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391A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391A
KR20100034391A KR1020080093499A KR20080093499A KR20100034391A KR 20100034391 A KR20100034391 A KR 20100034391A KR 1020080093499 A KR1020080093499 A KR 1020080093499A KR 20080093499 A KR20080093499 A KR 20080093499A KR 20100034391 A KR20100034391 A KR 20100034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touch pad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황정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4391A/ko
Publication of KR2010003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 전자종이가 배치된다. 상기 전자종이와 중첩되어 터치패드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접촉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접촉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전자기기, 터치패드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뒷면에, 전자종이(e-paper)와 상기 전자종이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이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내재적인 제약인 크기의 제약 또는 배터리 성능의 제약 등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에 구비된 전자종이 및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 전자종이(E-PAPER)가 배치된다. 상기 전자종이와 중첩되어 터치패드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접촉(touch)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접촉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전자종이에 제2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다른 일면에 상기 전자종이와 중첩되어 배치된 터치패드를 통해 접촉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는, 뒷면에 배치된 터치패드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가리지 않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많은 정보를 손쉽고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뒷면에 배치된 터치패드의 동작상황을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정확하고 손쉽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뒷면에 배치된 터치패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치패드와 중첩되어 배치된 전자종이에 표시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정확하고 손쉽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뒷면에 배치된 전자종이에 여러가지 유용한 정보 또는 무늬들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에 대한 축을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앞면을 기준으로 방향축을 설정하기로 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좌표축과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 방향을 X축, 휴대용 전자기기의 세로 방향을 Y축으로 정의하며, 아래에서부터 위로 향하는 방향을 +X방향,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Y방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들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좌표축과 같이, 상기 Y축의 방향은 반대로 설정되게 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며, 도 2d는 도 2a의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이동 전화기(mobile phone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스마트 폰(smart phones), 컴퓨터(computers), 디지털 방송 디바이스(digital broadcast device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s) 및 네비게이터(navigator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술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들 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V 입력부(Audio/Video input unit, 120),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30), 센싱부(sensing unit, 140), 출력부(output unit, 150), 메모리(memory, 160),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170), 제어부(controller, 180) 및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에, 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간에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외부의 방송 관리 엔티티(broadcast managing entity)로부터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satellite channel)과 지상파 채널(terrestrial channel)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관리 엔티티는, 일반적으로 방송 신호 및/또는 방 송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의 예를 들면, 방송 채널과 관련된 정보, 방송 프로그램, 방송 서비스 제공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 ESG)일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다양한 형태의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시스템의 예를 들면,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MedioFLO(medio forward link only)와 같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이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기지국(base station), Node-B)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오디오, 비디오, 멀티미디어, 제어 신호 및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에 탈부착 가능한 외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상대적으로 근거리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상기 위치 모듈(115)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획득한다. 상기 위치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A/V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에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V 입력부(120)는, 카메라(121)와 마이크로폰(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상기 마이크로폰(122)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전화 모드(call mode), 녹음 모드(recording mode) 또는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과 같은 특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 및 변환될 수 있다.
상기 A/V 입력부(120)는, 상기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V 입력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부(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1) 및 상기 마이크로폰(122)는 각각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key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예를 들어, 정압식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본체(10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로써, 상기 본체(101)의 앞면(101a)에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상기 본체(101)의 뒷면(101b) 전면 또는 일부에,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로 이루어진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a에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부(130c)가 상기 본체(101)의 앞면(101a)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상기 본체(101)의 뒷면(101b) 또는 측면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 면(101b)의 상단 우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면(101b)의 중앙부에 위치하거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면(101b)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상기 뒷면(101b)의 다른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뒷면(101b)의 중심점(O)을 지나고 상기 X축에 평행한 가상의 세로선(A) 및 상기 중심점(O)을 지나고 상기 Y축에 평행한 가상의 가로선(B)을 가정할 때,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상기 세로선(A)에 대하여 -Y방향으로 치우쳐 있고, 상기 가로선(B)에 대하여 +X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상기 뒷면(101b)의 중심점(O)으로부터, X축 및 Y축 방향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상기 가로선(B)에 대해서는 +X방향으로 치우쳐 있으나, 상기 세로선(A)에 대해서는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상태 측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열림/닫힘 상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의 상대적 위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위치 변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의 위치 변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에 대한 사용자 접촉 또는 이격,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지향 방향(orientation),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가속 또는 감속을 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와 같은 관성 센서(inertia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 간의 거리 관계를 탐지하거나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와 외부의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외부 장치의 예를 들면, 유/무선 헤드폰, 외부 충전기, 전원 공급기,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그림 등)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 이어폰, 마이크로폰 등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데이터 포트(data port)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메모리카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연결하기 위한 카드 소켓(card socket)이나, 오디오 입/출력 포트 및 비디오 입/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70)의 출력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70)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70)가 전화 모드(phone call mode)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전화 걸기, 전화 연결 및 전화 끊기 등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영상 전화 모드(video call mode) 또는 사진 모드(photographing mode)에 진입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상기 모드들과 관련된 이미지를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151)로써, 상기 본체(101)의 앞면(101a)에 제1 디스플레이(151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상기 본체(101)의 뒷면(101b)에, 제2 디스플레이(15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전자종이(e-paper)일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 상에,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들(151a,151b)이 입/출력 장치로 기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터치스크린(TS)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상기 뒷면(101b)의 전면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면(101b)의 상단 우측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뒷면(101b)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뒷면(101b)의 상단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뒷면(101b)의 다른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의 크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의 크기와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의 크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의 크기와 반드시 동일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상기 뒷면(101b)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상기 뒷면(101b)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51a,151b)는, 공지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종이(e-paper), 3차원 디스플레이(3-dimensional display) 등이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상기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출력을 지원하는 오디오 출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52)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부저(buzzers), 오디오 생성 장치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52)는, 전화 수신 모드(call-receiving mode), 전화 걸기 모드(call-placing mode), 녹음 모드(recording mode), 음성 인식 모드(voice recognition mode) 및 방송 수신 모드(broadcast reception mode)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드에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52)는, 예를 들어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및 에러 발생과 같은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알람(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153)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와 관련된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거나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이벤트는,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사용자 입력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153)의 출력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람(153)은, 사용자에게 진동과 같은 촉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153)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알람(153)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촉각에 의한 피드백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의 구성요소들에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출력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프로세싱(processing), 제어 및 저장 요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의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주소록, 폰북(phonebook), 메시지, 그림, 비디오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메모리(160)는,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자 기메모리(magnetic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자기/광디스크(magnetic or optical disk), 카드형 메모리, 또는 다른 유사한 메모리나 데이터 저장 장치와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storage devices)들 중 어느 하나 내지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보이스 콜(voice calls), 데이터 통신, 비디오 콜(video calls), 카메라 작동 및 레코딩 작동(recording operation)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플레이백(playback)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의 일부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되는 전원은 내부전원, 외부전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에 기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 소프트 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는 컴퓨터로 읽기가 가능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medium)에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상술한 기능을 수 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장치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이러한 실시예들은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된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들은 각각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 및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시져(procedures) 및 함수들(functions)과 같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적합한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160)와 같은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60)와 같은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들의 예는, 폴더형(folder-type), 슬라이드형(slide-type), 바형(bar-type), 회전형(rotational-type), 스윙형(swing-typ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무선/유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통신 시스템(seteilte-based communication systems)을 포함하는, 프레임(frames) 또는 패킷(packets)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들(air interfaces) 및/또는 물리 계층들(physical layers)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예는 주파수분할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및 유니버설모바일텔레커뮤니케이션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UMTS의 LTE(Long Term Evolution), 및 모바일통신용글로벌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CDMA 통신 시스템에 국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만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휴대용 전자기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0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10),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2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0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10)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0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 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0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1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0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0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40)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40)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25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250)은 몇몇 또는 모든 휴대용 전자기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25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00)은 여러개의 휴대용 전자기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10)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0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2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3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3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2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10)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0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인 것을 상정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를 "뒷면 터치패드(130b)"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는 전자종이(e-paper)인 것을 상정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1b)를 "전자종이(151b)"라고 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오른손으로 잡고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조작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뒷면 터치패드(13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사용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제1 접촉점(P1)을 검지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검지손가락을 제2 접촉점(P2)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는 상기 사용자의 검지손가락과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와의 접촉점이 제1 접촉점(P1)에서 상기 제2 접촉점(P2)으로 변경되는 것을 센싱하여 접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정보는 접촉점의 위치 및 접촉의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접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위치가 변경되는 정도는 상기 접촉점의 위치가 변경되는 정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점이 제1 위치(C)에서부터 제2 위치(C1)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C)로부터 상기 제2 위치(C1)로의 방향은 +X방향이며, 이는 상기 제1 접촉점(P1)으로부터 상기 제2 접촉점(P2)으로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또한, 상기 제1 위치(C1)과 상기 제2 위치(C2)의 이격거리(D)는 상기 제1 접촉점(P1)과 상기 제2 접촉점(P2)의 이격거리(d)와 비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전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과는 달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이 나열되어 있는 메뉴화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는 상기 메뉴화면과 함께 활성바(AB)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활성바(AB)는 상기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로부터 선택받기 위하여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바(AB)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조작한 경우, 상기 활성바(AB)는, 도 5c를 참조하면, "문자메시지" 메뉴에서 +X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화번호부" 메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설정점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는 제1 내지 제4 기능설정점들(B1,B2,B3,B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4 기능설정점들(B1,B2,B3,B4)은 각각 '+X방향으로의 이동', '-Y'방향으로의 이동', '-X방향으로의 이동' 및 '+Y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들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제2 기능설정점(B2)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임의의 점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C1)에서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영상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과는 달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이 그리드(GRID)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메뉴화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는 상기 메뉴화면과 함께 활성바(AB)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기능설정점(B2)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활성바(AB)는, 현재 위치인 "멀티미디어" 메뉴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여 "알람/일정" 메뉴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기능설정점들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휴대폰이라고 상정하는 경우, "전화받기", "메시지 보내기", "확인(OK)" 등과 같은 기능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OK)"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그에 해당하는 기능설정점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활성바(AB)가 위치한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본체 뒷면(101b)의 전면(全面)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종이(151b)는 다양한 무늬 패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전자종이(151b)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 전면에 배치되어, 물결 무늬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b는 상기 전자종이(151b)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 전면에 배치되어, 별, 달, 태양, 행성과 같은 무늬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종이(151b)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자종이(151b)에 디스플레이되는 무늬 패턴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장식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자종이(151b)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 일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종이(151b)에 디스플레이되는 무늬 패턴은 케이스의 일부에 대한 장식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뒷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현재시각 정보를 나타내는 시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인 경우,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간략하게 도식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셀프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영상 내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더욱 정확한 구도로 셀프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셀프타이머촬영기능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자종이(151b)는 촬영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를 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가 앞면에 배치된다는 위치적 제약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어려운 다양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 전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일부분의 동작만 활성화되고,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패드동작이 활성화되는 영역을 '동작설정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뒷면 터치패드(130b) 및 전자종이(151b)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 전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일부 영역(R1)만 활성화 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볼 때, 상기 일부 영역(R1)은 상기 뒷면의 오른쪽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일부 영역(R1)이 이와 같이 배치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 오른손의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동작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일부 영역(R1)만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R1)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일부 영역(R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b는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왼쪽 상단의 일부 영역(R2)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볼 때, 상기 일부 영역(R2)은 상기 뒷면의 왼쪽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일부 영역(R2)이 이와 같이 배치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에, 왼손의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동작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전자종이(151b)는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R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c는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상단 중앙부의 일부 영역(R3)이 활성화 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일부 영역(R3)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상관없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동작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중앙부의 일부 영역(R4)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는 다양한 위치에 '동작설정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위치 외에도,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다양한 일부 영역이 상기 동작설정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동작설정영역의 활성화 여부, 뒷면 터 패드(130b)의 어느 영역을 상기 동작설정영역으로 설정할지 여부 등을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작동하는 경우,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동작 상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통해 획득된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은 상기 동작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영상은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동작 상황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황은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에 대한 접촉여부, 접촉점의 위치 및 상기 접촉점의 위치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를 통하여,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것을,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제1 터치점(T)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영상(W)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영상(W)은 상기 제1 터치점(T)에 대응되는 점(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영상(W)의 크기는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즉,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크 기와 같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동작 영상(W)의 크기는 반드시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크기와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작 영상(W)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보는데 지장이 없도록, 반투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터치점(T1)을 터치한 후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제2 터치점(T2)으로 검지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이 이동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동작 영상(W)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영상(W)은 상기 영상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는 이동될 수 있으나, 상기 동작 영상(W)의 위치는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영상(W)의 위치는 항상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의 한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 뒷면 터치패드(130b)의 동작 상황이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제1 내지 제4 기능설정점들(B1,B2,B3,B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기능설정점들(B1,B2,B3,B4)은 상기 영상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은 동작 영상(W)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영상(W)은 상기 제1 내지 제4 기능설정점들(B1,B2,B3,B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각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들(U,L,D,R)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능설정점(B3)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기능설정점(B3)에 대응되는 화살표(D)가 강조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살표(D)는 점등되거나, 색상일 변경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앞면에 장착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된 영상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뒷면에 배치된 뒷면 터치패드(130b)를 작동하여 손쉽게 상기 영상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뒷면의 뒷면 터치패드(130b)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동작 영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a)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뒷면에 배치된 뒷면 터치패드(130b)가 직접 보이지 않아도 사용자는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게 되어 더욱 손쉽게 상기 뒷면 터치패드(130b)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뒷면에 배치된 터치패드를 조작함으로써, 앞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가리지 않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앞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더욱 손쉽고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뒷면에 배치된 터치패드의 동작 상황을 상기 앞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손쉽게 상기 뒷면의 터치패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앞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뒷면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2 영상 표시 유닛에 무늬 패턴들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뒷면에 배치된 터치패드의 일부영역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뒷면 터치패드의 동작상황을 앞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 다.

Claims (22)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전자종이(E-PAPER);
    상기 전자종이와 중첩되어 배치된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접촉(touch)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접촉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다른 일면의 일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일면의 전면(全面)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크기와 상기 전자종이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다른 일면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일면의 중앙부 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종이는,
    상기 다른 일면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일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패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동작설정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동작설정영역은 터치패드동작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종이는,
    상기 동작설정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동작설정영역은
    상기 다른 일면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일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을 포함하 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능설정점들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점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이동기능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의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종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드의 동작상황을 나타내는 동작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영상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접촉여부, 접촉점의 위치 및 상기 접촉점의 위치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각 정보를 나타내는 시계를 상기 전자종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무늬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종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6.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전자종이에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른 일면에 상기 전자종이와 중첩되어 배치된 터치패드를 통해 접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일부 영역만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자종이에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점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이동기능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의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설정점들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드의 동작상황을 나타내는 동작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영상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접촉여부, 접촉점의 위치 및 상기 접촉점의 위치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080093499A 2008-09-24 2008-09-24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34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99A KR20100034391A (ko) 2008-09-24 2008-09-24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99A KR20100034391A (ko) 2008-09-24 2008-09-24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391A true KR20100034391A (ko) 2010-04-01

Family

ID=4221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499A KR20100034391A (ko) 2008-09-24 2008-09-24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43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9979A (zh) * 2010-09-28 2013-01-02 尤塔设备Ipr有限公司 具有显示屏的装置
KR20160039631A (ko) * 2010-12-10 2016-04-11 요타 디바이시스 아이피알 리미티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EP3287886A1 (en) * 2016-08-22 2018-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416883B2 (en) 2015-06-02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243687B2 (en) 2015-06-02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9979A (zh) * 2010-09-28 2013-01-02 尤塔设备Ipr有限公司 具有显示屏的装置
KR20160039631A (ko) * 2010-12-10 2016-04-11 요타 디바이시스 아이피알 리미티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US10416883B2 (en) 2015-06-02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243687B2 (en) 2015-06-02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87886A1 (en) * 2016-08-22 2018-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6847B2 (en) Mobile terminal
US856582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65786B1 (en) Mobile terminal and key input method thereof
US8169448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0914438B1 (ko)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그 기능 실행 방법
US8265704B2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US8587485B2 (en) Portable terminal
US8681103B2 (en) Mobile terminal
EP201557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in
KR10148634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817142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146851A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2109030A2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EP204570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storage box and saving method thereof
EP2602702A2 (en) Mobile terminal and fan-shaped icon arrangement method thereof
US2009028086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the same
US8165647B2 (en) Portable terminal
US20100022276A1 (en) Menu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10020082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4028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0001030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방법
KR20110068666A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0002673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4391A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8443018B2 (en) Mobile terminal and unit conver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