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014B1 -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014B1
KR101255014B1 KR1020050110599A KR20050110599A KR101255014B1 KR 101255014 B1 KR101255014 B1 KR 101255014B1 KR 1020050110599 A KR1020050110599 A KR 1020050110599A KR 20050110599 A KR20050110599 A KR 20050110599A KR 101255014 B1 KR101255014 B1 KR 101255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detection signal
motion dete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849A (ko
Inventor
김현호
오영석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0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부와;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 및 상기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페이지데이터 열람에 따른 사용상 거부감과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운전중이거나 이동중인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페이지데이터의 검색 및 그와 관련된 부가기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AGE DATA DISPLAY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정전용량 감지센서 배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모듈 3 : 오디오신호 처리부
5 : 음성인식부` 7 : 디스플레이부
9 : 키입력부 10 : 제어부
12 : 메모리 14 : 제어데이터
16 : 페이지데이터 20 : 동작감지부
22 : 정전용량센서 24 : 신호생성부
본 발명은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 등의 장치를 통한 입력동작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와 근접한 위치에서의 일상적인 동작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페이지데이터 열람에 따른 사용상 거부감과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운전중이거나 이동중인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페이지데이터의 검색 및 그와 관련된 부가기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기능인 전화통화기능 이외에도 인터넷접속기능, 카메라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성능화에 힘입어, 사진, 영상 등 시각적 데이터 전달 기능이 향상되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자책기능이나, 내비게이션기능 및 앨범기능 등이 지원되고 있다. 전자책기능, 내비게이션기능 및 앨범기능 등은 한 화면을 단위로 그래픽 형식으로 텍스트나, 지도, 사진 등을 표시하는 기능으로써, 내용을 열람하기 위해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스크롤링하는 등의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키패드 상의 특정 키나, 내비게이션키 혹은 스크롤키 등을 통해 선택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입력키가 한정된 공간상에 한정된 개수로 마련되기 때문에, 이동중이거나 운전중일 경우 등 사용자의 활동이 제약을 받는 경우 입력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크다.
또한, 키버튼을 가압하는 단순한 입력패턴으로 인해 스크롤기능, 줌인/아웃기능 등 연속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데에도 다수 번의 키버튼 입력동작을 필요로 하며, 책장을 넘기는 등의 일상적인 행위가 입력동작에 반영되지 못함으로 사용상 거부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 등의 장치를 통한 입력동작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와 근접한 위치에서의 일상적인 동작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페이지데이터 열람에 따른 사용상 거부감과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운전중이거나 이동중인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페이지데이터의 검색 및 그와 관련된 부가기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부와;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 및 상기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데이터는, 전자책테이터와 지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하이신호 및 로우신호로 출력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출력에 따른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감지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복수개가 배열되고, 상기 감지신호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정전용량센서의 각 출력값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거리와, 방향과,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이격거리 변화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가 확대 표시되거나 축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좌우방향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화면이 이전화면 및 이후화면 중 어느 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상하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화면이 상단화면 및 하단화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줄 단위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단어를 단위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표시상태의 변화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전환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의 검색 결과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부로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지도정보 표시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데이터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와 상기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데이터는, 전자책테이터와 지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에 따른 하이신호 및 로우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영역 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배열된 복수개의 정전용량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정전용량센서의 각 출력값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거리와, 방향과,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이격거리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이격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화면을 확대 표시하거나 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좌우로 배열된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를 통해 비접촉동작의 좌우 진행방향을 판단하여, 판단된 상기 진행방향에 따라 현재 표시화면을 이전화면 및 이후화면 중 어느 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로 배열된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를 통해 비접촉동작의 상하 진행방향을 판단하여, 판단된 상기 진행방향에 따라 현재 표시화면을 상단화면 및 하단화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는,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줄 단위로 표시되는 상태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는,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단어를 단위로 표시되는 상태인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표시상태의 변화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전환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음성명령이 지도정보표시명령일 경우 해당 지도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 어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 송수신을 위한 RF모듈(1)과, 오디오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를 갖는 오디오신호 처리부(3)와, 다수개의 입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9)와, 음성명령의 입력처리를 위한 음성인식부(5)와, 디스플레이부(7)와, 음성인식부(5) 및 키입력부(9) 등을 통한 입력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7)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RF모듈(1)을 통해 수신된 코드화 된 음성신호를 오디오신호 처리부(3)에서 처리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RF모듈(1)을 통해 무선 송신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부(20)와, 디스플레이부(7)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14) 및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16)가 저장되는 메모리(12)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어부(10)는 동작감지부(20)로부터 제공되는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12)에 저장된 제어데이터(16)를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14)의 표시상태를 제어한다.
동작감지부(2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와 비접촉 상태에서 취하는 동작의 방향, 속도,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0)에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감지부(20)는 실제적인 접촉이 발생하기 전에 접근한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근접한 거리 내의 사물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해내는 정전용량센서(22)를 통해 동작감지부(20)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 정전용량센서(22)는 컨덕터에 브리지회로, 발진기 등 정전 용량에 민감한 회로를 연결하여 컨덕터의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물의 근접 여부에 따라 온/오프 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에, 정전용량센서(22)는 평소에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컨덕터에 사물(예컨대, 사람의 손)이 접근하여 정전용량이 감소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신호생성부(24)는 정전용량센서(22)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하이신호에 따라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따라서, 정전용량센서(22)가 한 개일 경우에는 사물의 근접여부와 근접횟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방향 및 속도까지 감지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추적할 수 있다.
메모리(12)에 저장되는 페이지데이터(14)는, 전자책기능, 내비게이션기능, 앨범기능 등, 그 내용이 한 화면을 단위로 표시되는 그래픽 형태의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책의 내용이 서술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자책데이터, 내비게이션기능을 위한 지도데이터, 앨범기능 시 표시되는 사진데이터 등이 페이지데이터(14)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2)에 저장되는 제어데이터(16)는, 동작감지부(20)가 출력한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기능의 제어설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제어데이터(16)는, 비접촉동작의 방향, 속도, 거리 등을 나타내는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표시중인 화면을 스크롤링하거나, 줌인/아웃하고, 페이지를 전환하는 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거나 현재 수행중인 기능과 연계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관련 데이터이다. 예컨대, 비접촉동작의 수행 방향이 좌우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된 전자책의 페이지를 이 전 페이지나 이 후 페이지로 넘기도 록 제어데이터(16)를 설정할 수 있으며, 비접촉동작의 수행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부(7)에 화면을 상하방향으로 스크롤링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비접촉동작의 근접 정도에 따라 화면을 줌인/아웃 함으로써 표시중인 영상이 확대 및 축소되도록 설정하고,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스크롤링, 줌인/아웃, 페이지를 전환 등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다른 기능을 연계하여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예컨대, 전자책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소정 비접촉동작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사전기능을 호출하고 현재 커서가 지정한 단어를 검색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키입력부(9)내지는 음성인식부(5)를 통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메모리(12)에 저장된 페이지데이터(14)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함으로써 전자책기능이나 내비게이션기능, 앨범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중에 동작감지부(20)를 통해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16)를 메모리(12)에서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14)의 표시상태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와 근접 한 위치에서 취하는 비접촉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중인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추적하기 위한 동작감지부의 정전용량센서 (22) 배열을 예시한 것으로서 A, B, C, D, 4개의 정전용량센서(22)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한 쌍씩 배열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A, B, C, D에 배열된 각 정전용량센서(22)는 평소에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사물이 접근하여 정전용량이 감소되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A위치 및 C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로부터 로우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근접위치에서 좌우방향의 동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B위치 및 D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로부터 로우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근접위치에서 상하방향의 동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양 단에 위치한 정전용량센서(22)의 동작 시간차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속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4개의 정전용량센서(22)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만 로우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근접 여부와 함께 근접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비접촉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을 줌인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전자책기능, 내비게이션기능, 앨범기능 등, 그 내용이 화면 단위의 그래픽 형태로 표시되는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페이지데이터(14)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7)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도 3(a)). 여기서, 화면에 표시된 활자 혹은 그림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고도 화면 줌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화면을 줌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손가락 등의 신체를 접 근시키며, 이에, 정전용량센서(22)는 사용자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며, 신호생성부(24)는 이러한 정보가 포함된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에 인가한다. 이에, 제어부(10)는 줌인 제어데이터(16)에 따라 화면을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접촉 동작을 통해 전자책의 페이지나, 앨범의 사진, 내비게이션 지도 등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도 3(b)).
한편, 줌아웃 기능은 줌인 기능과는 반대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손가락 등의 신체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점차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통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동작감지부의 정전용량센서가 도 2와 같은 배열을 갖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접촉 동작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의 페이지를 넘기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키입력부(9)를 통해 전자책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전자책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7)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도 4(a)). 화면에 표시된 전자책데이터의 열람을 마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의 화면을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와는 비접촉 상태에서 인쇄매체의 책장을 넘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책장을 넘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 4개의 정전용량센서(22) 중 X축에 해당하는 A위치 및 C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가 해당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책장을 순방향으로 넘기는 경우 책 넘김 동작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함으로 C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가 먼저 오프된 후 A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가 오프 될 것이다. 신호생성부(24)는 이러한 정보가 포함된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근접동작의 방향정보를 제어부(10)에 제공하며, 이에, 제어부(10)는 화면전환 제어데이터(16)에 따라 다음 페이지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접촉 동작을 통해 전자책의 페이지를 전환할 수 있다(도 4(b)).
여기서, 신호생성부(24)는 A위치 및 C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의 동작 시간차를 반영하여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10)는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연동하여 페이지를 전환하는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책장을 넘기는 동작의 속도에 따라 화면상의 페이지가 전환됨으로 자연스럽게 독서를 즐길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비접촉 동작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지도를 스크롤링 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키입력부(9)를 통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중일 경우 음성인식부(5)를 통해 내비게이션 실행을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반영된 내비게이션 지도를 디스플레이부(7)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도 5(a)). 화면에 표시된 지도를 하단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와는 비접촉 상태에서 스크롤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롤링 동작은 사용자의 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 4개의 정전용량센서(22) 중 Y축에 해당하는 B위치 및 D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가 해당 동작을 감지 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스크롤링 하는 경우 스크롤링 동작이 하향 진행함으로 B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가 먼저 오프된 후 D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가 오프 될 것이다. 신호생성부(24)는 이러한 정보가 포함된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근접동작의 방향정보를 제어부(10)에 제공하며, 이에, 제어부(10)는 화면전환 제어데이터(16)에 따라 화면을 상단에서 하단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접촉 동작을 통해 스클롤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도 5(b)).
여기서, 신호생성부(24)는 B위치 및 D위치의 정전용량센서(22)의 동작 시간차를 반영하여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10)는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연동하여 스크롤링 속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페이지 업/다운 기능을 수행하여 화면을 신속하게 전환한다.
이와 같이, 직접 키입력 등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 비접촉 상태에서의 스크롤링 동작을 통해 스크롤링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전중이거나 이동중인 사용자도 전자책이나 내비게이션 지도 등을 스크롤링 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동작감지부(20)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전자책기능이나, 내비게이션기능 등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입력되는 비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기능에서 제공되는 부가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작감지부(20)에 연속하여 2번 근접하는 경우 전자책의 텍스트를 줄단위, 혹은 단어 단위로 표시하고, 연속하여 3번 근접하는 경우 전자사전기능 을 호출하여 사전검색기능을 제공하며, 근접시간이 4초 이상 지속 되면 현재 실행중인 기능을 종료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제어데이터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고도 소정 비접촉동작을 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12)에는 디스플레이부(7)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14)와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16)가 저장된다(S10). 여기서, 제어데이터(16)는 동작감지부(20)가 출력한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설정 데이터로서, 소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전자책, 내비게이션, 앨범 등의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기능수행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페이지데이터(14)를 디스플레이부(7)의 화면에 노멀상태로 표시한다(S12). 여기서, 제어부(10)는 동작감지부(20)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정전용량센서(22)를 통해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이 감지되도록 하며, 동작감지부(20)의 활성화 여부는 소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작감지부(20)의 정전용량센서(22)는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며(S14), 이에, 신호생성부(24)는 정전용량센서(22)의 출력값에 따라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한다(S16).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는 정전용량센서(22)가 하나일 경우 비접촉동작의 근접 여부 및 근접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전용량센서(22)가 복수개일 경우 비접촉동작의 거리, 횟수, 속도, 방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데이터(16)를 검색하여(S18), 검색된 제어데이터(16)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에 표시중인 페이지데이터(14)의 표시상태를 제어한다(S2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감지부를 구비하여 폐이지데이터 표시기능 수행 시 화면표시기능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전자책기능이나 내비게이션기능 등을 사용중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와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고도, 책장을 넘기는 동작을 취하거나 스크롤링 동작을 취하는 등의 방법으로 화면을 제어하거나 연계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키패드 등의 장치를 통한 입력동작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와 근접한 위치에서의 일상적인 동작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페이지데이터 열람에 따른 사용상 거부감과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운 전중이거나 이동중인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페이지데이터의 검색 및 그와 관련된 부가기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6)

  1.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부와;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 및 상기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하이신호 및 로우신호로 출력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출력에 따른 비접촉동작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감지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데이터는,
    전자책데이터와 지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복수개가 배열되고,
    상기 감지신호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정전용량센서의 각 출력값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거리와, 방향과,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이격거리 변화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가 확대 표시되거나 축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좌우방향에 따른 상기 제 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화면이 이전화면 및 이후화면 중 어느 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상하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화면이 상단화면 및 하단화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줄 단위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단어를 단위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표시상태의 변화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전환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 라,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의 검색결과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13. 삭제
  14.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데이터와 상기 화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에 따른 하이신호 및 로우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데이터는,
    전자책데이터와 지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을 감지영역 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배열된 복수개의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정전용량센서의 각 출력값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거리와, 방향과,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비접촉동작의 이격거리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이격거리 변화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화면을 확대 표시하거나 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좌우로 배열된 정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를 통해 비접촉동작의 좌우 진행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진행방향에 따라 현재 표시화면을 이전화면 및 이후화면 중 어느 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로 배열된 정 전용량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를 통해 비접촉동작의 상하 진행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진행방향에 따라 현재 표시화면을 상단화면 및 하단화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는,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줄 단위로 표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는,
    상기 전자책데이터의 텍스트가 한 화면상에 단어를 단위로 표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3. 제 18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표시상태의 변화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비접촉동작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데이터 전환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비접촉동작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26. 삭제
KR1020050110599A 2005-11-18 2005-11-18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255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599A KR101255014B1 (ko) 2005-11-18 2005-11-18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599A KR101255014B1 (ko) 2005-11-18 2005-11-18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849A KR20070052849A (ko) 2007-05-23
KR101255014B1 true KR101255014B1 (ko) 2013-04-23

Family

ID=3827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599A KR101255014B1 (ko) 2005-11-18 2005-11-18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514B1 (ko) * 2008-05-07 2009-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한 공간에서의 제스쳐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제어방법
EP2104024B1 (en) 2008-03-20 2018-05-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the same
KR100984230B1 (ko) * 2008-03-20 2010-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면 제어 방법
KR101486345B1 (ko) * 2008-03-21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8723811B2 (en) 2008-03-21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430475B1 (ko) * 2008-03-21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513023B1 (ko) 2008-03-25 201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29816B1 (ko) * 2009-01-08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388A (ja) * 1999-07-23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70049729A (ko) * 2005-11-09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388A (ja) * 1999-07-23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70049729A (ko) * 2005-11-09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849A (ko)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756B1 (ko)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255014B1 (ko)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US111696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KR101933452B1 (ko) 디바이스 패널들의 상대적 이동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들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844330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ouchless interaction
KR101212563B1 (ko)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장치의 조작방법 및 화상표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가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130254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oating user interface
US2012018827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5111003B2 (ja) 携帯情報機器、電子ブック、情報記憶媒体、携帯情報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ブックの制御方法
EP1724668A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5320453B (zh) 显示装置和控制显示装置的方法
KR100841310B1 (ko) 이동통신단말기
JP2007264808A (ja) 表示入力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7312360A (ja) ディスプレイ機能を持つボタンを備えた端末機及びそ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JP6437720B2 (ja) コンテンツ再生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076349A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4034726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document using a double-sided display
US11354031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speed of a display screen
CN112346629A (zh) 对象选择方法、对象选择装置及存储介质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901233B1 (ko) 터치 스크린의 접촉 방향성을 이용한 영상 확대/축소 장치 및 그 방법
JP651224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3395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1006654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US8477101B2 (en) Reading device for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on method of reading electronic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