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730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730A
KR20100026730A KR1020080085851A KR20080085851A KR20100026730A KR 20100026730 A KR20100026730 A KR 20100026730A KR 1020080085851 A KR1020080085851 A KR 1020080085851A KR 20080085851 A KR20080085851 A KR 20080085851A KR 20100026730 A KR20100026730 A KR 2010002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channel
mobile terminal
display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135B1 (ko
Inventor
권태정
손광효
박창영
김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35B1/ko
Priority to US12/314,224 priority patent/US8036714B2/en
Priority to EP09156636.4A priority patent/EP2160024B1/en
Publication of KR2010002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4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최근에는 방송 수신 기능이 더욱 부각되면서, 날이 갈수록 더 많은 방송채널을 통해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들이 송출되고 있다. 따라서, 송출되는 많은 방송채널들 중에서 어떤 방송채널의 프로그램을 볼 것인지 결정하는 것도 쉽지 않게 되었기에, 단말기에서 보다 손쉽게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하여 신속히 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수신부,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이 포인터로 터치될 때, 복수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포인터의 터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방송 영상이 재생되는 방송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이 포인터로 터치될 때, 복수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포인터의 터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 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둘 이상의 방송 채널의 동시 수신 또는 방송 채널 변경 용이성을 추구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T(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 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 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ㅊ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 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 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일 수 있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 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 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 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는 방송 수신 메뉴가 실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은 방송 영상 영역(410)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에는 상기 방송수신모듈(111)에서 수신된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S51]. 현재 상기 방송 영상 영역에는 방송채널34(CH34)의 방송서비스4(CH34-3)에 따른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방송 채널과 상기 방송 서비스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시 나중에 설명된다.
예컨대,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이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으로 터치(접촉 터치 또는 근접 터치)된다.
그러면,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은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예컨대 세로방향으로 방송 채널들이 리스트될 수 있도록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은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방송 서비스들이 리스트될 수 있도록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타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의 (6-2)에서 도시된 바는 달리, 상기 방송 채널들은 가로 방향으로 리스트되고, 상기 방송 서비스들이 세로 방향으로 리스트되도록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영역(417)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의 (6-2)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8)이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과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8)이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8)이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8)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8)의 가장자리 부분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8)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영상이 단말기 사용자에게 여전히 보여질 수 있다.
예컨대 DVB-T(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와 같은 방송 규격에 의하면, 하나의 방송 채널(예를 들면, CH29)을 통해 여러 개의 방송 서비스들(CH29-1, CH29-2, CH29-3,...)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특정의 방송 채널 뿐만 아니라 그 방송 채널에 속하는 방송 서비스들 중에서 특정의 방송 서비스가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방송 채널들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에서 리스트되고 있고, 상기 방송 서비스들이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에서 리스트되고 있다.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을 통해 다수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소망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소망의 방송 채널의 다수의 방송 서비스들 중에서 소망의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안에 대해 이하 설명된다.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이 임의의 제 1 위치에서 근접 터치된다[S52].
그러면,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제 1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413)의 방송 채널(CH29)과, 상기 대응되는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들 중에서 제 1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417)의 방송 서비스(CH29-2)가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이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라 함)가 제 1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S53].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의 이름, 로고, 및 현재 방영 중인 프로그램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도시의 간편함을 위해 "CH29-2"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약에 제 1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의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 대신에 해당 방송 채널 서비스가 없음을 알리는 정보(예컨대 "None")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의 다른 임의의 제 2 위치에서 다시 근접 터치된다[S52].
그러면,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방송 채널들 중에서 제 2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의 방송 채널(CH30)과, 상기 대응되는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들 중에서 제 2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의 방송 서비스(CH30-4)가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에 관한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제 2 위치에 예컨대 "CH30-4"로 디스플레이된다[S53].
그 다음, 제 2 위치가 접촉 터치된다.
그러면, 제 2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로 채널 전환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이 터치될 때,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와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들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적절한 키조작(예를 들면, 상기 핫 키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의 특정 위치에 근접 터치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접촉 터치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로 채널 전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의 특정 위치에 접촉 터치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이중 접촉 터치(double contact-touch)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의 방송 서비스로 채널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소망의 방송 채널과 방송 서비스의 선택을 돕기 위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격자 무늬가 점선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격자 무늬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와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417)가 적어도 일부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과 중첩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417)가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영역의 일부를 가리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417)가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과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상태도이다.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은 방송 영상 영역(410)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에는 상기 방송수신모듈(111)에서 수신된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이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으로 터치된다.
그러면,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이 원래의 사이즈보다 축소된다. 그러면,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이 축소되면서 생겨난 여분 영역에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을 전혀 가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을 터치함으로써 소망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6과 관련되어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6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상기 터치 위치(즉,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위치가 아닌 임의의 고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의 좌상단의 고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하, 도 9를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에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다른 방송 채널들이 있음을 나타내는 제 1 인디케이터(413-1 및 413-2)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에도,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다른 방송 서비스가 있음을 나타내는 제 2 인디케이터(417-1 및 417-2)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먼저,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이 터치된 후 아래에서 위로 드래그(또는 플릭킹)된다.
그러면,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그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의 방송 채널들이 아래에서 위로 스크롤되면서 도 9의 (9-1)에서 보이지 않던 새로운 채널들(CH33, CH34)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이 터치된 후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되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의 방송 채널들이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터치된 후 우에서 좌로 드래그(또는 플릭킹)된다.
그러면, 도 9의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그에 따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의 방송 서비스들이 우에서 좌로 스크롤되면서 도 9의 (9-1)에서 보이지 않던 새로운 방송 서비스들(CH**-6, CH**-7)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터치된 후 좌에서 우로 드래그되면,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의 방송 서비스들이 좌에서 우로 스크롤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417)를 터치 드래그함으로써, 소망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413)만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413)에서 한 방송 채널이 터치됨으로써 선택된다.
그러면,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들 중 둘 이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속하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 모두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도 10의 (10-2) 및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를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나머지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새로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413)에서 한 방송 채널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들 중 둘 이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도 11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방송 영상 영역(410),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도시되고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의 해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의 (11-2)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의 해상도가 높아져서, 도 11의 (11-1)에 비해 더 많은 방송 채널 및 방송 서비스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적절한 키조작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의 해상도를 조절함으로써,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채널 및 방송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12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12의 (12-1)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413)에 모든 채널들이 순차적으로 리스트되어 있지 않고, 일부 채널들(예를 들면, ..., CH29, CH31, CH32, CH34,...)만이 리스트되고 나머지 채널들(예를 들면, ..., CH30, CH33,...)은 리스트되어 있지 않은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나머지 채널들은, 방송 채널 스캔시 스캔되지 않았던 방송 채널 및 방송 채널 스캔시 스캔은 되었으나 현재 방송 수신이 불량한 채널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부 채널들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로서 사전 설정된 채널일 수도 있다. 상기 선호 채널 설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적절한 키조작을 통해 행해질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2의 (12-2)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413)에 채널들 중에서 일부 채널(예를 들면, CH30)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리스트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일부 채널은, 방송 채널 스캔시 스캔되지 않았던 방송 채널, 방송 채널 스캔시 스캔은 되었으나 현재 방송 수신이 불량한 채널, 및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로서 사전 설정된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13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와 더불어, 방송 채널 변경을 위한 제 1 아이콘(423) 및 다른 부가 기능(예를 들면, 예약 녹화 또는 선호채널등록)을 위한 제 2 아이콘(427)이 별도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제 1 아이콘(423)이 선택되면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로 방송 채널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아이콘(427)이 선택되면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 기능(예를 들면, 예약 녹화 또는 선호채널등록)에 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14에서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413)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417)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 상에 근접 터치되지 않더라도 현재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방송 영상과 관련된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폴트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폴트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방송 영상 영역(410)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중 디스플레이될 방송 채널의 범위와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중 디스플레이될 방송 서비스의 범위가 자동으로 정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단말기 사용자가 일견 보았을 때 중앙부로 여겨질 정도면 충분하고, 이론적으로 정확한 중앙부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은 플릭(flick)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Claims (22)

  1. 방송수신부;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이 포인터로 터치될 때, 복수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포인터의 터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상기 포인터의 터치 위치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고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방송 채널들이 제 1 방향으로 리스트되는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방송 서비스들이 제 1 방향과는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리스트되는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이 제 2 방향과 평행한 상기 터치스크린의 다른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이 적어도 일부 상기 방송 영상 영역과 중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이 축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이 상기 방송 영상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위치에서 제 2 방향으로 대응되는 방송 채널과, 상기 터치 위치에서 제 1 방향으로 대응되는 방송 서비스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들 중에서 한 방송 채널이 터치될 때, 상기 터치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모든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이 터치되어 제 1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상기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가 스크롤될 수 있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이 터치되어 제 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상기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가 스크롤될 수 있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해상도가 조절됨으로써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채널 수 및 방송 서비스 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채널 스캔 동안에 스캔되지 않은 방송 채널 및 현재 방송 수신율이 불량한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표시되지 않거나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선호채널만이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에 표시되거나, 상기 사전 설정된 선호채널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돕기 위해 상기 방송 영상 영역 상에 격자 무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 영역 상에 근접터치될 때 해당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해당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접촉터치될 때 상기 해당 방송 채널 서비스로 채널 전환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와 더불어 방송 채널 전환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와 더불어 예약 녹화 및 선호채널등록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부가 기능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수신 중인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는 터치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이 생성될 때, 현재 수신 중인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방송 채널 리스트 영역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리스트 영역을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터치스크린에서 방송 영상이 재생되는 방송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영상 영역이 포인터로 터치될 때, 복수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포인터의 터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의 방송 채널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85851A 2008-09-01 2008-09-01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51A KR101556135B1 (ko) 2008-09-01 2008-09-01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314,224 US8036714B2 (en) 2008-09-01 2008-12-05 Terminal,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able medium for the same
EP09156636.4A EP2160024B1 (en) 2008-09-01 2009-03-30 Terminal,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able mediu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51A KR101556135B1 (ko) 2008-09-01 2008-09-01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30A true KR20100026730A (ko) 2010-03-10
KR101556135B1 KR101556135B1 (ko) 2015-10-13

Family

ID=4143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851A KR101556135B1 (ko) 2008-09-01 2008-09-01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36714B2 (ko)
EP (1) EP2160024B1 (ko)
KR (1) KR101556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8832A (ko) * 2012-09-21 201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058B1 (en) 2006-09-11 2008-10-21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ccessory having a tuner
US8983639B2 (en) * 2008-12-14 2015-03-17 Apple Inc. Techniques for facilitating interopera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 digital RF tuner accessory
US8238893B2 (en) 2009-09-03 2012-08-07 Apple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portable media device having a radio frequency tuner
EP2336867B1 (fr) * 2009-12-21 2019-06-26 Orange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l'affichage sur un dispositif d'affichage d'une pluralité d'éléments d'une liste
KR20130078514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9202321B2 (en) * 2012-06-19 2015-12-01 Interactive Video Solutions, Inc. Multi-camera vehicular image recorder
CN105323532B (zh) * 2014-06-30 2019-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图像的自适应显示方法和装置
CN107454457B (zh) * 2017-06-28 2020-01-03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切换录屏直播分辨率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858A (en) * 1899-03-07 Butt-adjuster
US617814A (en) * 1899-01-17 Peanut-gatherer
US661514A (en) * 1897-12-18 1900-11-13 Zenaide Gaillard Washing-machine.
US675721A (en) * 1901-01-26 1901-06-04 John Huston Denison Cultivator.
US696554A (en) * 1901-01-30 1902-04-01 Alpha Trueworthey Dudley Supporting-tool.
US684758A (en) * 1901-02-04 1901-10-15 Albert J Harms Railway-tie.
US705422A (en) * 1902-03-15 1902-07-22 Pennington Foundry And Heater Company Hot-air heater.
US712687A (en) * 1902-07-31 1902-11-04 Rufus D King Seed, grain, or fertilizer drill.
DE3466837D1 (en) 1983-05-19 1987-11-19 Lorraine Carbone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s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electrochemical application of these compounds
CA2166434A1 (en) * 1995-01-04 1996-07-05 Fujio Noguch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ming information
US5812269A (en) * 1996-07-29 1998-09-22 General Scanning, Inc. Triangulation-based 3-D imag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5973998A (en) * 1997-08-01 1999-10-26 Trilon Technology, Llc. Automatic real-time gunshot locator and display system
JP3645720B2 (ja) * 1998-10-02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pg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370343B1 (en) 2000-11-28 2008-05-0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blackout features
JP3729395B2 (ja) 2001-07-25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WO2003088655A1 (en) * 2002-04-05 2003-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andheld device that integrate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ith audio/video control
WO2006088831A2 (en) 2005-02-14 2006-08-24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ing 3d pointing
KR101174659B1 (ko) 2006-12-01 2012-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정보 서비스 방법
KR100896711B1 (ko) * 2007-02-08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탭을 통한 기능 실행방법
KR100824321B1 (ko) * 2007-02-16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KR101604693B1 (ko) * 2009-07-01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8832A (ko) * 2012-09-21 201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0024A3 (en) 2011-09-28
KR101556135B1 (ko) 2015-10-13
EP2160024B1 (en) 2018-05-02
EP2160024A2 (en) 2010-03-03
US8036714B2 (en) 2011-10-11
US20100056219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7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KR101456001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56582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697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768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1030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방법
KR2009011697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46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76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613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8339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잠금 화면 제어방법
KR200901207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10004569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03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전송 방법
KR2009013299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리스트 관리 방법
KR200901174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모드 선택 방법
KR20100003621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1014358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6073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43018B2 (en) Mobile terminal and unit converting method thereof
KR2009011941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2009013299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1174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표시 방법
KR101540663B1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