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816B1 -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816B1
KR101029816B1 KR1020090001440A KR20090001440A KR101029816B1 KR 101029816 B1 KR101029816 B1 KR 101029816B1 KR 1020090001440 A KR1020090001440 A KR 1020090001440A KR 20090001440 A KR20090001440 A KR 20090001440A KR 101029816 B1 KR101029816 B1 KR 10102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de
capacitance
display devic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112A (ko
Inventor
이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816B1/ko
Priority to CN200910208603A priority patent/CN101706676A/zh
Publication of KR2010008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 및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2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방법에 의하면, 보다 용이하게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제품들은 그 조작을 위하여 선택부와 함께, 전자제품의 각종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손 등이 표시장치에 닿기 전에는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표시장치가 더러워지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 및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2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손 등이 표시장치에 접하기 전에 선택부를 활성화함으로써, 표시장치가 더러워지거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자제품으로서 세탁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어떠한 전자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스크린(10), 및 터치스크린(10) 내부에 구비된 전극(1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는 터치스크린(10)을 보호하는 보호부재(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개념도는 도 1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즉, 도체로 구성된 전극(12)과 대상물,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30) 사이에는 정전용량 Ch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50)와의 정전용량 Cam,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 Cg가 존재하게 된다.
검출회로(40)는 이러한 정전용량의 총합, Cx를 측정하게 된다. 즉, 정전용량의 총합은 전극(12)과 사용자의 손(30) 사이에는 정전용량,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50)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을 모두 합하여 구하게 된다(Cx = Ch + Cam + Cg).
이러한 각각의 정전용량은 전극과 사용자의 손, 주위의 도체, 대지와의 거리에 따라 각각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총합도 변화하게 된다. 그런데, 전극(12)이 전자제품 등에 구비된 경우에 전극(12)과 주위 도체와의 거리, 전극(12)과 대지와의 거리는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의 손(30)과 전극(12)과의 거리가 변화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손(30)이 전극(12)에 근접하게 되면 정전용량 Ch가 증가하게 되며, 사용자의 손(30)이 전극(12)에서 멀어지게 되면 정전용량 Ch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극(12)에서 감지하는 정전용량의 총합(Cx)도 사용자의 손이 전극(12)에 근접하면 증가하며, 사용자의 손(30)이 전극(12)에서 멀어지게 되면 감소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의 손(30)과 전극(12)의 거리에 따라 전극(12)에서 감지하는 정전용량의 총합(Ch)이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정전용량의 총합(Ch)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손(30)이 전극(12)에서 어떠한 거리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전극(12)을 구비한 터치스크린(10)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을 가정, 또는 공장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 초기에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은 제어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은 전자제품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 한, 큰 변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품을 원하는 장소에 설치한 다음, 전극(12) 및 감지회로를 통하여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감지된 수치를 제어부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은 전극(12)이 설치된 전자제품을 이동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재 설치 시마다 제어부에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이 설치초기에 입력된다면, 전극(12)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총합(Cx)은 전자제품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30)에 의해 변화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전극(12)에 인접하게 되면 전극(12)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총합은 증가하게 되며, 사용자의 손이 전극(12)에서 멀어지게 되면 전극(12)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총합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전극(12)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총합(Cx)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조작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치 초기에 제어부에 저장된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의 합에 비하여 정전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하여 접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이 저장된 경우에, 정전용량의 총합이 상기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근접한다고 제어부는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정전용량이 증가한 다음, 얼마간의 시간이 흘려 정전용량이 상기 설정값 이하로 감소한다면 사용자가 전자제품에서 멀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사용자의 근접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상기 설정값은 특별할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설정값은 전자제품이 설정되는 위치, 전자제품의 종료, 전극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설정값은 전자제품을 설치하는 초기에 제어부에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전극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크게 되므로,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제어부에 정전용량의 설정단계를 구비하여 설치초기에 상기 설정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단계에서는 먼저 전자제품을 설치한 다음, 전극(12)과 터치스크린 주위의 도체와의 정전용량, 전극(12)과 대지와의 정전용량의 합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손 등을 터치스크린(12)으로 이동시켜 터치스크린(12)을 만지는 동작을 소정횟수 반복하여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정전용량의 변화를 저장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이 터치스크린에 접하는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현저하게 크게 되므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스크린에 접하여 정전용량이 변화기 전의 정전용량의 변화수치, 즉, 사용자의 손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동하여 인접하지만 아직 터치스크린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러한 수치를 상기 설정값으로 제어부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설정단계에 의해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는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설정값이 저장되며, 이후 상기 상기 설정값 이상으로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이 접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터치스크린은 전자제품의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전자제품을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부는 별도의 버튼부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터치스크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제품으로 세탁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세탁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어떠한 전자제품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대상물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310)), 및 대상물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2 동작이 수행되는 선택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세탁장치는 세탁만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세탁 및 건조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건조겸용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는 세탁대상물을 상부에서 투입하는 탑로딩방식, 세탁대상물을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런트로딩방식을 구별하지 않는다. 이러한, 각종 세탁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전술한 표시장치, 즉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세탁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대상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손을 세탁장치를 향하여 뻗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과 세탁장치의 거리는 줄어들게 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과 세탁장치의 표시장치 또는 선택부와의 거리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세탁장치의 표시장치, 또는 선택부에 인접하게 되면 표시장치의 터치스크린에 구비된 전극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고, 구체적으로 정전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제어부는 이러한 정전용량의 증가값과 제어부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의 증가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게 되면, 제어부는 아직 사용자의 손이 세탁장치에서 제1 위치, 즉 소정거리만큼 충분히 접근하지 않았다고 판단을 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정전용량의 증가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크게 되면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이 표시장치에서 제1 위치, 즉 소정거리 이하로 접근을 하였다고 판단을 하여 제1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310).
여기서, 제1 동작은 표시장치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이 표시장치로부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는 표시장치에 선택부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선택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다양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장치에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고 전원을 온(on)한 다음, 사용자가 손을 세탁장치의 표시장치로 뻗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 접근함에 따라 세탁장치의 제어부는 세탁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구비하는 메인코스선택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코스선택부는 표준코스, 아기옷코스, 이불코스, 속옷코스 등의 다양한 코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술한 코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가 표시된 다음, 사용자의 손이 표시장치로부터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는 제2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S330).
여기서, 제2 위치는 대상물, 즉 사용자의 손이 표시장치에 접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 등이 표시장치의 선택부에 닿게 되면, 전 극(12)의 정전용량은 현저하게 변하게 되므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 등이 닿았음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가 사용자의 손이 표시장치에 닿았음을 인식하게 되면, 제2 동작이 구현된다. 여기서, 제2 동작은 사용자의 손이 접한 선택부가 선택되어 제어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코스선택부가 표시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에 손을 접하게 되면 세탁장치의 제어부는 선택된 코스를 저장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메인코스선택부에서 원하는 코스를 선택한 다음, 상기 선택된 코스를 소정압력이상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경우에 제어부는 전극(12)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압력 이상으로 코스선택부를 가압하였음을 인식하여 선택된 코스가 구동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소정압력 이상으로 선택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장치가 구동된다. 이 경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의 단계에서 부가적인 조절값, 예를 들어, 물의 온도, 헹굼횟수, 탈수속도 등은 미리 제어부에 각 코스에 따라 설정된 값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사용자가 메인코스선택부에서 원하는 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부가선택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선택부는 선택된 코스에서 세탁, 헹굼, 탈수 등의 단계에서 부가적인 조절값, 예를 들어, 물의 온도, 헹굼횟수, 탈수속도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접근함에 따라 세탁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구비하는 메인코스선택부를 표시하고, 이어서, 사용자의 손이 표시장치에 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이 접한 선택부가 선택되어 제어부에 저장된 다음, 부가선택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선택부는 적절한 개수로 구비되어, 선택된 메인코스의 세탁, 헹굼, 탈수 등의 단계에서 부가적인 조절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부가선택부가 표시된 경우에,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을 부가선택부로 접근시켜 원하는 수치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수개의 부가선택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조작순서에 따라 상기 부가선택부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작순서라 함은 세탁, 헹굼, 탈수와 같이 실제로 각 코스의 단계가 진행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또한, 세탁장치가 구동 중에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여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는 전극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세탁장치의 각종 구동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장치가 세탁단계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게 되면, 제업부는 표시장치를 통해 각종정보, 즉, 세탁단계를 수행중이라는 정보, 세탁수의 온도, 포량, 남은 세탁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단계는 전술한 세탁단계뿐만 아니라, 헹굼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등의 각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를 표시하는 단계;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에 접하여 선택부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접하는 선택부를 선택하여 제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의 구동 중에 대상물이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제품의 각종 구동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기 표시장치의 선택부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선택부의 동작이 구현되는 구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제어방법.
KR1020090001440A 2009-01-08 2009-01-08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KR10102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40A KR101029816B1 (ko) 2009-01-08 2009-01-08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CN200910208603A CN101706676A (zh) 2009-01-08 2009-10-19 电子产品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40A KR101029816B1 (ko) 2009-01-08 2009-01-08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12A KR20100082112A (ko) 2010-07-16
KR101029816B1 true KR101029816B1 (ko) 2011-04-20

Family

ID=4237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40A KR101029816B1 (ko) 2009-01-08 2009-01-08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9816B1 (ko)
CN (1) CN1017066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8257A (zh) * 2015-07-21 2015-12-09 合肥远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的控制方法
CN106293293A (zh) * 2016-07-29 2017-01-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物体距离状态的检测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849A (ko) *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90017828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KR20090022111A (ko) * 2007-08-29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90104469A (ko) * 2008-03-31 2009-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849A (ko) *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지데이터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90017828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KR20090022111A (ko) * 2007-08-29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90104469A (ko) * 2008-03-31 2009-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06676A (zh) 2010-05-12
KR20100082112A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3430B1 (en) Operating device
EP3062206B1 (en) Operation device
US10884596B2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n operating device configured as an external or internal touchscreen
KR10245753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US10552027B2 (en) Domestic appliance having improved operability of an operating device constructed as a touch screen
US20130100033A1 (en) Touch-type sensing apparatus for bathroom produc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00514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78937A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CN104754078A (zh) 一种移动终端的音量调控装置及方法、移动终端
KR101029816B1 (ko) 전자제품의 제어방법
KR2017008620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252263B (zh) 电子设备及其触摸感测方法
CN105630218A (zh) 家用电器及家用电器的触控装置和家用电器的触控方法
KR10242821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6145706B2 (ja) 操作装置及び洗濯機
JP2014147441A (ja) 操作装置及び洗濯機
KR101235841B1 (ko) 터치 스크린의 정전 용량 측정 장치
KR20100039012A (ko) 터치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0616541A (zh) 洗涤控制方法及装置、洗衣机
CN105138257A (zh) 一种电子产品的控制方法
KR10242350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40095059A (ko) 식기 세척기의 조작 인터페이스 및 그 조작에 따른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8523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89390A (ja) 操作装置及び洗濯機
CN118051136A (zh) 带有个性化触敏式输入和显示部件的家用器具及其运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