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35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35B1
KR101990035B1 KR1020120122512A KR20120122512A KR101990035B1 KR 101990035 B1 KR101990035 B1 KR 101990035B1 KR 1020120122512 A KR1020120122512 A KR 1020120122512A KR 20120122512 A KR20120122512 A KR 20120122512A KR 101990035 B1 KR101990035 B1 KR 10199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creen
screen page
moving picture
touch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513A (ko
Inventor
이민정
이상운
이춘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35B1/ko
Priority to EP13004517.2A priority patent/EP2728453A3/en
Priority to US14/029,406 priority patent/US10338763B2/en
Priority to CN201310528500.8A priority patent/CN103793170B/zh
Publication of KR2014005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 중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 이미지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와 다른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가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 또는 위젯(widget)이 출력되는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홈 스크린 페이지는 주로 복수개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복수개의 홈 스크린 페이지 중 어느 하나만이 출력된다. 한편, 사용자는 습관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터치를 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 출력된 홈 스크린 페이지를 다른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시키곤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 중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 이미지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와 다른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가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영상의 재생을 중지시키고, 상기 영상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고 있던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을 더 이상 출력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키는 클린뷰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은 핀치 인(pinch in) 방식의 터치입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인 방식의 터치입력과 반대되는 핀치 아웃(pinch out) 방식의 터치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클린뷰 모드를 종료시키고,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상기 기능 아이콘을 다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린뷰 모드가 종료 되는 경우, 상기 핀치 아웃(pinch out) 방식의 터치입력이 인가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표시되고 있던 제3 이미지를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인(pinch in)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부의 일 영역에는 상태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클린뷰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태정보가 출력됨 없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만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재생되던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제어 및 변경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플리킹 또는 드래깅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고, 상기 플리킹 또는 드래깅 터치입력의 터치속도에 따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재생되는 영상의 재생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리킹 또는 드래깅 터치입력의 방향에 따라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재생되는 영상의 재생구간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재생되고 있던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출력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와 함께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에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키거나,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다른 동영상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를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기 설정된 용량 이상의 동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다른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로 설정된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출력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스크린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동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각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홈 스크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 대신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클린 뷰 모드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별도의 메뉴에 접근할 필요없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동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홈 스크린 페이지와 함께 동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클린뷰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클린뷰 모드에서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 중이던 동영상을 홈 스크린 페이지에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0)(이하, '바디'라 한다)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한다. 또한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양단을 구비한다.
바디(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전면(이하, '프론트 케이스'라 한다, 101)과 후면(이하, '리어 케이스'라 한다, 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0)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1)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마이크(122)는 바디(100)의 타단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 리어케이스(102)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가(121')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된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2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음향 출력부(2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를 다른 홈 스크린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스크린 페이지를 이동시키려는 터치입력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습관적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동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시각적인 재미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로 설정된 제1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출력시킨다(S310).
여기에서, 홈 스크린 페이지는 대기화면(idle screen)이라고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는 이동 단말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다. 한편, 여기에서, 대기상태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라도,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고 있지 않고, 홈 스크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 상태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40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4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420)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get)일 수 있다.
한편, 홈 스크린 페이지(400)는 도 4의 (a)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복수개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홈 스크린 페이지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홈 스크린 페이지(401)에 대한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식별정보 영역(430),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상태정보 영역(440), 기본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451, 452, 453, 454)이 표시되는 프리셋 영역(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영역(430)에는 현재 출력된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복수개의 홈 스크린베이스 몇 번째 홈 스크린 페이지에 해당하는지를 알리는 식별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영역(440)에는 단말기의 안테나 정보, 통신모드 정보, 배터리 정보, 발생한 이벤트에 정보, 설정된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셋 영역(450)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이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출력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앞서 살펴본, 식별정보영역(430), 상태정보 영역(440) 및 프리셋 영역(450)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계속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401)의 배경이미지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여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즉, 이동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상기 서로 다른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미지 어느 하나를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401)의 배경 이미지(411)로 출력시킨다.
한편,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한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기 설정된 용량 이하의 동영상 데이터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용량 이하의 동영상 데이터는, 기 설정된 용량 이상의 동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구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량을 갖는 동영상 데이터에 한하여, 사용자로부터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출력시킬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동영상 데이터는 avi, wmv, mpg, divx, mp3, mov, flv, mp4, wav 등과 같은 확장자 및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가능한 다양한 확장자를 갖는 파일이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거나,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출력된 상태에서, 감지부(140, 도 1 참조)는 상기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401)를 상기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와 다른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시키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S320). 여기에서, 상기 터치입력은 근접터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편의상 상기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401)는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로 명명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402)는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명명한다.
이와 같이,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를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시키는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지 않을 때까지,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되는 동안,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S330). 여기에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의 배경이미지(410)로 출력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슬라이드(slide), 드래그(drag) 또는 플리크(flick)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4의 (b),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기 설정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가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다. 그리고, 이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재생된다. 여기에서, 재생되는 영상(또는 동영상)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미지 중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2)의 배경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시간정보와 연속하는 이미지부터 시작된다.
한편,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에서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영상의 재생속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에서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영상의 재생속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가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되는 동안 영상이 재생되던 중,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홈 스크린 페이지(401)에서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의 재생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출력되고 있던 이미지를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의 배경이미지(414)로 출력시킨다. 즉, 제어부(180)는 영상의 재생이 중지되면,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다시 제2 홈 스크린 페이지(402)의 배경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설정에 따라,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스크린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동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각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홈 스크린 페이지와 함께 동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앞서,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페이지를 이동 시키기 위한 터치입력의 방향에 따라, 영상의 재생방향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드래그, 슬라이드 또는 플리크 터치입력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슬라이드 또는 플리크 터치입력의 터치방향에 따라, 영상의 재생방향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 슬라이드 또는 플리크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정방향으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 슬라이드 또는 플리크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5a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역방향으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정방향은 재생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재생되는 것을 의미하고, 역방향은 재생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 홈 스크린 페이지를 도 4의 (d) 및 도 5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시킨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입력의 정도에 따라 영상의 재생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a'길이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도 5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속도'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킨다. 그리고, 도 5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a'길이보다 짧은 'b'길이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도 5b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의 터치속도에 따라, 영상의 재생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길이 또는 터치속도에 따라, 영상의 재생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다양한 터치입력에 따라 반응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시, 서로 다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의 반응을 제공받음으로써, 시각적인 재미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더 이상 이동시킬 홈 스크린 페이지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도,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 개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존재하여, 그 중, 두 번째 홈 스크린 페이지(401)에서, 세 번째 홈 스크린 페이지(402)로 전환이 완료되어, 더 이상 이동시킬 홈 스크린 페이지가 없지만, 동영상 데이터에서 재생될 분량이 남아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c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남아있는 분량의 동영상 데이터를 계속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5d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남아있는 분량의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다른 동영상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610)를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그레스 바(220)는 동영상 데이터를 시간에 대응시킨 것으로서, 프로그레스 바(610)는 동영상 데이터의 총 재생시간에 매칭되어 있으며, 프로그레스 바(610)의 각 지점들은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들에 대응된다. 즉, 프로그레스 바(610)의 각 지점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는 이와 대응되는 시간정보를 갖는 이미지들이 각각 매칭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레스 바(610)는 도 6a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재생중일 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출력되었다가,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레스 바(610)를 터치입력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a의 (a), (b),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동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프로그레스 바(610)에서 현재 출력된 영상이 동영상 데이터의 총 재생 구간 중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11)의 출력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페이지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의 방향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시키면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다른 동영상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를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5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가로방향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를 전환시키고, 도 6b의 (a),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방향과 다른 세로방향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를 다른 동영상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출력되도록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를 다른 동영상 데이터로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도 6b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를 변경된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의 터치입력을 통해, 동영상 데이터 및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를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따라 홈 스크린 페이지와 함께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린뷰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클린뷰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클린뷰 모드에서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될 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 전환될 때 영상을 재생시키는 것 외에, 디스플레이부(151)의 정보표시 모드가, 클린뷰 모드(clean view)일 때, 동영상 데이터에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클린뷰 모드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에서, 클린뷰 모드(clean view)모드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앞서 도 4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get)에 대응되는 객체(420, 도 4 참조)와 식별정보 영역(430, 도 4 참조), 상태정보 영역(440, 도 4 참조) 및 프리셋 영역(450, 도 4 참조)에 아무런 정보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서, 홈 스크린 페이지(401, 도 4 참조)의 배경 이미지만이 출력되는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모드가 클린뷰 모드인 경우, 도 7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린뷰 모드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401)의 배경이미지와 연관된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클린뷰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은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치-인(pinch-in) 터치입력일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핀치-인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7a의 (b),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상태를 클린뷰 모드로 전환시키고, 동영상을 재생시킨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과 다른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 예를 들어, 핀치-아웃(pinch-out) 방식의 터치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경우, 클린뷰 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다. 클린뷰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클린뷰 모드가 종료되어 출력된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는, 상기 클린뷰 모드를 종료되는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고 있던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클린뷰 모드를 진입하기 위한, 핀치-인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클린뷰 모드에서 서로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치-인 터치입력이 'a'길이에 대응되도록 인가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치-인 터치입력이 'b'길이에 대응되도록 인가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7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와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장 마지막에 이용된 동영상 데이터이거나, 사용자에 의미리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 일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도 7a의 (a)와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적어도 두개의 지점에 대하여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a'길이 및 'b'길이에 대응되는 핀치-인 터치입력에 따라 출력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가 썸네일(thumnail) 형식으로 출력되거나, 동영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린부 모드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시간 및 재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클린-뷰 모드 상에서, 클린-뷰 모드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 또는 편집하기 위한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린-뷰 모드에서 영상이 재생되던 중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8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데이터의 제어 및 변경과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820)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이미지(820)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8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체적인 제어 메뉴(821, 822, 823)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a의 (c)의 과정 없이, 곧바로 제어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뉴 중 추천메뉴(823)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메뉴 중 동영상 설정 메뉴(821)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8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될 동영상 구간을 선택받거나, 도 8b의 (a)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될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항목(850)에 대응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홈 스크린 페이지 또는 클린뷰 모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 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기 설정된 용량 이하로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는 메모리(160)이 원본 동영상데이터와 별도로 저장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메뉴 중 촬영 메뉴(822)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8c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미도시됨)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가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8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가 클린뷰 모드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설정을 위한 아이콘(86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가 클린뷰 모드에서 출력될 동영상으로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를 상기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별도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고, 클린뷰 모드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바로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호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클린뷰 모드에서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함으로써,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의 간단한 터치입력을 통해 손쉽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던 중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출력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 중이던 동영상을 홈 스크린 페이지에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도 9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영상이 재생되던 중,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출력요청이 수신된 경우, 도 9a의 (b),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된 영상이 계속해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에서 재생 또는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재생시키거나,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적인 영상을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시킬 수 있다.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영상이 계속하여 재생되는 경우,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홈 스크린 페이지에 출력되기 전,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출력되었던 배경 이미지를 다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9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되고 있던 영상의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를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시킬 수 있다.
홈 스크린 페이지에 출력되는 배경이미지는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출력요청이 수신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된 영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적인 영상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이미지로 출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4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가 전환될 때,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9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예를 들어, 핀치-인)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클린뷰 모드(940)를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클린뷰 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되던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되던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180)는 클린뷰 모드를 종료하고, 도 9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홈 스크린 페이지에 출력되기 전,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출력되었던 배경이미지(931)를 홈 스크린 페이지(940)에 다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되던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홈 스크린 페이지에 출력되기 전,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출력고 있었던 배경이미지(931)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계속하여, 클린뷰 모드에서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출력요청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제어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클린뷰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정보가 출력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서는 동영상이 출력되던 중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된 경우라도, 계속해서 출력되던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다른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스크린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동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각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홈 스크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 대신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클린 뷰 모드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별도의 메뉴에 접근할 필요없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동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터치 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고,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1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로서 설정된 제1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서 포함하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 제1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와 다른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중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되고 있었던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 이미지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터치 속도에 따라,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 속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은,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다른 터치 방식의 제2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사라지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가해지는 제3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며,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과 다른 방식의 제3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을 종료하고,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재생되는 영상의 재생구간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재생되고 있던 중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 대한 출력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와 함께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 이미지에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키거나, 상기 다른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고,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1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로서 설정된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서 포함하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 제1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를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와 다른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중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되고 있었던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의 배경 이미지로서 설정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속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터치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122512A 2012-10-31 2012-10-3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9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12A KR101990035B1 (ko) 2012-10-31 2012-10-3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13004517.2A EP2728453A3 (en) 2012-10-31 2013-09-1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029,406 US10338763B2 (en) 2012-10-31 2013-09-1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displaying home screen background images and video
CN201310528500.8A CN103793170B (zh) 2012-10-31 2013-10-30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12A KR101990035B1 (ko) 2012-10-31 2012-10-3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513A KR20140055513A (ko) 2014-05-09
KR101990035B1 true KR101990035B1 (ko) 2019-06-18

Family

ID=492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512A KR101990035B1 (ko) 2012-10-31 2012-10-3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38763B2 (ko)
EP (1) EP2728453A3 (ko)
KR (1) KR101990035B1 (ko)
CN (1) CN103793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27512S (ko) * 2013-02-22 2015-06-29
AU350005S (en) * 2013-03-13 201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163684B1 (ko) * 2013-07-19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USD757074S1 (en) * 2014-01-15 2016-05-24 Yahoo Japan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775S1 (en) * 2014-01-15 2016-05-31 Yahoo Japan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774S1 (en) * 2014-01-15 2016-05-31 Yahoo Japan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078S1 (en) * 2014-01-15 2016-06-14 Yahoo Japan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142792B (zh) * 2014-04-18 2016-10-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切换方法及装置
KR102276272B1 (ko) * 2014-05-21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073599B2 (en) * 2015-01-07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CN106325676A (zh) * 2015-06-02 2017-01-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TWI708169B (zh) 2015-06-02 2020-10-2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180404B1 (ko) 2015-06-0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183336A (zh) * 2015-06-05 2015-1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界面的切换方法及终端
CN104991695B (zh) * 2015-06-15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354002B (zh) * 2015-10-29 2018-06-19 四川奇迹云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多屏间视频无缝切换的系统及方法
US9921719B2 (en) * 2015-11-02 2018-03-2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wallpaper replacing method thereof
KR20170090824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824515A (zh) * 2016-03-22 2016-08-03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元素显示的方法及装置
CN106028101A (zh) * 2016-05-19 2016-10-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功能图标的屏幕显示方法及其系统
KR20180020386A (ko) * 2016-08-18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6828134B2 (ja) 2017-02-22 2021-02-10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183409B (zh) * 2017-10-11 2024-04-19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记录介质及电子设备
CN109451341B (zh) * 2018-10-30 2020-09-1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视频播放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062284B (zh) * 2019-04-03 2022-03-0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611844B (zh) * 2019-10-18 2021-12-2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应用中播放器的控制方法、装置和视频播放装置
CN111131715A (zh) * 2019-12-31 2020-05-08 联想(北京)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和电子设备
CN111787385B (zh) * 2020-05-28 2023-04-28 深圳市酷开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界面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679776B (zh) * 2020-06-10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广告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14077375B (zh) * 2021-11-25 2023-05-0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目标对象的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4879B1 (en) * 1997-07-14 2004-08-31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of background video
EP2469850A3 (en) * 2001-02-21 2013-07-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s with personal video recording features
US20070118801A1 (en) * 2005-11-23 2007-05-24 Vizzme, Inc. Generation and playback of multimedia presentations
KR101188083B1 (ko) 2006-05-24 201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주얼 효과가 부여된 대기 화면 계층 제공 방법 및 그에따른 대기 화면 제공 방법
US8736557B2 (en) * 2006-09-11 2014-05-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KR101419701B1 (ko) * 2007-12-03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멀티 터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
KR20090085470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8669945B2 (en) * 2009-05-07 2014-03-11 Microsoft Corporation Changing of list views on mobile device
WO2011060382A1 (en) * 2009-11-13 2011-05-19 Google Inc. Live wallpaper
US8949734B2 (en) 2010-01-04 2015-02-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device color-based content mapping and navigation
US8736561B2 (en) 2010-01-06 2014-05-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ontent display modes and display rotation heuristics
CN102243581B (zh) 2010-05-11 2015-05-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多媒体桌面背景设置方法、多媒体播放器
CN102012783B (zh) 2010-09-16 2013-02-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壁纸的控制方法及终端
EP2431870B1 (en) 2010-09-1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3413B1 (ko) * 2010-09-17 2016-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765070B2 (ja) * 2011-06-13 2015-08-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切換装置、表示切換方法、表示切換プログラム
KR101864618B1 (ko) * 2011-09-06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130069962A1 (en) * 2011-09-15 2013-03-21 Microsoft Corporation Active Lock Wallpapers
KR101966708B1 (ko) * 2011-10-28 2019-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40362118A1 (en) * 2011-12-08 2014-12-11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ry as a Wallpaper on a Computing Device
US9229613B2 (en) * 2012-02-01 2016-01-05 Facebook, Inc. Transitions among hierarchical user interface components
US9454303B2 (en) * 2012-05-16 2016-09-27 Google Inc. Gesture touch inputs for controlling video on a touchscreen
CN102789359A (zh) * 2012-06-25 2012-11-21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动态桌布显示方法及新视频信息显示方法与手持移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8453A3 (en) 2017-10-11
EP2728453A2 (en) 2014-05-07
US20140123013A1 (en) 2014-05-01
CN103793170A (zh) 2014-05-14
KR20140055513A (ko) 2014-05-09
CN103793170B (zh) 2017-08-01
US10338763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343591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793607B2 (en) Method for removing icon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3026888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9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009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644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342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42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3251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공유 방법
KR20130034885A (ko) 이동 단말 및 이의 지능형 정보 검색 방법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8833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377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072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801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차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300832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6933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97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53759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3418B1 (ko)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