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685A -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685A
KR20140010685A KR1020120077265A KR20120077265A KR20140010685A KR 20140010685 A KR20140010685 A KR 20140010685A KR 1020120077265 A KR1020120077265 A KR 1020120077265A KR 20120077265 A KR20120077265 A KR 20120077265A KR 20140010685 A KR20140010685 A KR 2014001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distance
value
movement
targe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의선
문지중
박봉희
여인춘
이창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685A/ko
Priority to EP13820194.2A priority patent/EP2872978A4/en
Priority to US14/415,536 priority patent/US20150227292A1/en
Priority to PCT/KR2013/006299 priority patent/WO2014014242A1/en
Priority to CN201380048003.6A priority patent/CN104641336B/zh
Publication of KR2014001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객체 이동 방법은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객체에 대한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명령 수신 단계, 및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객체를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의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가 갈수록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기존에 보지 못했던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인터페이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의 방향이 변경되거나, 객체의 이동 명령이 수신된 경우, 화면 또는 객체를 보다 부드럽게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의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입장에서 부드러운 객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객체의 현재 위치와 목표 위치를 입력받아 점진적인 중간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객체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객체 이동 방법은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객체에 대한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명령 수신 단계, 및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객체를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객체에 대한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객체를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의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객체가 부드럽게 이동하는 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객체가 그려지는 시점마다 단위 시간 당 움직일 거리가 계산되기 때문에, 객체의 이동 도중 목표 위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움직일 거리가 다시 계산되어 연속적인 사용자 입력에 반응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 이동 명령 수신 시,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구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이동 거리를 나눌 제수 값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단위 시간 당 객체의 현재 위치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이동 속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가 표시될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도 함께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임의의 아이콘의 이동 명령 수신 시, 상기 아이콘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를 플립(flip) 입력에 따라 다음 순서로 표시될 이미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객체(object)라 함은 이미지, 동영상, 정지 영상, 아이콘,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상기 나열된 아이템들은 예시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이라 함은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른 객체의 회전, 아이콘의 위치 이동, 이미지 플립(flip) 입력에 따른 화면 전환을 포함할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 등에서 화면상에 표시된 객체가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이동(회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보기에 자연스럽게 이동(회전)할 수 있도록 단위 시간 당 이동 위치(회전각)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기술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기준점으로부터 객체의 현재 위치(각도)와 목표 위치(각도)를 입력으로 받아 임의의 환경 변수에 따라 점진적인 위치(회전각)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저장부(150), 센서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130)는 표시부(13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 충격, 방향 및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160)는 자이로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객체의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70)는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 결정부(172), 표시 위치 결정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객체의 이동 명령 수신 시,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과 전체 이동 거리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객체의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설정한다.
우선, 이동 방향 결정을 위해,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크기에 따라 제1 임시 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상기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에 따라 제2 임시 값을 결정한다. 이어서,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상기 제1 임시 값과 상기 제2 임시 값의 곱셈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곱셈 결과가 양수인 경우에는 상기 객체는 증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곱셈 결과가 음수인 경우에는 상기 객체는 감소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전체 이동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D0)을 산출한다. 이어서,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는 최대 거리 값에서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을 뺀 값(최대 거리 값-D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전체 이동 거리 결정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부분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 결정부(172)는 결정된 전체 이동 거리 중, 단위 시간 당 이동할 거리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 결정부(172)는 객체의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를, 제수 값으로 나눈 값을 상기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수 값은 초기 제수 값과 증가 제수 값의 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가 제수 값은 단위 시간 경과 시마다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표시 위치 결정부(173)는 객체의 현재 위치에 움직일 거리와 방향을 적용한 값이, 화면 상의 범위 안에 위치하고 타겟 위치를 넘어서지 않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객체가 화면에 표시될 위치를 계산한다.
상기에서는 제어부(170),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 결정부(172), 표시 위치 결정부(173) 각각이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171)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17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170)는 S21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이동의 대상이 되는 객체(object)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220 단계에서, 객체의 이동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특정 객체의 위치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60) 등으로부터 감지되는 휴대 단말기의 회전 여부 감지 등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객체 위치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S230 단계로 진행하여,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수 값들을 초기화 한다. 상기 변수 값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24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가 동일하다는 것은 객체가 타겟 위치까지로의 이동을 완료했다는 것으로, 더 이상 객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S210 단계로 복귀한다.
반면, 현재 위치가 타겟 위치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객체가 타겟 위치로 이동해야 할 거리가 남아 있다는 것이므로, 제어부(170)는 이동할 방향 및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S250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S250 단계에서,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가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3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한 제어부(170)는 S260 단계로 진행하여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객체의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가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객체가 보다 부드럽게 이동하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제어부(170)가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상기의 S26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270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현재 위치에 움직일 거리와 방향을 적용한 값이, 화면 상의 범위 안에 위치하고 타겟 위치를 넘어서지 않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객체가 화면에 표시될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28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에서 결정된 이동 방향 및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에 따라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290 단계에서 상기 객체가 이동할 타겟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겟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객체의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가, 직전에 설정된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해 S240 단계로 복귀한다. 반면, 타겟 위치가 변경된 경우, 제어부(170)는 객체의 단위 시간 이동 거리를 계산함에 있어, 최초 기준 값으로 초기화하기 위해 S230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객체의 이동 중에도 타겟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타겟 위치 변경 시 변수들을 초기화하고 이동 방향 및 거리를 다시 계산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 객체가 부드럽게 이동하는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 이동 명령 수신 시,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250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객체의 이동 방향 또는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제어부(170)는 S305 단계에서, 객체의 이동 방향을 계산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방향을 계산하는 것이라면 S310 단계로,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라면 S370 단계로 진행한다.
우선, 제어부(170)가 객체의 이동 방향을 계산하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객체의 이동 방향을 계산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S310 단계에서,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가 동일하다면, 상기 객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제어부(170)는 S315 단계로 진행한다. S31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0으로 설정한 후, 해당 과정을 종료시킨다.
반면,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S320 단계로 진행하여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절대 좌표 값 또는 상대 좌표 값을 기준으로 대소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가로축과 세로축 모두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크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가로축은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크지만, 세로축은 현재 위치가 타겟 위치보다 크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상기 이동이 회전인 경우, 회전 각도의 크기를 기준으로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대소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위치가 임의의 기준 위치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240도 지점이고, 현재 위치가 기준 위치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30도 지점이라면,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크다고 가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S325 단계로 진행하여, 제1 임시 값을 1(양의 정수)로 설정한다. 반면,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S330 단계로 진행하여 제1 임시 값을 -1(음의 정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335 단계에서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이, 중간 거리 값(MID_DIST)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중간 거리 값이란, 이동이 회전일 경우, 한 바퀴 회전인 360도의 절반인 180도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이동이 직선 거리 이동일 경우, 상기 중간 거리 값은 화면 상의 좌측 하단부 지점의 좌표와 우측 상단부 지점의 좌표의 중간 좌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차이 값이 중간 거리 값 이하라면, 제어부(170)는 S340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임시 값을 1(양의 정수)로 설정한다. 반면, 제어부(170)는 상기 차이 값이 중간 거리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S345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임시 값을 -1(음의 정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35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계산한 제1 임시 값과 제2 임시 값을 곱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이동 방향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355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이동 방향 값이 1(양의 정수)인지 또는 -1(음의 정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이동 방향 값이 1(양의 정수)인 경우에는 S360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이 증가 방향인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 제어부(170)는 상기 이동 방향 값이 -1(음의 정수)인 경우에는 S365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이 감소 방향인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임시 값과 제2 임시 값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의 곱셈 결과에 따라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S370 단계에서, 객체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S375 단계로 진행하여,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에 대한 크기(D0)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D0 값과, 최대 거리 값(MAX_DIST)과 상기 D0의 차이 값(D1)의 크기를 비교한다. 상기 최대 거리 값은, 상기 이동이 회전인 경우에는 360도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이 직선 거리 이동인 경우 화면 상의 우측 상단 지점의 좌표 값일 수 있다.
상기 D0가 D1보다 크다면, 제어부(170)는 S380 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이동 거리를 D1으로 설정한다. 반면, D0가 D1보다 작으면, 제어부(170)는 S385 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이동 거리를 D0로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구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객체의 이동이 회전인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4를 통해 객체의 이동 방향을 구하는 순서는 도 3의 S310 단계 내지 S365 단계를 참고하고,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구하는 순서는 도 의 S370 단계 내지 S385 단계를 참고하기로 한다.
우선, 도 4a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방향을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도 4a의 경우,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a 예시에서는 타겟 위치의 크기가 더 크므로, 제어부(170)는 제1 임시 값을 1(양의 정수)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회전이므로 중간 값은 180도)를 비교한다. 도 4a 예시에서는 중간 거리 값의 크기인 180도가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보다 크므로, 제어부(170)는 제2 임시 값을 1(양의 정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임시 값과 제2 임시 값을 곱하여 이동 방향 값이 1(양의 정수)임을 확인한다. 상기 이동 방향 값이 1(양의 정수)이므로, 제어부(170)는 객체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4a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거리를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도 4a에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 D0와, 최대 거리 값과 상기 D0와의 차이 값(D1)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a의 예시에서는 D1가 D0보다 큰 경우이므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는 D0로 설정된다.
정리하면, 도 4a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객체가 시계 방향으로, d0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4b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방향을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도 4b의 경우,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b 예시에서는 타겟 위치의 크기가 더 크므로, 제어부(170)는 제1 임시 값을 1(양의 정수)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회전이므로 중간 값은 180도)를 비교한다. 도 4b 예시에서는 중간 거리 값의 크기인 180도가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70)는 제2 임시 값을 -1(음의 정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임시 값과 제2 임시 값을 곱하여 이동 방향 값이 -1(음의 정수)임을 확인한다. 상기 이동 방향 값이 -1(d,a의 정수)이므로, 제어부(170)는 객체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4b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거리를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도 4b에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 D0와, 최대 거리 값과 상기 D0와의 차이 값(D1)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b의 예시에서는 D0가 D1보다 큰 경우이므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는 D1으로 설정된다.
정리하면, 도 4b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객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d1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4c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방향을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도 4c의 경우,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c 예시에서는 현재 위치의 크기가 타겟 위치의 크기보다 더 크므로, 제어부(170)는 제1 임시 값을 -1(음의 정수)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회전이므로 중간 값은 180도)를 비교한다. 도 4c 예시에서는 중간 거리 값의 크기인 180도가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70)는 제2 임시 값을 -1(음의 정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임시 값과 제2 임시 값을 곱하여 이동 방향 값이 1(양의 정수)임을 확인한다. 상기 이동 방향 값이 1(양의 정수)이므로, 제어부(170)는 객체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4c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거리를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도 4c에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 D0와, 최대 거리 값과 상기 D0와의 차이 값(D1)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c의 예시에서는 D0가 D1보다 큰 경우이므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는 D0로 설정된다.
정리하면, 도 4c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객체가 시계 방향으로, d0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도 4d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방향을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도 4d의 경우,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d 예시에서는 타겟 위치의 크기가 더 크므로, 제어부(170)는 제1 임시 값을 1(양의 정수)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회전이므로 중간 값은 180도)를 비교한다. 도 4d 예시에서는 중간 거리 값의 크기인 180도가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70)는 제2 임시 값을 -1(음의 정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임시 값과 제2 임시 값을 곱하여 이동 방향 값이 -1(음의 정수)임을 확인한다. 상기 이동 방향 값이 -1(음의 정수)이므로, 제어부(170)는 객체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4d의 예시에서 객체의 이동 거리를 구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도 4d에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타겟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 값 D0와, 최대 거리 값과 상기 D0와의 차이 값(D1)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4d의 예시에서는 D0가 D1보다 큰 경우이므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는 D1으로 설정된다.
정리하면, 도 4d의 예시에서, 제어부(170)는 객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d1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S260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가 결정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결정된다.
[수학식 1]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 = 이동 거리(DIST) / 제수 값
여기서, 상기 이동 거리(DIST)는 현재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거리는 단위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며, 동시에 상기 제수 값은 단위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객체의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는 점차 작아진다. 이는, 객체의 이동 명령이 수신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객체가 급격하게 이동하다가, 타겟 위치에 근접할수록 이동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5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170)는 S510 단계에서, 제수 값을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2]
제수 값 = 초기 제수 값(DIV_INIT) + 증가 제수 값(INC_DIV)*n(INTER)
(n은 단위 시간 경과 시마다 1씩 증가)
여기서 상기 제수 값은 현재의 시간 구간에서, 객체의 이동 거리(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눌 임의의 변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5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상기 제수 값으로 나눈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동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지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최소 이동 거리를 설정한 이유는 객체가 타겟 위치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 거리를 상기 제수 값으로 나눈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동 거리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S530 단계로 진행하여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이동 거리/제수 값으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이동 거리를 상기 제수 값으로 나눈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동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S540 단계로 진행하여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최소 이동 거리로 설정한다.
상기에서는 객체가 타겟 위치에 근접할수록 객체의 단위 시간 당 이동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가 타겟 위치에 근접할수록 객체의 단위 시간 당 이동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2에서 증가 제수 값을 음수로 설정하면, 단위 시간이 경과 할수록 제수 값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는 커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6a에서는 제0 시간 구간(INTER=0)에서,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DIST_0) 및 이동 방향(DIR=1)이 결정된다. 그리고 초기 제수 값은 4로, 증가 제수 값은 1로 설정된다.
그리고 도 6b에서는 제0 시간 구간에서, 단위 시간 당 이동할 거리가 결정된다. 상기 단위 시간 당 이동할 거리는 델타(DELTA_0)로 도시되었으며,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나눌 제수 값은 4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0 시간 구간에서, 객체는 도 6b에서 도시되는 DELTA_0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그러면 객체가 이동한 델타의 거리만큼, 객체의 현재 위치 값은 변경된다.
한편, 도 6c에서는 시간 구간이 제0 시간 구간(INTER=0)에서 제1 시간 구간(INTER=1)으로 진행하고, 객체의 이동 거리(DIST_1)와 이동 방향(DIR=1)이 결정된다. 제1 시간 구간에서의 객체의 이동 거리(DIST_1)는 제0 시간 구간에서의 객체의 이동 거리(DIST_0) 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그리고 도 6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위 시간 당 이동할 거리는 델타(DELTA_1)로 도시되었으며,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나눌 제수 값은 5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1 시간 구간에서, 객체는 도 6d에서 도시되는 DELTA_1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그러면 객체가 이동한 델타의 거리만큼, 객체의 현재 위치 값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가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도 6c 및 도 6d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에 따르면, 시간 구간이 증가할수록 이동 거리(DIST)는 작아지고, 제수 값은 커지게 되어 객체는 단위 시간 당 점차적으로 작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객체의 이동 도중, 타겟 위치가 변경되면, 도 6a로 복귀하여 INTER=0 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가 제수 값이 음수를 가지는 경우,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움직이는 거리는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미리 정의된 변수를 가질 때, 각 출력 값이 가지는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도면에서의 수평 축은 시간 구간(INTER)을 의미하고, 수직 축은 출력 값을 의미한다.
CUR_POS(현재 위치) = 10
TARGET_POS(타겟 위치) = 180
INIT_DIV(초기 제수 값) = 5
DIV_INC(증가 제수 값) = 1
MIN_DELTA(최소 이동 거리) = 0.5
MIN_DIST(최소 거리 값) = 0
MID_DIST(중간 거리 값) = 180
MAX_DIST(최대 거리 값) = 360
도 7은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는 도 7에서 DELTA로 표기되었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증가 제수 값이 양의 정수인 1로 설정되었으므로, 시간이 경과 할수록 이동 거리를 나누는 제수 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이 경과 할수록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는 감소하게 된다.
도 8은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이동 거리)는 도 8에서 DIST로 표기되었다. 수학식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거리는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에 비례하게 되므로, 도 7의 그래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9는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이동 거리를 나눌 제수 값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수 값은 증가 제수 값(INC_DIV)에 비례한다. 여기서, 표 1에 따라 상기 증가 제수 값을 1(양수)이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제수 값은 기울기가 1인 직선 그래프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10은 단위 시간 당 객체의 현재 위치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객체의 현재 위치의 변화는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속도와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진다. 도 10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객체가 타겟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이동 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에서는 객체가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접근함에 따른 상기 객체의 이동 속도를 다양한 실시예 별로 도시한다.
도 11a에서는 객체가 타겟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1b에서는 객체가 타겟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점차 증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11c에서는 객체가 타겟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 감소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1d에서는 객체가 타겟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점차 감소하다고 다시 점차 증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1에서 도시된 객체의 이동 속도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된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가 표시될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S270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제어부(170)는 S1205 단계에서, 객체를 표시할 임시 위치를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3]
임시 위치(TMP) = 현재 위치(CUR_POS) +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DELTA) * 이동 방향 값(DIR)
그리고 제어부(170)는 S121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 위치가 최대 거리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임시 위치가 최대 거리 값보다 크다는 것은, 상기 객체를 표시할 위치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벗어났거나 또는 객체가 360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S121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 위치에서 최대 거리 값을 뺀 값을 신규 임시 위치로 업데이트 한다.
한편, 임시 위치가 최대 거리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S12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 위치가 최소 거리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임시 위치가 최소 거리 값보다 작다는 것은, 상기 객체를 표시할 위치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벗어났거나 또는 객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S1225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 위치에서 최대 거리 값을 더한 값을 신규 임시 위치로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S1230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 값이 1(증가 방향)이고,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객체의 이동 방향 값이 1이고 타겟 위치가 현재 위치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S1235 단계로 진행하여 최종 임시 위치를 임시 위치와 타겟 위치 중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S1230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S1240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 값이 -1(감소 방향)이고 현재 위치가 타겟 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객체의 이동 방향 값이 -1이고 현재 위치가 타겟 위치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최종 임시 위치를 임시 위치와 타겟 위치 중 큰 값으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S1240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또는 S1235 단계나 S1245 단계에서 분기된 경우, 제어부(170)는 S1250 단계에서, 객체가 표시될 현재 위치를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임시 위치로 결정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도 함께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휴대 단말기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수평 방향에 따라 이미지(객체)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160)는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휴대 단말기가 특정 각도로 회전하고 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의 현재 위치와 타겟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이미지를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도 1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위 시간 당 이미지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1310)만을 도시한 것임에 유의해야 하며, 단위 시간 당 이미지의 회전 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그리고 도 13c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최초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임의의 아이콘의 이동 명령 수신 시, 상기 아이콘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는 현재 위치인 1410에서 타겟 위치인 1420으로의 아이콘 이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위 시간 당 아이콘의 이동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단위 시간 당 아이콘의 이동 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를 플립(flip) 입력에 따라 다음 순서로 표시될 이미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휴대 단말기가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해당 방향에 따라 이미지(객체)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를 다음 이미지로 전환하기 위한 플립 명령이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플립 명령의 방향에 따라 다음 순서로 표시될 이미지로 슬라이딩하여 전환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마릭는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위 시간 당 이미지의 전환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단위 시간 당 이미지의 전환 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상기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또는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또는 회전 속도가 빨라지거나, 또는 도 11과 같은 변화 속도를 가지는 실시예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의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객체의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객체가 부드럽게 이동하는 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객체가 그려지는 시점마다 단위 시간 당 움직일 거리가 계산되기 때문에, 객체의 이동 도중 목표 위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움직일 거리가 다시 계산되어 연속적인 사용자 입력에 반응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 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키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센서부
170 : 제어부 171 : 이동 방향 및 거리 결정부
172 : 단위 시간 당 이동거리 결정부
173 : 표시 위치 결정부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객체 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객체에 대한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이동 명령 수신 단계; 및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객체를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방향 설정 단계;
    상기 전체 이동 거리 중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 설정 단계;
    상기 객체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상에 표시되도록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위치 결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이동 위치로 상기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이동 위치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위치 표시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위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변경 시,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 결정 시 필요한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화된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위치 표시 단계 이후에,
    미 변경 시, 상기 이동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설정 단계는,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크기에 따라 제1 임시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에 따라 제2 임시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시 값과 상기 제2 임시 값의 곱셈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설정 단계는,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D0)과, 최대 거리 값에서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을 뺀 값(최대 거리 값-D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 설정 단계는,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를, 제수 값으로 나눈 값을 상기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수 값은,
    초기 제수 값과 증가 제수 값의 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가 제수 값은 단위 시간 경과 시마다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이미지, 동영상, 정지 영상,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회전, 위치 이동,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이동 방법.
  1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객체에 대한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이동 명령 수신 시,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객체를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전체 이동 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전체 이동 거리 중 단위 시간 당 상기 객체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며, 상기 객체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상에 표시되도록 이동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설정된 이동 위치로 상기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 후에,
    상기 타겟 위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 시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 결정 시 필요한 변수들을 초기화하며, 상기 초기화된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위치로 상기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 후에, 상기 타겟 위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미 변경 시 상기 이동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객체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며, 결정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크기에 따라 제1 임시 값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과, 중간 거리 값의 크기에 따라 제2 임시 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임시 값과 상기 제2 임시 값의 곱셈 결과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D0)과, 최대 거리 값에서 상기 타겟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 값을 뺀 값(최대 거리 값-D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객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현재 위치에서 타겟 위치까지의 거리를, 제수 값으로 나눈 값을 상기 단위 시간 당 이동 거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수 값은,
    초기 제수 값과 증가 제수 값의 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가 제수 값은 단위 시간 경과 시마다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이미지, 동영상, 정지 영상,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엇서, 상기 이동은,
    회전, 위치 이동,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77265A 2012-07-16 2012-07-16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140010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265A KR20140010685A (ko) 2012-07-16 2012-07-16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EP13820194.2A EP2872978A4 (en) 2012-07-16 2013-07-15 METHOD AND DEVICE FOR A MOVING OBJECT ON A MOBILE TERMINAL
US14/415,536 US20150227292A1 (en) 2012-07-16 2013-07-15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mobile terminal
PCT/KR2013/006299 WO2014014242A1 (en) 2012-07-16 2013-07-15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mobile terminal
CN201380048003.6A CN104641336B (zh) 2012-07-16 2013-07-15 移动终端中用于移动对象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265A KR20140010685A (ko) 2012-07-16 2012-07-16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685A true KR20140010685A (ko) 2014-01-27

Family

ID=4994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265A KR20140010685A (ko) 2012-07-16 2012-07-16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27292A1 (ko)
EP (1) EP2872978A4 (ko)
KR (1) KR20140010685A (ko)
CN (1) CN104641336B (ko)
WO (1) WO20140142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1901A (zh) * 2014-03-21 2014-07-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视频终端的屏幕旋转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1576B2 (ja) * 2013-04-26 2015-02-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ンピュータ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そのパラメータ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161602A1 (en) * 2014-06-24 2017-05-03 Google, Inc. User interface with quantum curves and quantum arcs
CN105094440B (zh) * 2015-08-18 2018-10-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触摸屏防抖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5677104B (zh) * 2016-01-07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控制方法及用户终端
CN105511763A (zh) * 2016-02-02 2016-04-20 上海逗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控操作移动目标对象的方法与设备
CN107765974B (zh) * 2016-08-17 2021-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控件的移动方法和装置
TWI641808B (zh) * 2016-11-28 2018-11-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行動裝置、操作方法及非揮發性電腦可讀取記錄媒體
CN109189299B (zh) * 2018-08-02 2020-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展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443841B (zh) * 2020-03-26 2021-12-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移动方法及电子设备
CN111624636B (zh) * 2020-05-25 2023-06-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5566A (en) * 1994-11-22 1996-02-27 Microsoft Corporation Scrolling contents of a window
US6590568B1 (en) * 2000-11-20 2003-07-08 Nokia Corporation Touch screen drag and drop input technique
US7428718B1 (en) * 2006-02-24 2008-09-23 Xilinx, Inc. Enhanced incremental placement during physical synthesis
JP4384697B2 (ja) * 2008-03-26 2009-12-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474452B1 (ko) * 2008-08-04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CN102209948A (zh) * 2008-11-11 2011-10-05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终端、用于移动终端的页面传送方法以及程序
CN101478605B (zh) * 2009-01-13 2015-05-06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显示立体菜单的方法、系统及移动通信终端
JP5185240B2 (ja) * 2009-11-26 2013-04-17 楽天株式会社 サーバ装置、ユーザ関心度算出方法、ユーザ関心度算出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9417787B2 (en) * 2010-02-12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ortion effects to indicate location in a movable data collection
JP5503419B2 (ja) * 2010-06-03 2014-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人搬送車および走行制御方法
KR20120023867A (ko) * 2010-09-02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 방법
JP5732854B2 (ja) * 2011-01-05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48633B2 (en) * 2011-10-01 2016-09-2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ving a display object within a display frame using a discrete gesture
US9776332B2 (en) * 2011-12-08 2017-10-03 Lg Electronics Inc. Automatic moving apparatus and manual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1901A (zh) * 2014-03-21 2014-07-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视频终端的屏幕旋转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242A1 (en) 2014-01-23
CN104641336A (zh) 2015-05-20
EP2872978A4 (en) 2016-02-24
CN104641336B (zh) 2019-04-23
EP2872978A1 (en) 2015-05-20
US20150227292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0685A (ko) 휴대 단말기에서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2209099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372577B2 (en) Method and device to reduce swipe latency
US956906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EP2708983B1 (en) Method for auto-switching user interface of handheld terminal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device thereof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EP25305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tasking interface
US11829581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9928846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cking audio
CN107408011B (zh) 将多个屏幕动态地合并到一个视口
US9235238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dual touch displays and multitasking fun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20110037761A (ko)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20140035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based on multi touch finger gesture
JP2013142902A (ja) 映像表示装置で応用プログラムのレイアウトをスケー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40198064A1 (en) Touch sensitivit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40062925A1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U2014200468A1 (en) Sc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933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rient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282282B2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01645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19908B1 (ko) 공존하는 멀티 모드 조절 메커니즘을 갖춘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US10460425B2 (en)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mage
KR102317683B1 (ko)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9870085B2 (en) Point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805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based on an adj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