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52B1 -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52B1
KR101474452B1 KR1020080076182A KR20080076182A KR101474452B1 KR 101474452 B1 KR101474452 B1 KR 101474452B1 KR 1020080076182 A KR1020080076182 A KR 1020080076182A KR 20080076182 A KR20080076182 A KR 20080076182A KR 101474452 B1 KR101474452 B1 KR 10147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esent
mobile terminal
pressure intensity
termina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231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입력의 힘(혹은 압력)과 방향을 감지하는 이동단말기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터치입력(힘과 방향)의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의 각종 동작과 실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키입력, 진동, 다단계 터치입력 등을 제어하여, 단말조작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본 발명은 외부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터치의 압력이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압력, 터치방향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OUCH INPUT OF MOBILE TERMINAL}
본 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고 음성 및 영상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이동단말기는 통신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게 됨에 따라,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메뉴를 조작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과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이러한 시도들 중의 하나이다.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이동단말이 늘어나면서 터치입력과 조작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입력에 포함된 압력의 세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단말의 동작과 실행에 적용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입력의 힘(혹은 압력)과 방향을 감지하는 이동단말기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터치입력(힘과 방향)의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의 각종 동작(예: 스크롤, 미니맵, 플리킹, 스핀박스, 멀티미디어 뷰어, 멀티미디어 파일재생, 화면전환 등)과 실행(예: 메뉴실행, 기능실행, 단축메뉴 실행,핫키 실행, 멀티태스킹 실행, 탭실행, 삭제실행 등)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키입력, 진동(혹은 진동 피드백), 다단계 터치입력 등을 제어하여, 단말조작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외부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터치의 압력이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은, 외부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의 압력이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 (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 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호신호, 화상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에 내장 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부(1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와 근접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 (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 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 (153)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 (100)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을 이루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와 촉각 센서(14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촉각 센서(144)는 인간의 피부와 같이 접촉감을 느끼기 위한 센서로서 압력센서 또는 힘센서가 2차원(혹은 3차원) 배열된 센서이다. 촉각 센서는 평평한 평면뿐 아니라 굴곡진 면에 부착가능하다. 촉각센서(144)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와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외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간명한 설명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폴더폰의 경우, 이 동단말기(100)는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영문과 다른 부분)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 (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 (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 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저해상도)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고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은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 모듈(152)은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 모듈 (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 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 (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 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 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다음은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5a 및 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웨어 키'라 불릴 수 있다.
도5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웨어 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웨어 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웨어 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웨어 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부(116)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5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5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5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5b는 이동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 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웨어 키(135c) 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웨어 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웨어 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터치스크린(혹은 터치패드 등)에 가해지는 터치압력 (이하, '터치압'이라 한다)의 세기이나 터치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 재생속도, 투명도(혹은 가시도), 키입력, 진동 피드백, 단축메뉴의 연동을 제어하는 이동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151)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와 터치압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촉각 센서(1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와 도6b는 스크린 표면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스크린 표면의 특정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스크린 표면의 해당 방향으로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제어부(180)는 상기 촉각 센서(144)를 통해 이러한 쏠림현상을 감지하고,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을 검출한다.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설정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스크롤(Scroll), 미니맵(mini Map), 플리킹(Flicking), 스핀박스(상하 스핀박스, 좌우 스핀박스 등), 멀티미디어 뷰어(viewer),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전환 등과 같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의 예시도이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일단, 소정의 컨텐츠(예: 뮤직파일 등)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화면 우측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화면의 컨텐츠 리스트들을 업다운하는 스크롤 바(402)도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는 상기 스크롤 바(402)에 가해지는 터치 압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방향(업 or 다운)과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스크롤 바(402)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고 터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 압력(혹은 터치압)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촉각 센서(144)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압의 방향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방향(업 or 다운)을 결정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압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그에 따른 방향성 기호(예: 화살표 등)(404)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측에 디스플레이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압의 세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그 세기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상기 터치압이 강하면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속도는 빨라지고, 터치압이 약하면 상기 이동속도는 느려질 것이다.
만일, 상기 터치입력이 특정 지점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것(예: 터치 &드래그 등)인 경우, 제어부(180)는 그에 따른 처리루틴을 실행한다.
도8b는 도8a의 특정 음악파일(예: Music file 3)이 선택되었을 때, 음악 재생기가 실행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화면 우측에, 사운드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 바(406)도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도8b의 볼륨조절은 상기 스크롤 제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맵 제어의 예시도이다.
도9a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사진을 한 화면에 모두 담을 수 없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 일측에 미니맵(408)도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맵 제어는 상기 미니맵(408)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영역의 이동방향(업 or 다운)과 속도를 제어한다. 도9b는 웹 브라우져를 디스플레이 하고, 화면 일측에 미니맵(408)을 나타낸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리킹 제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리킹 제어는 플리킹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들의 업, 다운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표면의 일지점에서 플리킹으로 판정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일단, 상기 촉각 센서(144)를 통해, 상기 플리킹의 세기와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플리킹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속도와 방향(업 or 다운)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플리킹의 경우, 플리킹이 이루어진 거리나 스피드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속도가 결정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플리킹으로서 감지되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들의 이동속도는 상기 플리킹의 세기가 강할수록 빨라지고, 플리킹의 세기가 약할수록 느려진다.
도10b는 플리킹 제어의 다른 예시도로서, 이미지들의 아이콘(혹은 썸네일)을 플리킹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핀박스 제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핀박스 제어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이미지 전환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박스(410)를 누르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일단, 상기 가해지는 힘(터치압) 의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터치압에 따라 이미지 전환속도(빠르게 혹은 느리게)를 조절한다.
도12 내지 도1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뷰어화면을 제어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뷰어화면 제어는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뷰어(예: 텍스트 뷰어)화면의 상,하,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6의 설명에서 기술하였듯, 사용자가 스크린 표면의 특정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해당 방향으로 스크린 표면의 쏠림현상이 나타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쏠림을 감지하여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을 검출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린 표면의 일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압력(터치압)을 가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촉각 센서(144)를 통해 상측방향으로 나타나는 쏠림현상을 감지하고,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텍스트 화면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도13는 사용자가 상측방향으로 압력(터치압)을 가했을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제어부(180)는 하측방향으로 나타나는 쏠림현상을 감지하고,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텍스트 화면을 위로 이동시킨다.
도12내지 도13는 텍스트 뷰어에 관한 실시예로서 나타낸 것이지만, 텍스트 뷰어(text viewer)뿐 아니라, 문서 뷰어(document viewer), 파일 뷰어(file viewer), 포토뷰어(photo viewer) 등 각종 뷰어에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기(RR/FF)버튼 제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기(RR/FF)버튼 제어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동영상 파일(혹은 음악파일)의 감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버튼(혹은 RR버튼)(412)를 누르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가해지는 힘(터치압)의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터치압에 따라 동영상 파일의 감는 속도(빠르게 혹은 느리게)를 조절한다.
도14b는 음악파일(MP3) 재생기(혹은 음성 재생기)의 감기(RR/FF)버튼 제어에 관한 예시도이다. 음악파일(MP3) 재생의 감기(RR/FF)버튼 제어도, 도14a의 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제어의 예시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스 바 제어는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동영상 파일(혹은 음악파일)의 감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레스 바의 일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측방향(예: 우측방향)으로 압력(터치압)을 가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압이 우측으로 쏠리는 것을 감지하고, 동영상 파일의 빨리감기(FF)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빨리감는(FF) 속도를 제어한다.
만일, 사용자의 터치에 방향성(혹은 쏠림)이 없는 경우, 파일재생은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한 지점으로, 빨리감기(FF 혹은 RR)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에도, 빨리감기(FF 혹은 RR)의 속도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달라진다.
도15b는 음악파일(MP3) 재생기(혹은 음성 재생기)의 프로그레스 바 제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15b의 프로그레스 바 제어는 도15a의 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면(메뉴, 사진 )확대의 예시도이다.
도16의 실시예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메뉴(또는 사진 등)의 확대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기준치 이상의 터치압으로, 메뉴(414)를 선택하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뉴화면 D15을 확대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화면확대를 수행하며 상기 선택된 메뉴(414)를 화면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화면의 확대속도를 조절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메뉴(414)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누르던 힘(or 터치압)을 제거하면, 확대했던 메뉴화면 D15-1을 원래(예: 메뉴화면 D15)대로 축소시킨다. 상기 메뉴(414)의 실행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제거(touch-up)될 때 이루어진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면(메뉴, 사진 등)이동의 예시도이다.
도17의 실시예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사진이나 메뉴 등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앤(&) 드래그'로 이미지(예: image-1)를 화면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다음의 이미지(예: image-2)가 화면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경우, 상기 이미지(예: image-1)가 이동하는 속도는 상기 터치 조작('터치 앤(&) 드래그')의 속도와는 상관없이 일정하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기준치 이상의 터치압으로 상기 이미지(예: image-1)를 이 동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조작('터치 앤(&) 드래그')의 속도에 맞추어 이미지 이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멀티미디어(예: 동영상, MP3, 사운드, 음성 등)의 재생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생속도 제어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재생(play)화면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플레이어 (예: 동영상 플레이어(player))의 재생속도를 제어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린 표면의 일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측(좌측 혹은 우측방향)으로 압력(터치압)을 가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촉각 센서(144)를 통해 해당 방향으로 나타나는 쏠림현상을 감지하고,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플레이어의 재생속도(예: 0.25배속, 0.5배속, 1배속, 1.5배속, 2배속, 4배속 등)를 조절한다.
상기 터치압이 우측방향으로 쏠리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압의 세기에 해당하는 배속으로, 동영상 플레이어를 가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터치압이 좌측방향으로 쏠리는 경우, 상기 터치압의 세기에 해당하는 배속으로 동영상 플레이어를 감속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터치 앤(&) 드래그'와 '특정 방향으로 쏠리는 터치'를 구분한다. '터치 앤(&) 드래그'가 터치와 드래그의 2단계가 합성된 동작이라면, 상기 '특정 방향으로 쏠리는 터치'는 일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압력(터치압)을 가하는 동작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실시예에 '터치 앤(&) 드래그'를 적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기준치 이상의 터치압으로 스크린 표면을 '터치 앤(&) 드래그'했을 때, 본 발명은 상기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동영상 플레이어의 재생속도(예: 0.25배속, 0.5배속, 1배속, 1.5배속, 2배속, 4배속 등)를 조절할 수 있다.
도18b는 음악파일(MP3) 재생기(혹은 음성 재생기)의 재생속도 제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18b의 재생속도 제어는 도18a의 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단말의 각종 실행(예: 메뉴실행, 기능실행, 단축메뉴 실행, 핫키실행, 멀티태스킹 실행, 탭실행, 삭제실행 등)에 적용되는 효과 (예: 애니메이션 효과, 투명도 효과, 가시도 효과 등)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뉴실행의 예시도로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예: Message기능)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가 실행되면서 Message기능의 실행창이 화면에 나타난다.
본 실시예는 특정 메뉴가 선택됐을 때 해당 메뉴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실행속도를 조절한다. 만일, 최대치의 터치압으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생략하고 곧 바로 선택된 메뉴의 실행창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의 예시도로서, 특정 기능, 예를 들면, '지하철 노선도'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하철 노선도' 항목(420)이 점차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지하철 노선표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20의 실시예는 특정 기능이 선택됐을 때 해당 기능항목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 기에 따라 상기 기능항목(예: 지하철 노선도)이 기능실행 창(예: 지하철 노선도의 이미지)으로 변해가는 속도를 조절한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축아이콘 실행의 예시도로서, 특정 단축 아이콘,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의 단축 아이콘(혹은 단축 메뉴)이 선택되면,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가 실행되면서 메시지 기능의 실행창이 화면에 나타난다.
도21의 실시예는 특정 단축 아이콘(혹은 단축 메뉴)이 선택됐을 때 해당 아이콘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실행속도를 조절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핫키의 실행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핫키(422)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애니메이션 효과의 실행속도를 조절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멀티태스킹의 실행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태스크(424)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애니메이션 효과의 실행속도를 조절한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탭 실행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탭(426)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애니메이션 효과의 실행속도를 조절한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의 예시도이다.
파일삭제를 위해, 사용자가 리스트의 특정 파일(428)을 선택(Touch)하여 휴지통으로 드래그하면, 삭제과정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실행되면서 상기 선택된 파일은 삭제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파일(428)을 선택할 때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의 실행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키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입력 제어의 예시도이다.
특정 키(Key, 430)에 3개의 키값(예: ㄱ, 1, a)이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본 실시예는 상기 키(430)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키값(예: ㄱ, 1, a)을 표시한다.
우선, 제어부(180)는 상기 키(43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압의 세기를 강(Level-1), 중(Level-2), 약(Level-3)의 3레벨로 구분한다. 그리고, 도26a내지 도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430)에서 '약'의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압이 감지되면 'ㄱ'을 디스플레이 하고, '중'의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압이 감지되면 '1'을 디스플레이 하고, '강'의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압이 감지되면 'a'를 디스플레이 한다.
종래의 키입력에는, 시간적 지연에 의해 보통키와 롱키(Long key)로 구분되는 두 단계 입력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롱키의 경우 일정 시간이상 키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그 쓰임이 제한적이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의 경우, 롱키(Long key)를 대체할 수 있어, 키입력에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움키, 삭제키, 취소키 초기화 키 등과 같이, 선택에 신중을 요하는 키(key)들은 일정 레벨이상의 터치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키의 타입에 따라 작동 가능한 터치압의 레벨을 각기 다르 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진동(혹은 진동 피드백)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동 피드백 제어의 설정화면이다.
본 실시예는 터치압의 세기를 여러 레벨(예: 레벨1 ~ 레벨7)들로 나누고, 각 레벨마다 진동의 세기와 패턴을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진동의 세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세기로 스크린의 소정 지점(예: 레벨 입력판(431-1))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촉각 센서(144)를 통해 터치압의 세기를 감지하고 그 레벨을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된 레벨에 해당하는 세기와 패턴으로 진동을 설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새로운 세기와 패턴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소정의 정해진 시간(예: timer설정(431-2))동안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예: 두들김, 때림, 흔듦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입력의 세기와 패턴을 단말이 제공 가능한 진동패턴의 하나로서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저장된 진동을 단말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터치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터치입력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압의 세기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마우스의 왼쪽버튼 선택에 해당하는 이벤트(예: 단축메뉴 기능 등)를 실행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소정 레벨 미만이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에 해당하는 이벤트(예: 선택이나 실행)를 실행한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메뉴실행의 예시도이다.
단말의 대기화면(D100)에서, 터치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메뉴실행' 소프트웨어 키(432)를 선택했을 때, 제어부(180)는 '메뉴실행' 소프트웨어 키(432)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Menu'를 실행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주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실행의 예시도이다.
단말의 대기화면(D100)에서, 사용자가 '전화기능' 소프트웨어 키(434)를 선택했을 때, 제어부(180)는 해당 소프트웨어 키(434)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전화기능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최근 통화(발신+수신) 리스트(혹은 최근 발신 리스트 혹은 최근 수신 리스트 등)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최빈 통화(발신 + 수신) 리스트(혹은 최빈 발신 리스트 혹은 최빈 수신 리스트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축번호 리스트, 최근 통화 리스트, 최빈 통화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 용자가 이들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실행의 예시도이다.
단말의 대기화면(D100)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실행' 소프트웨어 키(436)를 선택했을 때, 제어부(180)는 해당 소프트웨어 키(436)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빈 발신 메시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메시지 서비스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축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최근 발신 메시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축번호 리스트, 최근 발신 메시지 리스트, 최빈 발신 메시지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이들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폰북 실행의 예시도이다.
단말의 대기화면(D100)에서, 사용자가 '폰북 실행' 소프트웨어 키(438)를 선택했을 때, 제어부(180)는 해당 소프트웨어 키(438)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북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폰북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최근 검색한 사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최근 추가한 사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폰북 그룹 리스트, 최근 검색한 사람 리스트, 최근 추가한 사람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들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3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브 메뉴(혹은 서브 어플리케이션) 실행의 예시도이다.
단말의 서브 메뉴화면(D200)에서, 사용자가 특정 메뉴(예: '듀얼 넘버 서비스')항목(440)를 선택했을 때, 제어부(180)는 해당 매뉴 항목(440)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가기 등록' 옵션메뉴를 디스플레이 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듀얼넘버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각종 리스트 선택의 예시도이다.
폰북, 메모, 일정, 전자사전, 컨텐츠 탐색기 등과 같은 단말의 각종 리스트 표시화면(D300)에서, 사용자가 특정 항목(442)을 선택했을 때, 제어부(180)는 해당 메뉴 항목(442)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도34a는 받은 문자함의 메시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도34a의 예시에서,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답장', '전달', '번호저장', '삭제' 등의 실행 항목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 이 하여, 사용자가 이들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항목(442)의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34b는 폰북의 그룹(예: 동창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도34b의 예시에서,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메시지 작성', '상세보기', '삭제' 등의 실행 항목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 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항목(442)의 편집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3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썸네일(혹은 미리보기) 선택의 예시도이다.
카메라 앨범과 같은 단말의 이미지 표시화면(D400)에서, 사용자가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썸네일 이미지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하기', '보호설정/해제', '삭제', '전체선택', '전체해제' 등의 실행 항목들을 포함하는 최빈 옵션메뉴 팝업창을 디스플레이 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해당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최근 옵션메뉴 팝업창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해당 이미지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3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멀티태스킹의 예시도이다.
멀티태스킹 실행(D500)에서 사용자가 메뉴항목(446)(예: '메시지')을 선택하는 경 우, 제어부(180)는 해당 메뉴항목(446)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와 동일한 레벨의 메뉴항목들(예: '폰북', '메시지', '멀티미디어', '편의기능', '소리설정', '화면설정' 등)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3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져 실행의 예시도이다.
브라우져 실행화면(D600)에서 사용자가, 화면(D600)의 일 지점(446)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지점(446)에 작용하는 터치압의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로', '앞으로', '새로고침', '속성' 등의 실행 항목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 하고, 터치압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 지점(446)의 객체를 실행(예: 링크 혹은 이미지 확대 등)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입력의 힘(혹은 압력)과 방향을 감지하는 이동단말기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터치입력(힘과 방향)의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의 각종 동작(예: 스크롤, 미니맵, 플리킹, 스핀박스, 멀티미디어 뷰어, 멀티미디어 파일재생, 화면전환 등)과 실행(예: 메뉴실행, 기능실행, 단축메뉴 실행, 핫키실행, 멀티태스킹 실행, 탭실행, 삭제실행 등)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키입력, 진동(혹은 진동 피드백), 다단계 터치입력 등을 제어하여, 단말조작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
도6a 내지 도6b는 터치압의 세기와 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의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니맵 제어의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리킹 제어의 예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핀박스 제어의 예시도.
도12 내지 도1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뷰어화면을 제어하는 예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기(RR/FF)버튼 제어의 예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제어의 예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면(메뉴, 사진 )확대의 예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면(메뉴, 사진 등)이동의 예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생속도 제어의 예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뉴실행의 예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의 예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축아이콘 실행의 예시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핫키의 실행에 적용한 예시도.
도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멀티태스킹의 실행에 적용한 예시도.
도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탭 실행에 적용한 예시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의 예시도.
도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입력 제어의 예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동 피드백 제어의 설정화면.
도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터치입력의 예시도.
도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메뉴실행의 예시도.
도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실행의 예시도.
도3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실행의 예시도.
도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폰북 실행의 예시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브 메뉴실행의 예시도.
도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각종 리스트 선택의 예시도
도3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썸네일(혹은 미리보기) 선택의 예시도.
도3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멀티태스킹의 예시도.
도3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져 실행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AV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공급부

Claims (14)

  1. 외부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이 터치 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쏠림현상을 감지하는 촉각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촉각센서에 의해 감지된 쏠림현상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에 가해지는 터치의 압력 세기와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의 압력 세기와 방향에 따라 상기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디스플레이 투명도 혹은 가시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키입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진동 피드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단축메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외부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이 터치 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쏠림현상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쏠림현상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에 가해지는 터치의 압력 세기와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의 압력 세기와 방향에 따라 상기 단말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속도를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동작방향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디스플레이 투명도 혹은 가시도를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키입력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진동 피드백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터치의 압력 세기나 방향에 따라, 단말의 단축메뉴를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KR1020080076182A 2008-08-04 2008-08-04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KR10147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82A KR101474452B1 (ko) 2008-08-04 2008-08-04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82A KR101474452B1 (ko) 2008-08-04 2008-08-04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31A KR20100015231A (ko) 2010-02-12
KR101474452B1 true KR101474452B1 (ko) 2014-12-19

Family

ID=4208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82A KR101474452B1 (ko) 2008-08-04 2008-08-04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69A1 (ko) * 2016-10-27 2018-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의 압력 입력에 응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016722A3 (ko) * 2016-07-18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36B1 (ko) * 2010-06-04 2011-06-23 오철규 4축형 로드셀을 이용한 무선리모트 컨트롤러
US9519350B2 (en) 2011-09-19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9501098B2 (en) 2011-09-19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KR101337665B1 (ko) * 2012-03-08 2013-1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US8913026B2 (en) 2012-03-06 2014-12-1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KR20140010685A (ko) * 2012-07-16 2014-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510021B1 (ko) 2013-12-19 2015-04-16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5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7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634007B1 (ko) * 2014-11-26 2016-06-28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60088764A (ko) * 2015-01-16 201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5419A (ko) * 2016-01-14 201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7123055A1 (ko) * 2016-01-14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22A3 (ko) * 2016-07-18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8080169A1 (ko) * 2016-10-27 2018-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의 압력 입력에 응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871883B2 (en) 2016-10-27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pressure input of tou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31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452B1 (ko)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US856582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697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KR101456001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904303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using the internet
EP2034399B1 (en)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1582876B1 (ko) 단말기 및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제어방법
KR2010001030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방법
KR20090059336A (ko)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203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전송 방법
KR2010003027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KR20090102094A (ko)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0420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44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러 제공 방법
KR201000246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02095A (ko)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12263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007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2013013267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4304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 방법
KR201000208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09011941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5455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000242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