO2012044713A1 (en) 2010-10-01 2012-04-05 Imerj LLC Drag/flick gestures in user interface
KR101786513B1 (ko) 2010-10-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화면 조작 방법
KR101314679B1 (ko) 2011-09-14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JP2013131190A (ja) 2011-12-22 2013-07-04 Aisin Aw Co Ltd 入力システム、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JP2013130551A (ja) 2011-12-22 2013-07-04 Aisin Aw Co Ltd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6217633B2 (ja) 2012-06-27 2017-10-2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1858B2 (ja) 2012-07-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90035B1 (ko) 2012-10-31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73245A (ko)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120099B1 (ko) 2013-02-06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9891662B2 (en) 2013-03-04 2018-02-13 Lg Electronics Inc.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83595B1 (ko) 2013-03-15 2020-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7728B1 (ko) * 2013-04-03 2020-05-07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휴대용 초음파 장치, 휴대용 초음파 시스템 및 초음파 진단 방법
KR102034584B1 (ko) 2013-06-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71473B2 (en) 2013-10-04 2018-05-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lectronic device
KR102264444B1 (ko) 2014-09-0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58A (ko) 2016-12-12
US11243687B2 (en) 2022-02-08
US20200012425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10369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420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41688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27833B1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3195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18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15712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820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635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인터렉션 방법
US105721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6660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92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87887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