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094A -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094A
KR20090102094A KR1020080027335A KR20080027335A KR20090102094A KR 20090102094 A KR20090102094 A KR 20090102094A KR 1020080027335 A KR1020080027335 A KR 1020080027335A KR 20080027335 A KR20080027335 A KR 20080027335A KR 20090102094 A KR20090102094 A KR 20090102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ximity touch
information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023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023B1/ko
Priority to CN200910003198A priority patent/CN101547254A/zh
Priority to US12/359,867 priority patent/US8880044B2/en
Priority to US12/359,626 priority patent/US8483768B2/en
Priority to EP09003897.7A priority patent/EP2105826A3/en
Publication of KR2009010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094A/ko
Priority to US14/508,589 priority patent/US99399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상의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단말기는, 이동성 여부에 따라 이동형 및 고정형으로 나뉠 수 있고, 이동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 여부에 따라 휴대형 및 거치형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는, 상술한 기능들에 더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촬영,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수신/출력, 길 안내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직접 터치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라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동작 및 그에 상응하는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상의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정보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화면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화면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정보 선택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
도 6 내지 도 10은 정보가 상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정보가 하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제 1 화면 구성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정보가 하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제 2 화면 구성도.
도 13 내지 도 14b는 정보가 소프트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15 내지 도 21d는 정보가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22 내지 도 25는 정보가 키 패드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26 내지 도 31d는 정보가 정지영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32 내지 도 34는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35 내지 도 38은 정보가 컨트롤 영역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39 내지 도 43은 정보가 웹 페이지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44 내지 도 48은 정보가 텍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49 내지 도 52는 정보가 영상 통화 관련 정보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53 내지 도 59는 정보가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60 내지 도 66은 정보가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67 내지 도 72는 정보가 정지영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73a 내지 도 75는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76a 내지 도 79는 정보가 텍스트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프레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가 있는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들 수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히 측정된 시간 및 거리를 이용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100)의 방위,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제 1 바디(200)와, 제 1 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20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가, 폴더 타입인 경우에,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한다.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3 사용자 입력부(245)는,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바디(205)에 장착된 카메라(121)는,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50)는,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55)은, 사용자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바디(205)의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 1 바디(200)의 음향 출력 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60)는 제 2 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 1 바디(200)와 제 2 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메라(121) 등이 제 2 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 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터치 스크린은, 외부로부터의 직접 터치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정보 입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근접 터치(또는, 간접 터치, 유사 터치)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정보 입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근접 터치는, 터치 스크린상의 화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포인터(또는, 사용자의 손가락)를 이용한 공간상에서의 가상 터치를 의미한다.
단말기는, 단말기에 구비된 근접 센서(또는, 촉각 센서, 근접 터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도 1에 도시된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에는, 광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전 센서에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등이 있고, 근접 센서에는,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터치 스크린은, 터치 패널(사용자 입력부(130)의 일례)과 디스플레이부(151)가 층상 구조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화면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10).
여기에서, 정보는, 메뉴 아이콘(menu icon), 데이터 리스트(data list), 키패드(keypad), 정지영상, 동영상, 웹 페이지(web page), 맵 이미지(map image), 텍스트(text), 사용자 제작 영상(User Created Contents; 'UCC'), 영상 통화 관련 정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한다(S520).
여기에서, 근접 터치 패턴은,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예를 들어, 진동, 터치의 연속/불연속 여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근접 센서에 의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선택한다(S530). 예를 들어, 선택 단계(S53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정보는, 디스플레이 단계(S510)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전체 표시 영역 중,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일부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 단계(S530)에서,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일부 정보를 점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점진적 선택은, 복수 개의 정보 중 선택되는 정보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선택하거나, 하나의 정보의 표시 영역 중 선택되는 표시 영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일부 정보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하이라이트 표시, 명암 조절, 진하기 조절, 깜박임(blink)을 포함하여,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 단계(S530)에 대하여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정보별로 분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선택 단계(S530)에서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동작은,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를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선택 단계(S530)에서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이하 '동작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동작 리스트 중 선택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선택 단계(S530)에서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중 어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동작 실행은,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동작 실행에 대하여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정보별로 분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도면들에서는, 설명에 편의를 위하여, 정보 선택 과정에서 근접 터치 패턴으로써 근접 터치 거리(또는, 화면과 포인터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근접 터치 패턴으로써,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감소는, 근접 터치 시간 증가/감소, 근접 터치 속도 증가, 특정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특정 액션(예를 들어, 불연속 근접 터치 횟수, 특정 동작)의 근접 터치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면과 포인터 사이의 이격 거리가 유지된 상태에서 폐곡선 입력 액션이 존재하는 경우 폐곡선에 포함된 화면상 정보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화면상 포인터 사이의 이격 거리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 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 드래그 동작 또는 대각선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지점의 순차적 입력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 또는 순차적 지점 입력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상 정보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정보가 상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정보가 상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에 앞서, 메뉴 아이콘은,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써, 이미지(image), 이모티콘(emoticon), 심볼(symbol), 텍스트(text), 애니메이션(animation), 플래시(flash)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위 메뉴 아이콘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 항목이 속하는 메뉴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이 표시된 화면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a), 화면과 포인터 사이의 이격 거리(이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메뉴 아이콘(611)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b) 상태는, 이격 거리가 근접 터치 감지 가능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b) 상태에서,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 또는 영역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b) 상태에서, 하이라이트, 명암, 진하기, 깜박임(blink),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이용하여, 특정 상위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물론, (b)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근접 터치 감지 가능 거리보다 커지는 경우(즉, 화면에서 멀어지는 경우)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a)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a) 상태에서 상위 메뉴 아이콘(6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b) 상태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이 표시된 화면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a),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메뉴 아이콘(611)을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더욱이,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위 메뉴 아이콘(611)은 더욱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물론, (b)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근접 터치 감지 가능 거리보다 커지는 경우(즉, 화면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위 메뉴 아이콘(611)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a) 상태에서 상위 메뉴 아이콘(6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b) 상태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이 표시된 화면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a),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611, 612, 613)을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그리고,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611, 612, 613) 중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의 상위 메뉴 아이콘(611)만을 더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c). 물론, 사용자는, (b) 상태에서 확대 표시된 상위 메뉴 아이콘들(611, 612, 613) 중 선택하고자 하는 상위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여 포인터를 근접시킬 수도 있다.
물론, (b) 상태 또는 (c)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a) 상태에서 상위 메뉴 아이콘(6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c) 상태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이 표시된 화면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a),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상위 메뉴 아이콘(611)을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그리고, 단말기(100)는, (b)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상위 메뉴 아이콘(6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에 속하는 일정 개수의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6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c). 그리고, 단말기(100)는, (c)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상위 메뉴 아이콘(6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에 진입하여, 진입된 메뉴 항목에 속하는 모든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d).
(c) 상태에서 표시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은, (d) 상태에서 표시되는 모든 하위 메뉴 항목들 중 일정 기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사용 빈도순, 사용 시간 순 등에 따라 선정된 일정 개수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상태 및 (d) 상태에서 표시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은, 상위 메뉴 아이콘(611)에 대한 세부 정보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b) 상태, (c) 상태 또는 (d)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a) 상태, (b) 상태 또는 (c) 상태에서 상위 메뉴 아이콘(6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d) 상태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상위 메뉴 아이콘(611)이 선택된 상태에서(a), 오른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존재하면 제 2 상위 메뉴 아이콘(612)을 선택하고, 왼쪽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존재하면 제 3 상위 메뉴 아이콘(613)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a) 상태에서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지시되는 상위 메뉴 아이콘은 어느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정보가 하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정보가 하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제 1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기(100)는, 복수의 하위 메뉴 아이콘들(예를 들어, 텍스트 타입)이 표시된 화면(1110)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도 11a),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메뉴 아이콘(1111)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b). 그리고, 단말기(100)는, 도 11b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하위 메뉴 아이콘(1111)의 영역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c). 그리고, 단말기(100)는, 도 11c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하위 메뉴 아이콘(11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을 실행시킬 수 있다(도 11d). 예를 들어, 하위 메뉴 아이콘(11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이 "지하철 노선도"인 경우, 단말기(100)는, 도 11d에서 지하철 노선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1d의 하위 메뉴 항목 실행 화면은, 하위 메뉴 아이콘(1111)에 대한 세부 정보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b) 상태, (c) 상태 또는 (d)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a) 상태, (b) 상태 또는 (c) 상태에서 하위 메뉴 아이콘(11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d) 상태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정보가 하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정보가 하위 메뉴 아이콘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제 2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기(100)는, 복수의 하위 메뉴 아이콘들(예를 들어, 텍스트 타입)이 표시된 화면(1210)을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도 12a),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메뉴 아이콘(1211)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b). 그리고, 단말기(100)는, 도 12b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하위 메뉴 아이콘(1211)의 영역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c). 그리고, 단말기(100)는, 도 12c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하위 메뉴 아이콘(12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을 실행시킬 수 있다(도 12d). 예를 들어, 하위 메뉴 아이콘(12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이 "TV/Radio"인 경우, 단말기(100)는, 도 12d에서 "TV/Radio"에 속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1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2d의 하위 메뉴 항목 리스트(1220)는, 하위 메뉴 아이콘(1211)에 대한 세부 정보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b) 상태, (c) 상태 또는 (d)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a) 상태, (b) 상태 또는 (c) 상태에서 하위 메뉴 아이콘(12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d) 상태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정보가 소프트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4b는, 정보가 소프트 메뉴 아이콘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메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소프트 메뉴 아이콘(1311)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하거나(도 14a),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4b).
도 14a에서, 하이라이트, 명암, 진하기, 깜박임(blink),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이용하여, 특정 소프트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14b에서,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소프트 메뉴 아이콘(1311)은 더욱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물론, 도 14a 또는 도 14b에서 이격 거리가 근접 터치 감지 가능 거리보다 커지는 경우(즉, 화면에서 멀어지는 경우)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도 13으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도 14a 또는 도 14b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소프트 메뉴 아이콘(13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에 속하는 일정 개수의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1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4c). 그리고, 단말기(100)는, 도 14c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소프트 메뉴 아이콘(1311)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에 진입하여, 진입된 메뉴 항목에 속하는 모든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4d).
또한, 도 14a, 도 14b 또는 도 14c에서 소프트 메뉴 아이콘(1311)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도 14d의 상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다. 물론, 도 14c 또는 도 14d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1d를 참조하여, 정보가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21d는, 정보가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데이터 명칭들로 구성된 데이터 리스트(15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데이터 명칭(1511)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하고(a), (a) 상태보다 더 근접함에 따라 데이터 명칭(1511)이 선택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또는, 일정 이격 거리에서 일정 시간 동안 근접 터치가 유지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데이터 명칭(1511) 및 그것에 인접한 복수의 데이터 명칭들(1512, 1513)을 순차적으로 식별되게 표시하고(a), (a)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근접 터치가 유지되는 경우(또는, (a) 상태보다 더 근접하는 경우) (a) 상태에서 식별되게 표시된 복수의 데이터 명칭들(1511, 1512, 1513)이 선택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물론, 도 16(b) 또는 도 17(b)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도 15, 도 16(a) 또는 도 17(a)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데이터 명칭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도 16(b) 또는 도 17(b)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데이터 명칭 (1511)이 식별 표시되거나 선택된 상태에서(도 16 참고) 제 2 데이터 명칭(1514)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데이터 명칭(1511, 1514)을 모두 식별 표시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데이터 명칭 (1511)이 식별 표시되거나 선택된 상태에서(도 16 참고) 제 2 데이터 명칭(1514)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a), 제 2 데이터 명칭(1514)을 식별 표시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데이터 명칭 (1511)이 선택된 상태에서(도 16(b) 참고) 이격 거리가 짧아질수록 제 1 데이터 명칭(1511)의 표시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a), (a) 상태보다 이격 거리가 짧아질수록 제 1 데이터 명칭(151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b). 예를 들어, 제 1 데이터 명칭(1511)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사진파일"인 경우, (b) 상태에서 사진(15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도 20(b)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질수록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도 15 또는 도 20(a)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데이터 명칭이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경우, 도 20(b)가 곧바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데이터 명칭(1511)이 선택된 상태에서(도 21a), 이격 거리가 짧아질수록 제 1 데이터 명칭(1511)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153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1b).
또는,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데이터 명칭(1511)이 선택된 상태에서(도 21a), 이격 거리가 짧아질수록 제 1 데이터 명칭(1511)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21b에서 특정 동작 "삭제"가 선택되거나, 도 21c에서 "삭제"에 해당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데이터 명칭(151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정보가 키 패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정보가 키 패드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특정 키 버튼에 대한 직접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인식함에 따라 해당 키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말기(100)는, 도 22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키 버튼(2211)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하거나(도 23),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4).
도 23에서, 하이라이트, 명암, 진하기, 깜박임(blink),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이용하여, 특정 키 버튼(2211)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특정 키 버튼(2211)은 더욱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물론, 도 23 또는 도 24에서 이격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도 22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22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하는 경우, 포인터가 지시하는 지점이 포함된 행 또는 열에 포함된 키 버튼들 또는 일정 개수의 인접 키 버튼들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a), 확대 디스플레이된 키 버튼들(2211, 2212, 2213) 중 포인터에 의해 직접 터치되거나 근접 터치된 키 버튼(2213)을 선택할 수 있다(b). 물론, 도 25(a) 또는 (b)에서 이격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1d를 참조하여, 정보가 정지영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 내지 31d는, 정보가 정지영상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정지 영상(또는,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26에서 보다 포인터가 화면에 더욱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을 포함한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더 나아가, (a) 상태에서보다 포인터가 화면에 더욱 근접함에 따라, 제 1 영역(2611)보다 더 큰 면적의 제 2 영역(2612)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단말기(100)는,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을 사진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b) 상태(또는, (a)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근접 터치가 유지되거나, 선택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2 영역(2612)(또는,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선택하고, 하이라이트, 진동, 명암, 램프, 벨소리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사진 부분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c).
물론, 도 27(a) 또는 (b)에서 제 1 영역(2611) 또는 제 2 영역(2612)에 대한 직접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영역(2611) 또는 제 2 영역(2612)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곧바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7(a) 내지 (c)에서 이격 거리가 멀어지거나 복귀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영역(2611)이 선택된 상태에서 포인터를 화면에 더욱 근접시키거나 확대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한편, (a) 상태에서 이격 거리를 길게 하거나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은 경우, 확대된 사진 부분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다음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영역(2611)이 식별되게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a)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의 방향 및 위치에 상응하는 사진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즉, 단말기(100)는,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도록, 사진 부분을 이동하며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확대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a)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의 방향 및 위치에 상응하는 사진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즉, 단말기(100)는,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도록, 원하는 사진 부분을 확대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a 및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영역(2611)이 선택된 상태에서(도 31a), 이격 거리가 짧아질수록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과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26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31b).
또는,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영역(2611)이 선택된 상태에서(도 31a), 이격 거리가 짧아질수록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과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1b에서 특정 동작 "저장"이 선택되거나, 도 31c에서 "저장"에 해당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영역(2611)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저장하고,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정지영상에 대한 선택 과정은, 사진, 웹 페이지, 맵 이미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수행 화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화면 캡쳐가 가능한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정보가 동영상(또는, 오디오)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2 내지 도 34는,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중(a), 화면의 일 지점(특히,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지시자(3210))에 대한 이격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짧아진 이격 거리에 상응하는 재생 지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b). 즉, 사용자는, 근접 터치 거리를 조절하여, 동영상의 재생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동영상 재생 중(a), 화면의 일 지점에 대한 이격 거리가 짧아지거나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짧아진 이격 거리 또는 근접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동영상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b).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3(b)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더 짧아지거나 동작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동영상 부분에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3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선택된 동영상 부분과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3220)를 이용하여 특정 동작이 선택되거나 특정 동작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횟수 등에 상응하도록, 동영상 재생 지점 및 동영상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8를 참조하여, 정보가 컨트롤 영역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5 내지 도 38은, 정보가 컨트롤 영역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트롤 영역은 볼륨 제어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볼륨 제어 영역(3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포인터가 화면으로 근접함에 따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볼륨 제어 영역(3510)을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하거나(도 36),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37).
도 36에서, 하이라이트, 명암, 진하기, 깜박임(blink),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이용하여, 볼륨 제어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37에서,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볼륨 제어 영역(3510)은 더욱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물론, 도 36 또는 도 37에서 이격 거리가 근접 터치 감지 가능 거리보다 커지는 경우(즉, 화면에서 멀어지는 경우) 또는 복귀를 명령하는 특정 근접 터치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도 35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5, 도 36 또는 도 37에서 이격 거리가 더 가까워질수록, 볼륨 제어 창(351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그리고, (a)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오른쪽 방향(증가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감소한 이격 거리 또는 근접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b). 또는, (a) 또는 (b)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증가하거나 왼쪽 방향(감소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증가한 이격 거리 또는 근접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c).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볼륨 제어 영역에 대한 선택 과정은, 방송 신호 출력, 오디오 파일 재생, 동영상 파일 재생에서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벨음량/통화음량/키버튼음량 조절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 영역에는 볼륨 제어 영역뿐만 아니라, 화면 밝기 제어 영역, 화면 채도 밝기 제어 영역 등 크기 조절을 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정보가 웹 페이지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9 내지 도 43은, 정보가 웹 페이지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웹 사이트 접속에 따른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웹 페이지에는 주소 입력창(3910)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9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또는, 도 39에서의 이격 거리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써 주소 입력창(3910) 상에 커서(cursor)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9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또는, 도 39에서의 이격 거리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도 40에 도시된 주소 입력창(391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9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또는, 도 39에서의 이격 거리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도 40에 도시된 주소 입력창(3910)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주소를 입력받기 위한 키 패드(39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39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또는, 도 39에서의 이격 거리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도 40에 도시된 주소 입력창(3910)을 디스플레이하면서, 복수의 주소들로 구성된 주소 리스트(39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소 리스트는, 최근 접속 리스트, 접속 빈도순 리스트, 접속 시간순 리스트, 즐겨 찾기 리스트, 사용자 지정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도 39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또는, 도 39에서의 이격 거리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주소 입력창을 팝업(pop-up)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팝업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주소 입력창은, 도 39에 도시된 주소 입력창(3910)보다 확대될 수 있다.
도 44 내지 도 48를 참조하여, 정보가 텍스트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4 내지 도 48은, 정보가 텍스트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텍스트를 작성중인 메시지 내용이라고 가정한다. 물론, 텍스트에는, 발수신 메시지 내용, 메모 내용, 이북(electronic book) 내용, 전화번호, 전화번호에 대한 설정명칭, 인스턴트 메시지 중 대화 내용, 웹 페이지 중 텍스트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화면상에 작성중인 메시지 내용(44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44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메시지 내용(4410) 중 포인터에 의한 지시 지점에 해당하는 "안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근접 터치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더 넓어질 수 있다.
또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44에서 보다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메시지 내용(4410) 중 포인터에 의한 지시 지점에 해당하는 "안녕?" 영역을 선택하여 확대 디스플레이하고(a), (a)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확대를 위한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감소한 이격 거리 또는 근접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여 더 넓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b). 물론, (a) 상태 또는 (b)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더 증가하거나 축소를 위한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증가한 이격 거리 또는 근접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여 더 좁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44에서 일정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근접 터치 드래그 동작의 방향 및 위치에 상응하는 다른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메시지 내용 중 특정 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더 짧아지거나 동작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영역에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44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선택된 특정 영역과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4420)를 이용하여 특정 동작이 선택되거나 특정 동작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9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정보가 영상 통화 관련 정보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9 내지 도 52는, 정보가 영상 통화 관련 정보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 중,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화면상에 상대방 영상(4910), 대체 영상 선택 영역(4920), 사용자 영상(49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4910)에 대하여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a), 상대방 영상(491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대방 영상(4910)으로부터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491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4930)에 대하여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a), 상대방 영상(4910) 및 사용자 영상(4930) 의 표시 위치를 교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또는,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4930)에 대하여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a), 사용자 영상(4930)을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제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영상(4930)으로부터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4910) 및 사용자 영상(4930)의 표시 위치를 교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 영상(4930)을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대체 영상 선택 영역(4920)에 대하여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a), 사용자 영상(4910)을 대신하여 특정 대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체 영상 선택 영역(4920)으로부터 포인터의 이격 거리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4910)을 대신하여 특정 대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물론, 도 50 내지 도 52의 (b)에서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5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감지 단계(S520)에서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선택 단계(S530)에서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편집 동작을 수행한다(S540). 예를 들어, 수행 단계(S5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동작은, 복사(copy), 잘라내기(cripping), 붙여넣기(paste), 삭제(del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일부 정보에 대한 편집 동작이 수행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알림음, 램프,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등을 이용하여 편집 동작 수행을 알릴 수 있다.
물론, 수행 단계(S540)에서,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선택 단계(S530)의 방법으로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하고자 하는 일부 정보에 대한 직접 터치 또는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 키, 방향 키 등)의 조작 등의 일반적인 정보 선택 방법으로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행 단계(S54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3 내지 도 59를 참조하여, 정보가 메뉴 아이콘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3 내지 도 59는, 정보가 메뉴 아이콘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뉴 아이콘을 상위 메뉴 아이콘에 한정하도록 한다. 물론, 메뉴 아이콘에는, 하위 메뉴 아이콘도 포함될 수 있고, 메뉴 아이콘은, 이미지, 심볼, 텍스트, 애니메이션, 플래시, 이모티콘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 중 "멀티미디어"(5311)를 선택받는 경우, "멀티미디어"(5311)를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과정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3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5311)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532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54a), "멀티미디어"(5311)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54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532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킴에 따라, "멀티미디어"(5311) 영역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도 55a), "멀티미디어"(5311) 영역을 삭제할 수도 있다(도 55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멀티미디어"(5311) 영역을 여백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상위 메뉴 아이콘들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낮게 설정하거나,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멀티미디어"(5311) 영역이 포인터로 흡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특정 동작이 "복사"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멀티미디어"(5311) 영역은 원래 상태(도 53 참조)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 중 "화면"(5312)를 선택받는 경우, "화면"(5312)를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과정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앞서 "멀티미디어"(5311)에 대하여 "잘라내기"가 수행된 경우, "멀티미디어"(5311)이 삭제된 상위 메뉴 아이콘들을 표시하고(도 56), "복사"가 수행된 경우 모든 상위 메뉴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6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화면"(5312)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533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57a), "화면"(5312)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57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533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붙여넣기"를 실행시킴에 따라, "멀티미디어"(5311)가 "복사"된 경우 "화면"(5312) 및 "멀티미디어"(5311)의 영역을 서로 바꾸어 디스플레이하고(도 58), "멀티미디어"(5311)가 "잘라내기"된 경우 "화면"(5312)를 삭제하고 "화면"(5312) 영역에 "멀티미디어"(531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59).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수행됨을 알리기 위하여, "붙여넣기"가 수행되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붙여넣기 수행 후 원래 크기로 복귀 가능), 다른 상위 메뉴 아이콘들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높게 설정하거나, "붙여넣기"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붙여넣기 대상인 "멀티미디어"(5311)이 포인터로부터 분출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0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정보가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0 내지 도 66은, 정보가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 리스트는 텍스트 타입 리스트에 한정하도록 한다. 물론, 데이터 리스트는, 이미지 타입, 이모티콘 타입, 데이터 미리보기 타입(사진 또는 동영상인 경우)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데이터 명칭들 중 "제 3 데이터"(6011)를 선택받는 경우, "제 3 데이터"(6011)를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과정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0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3 데이터"(6011)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602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61a), "제 3 데이터"(6011)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1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602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킴에 따라, "제 3 데이터"(6011) 영역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도록 디스플레이하여(도 62a 및 도 62b), "제 3 데이터"(6011) 영역을 삭제할 수 있다(도 62c). 물론, 점진적 축소 동작 없이, 곧바로 "제 3 데이터"(6011) 영역을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3 데이터"(6011) 영역을 여백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데이터 명칭들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낮게 설정하거나,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제 3 데이터"(6011) 영역이 포인터로 흡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특정 동작이 "복사"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제 3 데이터"(6011) 영역은 원래 상태(도 60 참조)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수의 데이터 명칭들 중 "제 6 데이터"(6012)를 선택받는 경우, "제 6 데이터"(6012)를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과정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앞서 "제 3 데이터"(6011)에 대하여 "잘라내기"가 수행된 경우, "제 3 데이터"(6011)이 삭제된 데이터 명칭들을 표시하고(도 63), "복사"가 수행된 경우 모든 데이터 명칭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3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6 데이터"(6012)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603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64a), "제 6 데이터"(6012)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4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603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붙여넣기"를 실행시킴에 따라, "제 3 데이터"(6011)가 "복사" 또는 "잘라내기"된 경우 "제 6 데이터"(6012) 영역에 "제 3 데이터"(601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5 및 도 66). 이때, 도 65의 데이터 리스트에는 "제 3 데이터"(6011)가 중복 표시되어 있고, 도 66의 데이터 리스트에는 "제 6 데이터"(6012)가 삭제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수행됨을 알리기 위하여, "붙여넣기"가 수행되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붙여넣기 수행 후 원래 크기로 복귀 가능), 다른 데이터 명칭들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높게 설정하거나, "붙여넣기"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붙여넣기 대상인 "제 3 데이터"(6011)가 포인터로부터 분출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7 내지 도 72를 참조하여, 정보가 정지영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7 내지 도 72는, 정보가 정지영상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지영상은 사진에 한정하도록 한다. 물론, 정지영상은, 웹 페이지, 맵 이미지, 동영상 중 캡쳐 영상, 영상 통화 중 상대방/사용자 영상,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중 대화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진 중 "제 1 영역"(6710)을 선택받는 경우,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과정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7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672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68a),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8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672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킴에 따라,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상대적으로 희미하게 처리하거나(도 69a), 여백으로 처리할 수 있다(도 69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점진적으로 축소하여 삭제되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이 포인터로 흡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특정 동작이 "복사"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은 원래 상태(도 67 참조)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진(도 67과 동일 또는 상이한 사진) 중 제 2 영역(6730)을 선택받는 경우, 제 2 영역(673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과정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0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2 영역(6730)에 속하는 사진 부분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674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71a), 제 2 영역(6730)에 속하는 사진 부분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1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674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붙여넣기"를 실행시킴에 따라,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이 "복사" 또는 "잘라내기"된 경우 제 2 영역(673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으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2).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수행됨을 알리기 위하여, "붙여넣기"가 수행되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붙여넣기 수행 후 원래 크기로 복귀 가능), 제 2 영역(673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높게 설정하거나, "붙여넣기"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붙여넣기 대상인 제 1 영역(6710)에 속하는 사진 부분이 포인터로부터 분출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3a 내지 도 75를 참조하여,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3a 내지 도 75는, 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73a 및 도 7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동영상 중 제 1 시점에서 제 2 시점까지의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732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73a),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3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732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킴에 따라,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을 동영상 진행 정도 지시자(예를 들어, 프로그레시브 바)상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특정 동작이 "복사"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이 복귀된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4a 및 도 7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동영상(도 73a와 동일 또는 상이한 동영상)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시점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733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74a), 특정 시점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4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733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붙여넣기"를 실행시킴에 따라,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이 "복사" 또는 "잘라내기"된 경우 특정 시점에서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을 붙여넣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4a의 동영상의 중간에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이 추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수행됨을 알리기 위하여, "붙여넣기"가 수행되는 영역을 지시자 상에서 점진적으로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붙여넣기 수행 후 원래 크기로 복귀 가능), 지시자 상에서 다른 부분들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높게 설정하거나, "붙여넣기"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붙여넣기 대상인 제 1 영역(7310)에 속하는 동영상 부분이 포인터로부터 분출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6a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정보가 텍스트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6a 내지 도 79는, 정보가 텍스트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정보 편집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텍스트를 작성중인 메시지 내용에 한정한다. 물론, 텍스트에는, 발수신 메시지 내용, 메모 내용, 이북(electronic book) 내용, 전화번호, 전화번호에 대한 설정명칭, 인스턴트 메시지 중 대화 내용, 웹 페이지 중 텍스트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6a 및 도 7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메시지 내용 중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762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76a),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6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762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킴에 따라,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을 다른 메시지 내용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낮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a),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이 삭제된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이 점진적으로 축소하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을 여백으로 처리하거나,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이 포인터로 흡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삭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특정 동작이 "복사"인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은 원래 상태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8a 및 도 7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메시지 내용(도 73a와 동일 또는 상이한 메시지 내용) 중 특정 지점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격 거리가 감소하거나 동작 실행 명령을 위한 근접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지점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7630)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78a), 특정 지점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각각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8b).
따라서, 단말기(100)는, 리스트(7630)로부터 특정 동작(예를 들어,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거나, 특정 동작에 대한 실행 명령에 상응하는 근접 터치 방향으로의 근접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붙여넣기"를 실행시킴에 따라,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 영역(7610)이 "복사" 또는 "잘라내기"된 경우 특정 지점에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9).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수행됨을 알리기 위하여, 붙여넣기 대상인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을 점진적으로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붙여넣기 수행 후 원래 크기로 복귀 가능), 다른 메시지 내용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하기/명암을 높게 설정하거나, "붙여넣기"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붙여넣기 대상인 "이번주 토요일에 강남역"이 포인터로부터 분출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붙여넣기"가 실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된 부분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화면의 일 영역에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된 부분에 해당하는 정보(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 데이터 리스트, 이미지,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된 부분에 해당하는 정보 디스플레이를 명령받기 위한 영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복사, 잘라내기 또는 삭제된 부분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화면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메뉴 아이콘(menu icon), 데이터 리스트(data list), 키패드(keypad), 정지영상, 동영상, 웹 페이지(web page), 맵 이미지(map image), 텍스트(text), 사용자 제작 영상(User Created Contents; 'UCC'), 영상 통화 관련 정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터치 패턴은,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표시 영역 중,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일부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를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점진적으로 상기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정보 중 특정 부분 정보를 선택하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선택된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중 어느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편집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편집 동작은,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편집 동작이 수행됨을 알리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5. 화면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대한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를 식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정보 중 특정 부분 정보를 선택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선택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들 중 어느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편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 동작은,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에 대한 편집 동작이 수행됨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80027335A 2008-03-25 2008-03-25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1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335A KR101513023B1 (ko) 2008-03-25 2008-03-25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N200910003198A CN101547254A (zh) 2008-03-25 2009-01-14 移动终端及显示其中信息的方法
US12/359,867 US8880044B2 (en) 2008-03-25 2009-01-2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US12/359,626 US8483768B2 (en) 2008-03-25 2009-01-2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EP09003897.7A EP2105826A3 (en) 2008-03-25 2009-03-1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US14/508,589 US9939990B2 (en) 2008-03-25 2014-10-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335A KR101513023B1 (ko) 2008-03-25 2008-03-25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094A true KR20090102094A (ko) 2009-09-30
KR101513023B1 KR101513023B1 (ko) 2015-04-22

Family

ID=4081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335A KR101513023B1 (ko) 2008-03-25 2008-03-25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880044B2 (ko)
EP (1) EP2105826A3 (ko)
KR (1) KR101513023B1 (ko)
CN (1) CN10154725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003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84493B1 (ko) * 2012-03-08 2014-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KR20140105362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들을 이용하는 근접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KR101467747B1 (ko) * 2010-10-01 2014-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화면 조절장치 및 방법
US8913026B2 (en) 2012-03-06 2014-12-1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KR20150008958A (ko) * 2013-06-27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26575A (ko) * 2013-09-03 2015-03-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3126B2 (ja) 2008-12-26 2011-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1562582B1 (ko) * 2008-12-30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KR101597553B1 (ko) * 2009-05-25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1387270B1 (ko) * 2009-07-14 2014-04-18 주식회사 팬택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US20120092251A1 (en) * 2009-07-31 2012-04-19 Honda Motor Co., Ltd. Operation system for vehicle
KR101640464B1 (ko) 2009-10-26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8436887B2 (en) * 2009-11-13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1067157A1 (en) * 2009-12-02 2011-06-09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touch menu functionality
US20110138321A1 (en) * 2009-12-04 2011-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one-based functions in a user interface
US9336326B2 (en) * 2009-12-29 2016-05-10 Cellco Partnership Browser based objects for copying and sending operations
US8621380B2 (en) 2010-01-06 2013-12-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enabling or disabling soft buttons
KR101704531B1 (ko) * 2010-04-22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텍스트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JP5464083B2 (ja) 2010-07-07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90727B2 (en) 2010-07-21 2015-03-24 Sybase, Inc. Fisheye-bas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for mobile devices
CN101923437A (zh) * 2010-09-02 2010-1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终端的屏幕提示方法及该智能移动终端
JP5630160B2 (ja) * 2010-09-07 2014-11-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990036B (zh) * 2010-10-15 2013-07-10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在手机屏幕中使用的导航方法
US8587547B2 (en) 2010-11-05 2013-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8659562B2 (en) 2010-11-05 2014-02-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KR20120050083A (ko) * 2010-11-10 201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리모트 컨트롤러 및 이들의 제어방법
US8782513B2 (en) 2011-01-24 2014-07-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US9250798B2 (en) 2011-01-24 2016-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US9436381B2 (en) 2011-01-24 2016-09-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annotating an electronic document
FR2971066B1 (fr) 2011-01-31 2013-08-23 Nanotec Solution Interface homme-machine tridimensionnelle.
JP5810554B2 (ja) * 2011-02-28 2015-11-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33545A1 (en) * 2011-03-11 2012-09-13 Akihiko Ikeda Detection of a held touch on a touch-sensitive display
CN102681653B (zh) * 2011-03-14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信息提示装置以及电子设备
JP2013003841A (ja) * 2011-06-16 2013-01-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5857465B2 (ja) * 2011-06-16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2955693B (zh) * 2011-08-30 2016-08-3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行为提醒方法及系统
US20130106898A1 (en) * 2011-10-26 2013-05-02 Google Inc. Detecting object moving toward or away from a computing device
CN102508604A (zh) * 2011-11-08 2012-06-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显示界面的控制方法及终端
US20130154957A1 (en) * 2011-12-20 2013-06-20 Lenovo (Singapore) Pte. Ltd. Snap to center user interface navigation
JP6084364B2 (ja) * 2012-03-08 2017-02-22 株式会社ミツトヨ 測定器
JP5782420B2 (ja) * 2012-10-10 2015-09-2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81710A1 (en) * 2012-12-26 2014-06-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roximity location system
FR3002052B1 (fr) 2013-02-14 2016-12-09 Fogale Nanotech Procede et dispositif pour naviguer dans un ecran d'affichage et appareil comprenant une telle navigation
US10394434B2 (en) 2013-02-22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roximity motion using sensors
US10261612B2 (en) * 2013-02-22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roximity motion using sensors
USD745041S1 (en) 2013-06-09 2015-12-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10089786B2 (en) * 2013-08-19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customiza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optical see-through head mounted display with user interaction tracking
US10914951B2 (en) * 2013-08-19 2021-02-09 Qualcomm Incorporated Visual, audible, and/or haptic feedback for optical see-through head mounted display with user interaction tracking
US10528185B2 (en) * 2013-09-23 2020-01-07 Touchplus Information Corp. Floating touch method and touch device
US20150084921A1 (en) * 2013-09-23 2015-03-26 Touchplus Information Corp. Floating touch method and touch device
WO2015062017A1 (zh) * 2013-10-31 2015-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悬浮或隔空操作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214437B1 (ko) 2014-01-10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복사 실행 방법, 컨텐츠 붙여넣기 실행 방법 및 컴퓨팅 디바이스
US9448687B1 (en) * 2014-02-05 2016-09-20 Google Inc. Zoomable/translatable browser interface for a head mounted device
USD755848S1 (en) 2014-06-01 2016-05-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5754S1 (en) 2014-09-02 2015-08-0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2693S1 (en) 2014-09-03 2016-08-0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376030B (zh) * 2014-09-29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FR3028968B1 (fr) * 2014-11-21 2016-11-25 Renault Sa Interface graphique et procede de gestion de l'interface graphique lors de la selection tactile d'un element affiche
FR3028967B1 (fr) 2014-11-21 2017-12-15 Renault Sas Interface graphique et procede de gestion de l'interface graphique lors de la selection tactile d'un element affiche
KR102397602B1 (ko) * 2014-11-25 2022-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6102296A2 (de) * 2014-12-22 2016-06-30 Volkswagen Ag Fingerleiste und anwendung der fingerleiste
USD765098S1 (en) 2015-03-06 2016-08-3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670S1 (en) 2015-03-09 2016-11-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500582B2 (ja) * 2015-05-07 2019-04-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面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D772269S1 (en) 2015-06-05 2016-11-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55039B1 (ko) * 2015-06-11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159479B (zh) * 2015-07-10 2018-11-23 深圳市永兴元科技股份有限公司 手写输入方法及装置
US10216405B2 (en) * 2015-10-24 2019-0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multi-input command
WO2019106867A1 (ja) * 2017-11-30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テレビ
USD895499S1 (en) * 2017-12-05 2020-09-08 Hyundai Mobis Co., Ltd. Instrument cluster with displayed image design
USD882615S1 (en) 2018-09-06 2020-04-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42398B1 (ko) 2018-11-29 202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CN109445640B (zh) * 2018-12-18 2022-02-15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屏及具有该显示屏的电子设备
US10908811B1 (en) * 2019-12-17 2021-02-0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 graphical menu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416A (en) * 1994-09-30 1998-02-03 Baker; Michelle User definable pictorial interface for a access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file system
JPH08212005A (ja) 1995-02-07 1996-08-20 Hitachi Ltd 3次元位置認識型タッチパネル装置
JP3968477B2 (ja) * 1997-07-07 2007-08-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US6259436B1 (en) 1998-12-22 2001-07-10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election of touchable items on a computer touchscreen by an imprecise touch
US6771291B1 (en) * 2000-06-07 2004-08-03 The Perfect Web Corporation Method for developing electronic documents employing multiple display regions
JP2003005912A (ja) * 2001-06-20 2003-01-10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表示方法
US7058902B2 (en) 2002-07-30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US7002560B2 (en) * 2002-10-04 2006-02-21 Human Interface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mbining data entry of handwritten symbols with displayed character data
US7185291B2 (en) * 2003-03-04 2007-02-27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Computer with a touch screen
DE10310794B4 (de) * 2003-03-12 2012-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Bedieneinrichtung und Kommunikationsgerät
US6989822B2 (en) * 2003-11-10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Ink correction pad
US8635273B2 (en) * 2004-03-05 2014-01-21 Aol Inc. Announcing new users of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system to existing users
KR20070036077A (ko) * 2004-06-29 2007-04-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중층 디스플레이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8381135B2 (en) * 2004-07-30 2013-02-19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7728823B2 (en) * 2004-09-24 2010-06-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aw data of track pad device
US20070073719A1 (en) * 2005-09-14 2007-03-29 Jorey Ramer Physical navigation of a mobile search application
KR101255014B1 (ko) 2005-11-18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US10521022B2 (en) * 2006-03-17 2019-12-31 Conversant Wireless Licensing S.a.r.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WO2007113828A2 (en) * 2006-04-03 2007-10-11 Power2B Inc. User interface functionalities
TWI364917B (en) * 2006-06-20 2012-05-21 Asustek Comp Inc Remote control supporting upnp protocol and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US8086971B2 (en) 2006-06-28 2011-12-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inger-based and hand-based gesture comm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JP2008009759A (ja) 2006-06-29 2008-01-17 Toyota Motor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JP4841359B2 (ja) 2006-08-21 2011-12-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7956849B2 (en) 2006-09-06 2011-06-07 Apple Inc. Video manager for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GB0703276D0 (en) * 2007-02-20 2007-03-28 Skype Ltd Instant messaging activity notification
US7895533B2 (en) * 2007-03-13 2011-02-22 Apple Inc. Interactive image thumbnail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003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67747B1 (ko) * 2010-10-01 2014-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화면 조절장치 및 방법
US8913026B2 (en) 2012-03-06 2014-12-1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10656895B2 (en) 2012-03-06 2020-05-1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KR101384493B1 (ko) * 2012-03-08 2014-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KR20140105362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들을 이용하는 근접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KR20150008958A (ko) * 2013-06-27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26575A (ko) * 2013-09-03 2015-03-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023B1 (ko) 2015-04-22
US20090247234A1 (en) 2009-10-01
US9939990B2 (en) 2018-04-10
US20150123918A1 (en) 2015-05-07
US20090247233A1 (en) 2009-10-01
US8880044B2 (en) 2014-11-04
EP2105826A2 (en) 2009-09-30
US8483768B2 (en) 2013-07-09
CN101547254A (zh) 2009-09-30
EP2105826A3 (en)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379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13023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EP197624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KR101513024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인식 방법
US810329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09697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US9594476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a rear inpu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951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전송 방법
KR101474452B1 (ko)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KR201000040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20100012728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이미지 제어방법
KR20090100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0011997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201000072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대화 보관함 검색방법
KR10150420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2009011104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4304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 방법
KR201200285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42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2009011941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5455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2009007507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북마크 처리방법
KR20110005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타 아이콘화 방법
KR20090038616A (ko)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