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082A -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082A
KR20110020082A KR1020090077791A KR20090077791A KR20110020082A KR 20110020082 A KR20110020082 A KR 20110020082A KR 1020090077791 A KR1020090077791 A KR 1020090077791A KR 20090077791 A KR20090077791 A KR 20090077791A KR 20110020082 A KR20110020082 A KR 2011002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andset
degrees
speaker
rota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수
민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082A/ko
Priority to US12/717,368 priority patent/US8712393B2/en
Publication of KR2011002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상관없이 통화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제1 송수화기와; 제2 송수화기와;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 자세 인식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화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상관없이 통화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제1 송수화기와; 제2 송수화기와;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제1 송수화기와; 제2 송수화기와;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송수화기 및 상기 제2 송수화기 중에 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송수화기 및 상기 제2 송수화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제1 및 제2 송수화기를 설치하고,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근거로 제1 송수화기 또는 제2 송수화기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상관없이 통화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UI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항상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하게 해당 UI 데이터를 항상 정방향으로 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상관없이 통화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의 사 용자 인터페이스(GUI)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1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전화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접 센서(141)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근접 터치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근접 터치(proximity-touch)는, 포 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 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다양한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제1 위치에 위치된 제1 송수화기(telephone transceiver)(360)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2 위치에 위치된 제2 송수화기(370)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센싱부(310)와; 전화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360)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370)를 선택하는 제어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1 송수화기(360)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370)를 직접 선택하거나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1 송수화기(360)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37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31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의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three-axis accelerometer)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에 설치되고, X축, Y축, Z축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 내지 제4방향을 검출한다. 상기 제1 방향은 0도, 제2 방향은 90도, 제3 방향은 180도, 제4 방향은 27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방향일 때(이동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을 때, 0도일 때) 상기 제1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일 때(이동 단말기가 180도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송수화기(370)를 선택한다. 여기서, 저장부(35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에 따라 제1 송수화기(360) 및 제2 송수화기(370)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를 미리 저장한다. 상기 제1 송수화기(telephone transceiver)(360) 및 제2 송수화기(370)는 각각 마이크(송화기, telephone transmitter) 및 스피커(수화기, telephone receiver)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을 근거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0도일 때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부(3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0도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포맷 변환 없이(GUI 데이터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출력함)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동영상, 정지 영상, 문자, 기호, 숫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90도일 때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역회전시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90도(시계 방향)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40)에 정방향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 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90도 기울어져 있어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180도일 때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180도(시계 방향)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40)에 정방향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180도 기울어져 있어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270도일 때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시키거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270도(시계 방향)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시키거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40)에 정방향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270도 기울어져 있어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320)는 전화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키가 선택되었는지 아니면 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통화 키 및 키 패드(예를 들면, 숫자, 문자, 기호에 대응하는 키들)를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할 수 있는 풀 터치(Full Touch)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10)는 상기 전화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한다(S12).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의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three-axis accelerometer)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에 설치되고, X축, Y축, Z축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 내지 제4방향을 검출한다. 상기 제1 방향은 0도, 제2 방향은 90도, 제3 방향은 180도, 제4 방향은 270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의 자세를 감지하는 방법은 한국 공개번호 제10-2006-0081509호 및 한국 공개번호 제10-2006-0031092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3축 가속도 센서뿐만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자세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인지를 판단한다(S13).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제1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S14).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송수화기(360) 및 제2 송수화기(37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저에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수화기는 제1 스피커(361)와 제1 마이크(362)로 구성된 제1 송수화기(360)와, 제2 마이크(371)와 제2 스피커(372)로 구성된 제2 송수화기(3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36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362)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372)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 크(37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설치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을 근거로 송수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제1송수화기(360)의 제1 스피커(361) 및 제1 마이크(362)를 턴-온(Turn-ON)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8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송수화기(360)의 제1 스피커(361) 및 제1 마이크(362)를 턴-온(Turn-ON)시킨다(S15).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2송수화기(360)의 제2 스피커(372) 및 제2 마이크(371)를 턴-오프(Turn-Off)시킨다(S16).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일 때 제1 송수화기(360)를 통해 용이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가 아닐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인지를 판단한다(S17).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꾸로 유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90도를 임계치(threshold)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임계치인 90도 이상이면 상 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180도로 간주하고, 90도 미만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0도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제2송수화기(370)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S18).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2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제2송수화기(360)의 제2 스피커(372) 및 제1 마이크(371)를 턴-온(Turn-ON)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80)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송수화기(370)의 제2 스피커(372) 및 제2 마이크(371)를 턴-온(Turn-ON)시킨다(S19).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1송수화기(360)의 제1 스피커(361) 및 제1 마이크(362)를 턴-오프(Turn-Off)시킨다(S20).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거꾸로 유지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키지 않고 제2 송수화기(370)를 통해 용이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전화 통화 모드일 때 제1 송수화기(360) 또는 제2 송수화기(370)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송수화기를 통해 통화가 종료할 때까지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통화중에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안정적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3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먼저, 상기 센싱부(31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한다(S21).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의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three-axis accelerometer)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에 설치되고, X축, Y축, Z축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 내지 제4방향을 검출한다. 상기 제1 방향은 0도, 제2 방향은 90도, 제3 방향은 180도, 제4 방향은 27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인지를 판단한다(S22).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을 근거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0도일 때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부(3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0도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포맷 변환 없이(GUI 데이터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출력함)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S23).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동영상, 정지 영상, 문자, 기호, 숫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90도일 때(S24)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역회전시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S25).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90도(시계 방향)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40)에 정방향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90도 기울어져 있어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180도일 때(S26)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S27).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180도 (시계 방향)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40)에 정방향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180도 기울어져 있어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270도일 때(S28)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시키거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S29).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자세)이 270도(시계 방향)일 때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시키거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40)에 정방향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270도 기울어져 있어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3축 가속도 센서뿐만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자세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8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3축 가속도 센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축 가속도 센서는 이동 단말기의 오른쪽 하단에 설치되고, x축, y축, z축의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이동 단말기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했거나 세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UI 데이터(화면)를 자동으로 가로 화면 또는 세로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이동 단말기가 뒤집어져 있을 때(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바닥을 향할 때) 활성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의 세로 방향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1g, Y축:0g, Z축:0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starting point)도 달라질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시계 방향)일 때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의 가로 방향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이동 단말 기의 UI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0g, Y축:+1g, Z축:0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시계 방향)일 때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180도 회전시킨 후 그 180도 회전된 UI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1g, Y축:0g, Z축:0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시계 방향)일 때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출력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270도 회전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를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전시키면,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270도 역회전시킨 후 그 270도 역회전된 UI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0g, Y축:-1g, Z축:0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임계치(threshold)는 45도, 135도, 225도, 315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중력 방향으로 향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중력 방향으로 향할 때 이동 단말기의 모드는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중력 방향으로 향하면 이동 단말기의 활성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0g, Y축:0g, Z축:+1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역중력 방향으로 향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역중력 방향으로 향할 때 이동 단말기의 모드는 활성모드로 전환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에 의 해 이동 단말기가 역중력 방향으로 향하면 이동 단말기의 모드를 활성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0g, Y축:0g, Z축:-1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45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45도(반시계 방향)일 때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는 시계방향으로 45도 역회전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45도 역회전시킨 후 그 45도 역회전된 UI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0g, Y축:0g, Z축:+0.5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45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45도(시계 방향)일 때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되어 출력되거나, 시계방향으로 315도 회전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를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 이동 단말기의 UI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부(330)를 통해 45도 역회전시킨 후 그 45도 역회전된 UI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40)에 출력한다. 이때,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X축:0g, Y축:0g, Z축:-0.5g) 이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은 예를 들어 나타낸 값이며, 3축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범위는 다양하고, 이동 단말기 내의 3축 가속도 센서의 위치에 따라 원점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45도 및 -45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하기 위해, 3축 가속도 센서에 z축에 대해 90도의 임계치가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3 및 도17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320)는 영상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1).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키가 선택되었는지 아니면 영상 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영상 통화 키 및 키 패드(예를 들면, 숫자, 문자, 기호에 대응하는 키들)를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할 수 있는 풀 터치(Full Touch)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10)는 상기 영상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한다(S32).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의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three-axis accelerometer)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인지를 판단한다(S33).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제1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S34).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송수화기(360) 및 제2 송수화기(37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을 도18 및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송수화기는 제1 스피커(361)와 제1 마이크(362)로 구성된 제1 송수화기(360)와, 제2 마이크(371)와 제2 스피커(372)로 구성된 제2 송수화기(3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36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362)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372)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37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설치된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을 근거로 송수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제1송수화기(360)의 제1 스피커(361) 및 제1 마이크(362)를 턴-온(Turn-ON)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8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송수화기(360)의 제1 스피커(361) 및 제1 마이크(362)를 턴-온(Turn-ON)시킨다(S35).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2송수화기(360)의 제2 스피커(372)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2 마이크(371)를 턴-오프(Turn-Off)시킨다(S36).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일 때 제1 및 제2 스피커를 동작(스테레오 모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발신자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가 아닐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인지를 판단한다(S37).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꾸로 유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90도를 임계치(threshold)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임계치인 90도 이상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180도로 간주하고, 90도 미만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0도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제2송수화기(370)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S38).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2 송수화기(360)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제2송수화기(360)의 제2 스피커(372) 및 제1 마이크(371)를 턴-온(Turn-ON)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80)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송수화기(370)의 제2 스피커(372) 및 제2 마이크(371)를 턴-온(Turn-ON)시킨다(S39).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1송수화기(360)의 제1 스피커(361)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마이크(362)를 턴-오프(Turn-Off)시킨다(S30).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거꾸로 유지된 상태에서도, 영상 통화를 수행할 때 제1 및 제2 스피커를 모두 동작(스테레오 모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발신자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3 및 도20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3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모드(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41).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재생키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센싱부(310)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때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한다(S42).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의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three-axis accelerometer)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인지를 판단한다(S43).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로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일 때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S44). 예를 들 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일 때 상기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을 도21 및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를 나타낸 도이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이 90도 또는 270도일 때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이 0도 또는 180도일 때 동작될 수도 있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을 근거로 송수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21 및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턴-온(Turn-O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8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턴-온(Turn-ON)시킨다(S45).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1 마이크(362) 및 상기 제2 마이크(371)의 턴-오프(Turn-Off) 상태를 유지시킨다(S46).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때 제1 및 제2 스피커를 동작(스테레오 모드)시킴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로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가 아닐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인지를 판단한다(S47).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일 때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S48).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센싱부(3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일 때 상기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380)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8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1 스피커(361) 및 제2 스피커(372)를 턴-온(Turn-ON)시킨다(S49). 이때,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일 때 상기 룩업테이블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380)를 통해 상기 제1 마이크(362) 및 상기 제2 마이크(371)의 턴-오프(Turn-Off) 상태 를 유지시킨다(S50).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때 제1 및 제2 스피커를 동작(스테레오 모드)시킴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로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송수화기(360) 및 제2 송수화기(370)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제1송수화기 및 제2 송수화기를 도23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수화기는 제1 스피커(361)와 제1 마이크(362A)로 구성된 제1 송수화기(360)와, 제2 마이크(371A)와 제2 스피커(372)로 구성된 제2 송수화기(3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36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362A)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의 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372)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371A)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의 왼쪽에 설치된다.
도2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다른 위치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수화기는 제1 스피커(361)와 제1 마이크(362B)로 구성된 제1 송수화기(360)와, 제2 마이크(371B)와 제2 스피커(372)로 구성된 제2 송수화기(3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피커(36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362B)는 이동 단말기의 바닥면의 왼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372)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371B)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의 오른쪽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마이크(362A)는 이동 단말기의 바닥면의 오른쪽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이크(371B)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의 왼쪽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또 다른 위치에 추가로 설치된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수화기는 제3 스피커(401)와 제3 마이크(402)로 구성된 제3 송수화기와, 제4 마이크(403)와 제4 스피커(404)로 구성된 제4 송수화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스피커(401)는 이동 단말기의 뒷면의 상단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마이크(402)는 이동 단말기의 뒷면의 하단의 왼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스피커(403)는 이동 단말기의 뒷면의 하단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404)는 이동 단말기의 뒷면의 상단의 오른쪽에 설치된다.
상기 제3 마이크(401)는 이동 단말기의 뒷면의 하단의 오른쪽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4 마이크(404)는 이동 단말기의 뒷면의 상단의 왼쪽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앞면에 설치된 송수화기 또는 뒷면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제1 및 제2 송수화기를 설치하고,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근거로 제1 송수화기 또는 제2 송수화기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상관없이 통화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자세(회전 방향각)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이동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UI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항상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하게 해당 UI 데이터를 항상 정방향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2는 근접 터치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을 근거로 송수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3축 가속도 센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18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270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중력 방향으로 향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역중력 방향으로 향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45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45도일 때의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을 근거로 송수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를 나타낸 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회전 방향)을 근거로 송수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룩업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다른 위치에 설치된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또 다른 위치에 추가로 설치된 송수화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센싱부 320: 제어부
330: 영상 처리부 340: 표시부
350: 저장부 360: 제1 송수화기
370: 제2 송수화기

Claims (20)

  1. 제1 송수화기와;
    제2 송수화기와;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 또는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방향일 때 상기 제1 송수화기를 선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일 때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화기는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화기는 제2 마이크 및 제2 스피커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마이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 및 제1 마이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화기를 선택하거나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수화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것을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X축, Y축, Z축 방향의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에 설치되고, X축, Y축, Z축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 내지 제4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0도, 제2 방향은 90도, 제3 방향은 180도, 제4 방향은 2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송수화기의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 또는 270도일 때 상기 제1 송수화기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송수화기의 스피커를 모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13. 이동 단말기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송수화기 및 상기 제2 송수화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방향일 때 상기 제1 송수화기를 선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일 때 상기 제2 송수화기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화기는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화기는 제2 마이크 및 제2 스피커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마이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 및 제1 마이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ㅂq법방바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하는 것을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근거로 상기 제1 송수화기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송수화기의 스피커를 모두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일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 방향각이 90도 또는 270도이면 상기 제1 송수화기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송수화기의 스피커를 모두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77791A 2009-08-21 2009-08-21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791A KR20110020082A (ko) 2009-08-21 2009-08-21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2/717,368 US8712393B2 (en) 2009-08-21 2010-03-04 Selecting input/output components of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791A KR20110020082A (ko) 2009-08-21 2009-08-21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082A true KR20110020082A (ko) 2011-03-02

Family

ID=4360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791A KR20110020082A (ko) 2009-08-21 2009-08-21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12393B2 (ko)
KR (1) KR201100200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63B1 (ko) * 2012-02-03 2013-08-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단말기, 영상 통화 제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1152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74867A1 (en) * 2009-09-21 2011-03-24 Extreme Reality Ltd. Methods circuits apparatus and systems for human machine interfacing with an electronic appliance
US9729344B2 (en) * 2010-04-30 2017-08-08 Mitel Networks Corporation Integrating a trigger button module into a mass audio notification system
KR101735612B1 (ko) * 2010-08-16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2378086A (zh) * 2010-08-26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根据旋转角度控制音频输出模块的电子装置及方法
JP5668466B2 (ja) * 2010-12-28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64280B2 (ja) * 2010-12-28 2014-04-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714546B1 (ko) * 2011-01-11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성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89087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방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US20120244969A1 (en) 2011-03-25 2012-09-27 May Patents Ltd. System and Method for a Motion Sensing Device
US20120276947A1 (en) * 2011-04-27 2012-11-01 Daniel Adam Smith Symmetrical communicator device that dynamically changes the function of the hardware as orientation of the device changes.
US8553129B2 (en) 2011-05-10 2013-10-08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wo lens modules, dual image capturing method applying for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ad into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2523450B1 (en) * 2011-05-10 2014-05-14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image capt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717096A4 (en) * 2011-05-27 2015-11-25 Nec Corp IMAGING DEVICE, PICTURE SELECTION PROCEDURE AND RECORDING MEDIUM
US9277101B2 (en) * 2011-12-22 2016-03-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terpolations of captured video content
WO2013093567A1 (en) * 2011-12-22 2013-06-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he display and audio component based on the orientation of the display for a portable device
JP6196017B2 (ja) * 2012-01-13 2017-09-13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9445168B2 (en) * 2012-03-05 2016-09-13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rection switch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US9575708B2 (en) 2012-05-14 2017-02-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99812B1 (ko) 2012-05-14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2736854B (zh) * 2012-05-24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讯终端及基于该移动通讯终端的屏幕调整方法
KR102060155B1 (ko) * 2013-01-11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145942A2 (en) 2013-03-15 2014-09-18 Smart Patents L.L.C. Wearabl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US20140365981A1 (en) * 2013-06-11 2014-12-11 Voxer Ip Llc Motion control of mobile device
EP2830326A1 (en) * 2013-07-22 2015-01-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prcessor for object-dependent processing
US9651985B2 (en) 2013-12-03 2017-05-16 Htc Corporation Accessory, electronic assembly and controlling method
US9375874B2 (en) * 2013-12-03 2016-06-28 Htc Corporation Accessory, electronic assembly, control method, and method for forming an accessory
USD785613S1 (en) 2014-01-29 2017-05-02 Htc Corporatio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282301A (zh) * 2014-06-30 2016-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终端扬声器的声音外放方法及装置、终端
US9998665B2 (en) * 2014-07-21 2018-06-12 Lenovo (Singapore) Pte. Ltd. Camera mode selection based on context
US10075788B2 (en) 2015-05-18 2018-09-11 PeeQ Technologies, LLC Throwable microphone
KR102386309B1 (ko) * 2015-06-04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입출력 제어 방법
US10621992B2 (en) * 2016-07-22 2020-04-14 Lenovo (Singapore) Pte. Ltd. Activating voice assistant based on at least one of user proximity and context
US10664533B2 (en) 2017-05-24 2020-05-26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response cue for digital assistant based on context
JP7047508B2 (ja) * 2018-03-16 2022-04-05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及び通信端末
CN108551636B (zh) * 2018-05-29 2019-1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扬声器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340861B2 (en) * 2020-06-09 2022-05-24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manipulating audio data based on microphone orientation
US11586407B2 (en) 2020-06-09 2023-02-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manipulating audio data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US11620976B2 (en) 2020-06-09 2023-04-0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acoustic echo cancellation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2894B1 (en) * 1999-07-27 2003-02-18 Ericsson Inc. Simplified speaker mode sel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0453042B1 (ko) * 2002-02-18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화기,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20070004451A1 (en) * 2005-06-30 2007-01-04 C Anderson Eric Controlling functions of a handheld multifunction device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20080146289A1 (en) * 2006-12-14 2008-06-19 Motorola, Inc. Automatic audio transducer adjustments based upon orien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77964B2 (en) * 2007-03-19 2011-12-13 Sony Corporation Two dimensional/three dimensional digit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splay device
US8189429B2 (en) * 2008-09-30 2012-05-29 Apple Inc. Microphone proximity det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63B1 (ko) * 2012-02-03 2013-08-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단말기, 영상 통화 제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1152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12393B2 (en) 2014-04-29
US20110045812A1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0082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8750939B2 (en) Method of controlling instan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0029803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call function using the same
KR201000542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201100509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00124591A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2593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032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KR201101337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66511A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06154A (ko) 화면 방향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1275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789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722B1 (ko)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20100057732A (ko)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288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801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경로 제공 방법
KR20100041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201100093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지도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43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362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0013010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3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09

Effective date: 2017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