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829B1 -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829B1
KR101538829B1 KR1020120094997A KR20120094997A KR101538829B1 KR 101538829 B1 KR101538829 B1 KR 101538829B1 KR 1020120094997 A KR1020120094997 A KR 1020120094997A KR 20120094997 A KR20120094997 A KR 20120094997A KR 101538829 B1 KR101538829 B1 KR 10153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opening
display module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720A (ko
Inventor
최종철
문희철
배광진
최봉석
강효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1035012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19311B/zh
Priority to US13/622,703 priority patent/US9335788B2/en
Priority to EP12184962.4A priority patent/EP2570885B1/en
Publication of KR2013003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Abstract

본 발명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채용된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고정 장치는 소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일체형으로 상기 개구에 고정되는 슬림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가 채용된 휴대 단말기는 슬림해지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SLIM-TYPE DISPLAY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나,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정장치를 슬림하게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슬림화, 경량화 등을 추구추하는 추세에 있으며, 현재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멀티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나 경량화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슬림화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안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휴대 단말기 장착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슬림화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는 고정장치를 슬림하게 해야 한다.
도 1, 도 2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4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40)의 상면(402)에 소정 위치(410)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저면(404)에 미도시된 배터리 팩이 소정 위치(412)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40)은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성형되는데, 적어도 0.5mm 이상의 기본적인 두께를 감안해야 제작이 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40)은 제작 공정상의 이유로 0.5mm이상의 두께로만 제작이 가능한 구조였다.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40)은 사출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출성형 공정으로도 0.5mm 이상의 기본적인 두께로만 제작이 가능하였다. 상기 언급된 두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40)영역(410,412)의 두께를 의미한다.
만약,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을 0.5mm 이하로 제작한다면,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이 구비해야 할 강도나 평탄도 확보가 불가능하고, 평탄도 관리도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결국은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을 위한 강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 구조로서, 일본 특허공개번호 'JP 2007-121594호'가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의 저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소정위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소정위치는 그 최근에는 휴대하면서 장시간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음악,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제공되나,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의 강도 등을 확보하기 위한 일정 두께를 요함은 물론 내부에 제공되는 다양한 회로물에 의해 공간 확보가 어려우며, 이에 배터리 장착공간은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배터리 크기도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크기가 한정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배터리 장착 공간을 늘려 배터리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용량이 증가된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슬림하게 장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프레이 모듈 고정장치를 슬림하게 하면서, 장착 강성과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 강도 보강이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배터리 장착공간을 늘려 큰 용량을 가진 배터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일체형으로 상기 개구에 고정되는 슬림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 장치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상기 개구의 주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접합면; 및 상기 개구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접합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한 브라켓; 상기 개구의 주변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면; 및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브라켓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상기 하부 케이싱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하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고, 개구를 구비한 브라켓; 상기 개구의 주변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면;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브라켓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하부 케이싱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된 상기 개구의 일면으로 안착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구비된 상기 하부 케이싱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는 슬림하게 구성되어서,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의 슬림화에 기여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0.1mm~0.2mm 정도의 두께 줄임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 강성이과 평탄도를 유지하는데에 기여하였다. 즉, 슬림화만을 추구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 강성이나 평탄도 유지가 저하되지만, 슬림화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 강성이나 디스플레이 모듈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의 개구에 얇은 박막 형상의 지지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개구의 크기, 구체적으로 배터리의 실장 공간이 최소 0.2-0.5mm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늘어난 공간만큼 배터리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배터리의 용량이 커짐은 물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구동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슬림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압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완전히 압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 플레이트가 압입된 슬림 플레이트가 케이싱에 인서트 사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브라켓의 상면에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한 브라켓의 저면에 제공되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서 브라켓의 개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한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B-B'선 단면도.
도 13은 도 9에서 지지플레이트와 접합면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C-C'선측 단면도.
도 15는 도 9에서 지지플레이트와 접합면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9의 D-D'선 측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지칭한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면에 미도시된다.
도 3은 슬림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압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슬림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압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 또는 노트북과 같은 슬림함을 추구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도면에 미도시됨) 고정 구조를 슬림하게 하는데에 채용된다. 휴대 단말기는 본체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를 배치하는데,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가 슬림해야, 본체 케이싱(도 6에 도시됨) 슬림화에 유리하고, 결국 휴대 단말기 슬림화에 유리하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평행하게 고정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졌지만, 상기 고정장치는 별도의 슬림 플레이트(20)를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10)에 완전히 수용되게 압입하고, 별도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장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고정장치 슬림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언급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엘씨디 모듈을 의미하지만, 엘씨디 모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슬림 플레이트(20)의 압입 공정은 미도시된 프레스 지그를 사용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10)(이하 '브라켓'이라 지칭한다)과, 슬림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은 다이캐스팅으로 제작되며, 소정 형상의 개구(100)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100)는 후술하는 슬림 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공간으로, 수직 상방과 수직 하방은 개방되고, 4개의 수평 측방은 폐쇄되어짐으로서, 4개의 내벽(110~113)을 구비한다. 상기 슬림 플레이트(20)는 상기 브라켓(10)과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며, 서스(SUS)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서스 재질은 박막형(0.3mm 이하)으로서, 기존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박형으로 구성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슬림 플레이트(20)는 상기 개구(100)에 압입되어 상기 브라켓(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슬림 플레이트(20)는 외곽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의 걸림부(210~214)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100)에 삽입된다. 상기 각각의 걸림부(210~214)는 바닥에서 수직 상방으로 벤딩되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2 걸림부(211;213,214)와, 제3,4 걸림부(210;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걸림부(211;213,21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슬림 플레이트(20)의 바닥(220) 외곽에서 선형(외곽 둘레를 따라서)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4걸림부(210;212)는 제1,2걸림부(211;213,214)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슬림 플레이트 바닥(220) 외곽에서 선형(외곽 둘레를 따라서)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부(210~214)는 벤딩으로 형성된다고 이미 설명하였는데, 상기 걸림부(210~214) 제작 시에 벤딩 각도에 따라서 슬림 플레이트(20) 고정 강도를 보강해 주거나, 평탄도를 유지 또는 조절할 수 있다. 통상적인 서스 재질은 박막형의 금속 재질로서, 벤딩 각도에 따라서 걸림부(210~214)의 각각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210~214)의 벤딩 각도는 조립성 향상에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10)과 다수개의 걸림부(210~214) 사이에는 다수 개의 결합부(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5)는 상기 브라켓(10)에 압입된 슬림 플레이트(20)의 결합 강성과, 슬림 플레이트(20)(디스플레이 모듈)의 평탄도 유지를 위해서 구비되는데, 다수 개의 개구(215)와, 다수 개의 돌기(115)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215)는 상기 각각의 걸림부(210~214)를 따라서 다수 개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돌기(115)는 상기 브라켓 각각의 내벽(110~113)을 따라서 다수 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개구(215)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각각의 돌기(115)는 상기 내벽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특히 서로 마주보는 방향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압입 시에 대면하는 각각의 개구(215)에 삽입된다. 상기 브라켓(10)에 슬림 플레이트(20)가 완전히 압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브라켓(10)에 상기 슬림 플레이트(20)가 평행한 상태로 수용된다.
도 5에는 상기 각각의 걸림부(210,211)에 구비된 개구(215)에 돌기(115)가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림 플레이트(20)가 상기 브라켓(10)에 압입 공정으로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케이싱(30)에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다. 휴대 단말기는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을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장치가 채용되는 위치는 상부 케이싱이 될 수 있고, 하부 케이싱이 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일 경우, 상기 고정장치는 상부 케이싱(30)에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박막형이고, 강도 보강에 유리한 서스 재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에 구현함으로서, 휴대 단말기 슬림화에 기여하였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에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실장 공간을 더 넓힐 수 있으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도면과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을 대체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제1이나 제2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시,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이하에서 '브라켓'이라 함.)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위치를 상면이라고 하며, 배터리 및 하부케이싱 등이 장착되는 위치를 저면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브라켓은 슬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휴대 단말기를 슬림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브라켓에 개구가 형성됨으로써 저하되는 브라켓의 강도 저하 및 휴대 단말기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또한, 배터리가 실장되는 개구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20) 및 브라켓(520)의 상면에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500)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실장한 브라켓(520)의 저면에 제공되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500)는 본체(504), 디스플레이 모듈(510), 브라켓(520), 결합제(540), 지지플레이트(530) 및 배터리(550)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500)는 바형 단말기, 구체적으로는 풀 터치 바 타입(Full Touch Bar Type)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바 형의 상면으로 전면 전체를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본체(504), 브라켓(520), 지지플레이트(530) 및 배터리(550)가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500)라면 휴대 단말기(500)의 형태나 구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체(504)는 휴대 단말기(500) 케이스로서, 상부 케이싱(미도시)과 하부 케이싱(504)으로 분리 구획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전체로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형성되며 이를 브라켓(520)과 하부 케이싱(504)에 의해 실장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단말기(500) 전면에 강화유리 등을 포함하여 LCD나 AMOLED와 같은 LCD 플레이트(501)와, LCD 플레이트(501)의 배면에 LCD 플레이트(501) 등에 발생되는 외부 충격에서 LCD모듈을 보호하도록 스폰지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압축소재(502)를 포함하고, 이러한 압축소재(502)의 후면으로 S-PEN과 같은 접촉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EMR 시트(503)가 위치하여, LCD 플레이트(501)의 접촉 발생시 이에 따라 접촉에 따른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되었으나,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505는 휴대 단말기(500)의 후면, 구체적으로 본체(504)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배터리 커버'라고도 함.)을 일컫는다.
도 9는 도 7에서 브라켓의 개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한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브라켓(520)은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하부 케이싱(504) 사이에 제공되어, 본체(504)의 내부에 제공되는 회로물(560)들의 위치를 고정, 지지함은 물론 본체(504) 전체의 강도를 지지하는 구성물이다. 즉, 브라켓(520)은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후면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실장하며, 단말기(50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브라켓(520)은 단말기(50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STS, Mg 또는 A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PC+GF, PC 또는 PC+AB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브라켓(520)은 휴대 단말기(500)의 낙하 등에 따른 충격이나 비틀림 등의 발생에 대해, 디스플레이 모듈(510) 및 내부 회로물(560)들을 파손 및 본체(504)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켓(520)에는 배터리(550)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위한 개구(5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521)는 배터리(550)의 장착 시 배터리(550) 두께의 슬림화 구현을 위해 브라켓(520)의 약 70%정도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브라켓(520)의 전, 후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다. 따라서, 브라켓(520)에 형성된 개구(521)에 의해 브라켓(520)의 원래의 기능, 즉 본체(504)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얇은 박막 형태의 지지플레이트(530)가 개구(521)를 커버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530)가 개구(521)에 장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521)의 주변 둘레를 따라 지지플레이트(530)가 장착되는 접합면(522)이 형성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A-A' 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접합면(522)은 브라켓(520)의 일면으로,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실장되는 브라켓(520)의 일면으로 개구(521)의 주변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접합면(522)은 지지플레이트(5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550) 측으로 일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522)은 개구(521)의 주변을 따라 브라켓(520)의 일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브라켓(520)의 일면에서 인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합면(522)은 지지플레이트(530)의 주변둘레와 충분히 결합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접합면(522)에 지지플레이트(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530)의 일면은 브라켓(520)의 일면과 동일 높이를 갖게 된다. 즉, 지지플레이트(530)의 두께와 접합면(522)의 두께는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개구(521)의 형성에 따른 브라켓(520)의 강도 저하를 지지플레이트(530)에 의해 보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구(521)의 두께를 기존 대비 일정 높이, 구체적으로 0.2-0.5mm 이상 키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최근에 제공되는 슬림한 형상의 휴대 단말기(500)에 제공되는 브라켓(520)의 두께는 0.4~0.5mm 정도이며, 지지플레이트(530)의 두께는 0.1mm의 박막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에, 브라켓(520)의 접합면(522)의 인입 두께는 0.1mm정도로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530)가 접합면(522)에 실장되면 브라켓(520)과 동일면을 형성된다. 이에, 지지플레이트(530)가 실장된 상태에서 개구(521)의 두께는 기존 바닥면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0.3~0.4mm 이상 두꺼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최근에 제공되는 슬림한 휴대 단말기(500)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며, 그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휴대 단말기(500) 및 이에 제공되는 브라켓(520) 및 지지플레이트(530)의 두께에 따라 개구(521)의 늘어나는 두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개구(521)의 두께가 늘어나 이에 실장되는 배터리(540)의 두께가 늘어나는 경우라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플레이트(530)에 의해 일면이 커버된 개구(521)의 타면으로 배터리(550)가 실장된다. 즉, 브라켓(520)을 중심으로, 브라켓(520)의 전면에 지지플레이트(530)가 개구(521)를 덮는 형상으로 브라켓(520)의 접합면(522)에 실장되며, 그 후면으로 개방된 개구(521)에 배터리(550)가 실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하였지만, 지지플레이트(530)는 박막의 얇은 플레이트로서, 기존 홈으로만 형성된 배터리(550) 실장 공간보다 약 0.2-0.5mm 이상의 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어 그 공간의 크기만큼 배터리(550)의 크기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휴대 단말기(500) 특히 풀 터치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500)의 경우, 슬림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슬림한 휴대 단말기(500)의 한정된 공간 상에서 배터리(550) 장착 공간을 넓힐 수 있게 되고, 넓어진 장착 공간만큼 배터리(550)의 크기를 크게하여 배터리(550)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늘어난 배터리(550)의 용량만큼 휴대 단말기(500)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530)는 브라켓(520)과 같은 재질 또는 이종 재질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브라켓(520)은 STS, Mg 또는 Al 의 금속 또는 PC+GF, PC 또는 PC+ABS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때, 브라켓(520)에 형성된 개구(521)에 제공되어 브라켓(520)의 보강력을 증가시킴은 물론 개구(521)의 공간을 늘릴 수 있도록 STS, Mg 또는 Al과 같은 금속이나, PC 시트와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얇은 박막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또한, 접합면(522)에는 지지플레이트(530)의 주변 둘레가 접합면(5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제(540)가 제공된다. 이러한 결합제(540)는 본드와 같은 액상형 결합제(540)나, 열 융착형 접착 테이프, 또는 일반형 테이프와 같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결합제(54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합면(522)과, 접합면(522)과 대면되는 지지플레이트(530)의 주변둘레를 압축시킴으로써, 압축 열에 의해 접착되는 등의 다양한 결합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슬림한 휴대 단말기(500)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550)의 실장공간 증가 및 이에 따른 배터리(55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어 배터리(550)의 용량이 커짐으로 휴대 단말기(500)의 구동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접합면(522)을 포함하는 결합면은 개구(521)의 주변 둘레에 구비되어 브라켓(52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면에 제공되는 플레이트(530)는 브라켓(52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브라켓(520a, 520b)은 지지플레이트(530a 530b)가 접합면(522)에 체결 시 접촉 면적을 넓게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 정도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 중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더 설명한다.
도 13은 도 9에서 지지플레이트(530)와 접합면(522)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C-C'선 측 단면도이다. 도 13과 도14를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530a)가 접합면(522a)에 체결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530a)와 접합면(522a)과의 접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접합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도록 오목면부(570)가 형성된다. 특히 오목면부(570)는 접합면(522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4면의 접합면(522a)을 갖는 경우 각 면당 하나씩의 오목면부(5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면부(570)는 제1오목면부(571)와 제2오목면부(572)를 포함한다. 제1오목면부(571)는 접합면(522a) 상에 접합면(5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접합면(522a)에서 배터리(550) 방향으로 인입되어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제2오목면부(572)는 제1오목면부(571)에 맞물리는 형상을 갖도록 지지플레이트(530a)의 주변둘레에 형성된다. 즉, 제2오목면부(572)는 지지플레이트(530a)의 주변둘레로 접합면(522a)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되되, 제1오목면부(571)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배터리(550)가 실장되는 방향으로 인입되어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530a)의 주변둘레가 결합제(540)에 의해 접합면(522as)에 체결되는 경우, 제2오목면부(572)가 제1오목면부(571)에 맞물리게 결합된다. 이에, 결합면적이 넓어지게됨음 물론 이에 따라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는 도 9에서 지지플레이트와 접합면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9의 D-D'선 측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의 오목면부(570)의 형태가 복수개의 도트부(580)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합면(522a)과 접합면(522a)에 대면되는 지지플레이트(530a)의 주변둘레에 오목면부(570)가 형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는 오목면부(570) 대신에 도트부(580)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지지플레이트(530b)와 접합면(522b)과의 접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접합면적을 넓게 할 수 있도록 도트부(580)가 형성된다. 도트부(580)는 제1도트부(581)와 제2도트부(582)를 포함한다. 제1도트부(581)는 접합면(5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제2도트부(582)는 지지플레이트(530b)이 주변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제1도트부(581)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도록 지지플레이트(530b)의 주변둘레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이에, 지지플레이트(530b)가 접합면(522b)에 맞물려 결합제(540)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제2도트부(582)는 제1도트부(581)에 맞물려 결합된다. 이에 결합되는 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결합력도 증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봤듯이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510) 고정장치, 즉 브라켓(520)은 넓은 개구(521)에 의해 발생되는 강성 저하를 지지플레이트(530)가 결합됨으로써 단순 고정 구조에 비해 50%이상의 브라켓(52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순 고정 구종에 비해 휴대 단말기(500) 전체적으로 30%이상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20)의 바닥면 두께가 0.4~0.5mm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에 따라 박만 형상의 지지플레이트(530)는 두께 0.1mm 정도를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브라켓(520)을 이용하여 홈과 같은 형상의 배터리 실장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등에 비해 0.3~0.4mm 정도의 공간이 더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증가되는 공간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520)과 지지플레이트(530)의 두께에 따라 0.1~0.5mm이상, 구체적으로 0.1~1mm 정도 까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늘어난 개구(521)의 두께만큼 개구(521)에 장착되는 배터리(55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500)의 구동시간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20 : 슬림 플레이트
100 : 개구 110~113 : 4개의 내벽
210~214 : 다수개의 걸림부 220 : 슬림 플레이트 바닥
15 : 다수 개의 결합부
500: 휴대 단말기 510 : 디스플레이 모듈
520 : 브라켓 530 : 지지플레이트
540 : 액상형 결합제 550 : 배터리
560 : 내부 회로물 570 : 오목면부(570)
580 : 도트부

Claims (31)

  1.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에 일체형으로 상기 개구에 고정되는 슬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개방되며 그 주변둘레로 벤딩된 내벽을 구비하며,
    상기 슬림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보다 박막형으로 구비되어 개방된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개구의 내벽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플레이트는 외곽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슬림 플레이트의 바닥에서 수직 상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며,
    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2걸림부; 및
    상기 제1,2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며, 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3,4 걸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과 걸림부 사이에는 다수 개의 결합부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각각의 걸림부를 따라서 다수개 등간격으로 구비된 개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각각의 내벽을 따라서 다수 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압입에 따라 상기 개구에 결합되는 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슬림 플레이트의 평탄도 유지에 기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벤딩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슬림 플레이트의 고정 강도를 보강하거나 조절가능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플레이트는 서스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은 휴대 단말기 케이싱에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에 완전히 수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과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2.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 형상을 가지며, 상, 하 개방되는 개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
    상기 개구의 주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접합면; 및
    상기 개구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접합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브라켓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서 인입되게 상기 개구 주변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박막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된 상기 개구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접합면에 결합시키는 결합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본드, 열융착 접착 테이프 또는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접합면에 실장되면, 상기 배터리가 실장되는 상기 개구의 공간은 상기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0.2~0.5mm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접합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의 결합되는 면적을 넓게하는 제1오목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주변둘레에는 상기 제1오목면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제2오목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에는 상기 접합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의 결합되는 면적을 넓게하는 복수개의 제1도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주변둘레에는 상기 제1도트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제2도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STS, Mg 또는 A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PC+GF, PC 또는 PC+AB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STS, Mg 또는 A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의 금속 박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PC재질의 박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5.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한 브라켓;
    상기 개구의 주변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면; 및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브라켓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주변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내벽에 결합되게 벤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내벽과 이웃하여 상기 개구의 주변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서 인입되게 형성되는 접합면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개구 주변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서 인입되는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주변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접합면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에 맞물리는 상기 플레이트에는 체결제, 오목면부, 도트부 또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프레임.
  3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하부 케이싱;
    상기 하부 케이싱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하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고, 개구를 구비한 브라켓;
    상기 개구의 주변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면;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브라켓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하부 케이싱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된 상기 개구의 일면으로 안착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구비된 상기 하부 케이싱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94997A 2011-09-19 2012-08-29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KR10153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350121.XA CN103019311B (zh) 2011-09-19 2012-09-19 用于便携终端的纤薄型显示模块固定装置
US13/622,703 US9335788B2 (en) 2011-09-19 2012-09-19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EP12184962.4A EP2570885B1 (en) 2011-09-19 2012-09-19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4074 2011-09-19
KR1020110094074 2011-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720A KR20130030720A (ko) 2013-03-27
KR101538829B1 true KR101538829B1 (ko) 2015-07-23

Family

ID=4818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997A KR101538829B1 (ko) 2011-09-19 2012-08-29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773A1 (ko) * 2016-11-11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92B1 (ko) 2015-02-02 2021-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564A (ja) * 2005-07-22 2007-02-0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
KR20100014028A (ko) * 2008-08-01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564A (ja) * 2005-07-22 2007-02-0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
KR20100014028A (ko) * 2008-08-01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773A1 (ko) * 2016-11-11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720A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837B2 (en) Mobile terminal
KR101395358B1 (ko) 방수시트가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2117109B (zh) 显示模块
JP5146286B2 (ja) 装置筐体及び携帯端末装置
EP2570885B1 (en) Slim-Type Display Module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101141499B (zh) 一种采用二合一扬声器下沉式结构的手机
KR20120112747A (ko)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KR10153882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US810725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802809B2 (ja) 両面表示型液晶モジュール
US8823898B2 (en) Suspension and tolerance absorption subassembly for a display screen
US8934623B2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JP5374987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2124233A (ja) 電池パック
WO2021184900A1 (zh) 显示装置的后壳及显示装置
JP5446189B2 (ja) 携帯端末装置
CN210246826U (zh) 电子终端
EP2515160B1 (en) Suspension and tolerance absorption subassembly for a display screen
KR1019662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WO2021093428A1 (zh) 电子终端
CN108494905B (zh) 电子组件和电子设备
CN217587970U (zh) 壳体组件和终端设备
JP5098918B2 (ja) 携帯端末装置
KR20140045641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내부 프레임의 제조 방법
CN114513920A (zh) 一种边框密封结构以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