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028A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028A
KR20100014028A KR1020080075809A KR20080075809A KR20100014028A KR 20100014028 A KR20100014028 A KR 20100014028A KR 1020080075809 A KR1020080075809 A KR 1020080075809A KR 20080075809 A KR20080075809 A KR 20080075809A KR 20100014028 A KR20100014028 A KR 2010001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odule
unit
outer fram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344B1 (ko
Inventor
김문평
원창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44B1/ko
Priority to US12/483,207 priority patent/US8238089B2/en
Publication of KR2010001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정 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면 및 적어도 하나의 둘레면을 감싸서 고정하는 외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 사이의 틈에 충전되는 수지 충전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수지 충전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그만큼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경량화 경향은 장착되는 부품들의 크기의 축소 및 불 필요한 공간의 제거 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부품들의 배치는 다른 부품의 기능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올바르게 작동될 것을 요한다.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는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기판을 프레임 등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모듈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자체로 보호되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는 프레임 구조가 요구되는 한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기 위하여 완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및 완충구조는 단말기의 경량화·소형화 경향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도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 및 완충구조를 제시하되,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면 및 둘레면을 감싸서 고정하는 외측 프레임;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킬 수 있게 바닥면지지부와 복수의 둘레면지지부를 가지며, 복수의 둘레면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배제된 내측 프레임; 및 둘레면지지부가 배제되어 외측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하는 틈에 충전되는 수지 충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외측 프레임은 금속 트레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외측 프레임의 상단 에지부는 접혀져서 두께가 이중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내측 프레임은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로변에 비해 세로변이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에 대응되는 내측 프레임의 둘레면지지부가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패널 및 LCD 패널을 조명시키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에 대응되는 내측 프레임의 둘레면지지부가 배제된 틈에 상기 수지 충전부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수지 충전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빛을 차단할 수 있게 불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하면, 수지 충전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그만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 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 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 듈이다.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 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 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단말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ㅊ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는,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포인터의 위치 및 포인터와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포인터가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 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 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 또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디(101)와 하부바디(102)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3에서 개시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바'타입이나, 두 개의 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타입의 휴대 단말기 등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임의의 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위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51)'의 물리적인 모습을 의미한다.
상부바디(101)가 하부바디(102)와 완전히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 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상부바디(101)가 하부바디(102)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부바디(101)와 하부바디(102)는 각각 바 형태로 형성되어 중첩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하부바디(102)와 상부바디(101)가 마주보는 각각 'ㄷ'자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열린 상태일 때와 닫힌 상태일 때 상부바디(101)의 상면과 하부바디의 상면 사이의 단차 또는 상부바디(101)의 하면과 하부바디(102)의 하면 사이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폼팩터(form factor)를 구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통화 모드, 편집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일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부바디(101)와 하부바디(10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휴대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주로 의도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상부바디(10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0), 음향출력부(152), 제1조작부(131) 및 제1영상입력부(121A)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부바디(10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려질 수 있다)는 상부 케이스(103)와 하부 케이스(104)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케이 스(103)와 하부 케이스(10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상부 케이스(103)와 하부 케이스(10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103)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0)의 출력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모듈(400)을 보호하는 윈도우(105)가 구비된다.
제1조작부(131)는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400)의 활성화 등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임의의 모드로의 이행을 명령하거나 입력한다. 개시된 제1조작부(13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터치를 위한 터치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131)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응하여 다양한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조명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00)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소자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00)은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00)은 상부바디(101)의 전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바디(10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400)을 통하여 입력과 출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모듈(400)은 숫자 또는 문자의 입력이나 아이콘화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키패드 형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키패드에 대한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 음향출력부(152)는 시스템의 각종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역할을 겸하거나, 별도의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윈도우(105)에는 관통홀(105a,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상입력부(121A)는 자기촬영(셀프 카메라) 또는 화상통신시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바디(101)와 마찬가지로, 하부바디(102)도 상부 케이스(106)와 하부 케이스(10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바디(102),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106)의 상면에는 제2조작부(133) 및 음향입력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3)는 키패드로 불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작부(133)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 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제2조작부(133)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바디(102)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바디(101) 또는 하부바디(102)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35),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키(135)는 제1영상입력부(121A)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사이드키(135) 또한,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바 디(102)의 하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1B)는 제1영상입력부(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부(124)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5)는 제2영상입력부(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4)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도 4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1B) 등이 하부바디(1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1B) 등과 같이 하부 케이스(107)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부바디(101)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바디(102)의 하부 케이스(107)에는 전원공급수단, 예를 들어 배터리를 덮기 위한 배터리커버(108)가 장착된다. 배터리커버(108)는 금속 또는 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색상의 구현을 위하여 착색 처리되거나 입체감 있는 시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윈도 우(105)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0), 음향출력부(152) 및 제1영상입력부(121A)가 각각 배치된다.
상부 케이스(103)에는 윈도우(105)와 터치패널(13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부(103a)가 형성된다. 윈도우(105) 및 터치패널(132)은 안착부(103a)의 깊이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윈도우(105) 및 터치패널(132)이 조립되면 윈도우(105) 및 터치패널(132)의 표면과 상부 케이스(103)의 테두리부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윈도우(105) 및 터치패널(132)의 바깥쪽 표면은 눌림이나 충격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외관이 저해되는 줄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reinforced glass)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00)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기판(401)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되어 형성된다.
구동회로 기판(401)은 LCD패널의 액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형성된 기판으로서 에프피씨비(Flexible PCB; FPCB)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끝단에는 하부바디(102)에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40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401a)는 슬림화 및 제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연성(flexible)의 수지필름에 프린트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4) 또는 상부 케이스(103)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0)이 안착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리브(104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 외측 프레임(420) 및 내측 프레임(430)을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위에서 설명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그 중 LCD 패널(411)로 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LCD 패널(411)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LCD 패널(411)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BLU)이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412)은 엘이디 등의 광을 받아 LCD 패널(411) 전면에 제공할 수 있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시트와 빛을 확상시키는 복수의 확산 시트, 반사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프레임에 의하여 일체 형태로 고정된다. 프레임은 외측 프레임(420)과 내측 프레임(430)을 포함한다.
외측 프레임(42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저면 및 적어도 하나의 둘레면을 감싸서 고정한다. 이러한 외측 프레임(420)은 얇은 금속판재,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US)과 같은 재질로 된 트레이 형태일 수 있다. 외측 프레임(420)의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둘레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된다.
내측 프레임(43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안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내측 프레임(43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수지재료가 사출 또는 몰딩되어 형성된다.
도 6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가로변에 비해 세로변이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대향되는 한 쌍의 둘레면 즉, 세로변은 내측 프레임(430)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도 7은 도 6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에 의하면, 내측 프레임(430A,430B)은 트레이 형태로 되어 있는 외측 프레임(42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있다.
외측 프레임(420)의 가로변 쪽에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430A)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면지지부(431)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둘레면지지부(432)를 포함하고 있다.
그에 반해, 외측 프레임(420)의 세로변 쪽에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430B)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바닥면만 닿을 수 있도록 둘레면지지부(432)가 배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가로변 쪽에 있는 둘레면은 내측 프레임(430A)에 접촉되는 반면, 세로변 쪽에 있는 둘레면은 내측 프레임(430B)에 접촉될 필요가 없게 되어, 둘레면지지부(432)가 배제된 만큼 디스플레이 모듈(400)의 가로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외측 프레임(420)의 두께가 0.15mm이고 둘레면지지부(432)의 두께가 약 1.5mm인 경우, 좌우 양쪽의 둘레면지지부(432)를 배제한 결과 약 3.0mm 만큼 길이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의하면, 외측 프레임(420)의 세로변 쪽의 상단 에지부(421)는 접혀져 서 두께가 이중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프레임(420)의 상단 에지부(421)는 바닥면지지부(432)가 배제되었을 때의 강성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수지 충전부가 충전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과 같이 수지 충전부가 충전되어 완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외측 프레임(420)의 세로변과 디스플레이 패널(410) 사이의 틈에 수지 충전부(440)가 충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세로변 쪽에 있는 둘레면은 수지 충전부(440)에 의하여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수지 충전부(440)는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외측 프레임(420) 사이의 좁은 틈에 액상으로 주입되어 자외선 등에 의하여 경화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410)가 외측 프레임(420)의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 자체의 완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수지 경화에 의하여 틈을 충전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기성형된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경우보다 조립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틈을 보다 완전하게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지 충전부(440)는 충전 도구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10)와 외측 프레임(420) 사이의 틈을 따라 진행하면서 충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둘레면으로 나온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수지 충전부(440)는 검정색 계열의 불투광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 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상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하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선에 따른 단면을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수지 충전부가 충전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과 같이 수지 충전부가 충전되어 완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분단면 사시도

Claims (10)

  1.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저면 및 둘레면을 감싸서 고정하는 외측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착시킬 수 있게 바닥면지지부와 복수의 둘레면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둘레면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배제된 내측 프레임; 및
    상기 둘레면지지부가 배제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하는 틈에 충전되는 수지 충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금속 트레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단 에지부는 접혀져서 두께가 이중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은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 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로변에 비해 세로변이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에 대응되는 내측 프레임의 둘레면지지부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패널 및 상기 LCD 패널을 조명시키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에 대응되는 내측 프레임의 둘레면지지부가 배제된 틈에 상기 수지 충전부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충전부는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충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빛을 차단할 수 있게 불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75809A 2008-08-01 2008-08-0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9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09A KR101595344B1 (ko) 2008-08-01 2008-08-0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2/483,207 US8238089B2 (en) 2008-08-01 2009-06-11 Portable terminal, display module thereof,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ispla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09A KR101595344B1 (ko) 2008-08-01 2008-08-0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028A true KR20100014028A (ko) 2010-02-10
KR101595344B1 KR101595344B1 (ko) 2016-02-18

Family

ID=4160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809A KR101595344B1 (ko) 2008-08-01 2008-08-0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38089B2 (ko)
KR (1) KR1015953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110A (ko) * 2012-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40036741A (ko) * 2012-09-18 201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윈도우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538829B1 (ko) * 2011-09-19 2015-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US9335788B2 (en) 2011-09-19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8269B1 (en) * 2007-03-08 2019-04-10 Sync-RX, Ltd. Image processing and tool actuation for medical procedures
KR101160426B1 (ko) * 2008-08-21 2012-06-28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표면 평탄성이 뛰어난 터치입력기능을 가진 보호패널 및 당해 보호패널을 가진 전자기기
JP2011176604A (ja) * 2010-02-24 2011-09-08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
US20120007810A1 (en) * 2010-07-10 2012-01-12 Chi-Ming Tseng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TWI427579B (zh) * 2010-09-16 2014-02-21 Au Optronics Corp 顯示器
US20120075233A1 (en) * 2010-09-28 2012-03-29 Symbol Technologies, Inc. Device display with a touch sensor
JP2012198434A (ja) * 2011-03-22 2012-10-18 Japan Display East Co Ltd 液晶表示装置
EP2640040B1 (en) * 2012-03-16 2018-10-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75338B1 (ko) * 2012-04-27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N103253195A (zh) * 2013-05-24 2013-08-21 开平市中铝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前挡风玻璃显示系统
KR101386529B1 (ko) * 2013-11-20 2014-04-17 (주)드림텍 모바일 장치의 키 모듈 도파구조 및 그 형성방법
US20150350653A1 (en) * 2014-05-28 2015-12-03 Apple Inc. Image compression based on device orient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USD779451S1 (en) * 2014-07-30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20170016648A (ko) * 2015-08-04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9863736B (zh) 2016-10-20 2021-08-17 讯宝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边缘激活的移动设备
CN108163613B (zh) * 2016-12-15 2020-02-07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薄膜电容传感器、fog及fog与3d产品保护盖板的贴合方法
US10999602B2 (en) 2016-12-23 2021-05-04 Apple Inc. Sphere projected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 and mode decision
US11259046B2 (en) 2017-02-15 2022-02-22 Apple Inc. Processing of equirectangular object data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by spherical projections
US10924747B2 (en) 2017-02-27 2021-02-16 Apple Inc. Video coding techniques for multi-view video
US11093752B2 (en) 2017-06-02 2021-08-17 Apple Inc. Object tracking in multi-view video
US10754242B2 (en) 2017-06-30 2020-08-25 Apple Inc. Adaptive resolution and projection format in multi-direction video
KR102576868B1 (ko) * 2018-07-31 2023-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044A (ja) * 2002-05-09 2003-11-21 Rohm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素子及び携帯端末
KR20050021106A (ko) * 2003-08-26 2005-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방향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딩-업 타입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29084B1 (ko) *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080017748A (ko) * 2006-08-22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2128A (ja) * 1985-11-11 1987-05-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装置
CA2055142C (en) * 1990-11-09 1995-03-28 Atsushi Asad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538275B (en) * 2000-09-18 2003-06-21 Alps Electric Co Lt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540553U (en) * 2000-12-04 2003-07-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Structure reinforced exterior frame for planar display device
KR101189154B1 (ko) * 2006-06-08 201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119048B2 (en) * 2006-09-22 2012-02-21 Nissha Printing Co., Ltd. Housing case,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case, and glass insert molding die used in same
KR101365069B1 (ko) * 2007-06-07 2014-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납 용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7859831B2 (en) * 2007-06-27 2010-12-28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911774B2 (en) * 2007-06-28 2011-03-22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Metal frame for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a folding portion and a seamless curved shape
CN101482671B (zh) * 2008-01-08 2011-07-06 璨飞光学(苏州)有限公司 具有双层结构光学膜片的背光模组
US8537543B2 (en) * 2008-04-1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044A (ja) * 2002-05-09 2003-11-21 Rohm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素子及び携帯端末
KR20050021106A (ko) * 2003-08-26 2005-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방향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딩-업 타입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80017748A (ko) * 2006-08-22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9084B1 (ko) *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29B1 (ko) * 2011-09-19 2015-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US9335788B2 (en) 2011-09-19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130105110A (ko) * 2012-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40036741A (ko) * 2012-09-18 201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윈도우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9339A1 (en) 2010-02-04
KR101595344B1 (ko) 2016-02-18
US8238089B2 (en)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028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37994B1 (ko) 휴대 단말기
US8306500B2 (en) Mobile terminal
KR101587087B1 (ko) 휴대 단말기
US9332096B2 (en) Mobile terminal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US20100120473A1 (en) Touch modul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01610B1 (ko) 이동 단말기
US8885347B2 (en) Mobile terminal
KR20100042543A (ko)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26250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rranged luminous elements
US9029722B2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557769B2 (en) Mobile terminal
KR1017171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101949733B1 (ko) 이동단말기
KR20140032648A (ko) 이동 단말기
KR20130104765A (ko) 이동단말기
KR101919781B1 (ko) 이동단말기
KR101909605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3094A (ko) 이동단말기
KR20130091588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8980A (ko) 이동 단말기
KR101919785B1 (ko) 이동단말기
KR20150057708A (ko) 이동단말기
KR101613954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