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28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280B1
KR101518280B1 KR1020150014774A KR20150014774A KR101518280B1 KR 101518280 B1 KR101518280 B1 KR 101518280B1 KR 1020150014774 A KR1020150014774 A KR 1020150014774A KR 20150014774 A KR20150014774 A KR 20150014774A KR 101518280 B1 KR101518280 B1 KR 10151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urved
sub
us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영
김용호
라진
류종현
임애영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280B1/ko
Priority to US14/837,18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191837A1/en
Priority to PCT/KR2015/014346 priority patent/WO201610854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eurosurgery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메인 영역,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측면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측면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표시부, 및,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표시부가 구부러지면 형성되는 서브 영역에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거나 말아서 넣더라도 손상되지 않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새로운 기술로 떠오를 전망이다. 현재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구현에 다양한 장애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기술개발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와 전기영동(Electrophoretic) 등이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측 가장자리가 시청자 방향으로 구부러져 시청자가 체감하는 시야각을 향상시키고, 몰입도를 향상시켜 영상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곡률을 가지는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곡률 변경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구조도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영화와 같은 컨텐츠 재생 중에는 구부러진 상태에서 화면을 표시하다가, 인터넷 서핑을 화는 환경으로 전환되면 다시 평평한 상태에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구조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표시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뿐, 변화된 화면 상태에 최적화된 화면 형태를 제공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가 구부러지면 형성되는 서브 영역에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오목하게 구부러진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측면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측면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표시부, 및,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이벤트는,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장치에 발생한 이벤트나 상태 변경에 대한 알림 메시지의 수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는 스마트 TV 기능의 구동 명령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TV 기능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TV 컨텐츠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면서, 상기 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아이콘이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중인 컨텐츠와 다른 비율의 컨텐츠 재생 명령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비율의 컨텐츠를 상기 메인 화면, 상기 제1 서브 화면 및 상기 제2 서브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영역,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이 평평하게 가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영역은 평평한 상태에서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가 오목하게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양끝이 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가 평평한 상태에서만 기인쇄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에 전원 온/오프 아이콘, 볼륨 조절 아이콘 및 소스원 변경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UI 요소가 표시되는 상기 서브 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가 오목하게 구부러진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측면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측면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2 서브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이벤트는,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장치에 발생한 이벤트나 상태 변경에 대한 알림 메시지의 수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는 스마트 TV 기능의 구동 명령이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TV 컨텐츠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TV 컨텐츠에 대한 제어 아이콘이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중인 컨텐츠와 다른 비율의 컨텐츠 재생 명령이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비율의 컨텐츠를 상기 메인 화면, 상기 제1 서브 화면 및 상기 제2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영역 주 적어도 하나에 전원 온/오프 아이콘, 볼륨 조절 아이콘 및 소스원 변경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랫 모드인 경우의 플렉서블 표시부의 형상 및 에지 영역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디드 모드인 경우의 플렉서블 표시부의 형상 및 에지 영역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구체적으로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평평한 상태에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시 평평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평평한 상태에서는 플랫 표시 영역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평평한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플랫 모드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지면(구체적으로,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지게 되면), 플랫 표시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영역(또는 메인 표시 영역)과 메인 영역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또는 서브 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영역의 면적은 메인 영역보다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벤디드 모드라고 지칭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은 메인 영역과 상이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메인 영역은 평평한 상태에서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front surface)에 오목하게 구브러지게 배치되게 되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면(surface)들 중에서 우측면(right side surface), 좌측면(left side surface), 후면(back surface)과 같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평면 또는 곡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면(평면 또는 곡면)은 둔각을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서브 영역의 형태, 위치,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고,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플랫 모드인 경우에 플랫 표시 영역을 제어하고,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벤디드 모드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령,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표시 방법, 레이아웃 등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랫 모드인 경우의 플렉서블 표시부의 형상 및 에지 영역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디드 모드인 경우의 플렉서블 표시부의 형상 및 에지 영역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바디부(110), 패널(120), 가이드 부재(130)로 구성된다.
바디부(110)는 플렉서블한 구조로 평평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의 양 끝단에는 라운딩된 에지 영역을 갖는다. 한편, 구현시에는 바디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끝단에만 라운딩된 에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부러짐에 따른 패널(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3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오목하게 구부러지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양끝이 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30)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30) 상부에는 터치 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130) 하부의 바디부(110)의 에지 영역에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이미지를 갖는 인쇄물이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패널(120)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소자로 바디부(110) 상에 배치되며, 바디부(110)보다 가로 길이가 짧다. 그리고 패널(120)은 바디부(110)의 형태 변화에 대응하여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120)의 중심은 바디부(110)의 중심과 고정되어 있으며, 패널(120)의 양 측면(구체적으로, 좌/우 측면)은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좌우 이동할 수 있지만 상하 이동은 고정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바디부(110)가 평평하게 배치되면, 패널(120) 역시 평평한 형태를 갖게 되고, 바디부(110)가 구부러지면 패널(120) 역시 구부러지게 된다.
한편, 패널(120)은 바디부(110)의 상부에 배치되고(즉,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고), 해당 시청자를 중심점으로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지는 경우에, 패널(120)의 곡률 반경은 바디부(110)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지는 경우(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지는 경우), 패널(120)의 양 끝단과 바디부(110)의 양 끝단은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양 끝단에는 라운딩된 에지 영역이 위치하며, 에지 영역의 상부에는 패널(120)이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부재(12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지는 경우, 패널(120)은 가이드 부재(120)에 따라서 에지 영역 상에 배치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까지도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부러진 경우에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된 메인 영역,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우측면의 제1 서브 영역,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좌측면의 제2 서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에지 영역에서 특정의 형상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30)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치 감지부가 배치되는 경우에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평평한 상태에서 해당 에지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원 온/오프 명령, 사운드 업/다운 명령 등을 입력받는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플랫 모드와 벤디드 모드의 구분은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부가 조금이라고 구부러진 경우에는 벤디드 모드라고 결정하거나, 플렉서블 표시부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또는 기설정된 곡률 반경 이하(예를 들어, 4000R)로 구부러진 경우에만 벤디드 모드라고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바디부(120)의 양 측면 모두에 라운딩 처리된 에지 영역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 한 영역에만 에지 영역이 구비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한 영역에만 에지 영역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디부(110", 110"')와 패널(120", 120"")은 중심이 아니라 에지 영역에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좌/우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부는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에지 영역은 플렉서블 표시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휴대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 제어부(200), 저장부(310), GPS 칩(320), 통신부(330), 비디오 프로세서(340), 오디오 프로세서(350), 터치 감지부(360), 마이크부(370), 촬상부(380), 스피커부(390), 움직임 감지부(400),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평평한 상태에서는 플랫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구부러진 상태에서는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부(10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플랙서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아래에 모두 실장될 수 있으며, 또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서브 영역 아래에만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 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 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저장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310)에는 플랫 표시 영역,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플랫 표시 영역(즉, 메인 영역,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각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 서브 영역 등에서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그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버스(250)를 포함한다.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등은 버스(2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230)는 저장부(3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20)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30)는 ROM(2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RAM(210)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3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10)에 복사하고, RAM(21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부팅이 완료되면, 플랫 표시 영역,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중에서 활성화된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4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플렉서블 표시부(100)로 제공되어, 플랫 표시 영역에 표시되거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각각에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GPS 칩(320)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3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30)는 와이파이칩(331), 블루투스 칩(332), 무선 통신 칩(333), NFC 칩(334)을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통신부(3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단말장치(예를 들어, 리모컨)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30)는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기기로부터 직접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 가전 기기에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300) 상술한 알림 메시지 및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직접 해당 기기와 통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가전 기기와 연결된 라우터 또는 홈 서버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이나 블루투스 칩(3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3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33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3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340) 및 오디오 프로세서(35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플랫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200)는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플랫 표시 영역(즉, 메인 영역, 제1 서브 영역 및 제2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벤디드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200)는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영역,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390)는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터치 감지부(36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부(3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36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130)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터치 제스처로만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본체 외관에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버튼을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마이크부(3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00)는 마이크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상부(38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위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촬상부(380) 및 마이크부(37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38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촬상부(38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부(3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듯한 모션을 취하거나,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음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4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감지부(400)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며 초음파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부(400)는 상술한 촬상부(380)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거리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동부(5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동작 상태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500)는 평평한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지게 하거나, 구부러진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평평해지도록 가변할 수 있는 운동 부재 및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10)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저장부(310)에는 OS(710), 커널(720), 미들웨어(730), 어플리케이션(7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7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7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720)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7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7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7에 따르면, 미들웨어(730)는 X11 모듈(730-1), APP 매니저(730-2), 연결 매니저(730-3), 보안 모듈(730-4), 시스템 매니저(7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730-6), UI 프레임워크(730-7), 윈도우 매니저(730-8), 필기 인식 모듈(7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73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730-2)는 저장부(31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7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730-2)는 X11 모듈(7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7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7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7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73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7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7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7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730-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7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730-7)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7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7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7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7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7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7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7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그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초음파 센서 값을 기초로 사용자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산출 모듈이나, 촬상부(380)에서 촬상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 시선 방향을 계산하기 위한 시선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7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740-1 ~ 7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PU(230)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7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7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31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어부(20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어부(2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패널이 바디부(110)의 에지 영역 상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패널의 중심과 양 끝단의 배치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부러진 상태를 감지하거나,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부러진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동부(5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부러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평평한 상태이면, 플랫 표시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플랫 표시 영역의 기설정된 영역(예를 들어, 하단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화면 비율이 21:9이나, 플랫 표시 영역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화면 비율이 16:9인 경우, 플랫 표시 영역의 좌/우측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블랭크 영역이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블랭크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진 상태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를 메인 영역에 표시하고,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지게 되어 패널의 좌측 영역 일부와 우측 영역의 일부 각각이 가이드 부재 내에 배치되면, 플랫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메인 영역(810)과 메인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영역(820), 제2 서브 영역(8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일부가 구부러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측면 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면, 서브 영역(820, 830)에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UI 요소가 서브 영역(830)에만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좌측의 서브 영역(820)에만 표시될 수도 있으면 양측의 서브 영역(820, 830) 모두에도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되는 UI 요소는 현재 메인 영역(810)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및/또는 발생한 이벤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지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플랫 모드에서의 에지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은 벤디드 모드에서의 에지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바디부(110)의 에지 영역에는 기설정된 아이콘이 인쇄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130)는 투명 베젤이며 터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360)가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평평한 상태에서, 바디부(110)의 에지 영역에는 패널(120)이 위치하지 않아, 에지 영역 상의 인쇄된 화면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다만, 에지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바, 플렉서블 표시부(10)가 평평한 상태에서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는 잘 보이나, 정면에 배치한 사용자에게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인쇄된 화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911)은 음량 제어를 위한 아이콘(912)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아이콘들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아이콘(911) 상의 투명 베젤 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제어 오프(또는 전원 온)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진 상태가 되면, 패널(120)은 바디부(110)의 에지 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에지 영역 상의 인쇄된 아이콘(910)은 패널(12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대신에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에지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서브 영역(1010)에 복수의 UI 요소(1011, 1012, 1013, 1014)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진 상태인바, 서브 영역(1010) 중 메인 화면과 닿는 부분은 R 값을 갖고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이 맞닿는 부분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에서 표시되는 상태와 동일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에 전면의 사용자에게는 해당 영상이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지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서브 영역(1010)에 대해서, 즉,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서브 영역(1010) 이미지에 대해서는 평평한 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보이도록 하는 이미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와 같이 메인 화면과 닿는 부분의 이미지를 에지 영역의 곡률(R)을 이용하여 깊이감을 주어 앞으로 튀어나와보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곡률(R)을 고려하여 서브 영역(101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다른 이미지 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의 평평한 면을 가정하고 실제 에지 영역의 형상과 가상의 평평한 면과의 깊이 차이 값을 이용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에지 영역은 서로 다른 곡률(R)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브 영역(1010)을 더 세분화하여 영역별로 다른 이미지 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의 사용자에게는 서브 영역의 이미지와 메인 영역 간에 경계 감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서브 영역에 대한 이미지 처리 방식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지는 경우, 전체 영역에 대해서 3D 효과를 주어 앞으로 튀어나와보이도록 처리를 수행하되,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이 맞닿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깊이감을 갖도록 처리하여, 서브 영역과 메인 영역 간의 경계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에지 영역은 서로 다른 곡률(R)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브 영역(1010)을 더 세분화하여 영역별로 다른 이미지 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서브 영역(1010) 상의 특정 UI 요소(1011, 1012, 1013, 10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UI 요소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영역(1010)에 표시되는 UI 요소는 현재 메인 영역(810)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및/또는 발생한 이벤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UI 요소 및 표시될 UI 요소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c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에지 영역상에 기설정된 이미지가 인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인쇄물(예를 들어, 스티커 등)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플랙서블 표시부(100)와 구분되어 에지 영역에만 배치되는 별도의 패널일 수도 있다.
도 10c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10c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선택 영역(1040)을 포함한다.
선택 영역(1040)은 스마트 TV 선택 모드(1041), 스마트 TV 모드(1042), TV 제어 모드(10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선택 영역의 표시는 사용자가 리모컨 장치의 메뉴 버튼(또는 설정 버튼)을 누르거나, 사용자가 에지 영역을 선택하거나(에지 영역을 터치하거나, 포인터로 가르키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동작 모드만을 도시하였지만, 도 32와 같은 음악 재생 모드가 이용되거나 또다른 모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스마트 TV 모드(104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서브 영역에 제공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스마트 TV 모드(1044)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 홈 모드(1042)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연결된 타 단말장치 또는 홈 네트워크 내의 가전 기기 등을 제어하거나, 해당 장치들에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서브 영역에 제공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스마트 홈 모드(1042)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23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TV 제어 모드(1043)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 서브 영역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TV 제어 모드 시에 서브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상태의 전환,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등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TV 제어 모드(1043)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14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동작 모드가 결정되고, 서브 영역에 UI 요소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별도의 동작 모드를 선택받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자동으로 스마트 TV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서브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내의 장치로부터 상태가 변환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자동으로 스마트 홈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그에 따른 UI 요소를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동작 모드의 선택 이후에 다른 동작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도 10c와 같은 화면을 경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모드 전화 명령에 대응하여 도 10c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표시 없이 바로 TV 제어 모드에서 스마트 TV 모드 또는 스마트 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제어 TV 모드인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모드 전환 명령에 대응하여 TV 제어 모드 또는 스마트 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렇나 모드 전환 명령은 리모컨 상의 버튼이거나, 특정의 행위 제스처, 터치 제스처, 음성 제어 명령 등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사용자가 스마트 TV 기능(또는 스마트 TV 모드)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100)은 도 10c의 스마트 TV 모드(1041)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또는 스마트 TV 기능으로 동작 중에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용 OS 단에서 알림이 필요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화면의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백(back) 명령을 입력받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도 10c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100)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1110) 및 복수의 서브 영역(1120, 1130)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1110)은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예를 들어, VOD, 기저장된 영상 컨텐츠 등)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서브 영역(1120)은 SNS 아이콘, 스마트 TV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 현재 시청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앱의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1 서브 영역(1120)상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메인 영역(1110)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서브 영역(1120) 상에 브라우징 아이콘을 선택하면, 브라우징 아이콘에 대응되는 인터넷 서핑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넷 창이 메인 영역(11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구현시에는 도 33과 같이 메인 영역이 구획되어 기존의 컨텐츠를 표시하면서 신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구현시에는 도 34와 같이 메인 화면의 표시 동작은 유지되면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결과가 서브 영역에만 적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서브 영역(1130)은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제2 서브 영역(1130)은 메인 영역(1110)에서 표시되는 메인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서브 영역(1130)에서의 영상과 메인 영역(1110) 상의 이미지 간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기 위한 이미지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UI 요소가 메인 영역(1110)의 우측에만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1210)의 좌측의 서브 영역(123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 위치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해 놓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200)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1110), 제1 서브 영역(1220), 제2 서브 영역(1230)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1210)은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예를 들어, 기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결과(예를 들어, youtube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2 서브 영역(1230)은 스마트 TV 메뉴의 하부 메뉴에 대응되는 UI 요소(예를 들어, SNS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이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서브 영역(1220)은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상태 변화가 발생한, 즉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SNS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어, 이를 알리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1 서브 영역(1120) 및 제2 서브 영역(1130)은 사용자의 조작뿐만 아니라,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등을 메인 영역(1210)이 아니라, 에지 영역인 서브 영역 상에 표시하는바, 상술한 표시 과정 중에 현재 시청중인 컨텐츠가 가려지지 않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메인 컨텐츠가 메인 영역(1110)에만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메인 영역뿐만 아니라 두 서브 영역 상에도 해당 컨텐츠가 공통적으로 표시되고 필요한 메뉴 또는 정보가 서브 영역 내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패널의 비율과 다른 비율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00)은 도 10c의 스마트 홈 모드(1042)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또는 홈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서 알람 메시지(예를 들어, 새로운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기존의 장치에서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를 송부해온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00)의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백(back) 명령을 입력받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도 10c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00)은 TV 컨텐츠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1310) 및 복수의 서브 영역(1320, 1330)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1310)은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다만, 여기서 표시된 컨텐츠는 패널의 가로/세로 비율(예를 들어, 21:9)과 다른 비율(예를 들어, 16:9)일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1320)은 스마트 홈 모드에 대응되는 UI 요소가 표시된다. 스마트 홈 모드인 경우에 표시되는 UI 요소에 대해서는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비율이 패널의 비율과 상이한 경우, 메인 영역(1310)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서브 영역(1320)은 도 12와 비교할 때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일렬로 아이콘을 표시하였지만,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열로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서브 영역(1330)은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3과 같은 화면(즉, 16:9 비율을 컨텐츠)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패널의 가로/세로 비율과 같은 컨텐츠로 전환하는 사용자 명령(즉, 현재 메인 영역에 표시중인 컨텐츠와 다른 비율의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플렉서블 표시부의 전 영역(즉, 메인 영역, 제1 서브 영역, 제2 서브 영역)에 새로운 컨텐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가 메인 화면 제어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400)은 도 10c의 TV 제어 모드(1043)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또는 TV 리모컨이 조작된 경우, TV 조작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근접하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00)의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백(back) 명령을 입력받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도 10c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400)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1410) 및 복수의 서브 영역(1420, 1430)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1410)은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서브 영역(1420)은 전원 온/오프, 채널 업/다운 등을 설정받기 위한 UI 요소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영역(1420)에는 TV 시청 모드, 음향 모드, 시청 예약, 녹화 예약 등을 설정받기 위한 UI 요소, 상술한 모드 설정과 관련된 알람 등을 표시하기 위한 UI 요소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서브 영역(14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지원하는 소스원을 UI 요소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영상 제공이 가능한 소스원과 영상 제공이 제공되지 않는 소스원이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에 배치되는 각종 포트의 위치에 대응되게 소스원에 대한 UI 요소를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서브 영역(1420) 및 제2 서브 영역(1430) 모두에 UI 요소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황에 따라 제1 서브 영역(1420)에만 UI 요소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영역(1430)에만 UI 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위치를 바탕으로 복수의 서브 영역 중 UI를 디스플레이할 서브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촬상 소자인 경우를 가정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촬상부(3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로 배치되고, 기설정된 주기 단위 또는 제어부의 제어 요청에 따라 촬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생성된 촬상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된 이미지의 우측에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우측, 즉 화면의 좌측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촬상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전용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움직임 감지부(400)가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초음파 센서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양 끝단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주기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시점에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 방향으로 초음파를 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는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UI 요소가 표시될 서브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의 좌측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은 정면이 아니라 우측이 된다. 따라서, 좌측의 서브 영역(1730)보다는 우측의 서브 영역(1720)을 보다 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메뉴가 표시될 이벤트 상황에서 해당 메뉴를 우측 서브 영역(17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영화와 같은 컨텐츠를 시청중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현재 재생 시간 등의 정보를 우측 서브 영역(18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도 15 및 도 16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수행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메뉴(1721, 1722, 1723)가 제1 서브 영역(1720)에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따라 다른 형태의 UI 정보가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측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 측으로 접근한 것으로 감지되면 도 17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좌측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상술한 메뉴 아이콘(1721, 1722, 1723)이 제2 서브 영역(1730)상에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근접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멀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서브 영역에 표시중인 메뉴가 사라지도록 하거나, 도 18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에 표시 중인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시간 정보 등) 또는 이전에 표시되던 메뉴(1921, 1922, 1923)가 서브 영역(1820, 192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서브 영역이 메인 영역의 좌측 또는 우측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니만, 구현시에는 메인 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2는 서브 영역이 메인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000)은 메인 영역(2010) 및 서브 영역(2020)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2010)은 사용자가 기선택한 채널(또는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서브 영역(2020)은 다른 채널(또는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와 유사한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서브 영역(2020)은 사용자가 기등록한 채널(2021) 및/또는 메인 영역(2010)에서 표시 중인 채널 앞/뒤의 채널(2022, 2023, 2024)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다른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만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해당 프로그램의 이름과 현재 재생 상태(즉, 광고 표시 여부) 또는 해당 프로그램의 미리 보기 화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2021)을 등록한 경우, 도 21과 같이 기등록한 채널의 남은 재생 시간, 도 22와 같이 기등록한 채널이 스포츠 경기인 경우 스코어 정보, 기등록한 채널이 홈쇼핑인 경우 마감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채널에서의 광고 여부, 실시간 시청률, 현재 채널에서의 PPL 광고 상품의 정보, 뉴스 속보, 현재 메인 채널에서의 자막 등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2를 설명함에 있어서, 서브 영역(2020)이 메인 영역(2010)의 하단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서브 영역(2020)은 메인 영역(201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메인 영역(2010)의 상부 및 하부 영역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3 내지 도 24는 사용자가 스마트 홈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300)은 TV 컨텐츠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2310) 및 복수의 서브 영역(2320, 2330)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2310)은 사용자가 기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서브 영역(2320)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의 동작 상태 또는 해당 가전 기기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연결 가능한 가전 기기로부터 이벤트 메시지(예를 들어, 빨래 완료 메시지, 냉장고 문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오픈, 에어컨의 구동의 종료 등)가 수신되면, 제1 서브 영역(2320)에 입력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상술한 아이콘을 표시하면서 세탁기에 대응되는 아이콘 상에 수신된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연결된 장치일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1330)은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서브 영역(2310) 및 제2 서브 영역(2320)이 메인 영역(231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표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2410)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서브 영역(2420, 2430)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접근 방향 및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서브 영역에서의 UI 정보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의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서브 영역(2520, 2530)에 어떠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접근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기능 제어(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를 위한 접근으로 파악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기능 제어를 위한 UI 요소를 우측의 서브 영역(25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접근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원 제어(예를 들어, USB 장탈착, 소스원 변경)를 위한 접근으로 파악하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원 제어를 위한 UI 요소를 좌측의 서브 영역(27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7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소스원을 선택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2810)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스원에 대응되는 컨텐츠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에 따라 UI 요소를 표시하는 방법이 가변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에 대응하여서도 UI 요소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9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일어선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900)은 메인 영역(2910), 서브 영역(2920, 29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사용자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감지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영역(2910)은 기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부 서브 영역(2930)은 사용자의 일어섬이 감지된 경우에 TV 기본 제어를 위한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하부 서브 영역(2940)은 별도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다. 한편, 구현시에는 메인 영역(2910)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메인 영역(2910)과 하부 서브 영역(2940)은 하나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0은 사용자의 시선이 우측 방향에 있는 경우, 메인 영역의 우측 영역에 제어를 위한 UI 요소를 우측 서브 영역(3020)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그리고 도 31은 사용자의 시선이 하단 방향에 있는 경우, 메인 영역의 하부 영역에 제어를 위한 UI 요소를 하부 서브 영역(3130)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메인 영역에서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서브 영역에서만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TV를 직접적으로 시청하지 않는 경우,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메인 화면의 표시를 중지할 있다. 예를 들어, 도 32와 같이 메인 영역(3210) 상에서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서브 영역(3220) 상에만 해당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의 표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상술한 감지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0) 앞에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패널의 일부 영역만 영상을 표시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소비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구현시에는 도 32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서브 영역에서도 영상 표시가 차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거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시 도 3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결과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한바와 같이, 서브 영역 상의 UI 요소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서브 영역 상에 표시된 인터넷 검색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TV 영상에 대한 영상 컨텐츠를 메인 영역(3310)에 표시하면서 인터넷 검색에 의한 검색 컨텐츠를 서브 영역(3320)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검색 컨텐츠(3320)의 표시 영역이 큰 경우, 기본적인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가릴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도 34와 같이 TV 영상에 대한 영상 컨텐츠는 메인 영역(3410)에 표시하고, 검색 컨텐츠는 서브 영역(34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5와 같이 다른 종류의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채널의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서브 영역(35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지 하지 않더라도 다른 채널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방송 A를 기다리는 사용자가 특정 방송 A 전에 광고가 표시중이면, 메인 영역(3510)의 화면을 전환하지 않고도 특정 방송 A의 광고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S26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사용자 접근, 리모컨과 같은 제어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조작 명령의 입력, 타 단말장치에서의 알림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와 함께 플렉서블 표시부가 평평한 상태인지 구부러진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는 별도의 센서(예를 들어, 패널이 바디부(110)의 에지 영역 상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패널의 중심 및 양 끝단의 배치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부러진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감지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UI 요소를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S26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사용자 접근, 리모컨과 같은 제어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조작 명령의 입력, 타 단말장치에서의 알림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또는 메시지 등을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영역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시선을 고려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사용자가 보기 편한 위치에 아이콘 및/또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UI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UI 요소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는 경우에 서브 영역에는 볼륨 업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볼륨 업 아이콘을 터치하면,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볼륨 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구부러지면 형성되는 서브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디스플레이 장치 100: 플렉서블 표시부
200: 제어부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곡률로 구부러진 곡면 메인 표시영역,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3 곡률로 구부러진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률 및 상기 제3 곡률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각각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상태이고,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장치에 발생한 이벤트나 상태 변경에 대한 알림 메시지의 수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스마트 TV 기능의 구동 명령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된 TV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 곡률로 구부러진 곡면 메인 표시영역,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3 곡률로 구부러진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률 및 상기 제3 곡률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각각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상태이고,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장치에 발생한 이벤트나 상태 변경에 대한 알림 메시지의 수신이고,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스마트 TV 기능의 구동 명령이고,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곡면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된 TV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14774A 2014-12-29 2015-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1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37,185 US20160191837A1 (en) 2014-12-29 2015-08-27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PCT/KR2015/014346 WO2016108547A1 (en) 2014-12-29 2015-12-28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97223P 2014-12-29 2014-12-29
US62/097,223 2014-12-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31A Division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280B1 true KR101518280B1 (ko) 2015-05-08

Family

ID=5305422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69A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2126A KR10151562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4701A KR101515630B1 (ko) 2014-12-29 2015-01-3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14774A KR101518280B1 (ko) 2014-12-29 2015-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31966A KR102256702B1 (ko) 2014-12-29 2015-03-06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50718A KR102157267B1 (ko) 2014-12-29 2015-04-1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50731A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69A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2126A KR10151562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4701A KR101515630B1 (ko) 2014-12-29 2015-01-30 사용자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966A KR102256702B1 (ko) 2014-12-29 2015-03-06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50718A KR102157267B1 (ko) 2014-12-29 2015-04-1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50731A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241346B1 (ko)
KR (7) KR101580300B1 (ko)
CN (2) CN1071133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8972A (zh) * 2022-05-05 2022-06-03 江西科骏实业有限公司 Vr场景中兼容平面与曲面ui事件的触发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9251B2 (en) 2012-02-29 2016-06-07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d glasses via non-error function compressive stress profiles
US11079309B2 (en) 2013-07-26 2021-08-03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articles having improved survivability
US9517968B2 (en) 2014-02-24 2016-12-13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deep depth of compression
TWI773291B (zh) 2014-06-19 2022-08-01 美商康寧公司 無易碎應力分布曲線的玻璃
DE202015009766U1 (de) 2014-10-08 2020-01-17 Corning Inc. Glassubstra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einem Glassubstrat
US10150698B2 (en) 2014-10-31 2018-12-11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ultra deep depth of compression
WO2016073539A1 (en) 2014-11-04 2016-05-12 Corning Incorporated Deep non-frangible stress profiles and methods of making
WO2017014475A1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613103B2 (en) 2015-07-21 2023-03-28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US10579106B2 (en) 2015-07-21 2020-03-03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KR102423447B1 (ko) *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9948B1 (ko) 2015-12-11 2019-10-0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산화물 농도 구배를 포함하는 융합-형성가능한 유리계 제품
CN106249809B (zh) * 2015-12-31 2020-10-0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显示区域划分方法和设备
KR2017008458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240019381A (ko) 2016-04-08 2024-02-1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두 영역을 포함하는 응력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유리-계 물품, 및 제조 방법
EP3429972A1 (en) 2016-04-08 2019-01-23 Corning Incorporated Glass-based articles including a metal oxide concentration gradient
KR102317619B1 (ko) 2016-09-23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6803856A (zh) * 2016-12-09 2017-06-06 重庆零度智控智能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KR20180079904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N107040719A (zh) * 2017-03-21 2017-08-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屏终端的拍摄控制方法及拍摄控制装置
USD847814S1 (en) 2017-03-31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73308B1 (ko) 2017-04-06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839267S1 (en) 2017-04-25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64953S1 (en)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5381S1 (en)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728810B (zh) * 2017-10-19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765773B (zh) * 2017-10-19 2020-06-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D913282S1 (en) 2017-11-13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010441A (zh) * 2017-12-06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010442A (zh) * 2017-12-06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259659A (zh) * 2017-12-21 2018-07-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拾音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883943S1 (en) 2018-01-31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172526A1 (ko) * 2018-03-06 2019-09-12 (주)코텍 엣지형 액정패널 및 그 제어 장치와 방법
KR102580521B1 (ko) 2018-07-13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KR102601564B1 (ko) 2018-09-05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467689A (zh) * 2018-09-25 2021-10-0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可弯折电子设备及其界面适配方法
CN109600659B (zh) 2018-12-17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播放视频时的操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66143B1 (ko) * 2018-12-21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616020B (zh) * 2019-01-30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BR112021016414A2 (pt) * 2019-02-19 2021-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reduzir a ocorrência de entrada não intencional de usuário e método de operação para o mesmo
KR102654804B1 (ko) 2019-02-20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610818B (zh) * 2019-02-2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终端和可折叠终端的亮屏控制方法
CN111752464A (zh) * 2019-03-29 2020-10-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22076A (ko) * 2019-04-17 2020-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00132008A (ko)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제공 방법
US11100900B2 (en) * 2019-06-12 2021-08-24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0837318B (zh) * 2019-10-29 2023-09-1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折叠屏的防误触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17584B1 (ko) 2020-07-17 2021-02-18 김석산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KR20220010995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9274B1 (ko) * 2020-07-31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KR2022001724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5754A (ko) * 2020-09-14 202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20050491A (ko) * 2020-10-16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328008B (zh) * 2020-11-12 2023-08-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83093A (ko) * 2020-12-11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상태 변경에 따른 표시 방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99784A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3025B1 (ko) 2021-02-02 2021-04-21 ㈜ 엘에이티 노광 및 전주도금을 이용한 폴더블폰용 메탈 힌지 및 그 제조방법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EP4322541A1 (en) * 2021-06-08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KR20230012850A (ko) * 2021-07-16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4005349A1 (ko) * 2022-07-0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기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54A (en) * 1989-03-27 1990-12-25 Media/Graphics, Inc. Flexible display panel
US20130278873A1 (en) * 2008-07-14 2013-10-2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127050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239A (ja) * 2006-09-12 2008-03-27 Sony Corp 携帯電子機器
KR100849310B1 (ko) * 2006-09-18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00328223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03053147B (zh) * 2010-12-27 2017-03-22 罗姆股份有限公司 呼入/呼出通话单元以及呼入通话单元
JP5841175B2 (ja) * 2011-03-21 2016-01-13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伴う電子装置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8988349B2 (en) * 2012-02-28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JP3175661U (ja) * 2012-03-02 2012-05-24 トリニティ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音声誘導装置及び音声誘導部材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04409B1 (ko) *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0975A (ko) * 2012-09-2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57183A (ko) * 2012-11-02 2014-05-12 크루셜텍 (주) 다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JP6278593B2 (ja) * 2012-11-14 2018-02-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2141044B1 (ko) * 2012-12-03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KR102027555B1 (ko) * 2012-12-0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4009571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20140101274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20140108971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91662B2 (en) * 2013-03-04 2018-02-13 Lg Electronics Inc.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54742B2 (en) * 2013-04-1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KR102113674B1 (ko) * 2013-06-10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터치를 이용한 객체 선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3691467U (zh) * 2014-02-11 2014-07-02 马涛 一种无边框手机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54A (en) * 1989-03-27 1990-12-25 Media/Graphics, Inc. Flexible display panel
US20130278873A1 (en) * 2008-07-14 2013-10-2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127050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8972A (zh) * 2022-05-05 2022-06-03 江西科骏实业有限公司 Vr场景中兼容平面与曲面ui事件的触发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3389B (zh) 2020-11-20
EP3241346A1 (en) 2017-11-08
KR101515630B1 (ko) 2015-04-28
CN107113389A (zh) 2017-08-29
EP3890285A1 (en) 2021-10-06
KR102256702B1 (ko) 2021-05-26
CN107111431B (zh) 2020-12-11
KR20160080048A (ko) 2016-07-07
EP3241346A4 (en) 2017-11-08
EP3241346B1 (en) 2021-06-30
KR102157267B1 (ko) 2020-09-17
CN107111431A (zh) 2017-08-29
KR20160080049A (ko) 2016-07-07
KR101580300B1 (ko) 2015-12-24
KR20160080034A (ko) 2016-07-07
KR101515620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17491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0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1918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041688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2954A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1480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47424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7474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054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51645A (ko) 이동단말 제어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