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543A -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543A
KR20100042543A KR1020080101743A KR20080101743A KR20100042543A KR 20100042543 A KR20100042543 A KR 20100042543A KR 1020080101743 A KR1020080101743 A KR 1020080101743A KR 20080101743 A KR20080101743 A KR 20080101743A KR 20100042543 A KR20100042543 A KR 2010004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de
mobile terminal
user in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209B1 (ko
Inventor
조성윤
김재근
임상연
김회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209B1/ko
Priority to US12/482,052 priority patent/US8565828B2/en
Publication of KR2010004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키패드가 인쇄된 레이어와 터치 센서가 중첩되도록 구성되며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동작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이동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동작모드를 터치패드 및/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 터치패드, 터치키패드, 입력장치

Description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키패드, 커서이동을 위한 방향키,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이동단말기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디자인 및 입력방식의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패드 및/또는 터치키패드로 동작하는 터치 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터치 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키패드가 인쇄된 레이어와 터치 센서가 중첩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동작모드를 커서의 사용여부에 따라 터치패드 및/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기능이 실행되면 커서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 사용여부에 따라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터치패드 및/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터치키패드 및/또는 터치패드로 사용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적합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 드래그 입력(gesture)만으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시 입력장치를 터치패드로 이용하여 커서(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므로 작은 영역의 특정 객체를 선택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 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 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 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 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 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 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폴더폰의 경우, 이동단말기(100)는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2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 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바디가 제2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2바디가 스윙되어 제1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프론트 케이스(230)와 제2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2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 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2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 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1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205)의 제2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 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모듈(15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룬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표시장치로서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음향 신호를 가청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 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제2바디(205)에는 마이크(122)와 사용자 입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키패드 및/또는 터치패드(마우스패드)로 사용될 수 있는 듀얼 입력장치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일면에 문자, 숫자, 특수기호(*, #) 등이 인쇄된 레이어(131)와 상기 레이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터치 센서(13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일면에 키패드가 인쇄된 유리와 그 유리에 겹치도록 접촉된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포인터의 터치가 감지되면 그 터치 해제 시 터치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키패드 모드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전체 면적을 소정 개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분리된 영역별로 키패드의 키를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키 입력으로 인식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지점에 맵핑되는 키입력으로 인식하고 그 키에 할당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는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패드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포인터의 터치 입력{동작 인식(gesture recognition)}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커서(cursor)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 입력부(130)는 컴퓨터에서 모니터에 표시되는 마우스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마우스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드래그가 감지되면 포인터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고, 단순 터치가 되면 커서가 가리키는 객체를 선택한다. 여기서, 단순 터치는 마우스의 클릭 동작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백라이트(미도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미도시)은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키패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모듈을 온시켜 터치키패드를 구성하는 키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패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모듈을 오프시켜 인쇄된 키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사용자 입력부(130)는 일반 노트북 컴퓨터의 터치패드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업/다운(Up/Down)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바디(205)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이면 슬라이드 업으로 감지하고,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전면에 중첩되면 슬라이드 다운으로 감지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슬라이드 업을 감지하면 열린 상태로 인식하고, 슬라이드 다운이 감지되면 닫힌 상태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180) 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상태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키패드 아이콘에서 사용자 입력부(130)의 물리적 키패드로 전환된다. 반대로, 물리적 키패드에서 키패드 아이콘(onscreen editor)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업에서 슬라이드 다운으로 변화하면 제어부(180)는 물리적 키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키패드 아이콘으로 전환한다. 한편, 슬라이드 다운에서 슬라이드 업으로 변화하면 제어부(180)는 키패드 아이콘에서 물리적 키패드 활성으로 전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입력모드를 터치패드와 터치키패드로 활성화시킨다(S101, S103). 즉, 이동단말기(10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두 모드를 모두 활성화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입력이 잠금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단말기(10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상기 터치입력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인터의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 형태를 확인한다(S105, S107). 즉,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이 드래그 인지 또는 단순 터치 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이 드래그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소정 기능을 실행시킨다(S109).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한 드래 그 동작을 통해 사용자 입력부(130)에 원을 그리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문서 뷰어(text viewer)를 실행시킨다.
상기 단계(S107)에서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이 드래그가 아니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키 입력으로 인식하여 해당 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으로 받는다(S111). 즉, 사용자 입력부(130)의 특정 지점에 터치에 이어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터치키패드의 키입력으로 인식한다.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0)의 제1바디(200)를 슬라이딩시키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슬라이딩을 감지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그 확인결과,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a).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입력 잠김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잠김 설정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대기화면(배경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대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30)에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센서(132)를 통해 상기 터치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터치가 드래그 입력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자 손가락이 드래그 동작으로 통해 원을 그리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음악 플레이어를 실행시킨다(b)(c).
한편, 상기 감지된 터치가 드래그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가 해제될 때 그 지점에 대응되는 키입력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이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영역에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센싱부(140)로부터 수신하여 그 위치에 대응되는 키를 확인한다. 즉,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맵핑되는 데이터가 '4'인 경우, 제어부(180)는 숫자키 4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 숫자를 표시한다(d)(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의해 소정 기능(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키며, 상기 실행된 기능에서 커서를 사용하는지 확인한다(S201, S203). 여기서, 상기 커서 사용은 각 기능별로 그 사용여부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커서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 상에 커서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를 터치패드 모드로 활성화시킨다(S205).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키패드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 센서(132)를 통해 터치 위치 및 입력 형태, 이동경로 등을 인 식한다(S207).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한다(S209). 즉,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입력이 선택 명령인지 커서 이동 명령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포인터가 제1지점에 터치된 후 위치 이동 없이 상기 제1지점의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객체를 선택한다. 한편, 상기 포인터가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드래그 동작),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경로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이동경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S203)에서 상기 실행된 기능에서 커서 사용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시킨다(S211).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패드 모드는 비활성화시킨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의해 그림메모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그 선택된 그림메모 기능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림메모 기능에서의 커서 사용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커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실행화면 상에 커서(501)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 는 드래그 동작에 따라 커서(501)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서(501)의 이동 경로를 따라 그리기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그림메모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30)에 드래그 동작에 의한 직선이 그려지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고 그 드래그 동작에 따라 커서(501)를 이동시키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그림메모창에 상기 커서(501)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선을 표시한다.
도 9b에 따르면, 메뉴 조작에 의해 메모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이동단말기(100)의 열린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그 확인결과 이동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텍스트 입력창(502)만 표시한다. 그리고, 동시에 제어부(180)는 커서의 이용여부를 확인하여 커서의 이용이 불필요한 경우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키패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터치패드 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30)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지점에 대응되는 문자를 확인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502)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를 키패드의 키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키에 대응되는 텍스트 입력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터치지점이 8번 키로 할당된 영역인 경우, 제어부(180)는 8번키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 't'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텍스트 입력창(502)에 t를 입력한다.
상기 텍스트 입력 중 슬라이드가 닫히면 즉, 이동단말기(1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창(502)의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창(502)의 축소로 생성된 표시영역에 키패드 아이콘(503)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 아이콘(503)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입력장치로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텍스트 입력창(502)가 표시되는 영역을 축소하고 그 축소로 생성된 표시영역에 키패드 아이콘(503)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텍스트 입력창(502)의 일부에 키패드 아이콘(503)이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 아이콘(503)은 소정의 투명도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에 따른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동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입력장치를 활성시키면 제어부(180)는 키패드 아이콘(503)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센싱부(140)는 슬라이드 상태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즉, 센싱부(140)는 슬라이드 다운을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이후, 이동단말기(100)의 슬라이드가 업되면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슬라이드 업 정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슬라이드 업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키패드 아이콘(503)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이동단말기(100)의 제1바디(200)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그 슬라이드로 인해 노출되는 제2바디(205)의 사용자 입력부(130)의 노출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 아이콘(503)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의 제1바디(200)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그 슬라이드 정도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 아이콘(503)을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드 동작으로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키패드를 구성하는 키(keys)의 아래 2행이 노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 아이콘(503)을 일 방향(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 아이콘(503)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키패드 아이콘(503)의 일부가 사라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키패드의 2행이 노출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 아이콘(503)의 2행이 숨겨진다. 즉, 터치키패드의 노출된 2행과 키패드 아이콘(503)의 숨겨진 2행은 일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패드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이 요구되면(S301, S303),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패드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터치키패드 모드를 활성화시킨다(S305).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키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후, 상기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터치가 감지 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으로 인식하여 그 감지된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을 키입력으로 인식한다(S307, S309).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할당된 텍스트(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 등)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311).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웹브라우저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접속한 웹사이트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해당 기능 사용시 커서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 커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웹페이지 상에 커서(501)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 입력부(130)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커서(50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인터가 접촉된 상태로 접촉 지점이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그 포인터의 접촉 지점 이동에 따라 커서(501)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을 통해 커서(501)를 웹페이지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커서를 웹페이지 상의 텍스트 입력창(504)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텍스트 입력창(504)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 을 받기 위한 환경을 설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터치패드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터치키패드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부(130)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그 감지된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키입력으로 인식하여 해당 텍스트를 텍스트 창에 표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G가 할당된 키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 입력창(504)에 'G'를 입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그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슬라이드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설정화면에서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가 이전 동작모드와 상이하면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모드를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모드가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기(100)의 슬라이드가 열릴 때 사용자 입력 부(130)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와 반대로 이동단말기(100)의 슬라이드가 닫힐 때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에 따른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키패드가 인쇄된 레이어와 터치 센서가 중첩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동작모드를 커서의 사용여부에 따라 터치패드 및/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사용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터치패드 모드로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사용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터치패드 모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모드 로 전환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동작모드를 터치키패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터치패드 및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이면 터치패드 입력으로 인식하여 드래그에 대응되는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가 아닌 경우, 터치키패드의 키입력으로 인식하여 해당 입력 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슬라이드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슬라이드 열림이 감지될 때마다 사용자 입력부의 동작 모드를 선택받아 그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소정 기능이 실행되면 커서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 사용여부에 따라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터치패드 및/또는 터치키패드 모드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커서 사용이 설정된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터치패드로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커서 사용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터치키패드로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에 터치가 감지되면 그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키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동작모드가 상기 터치패드 모드일 때 입력모드가 텍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패드 모드를 터치키패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동작모드가 상기 터치키패드 모드일 때 이동단말기가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동작모드를 비활성화시키며 표시장치에 키패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입력장치 제어방법.
KR1020080101743A 2008-10-16 2008-10-16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43A KR101504209B1 (ko) 2008-10-16 2008-10-16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2/482,052 US8565828B2 (en) 2008-10-16 2009-06-10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43A KR101504209B1 (ko) 2008-10-16 2008-10-16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543A true KR20100042543A (ko) 2010-04-26
KR101504209B1 KR101504209B1 (ko) 2015-03-19

Family

ID=4210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743A KR101504209B1 (ko) 2008-10-16 2008-10-16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65828B2 (ko)
KR (1) KR101504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705B2 (en) * 2008-06-19 2016-12-06 Tactile Displays, Llc Interactive display with tactile feedback
JP5295940B2 (ja) * 2009-12-11 2013-09-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10719131B2 (en) 2010-04-05 2020-07-21 Tactile Displays, Llc Interactive display with tactile feedback
US20200393907A1 (en) 2010-04-13 2020-12-17 Tactile Displays, Llc Interactive display with tactile feedback
JP4956644B2 (ja) * 2010-05-31 2012-06-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入力制御方法
KR20110138914A (ko) * 2010-06-22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703873B2 (ja) * 2011-03-17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415354U (en) * 2011-07-06 2011-11-01 Acer Inc Computer input device with labeling areas
US9983785B2 (en) 2011-07-28 2018-05-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put mode of a device
US20130085705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pplication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upon detecting a change in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KR20130095478A (ko) * 2012-02-20 2013-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AU352564S (en) * 2013-03-08 2013-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760696B2 (en) * 2013-09-27 2017-09-12 Excalibur Ip, Llc Secure physical authentication input with personal display or sound device
USD768101S1 (en) * 2013-10-17 2016-10-04 Shenzhen Wave Multimedia Co., Ltd. Cellular phone
USD763863S1 (en) * 2014-01-31 2016-08-16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528057B (zh) * 2014-09-28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响应方法和电子设备
US9652045B2 (en) * 2014-09-19 2017-05-16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ponse
CN105491183B (zh) * 2014-09-19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474409B2 (en) * 2014-09-19 2019-11-12 Lenovo (Beijing) Co., Ltd.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5528163B (zh) * 2014-09-28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响应方法及电子设备
CN105527822B (zh) * 2014-09-29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US9746937B2 (en) * 2015-10-02 2017-08-2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ssembly position sensing and virtual keyboard display
US20190310770A1 (en) * 2016-02-01 2019-10-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isplays of virtual input devices
CN105892275B (zh) * 2016-06-20 2019-04-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智能手表
US10628038B2 (en) 2017-08-24 2020-04-21 Beijing Luckey Technology Co., Ltd. Touchpad-based fast information input interaction method and input interaction system
CN107340969B (zh) * 2017-08-24 2020-05-08 北京拉酷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触控板的快速信息输入交互方法及输入交互系统
DE102018005621A1 (de) * 2017-10-06 2019-04-11 Adobe Inc. Selektives Aktivieren einer Trackpadfunktionalität in Grafikschnittstellen
US11488053B2 (en) 2017-10-06 2022-11-01 Adobe Inc. Automatically controlling modifications to typeface designs with machine-learning models
US10983679B2 (en) 2017-10-06 2021-04-20 Adobe Inc. Selectively enabling trackpad functionality in graphical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113A (en) * 1991-07-31 1997-09-09 Microtouch Systems, Inc. System for using a touchpad input device for cursor control and keyboard emulation
JP3696123B2 (ja) * 2000-05-23 2005-09-14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セルラフォン、該セルラフォンの駆動方法、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の駆動方法
US7356361B1 (en) * 2001-06-11 2008-04-08 Palm, Inc. Hand-held device
US7692667B2 (en) * 2001-08-17 2010-04-06 Palm, Inc.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are interactive with an integrated display
TWM240050U (en) * 2003-04-02 2004-08-01 Elan Microelectronics Corp Capacitor touch panel with integrated keyboard and handwriting function
KR20060009607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문자, 패턴 및 리듬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KR20060017042A (ko) * 2004-08-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엘시디 장치와 그구동 방법
KR100585776B1 (ko) * 2004-10-1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메뉴 리스트 표시 제어 방법
US7489306B2 (en) * 2004-12-22 2009-02-10 Microsoft Corporation Touch screen accuracy
US7983723B2 (en) * 2005-06-15 2011-07-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losed mode user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P1758345B1 (en) *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KR100800827B1 (ko) * 2006-09-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립 업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GB2445178A (en) * 2006-12-22 2008-07-02 Exoteq Aps A single touchpad to enable cursor control and keypad emulation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1252607A (zh) * 2007-02-25 2008-08-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带有扩展显示屏的滑盖式手机
KR101415296B1 (ko) * 2007-05-29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0840615B1 (ko) * 2007-11-01 2008-06-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에서의 컴퓨터 입력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그휴대폰
US8108014B2 (en) * 2008-03-14 2012-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spring lif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209B1 (ko) 2015-03-19
US20100099463A1 (en) 2010-04-22
US8565828B2 (en)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09B1 (ko)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5170B1 (ko) 이동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9697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KR101412586B1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10095682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452B1 (ko)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KR2010008339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잠금 화면 제어방법
KR201000203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전송 방법
KR201000246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1030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방법
KR2010004569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00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000108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제어방법
KR20100109277A (ko) 단말기 및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제어방법
KR201000198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673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1015838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표시방법
KR2009011104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2009010885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 방법
KR101557353B1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화면 캡쳐 방법
KR201000208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000242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2009011941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5455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