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702B1 -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702B1
KR102256702B1 KR1020150031966A KR20150031966A KR102256702B1 KR 102256702 B1 KR102256702 B1 KR 102256702B1 KR 1020150031966 A KR1020150031966 A KR 1020150031966A KR 20150031966 A KR20150031966 A KR 20150031966A KR 102256702 B1 KR102256702 B1 KR 10225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area
foldable device
angl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034A (ko
Inventor
라진
배유동
김용호
류종현
박용국
임애영
정경호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71720.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113389B/zh
Priority to EP21174793.6A priority patent/EP3890285A1/en
Priority to US14/953,670 priority patent/US9864410B2/en
Priority to EP15875533.0A priority patent/EP3241346B1/en
Priority to PCT/KR2015/012891 priority patent/WO2016108439A1/en
Publication of KR2016008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034A/ko
Priority to US15/864,354 priority patent/US10635136B2/en
Priority to US16/825,587 priority patent/US111440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FOLD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이용 상황에 따라 접어서 이용하거나 펼쳐서 이용할 수 있어, 디바이스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유기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는 등, 가요성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어도 접히는 부분에서는 가요성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폴더블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화됨에 따라, 다양한 적용 분야들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플레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이들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제1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의 콘텐트를 표시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에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상세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에 따라, 상기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의 종류, 양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제3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수신, 호(call) 수신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진 각도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제1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에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상세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에 따라, 상기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의 종류, 양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제3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메시지 수신, 호(call) 수신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가 확장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방향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터치 인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커버를 장착한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폴더블 디바이스를 펼치는 제스쳐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는 폴더블 디바이스를 펼치는 제스쳐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해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전자 책, 웨어러블 장치,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5)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5) 내의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구부러짐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이 평행에 가깝게 근접하게 되면서, 접힐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접힌 상태의 예이다. 도 1의 (b)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의 예이다. 도 1의 (c)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의 예이다.
도 1은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2, 3>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35), 센싱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디바이스(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함된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미리 정해진 제3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은,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과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굴곡되어 있을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35)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튜너부(135)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35)는 디바이스(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외부 음향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WLAN(와이파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외부 음향 기기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디바이스(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62)는, 사용자 시선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바이스(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바이스(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제1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미리 정해진 제3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에 따라,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의 종류, 양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함된 상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5)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시지 수신, 호(call) 수신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디바이스(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바이스(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를 가지는 디바이스(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의 디바이스(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바이스(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디바이스(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11>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가 확장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힌 상태로부터 점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부터 시작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일부 영역(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명될 수 있다.)을 활성화시키고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펼쳐진 각도에 따라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이하,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에 따라 더 많은 양의 관련 콘텐트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지자기 센서(141), 가속도 센서(142),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등을 포함하는 센싱부(140)를 통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단계 S1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5)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Main Display Area)(a3),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Floating Display Area)(a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Edge Display Area)(a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명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칭하는 용어로서 한정적인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Main Display Area)’(a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5)의 영역 중 폴더블 디바이스가(100)가 접히면서 마주 보게 되는 양 면에 위치한 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Main Display Area)(a3)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에 드러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Edge Display Area)’(a1)은, 디바이스의 좌, 우, 상, 하 모서리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에 드러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은 물리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의 연장선상에 마련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특성을 지닌 디스플레이부(115)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의 경계에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굴곡될 수 있다.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Floating Display Area)’(a2)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내의 일부 영역으로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으로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0˚ 즉,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일 때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이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후술할 도 6의 단계 S204 참조).
즉,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의 단계 S2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은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15)가 오프(off)된 상태로서, 미리 설정된 트리거(예컨대, 디바이스(100)의 외부에 마련된 키의 입력, 메시지 수신, 미리 설정된 알람 등의 새로운 이벤트 발생)가 생성되면 온(on)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짐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각도(예컨대, θ ≤ 10˚)로 펼쳐진 경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 될 때는, 디폴트로 미리 설정된 바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 될 때에는,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알리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성화’될 때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상태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의 콘텐트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도 7의 (a))에서, 새로운 이벤트(예컨대, 메시지 수신, 호(call) 수신 등)가 발생되면,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5의 단계 S2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 영역(‘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제2 각도(예컨대, 10˚<θ≤70˚)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5의 단계 S2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 S204에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점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펼쳐진 각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사이의 경계로부터 시작되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7의 (d)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3 각도(예컨대, 70˚ < θ)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포함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전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포함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전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서, 바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의 전 영역이 활성화 된 경우,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중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는 동영상 재생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중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재생 중인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에 따라 소정의 콘텐트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소정의 콘텐트를 표시하고,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상세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표시된 콘텐트가 메시지의 제목인 경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되는 상세 콘텐트는 메시지의 내용일 수 있다. 또한,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표시된 콘텐트가 재생 중인 음악의 제목인 경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되는 상세 콘텐트는 재생 중인 음악과 관련된 이미지, 재생 중인 음악과 관련된 상세 정보 등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콘텐트의 종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타이틀, 본문,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때,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타이틀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활성화시키고,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본문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킴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콘텐트의 종류를 타이틀, 본문 콘텐트, 이미지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콘텐트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메시지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때,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메시지 목록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을 활성화시키고, 수신된 메시지의 제목 또는 일부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활성화시키고,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다른 메시지 목록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활성화시키고,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표시된 메시지의 나머지 내용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메시지 목록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킴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콘텐트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짐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콘텐트의 속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음악 재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때,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하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음악 재생 제어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지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활성화시키고, 음악 재생 리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짐에 따라,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표시할 콘텐트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때,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하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소정 개수의 아이콘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지면,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활성화시키고,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에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더 많이 표시할 수 있다.
<도 12, 13>
도 12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이벤트 발생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에 관련된 사항을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때,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어부(180)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이벤트 목록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사항이란, 예컨대, 미확인 메시지의 알림, 부재 중 호(call)의 알림 등일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면, 제어부(180)는 또 다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을 활성화시키고,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 다른 이벤트 목록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짐에 따라, 활성화되는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짐에 따라,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4, 15>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단계 S301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62) 또는 센싱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4의 단계 S302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가로로 놓이고 윗면이 열려 펼쳐진 경우,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사이의 경계로부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시선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바라 보기 편리한 위치에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세로로 놓이고 우측 면이 열려 펼쳐진 경우, 우측 면의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사이의 경계로부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c)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세로로 놓이고 촤측 면이 열려 펼쳐진 경우, 좌측 면의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과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a3) 사이의 경계로부터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a2)이 시작될 수 있다.
<도 16, 17>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시선방향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의 단계 S401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지자기 센서(141), 가속도 센서(142),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등을 포함하는 센싱부(140)를 통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의 단계 S402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62) 또는 센싱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의 단계 S403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아래 쪽에 위치한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을 활성화시키고 소정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위쪽에 위치한 제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2)을 활성화시키고 소정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눈 높이와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높이가 대응하는 경우, 제1, 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2)의 중간 영역(a1-3 또는 a1-4)을 하나의 영역처럼 보이도록 활성화시키고 소정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8>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방향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가로로 놓인 때에 펼쳐지면, 사용자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세로로 긴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가로로 놓인 때에는, 펼쳐졌을 때 세로로 긴 형태로 실행하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전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i1, i2, i3)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가 세로로 긴 형태로 펼쳐진 상황에서, 다수 실행했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세로로 놓인 때에 펼쳐지면, 사용자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가로로 긴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세로로 놓인 때에는, 펼쳐졌을 때 가로로 긴 형태로 실행하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DMB 애플리케이션, 전자 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i4, i5, i6)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가 가로로 긴 형태로 펼쳐진 상황에서, 다수 실행했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9, 20>
도 19 내지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터치 인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대한 터치 인식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사용자의 손가락(f11)이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됨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오 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 변경되면,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대한 터치 인식을 온(on)시킬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손가락(f12)을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대해 터치하는 입력 수신을 통해, 디바이스(100)의 소정 기능 작동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도 20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이 있는 경우, 터치 인식의 제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에 대한 터치 인식을 온(on)시킬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손가락(f21, f22)을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에 대해 터치하는 입력 수신을 통해, 디바이스(100)의 소정 기능 작동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로 변경되면,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에 대한 터치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보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에 대한 터치 입력 중 더 넓은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만을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제1 터치 입력(t1)의 경우,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터치된 부분(t1-1)이 제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 터치된 부분(t1-2)보다 넓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 입력(t2)의 경우, 제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 터치된 부분(t2-2)이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터치된 부분(t2-1)보다 넓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제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1>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커버를 장착한 디바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에는 디스플레이부(115)를 덮는 접히는 커버(300)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300)가 디스플레이부(115)를 덮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5)와 닿게 되는 영역에는 복수의 마그넷(magnet)(m1, m2, m3)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5)와 닿아 있는 마그넷의 위치 및 개수를 센싱함에 따라, 접히는 커버(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5) 중 덮힌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접히는 커버(300)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b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접히는 커버(300)가 미리 정해진 영역만큼 열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의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b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접히는 커버(300)가 최대로 열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의 플로팅 디스플레이 영역(b2)을 포함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b3)의 전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22, 23>
도 22 내지 도 23은 폴더블 디바이스를 펼치는 제스쳐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i20)를 손가락(f31)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를 펼칠 수 있다. 이 경우,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5)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아이콘(i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은 디바이스(100)를 펼칠 때의 터치 제스쳐에 따른 서로 다른 모드 실행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양 쪽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을 잡고, 왼손으로 (d1)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을 하면서 양 손으로 디바이스(100)를 펼치면, 일반 모드의 바탕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양 쪽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을 잡고 각각 (d3), (d4)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을 하면서 펼치면, 키즈 모드의 바탕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양 쪽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 a1-1)을 잡고 각각 (d5), (d6)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을 하면서 펼치면, 비즈니스 모드의 바탕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4, 25>
도 24 내지 도 25는 폴더블 디바이스를 펼치는 제스쳐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해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에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2)에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숫자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아이콘(i30)과 숫자 아이콘(i31)을 각각 손가락(f41, f42)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를 펼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아이콘(i30)과 선택된 숫자 아이콘(i31)이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바이스(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잠금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가 (2-5-3)일 경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 표시된 숫자 아이콘 (2)에서 (5)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5)에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후, 디바이스가 펼쳐지는 경우, 디바이스(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1) 내지 (b-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를 위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해,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 예상 숫자 아이콘을 차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의 (b-1) 내지 (b-4)는 디바이스(100)의 잠금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가 (3-8-1-5)일 경우의 패스워드 입력 방식을 도시한다.
도 25의 (b-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a1-1)에는 숫자 아이콘(3),(4),(5)가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숫자 (3)을 선택하기 위해 위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다음 패스워드 입력을 위해 숫자 아이콘(7),(8),(9)를 제공할 수 있다(도 25의 (b-2)).
이 때, 디바이스(100)는 숫자 (8)을 선택하기 위한 탭(tap)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3)에서는, 숫자 (1)을 선택하기 위한 탭(tap)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4)에서는, 숫자 (5)를 선택하기 위해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 (3-8-1-5)가 차례로 입력되면, 디바이스(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4, 5, 14, 16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바이스
115: 디스플레이부
140 : 센싱부

Claims (18)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짐을 검출함에 기초하여,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를 확인하고,
    상기 펼쳐진 각도가 제1 각도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로 펼쳐짐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영역의 제1 부분에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확장되고,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측면으로 확장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콘텐트의 다른 적어도 일부이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펼쳐진 각도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펼쳐진 각도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할된 일 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할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일 면으로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면인,
    폴더블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제3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수신, 호(call) 수신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폴더블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디스플레이 영역인, 폴더블 디바이스.
  10.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짐을 검출함에 기초하여,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펼쳐진 각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펼쳐진 각도가 제1 각도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로 펼쳐짐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영역의 제1 부분에 제2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확장되고,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측면으로 확장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콘텐트의 다른 적어도 일부이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펼쳐진 각도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펼쳐진 각도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할된 일 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할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일 면으로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면인,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2 각도로부터 제3 각도 이상으로 펼쳐짐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활성화시킬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디스플레이 영역인, 제어 방법.
KR1020150031966A 2014-12-29 2015-03-06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71720.XA CN107113389B (zh) 2014-12-29 2015-11-30 可折叠设备以及控制可折叠设备的方法
EP21174793.6A EP3890285A1 (en) 2014-12-29 2015-11-30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953,670 US9864410B2 (en) 2014-12-29 2015-11-30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5875533.0A EP3241346B1 (en) 2014-12-29 2015-11-30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5/012891 WO2016108439A1 (en) 2014-12-29 2015-11-30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5/864,354 US10635136B2 (en) 2014-12-29 2018-01-08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825,587 US11144095B2 (en) 2014-12-29 2020-03-20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97223P 2014-12-29 2014-12-29
US62/097,223 2014-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34A KR20160080034A (ko) 2016-07-07
KR102256702B1 true KR102256702B1 (ko) 2021-05-26

Family

ID=5305422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69A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2126A KR10151562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4774A KR101518280B1 (ko) 2014-12-29 2015-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14701A KR101515630B1 (ko) 2014-12-29 2015-01-3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31966A KR102256702B1 (ko) 2014-12-29 2015-03-06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50718A KR102157267B1 (ko) 2014-12-29 2015-04-1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50731A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69A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2126A KR101515620B1 (ko) 2014-12-29 2015-01-2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50014774A KR101518280B1 (ko) 2014-12-29 2015-01-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014701A KR101515630B1 (ko) 2014-12-29 2015-01-30 사용자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18A KR102157267B1 (ko) 2014-12-29 2015-04-10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50050731A KR20160080049A (ko) 2014-12-29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241346B1 (ko)
KR (7) KR101580300B1 (ko)
CN (2) CN10711338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48A1 (ko) * 2021-06-08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9251B2 (en) 2012-02-29 2016-06-07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d glasses via non-error function compressive stress profiles
US11079309B2 (en) 2013-07-26 2021-08-03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articles having improved survivability
US10118858B2 (en) 2014-02-24 2018-11-06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deep depth of compression
TW202311197A (zh) 2014-06-19 2023-03-16 美商康寧公司 無易碎應力分布曲線的玻璃
CN112340984A (zh) 2014-10-08 2021-02-09 康宁股份有限公司 包含金属氧化物浓度梯度的玻璃和玻璃陶瓷
US10150698B2 (en) 2014-10-31 2018-12-11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ultra deep depth of compression
TWI726720B (zh) 2014-11-04 2021-05-01 美商康寧公司 深不易碎的應力分佈及其製造方法
WO2017014475A1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613103B2 (en) 2015-07-21 2023-03-28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US9701569B2 (en) 2015-07-21 2017-07-11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KR102423447B1 (ko)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9948B1 (ko) * 2015-12-11 2019-10-0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산화물 농도 구배를 포함하는 융합-형성가능한 유리계 제품
CN106249809B (zh) * 2015-12-31 2020-10-0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显示区域划分方法和设备
KR2017008458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운용 방법
EP3397597B1 (en) 2016-04-08 2023-11-08 Corning Incorporated Glass-based articles including a stress profile comprising two regions, and methods of making
EP3904302A1 (en) 2016-04-08 2021-11-03 Corning Incorporated Glass-based articles including a metal oxide concentration gradient
KR102317619B1 (ko) 2016-09-23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6803856A (zh) * 2016-12-09 2017-06-06 重庆零度智控智能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KR20180079904A (ko)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N107040719A (zh) * 2017-03-21 2017-08-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屏终端的拍摄控制方法及拍摄控制装置
USD847814S1 (en) 2017-03-31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73308B1 (ko) 2017-04-06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839267S1 (en) 2017-04-25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64953S1 (en)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5381S1 (en)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728810B (zh) * 2017-10-19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765773B (zh) * 2017-10-19 2020-06-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D913282S1 (en) 2017-11-13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010442A (zh) * 2017-12-06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010441A (zh) * 2017-12-06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259659A (zh) * 2017-12-21 2018-07-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拾音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883943S1 (en) 2018-01-31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172526A1 (ko) * 2018-03-06 2019-09-12 (주)코텍 엣지형 액정패널 및 그 제어 장치와 방법
KR102580521B1 (ko) * 2018-07-13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KR102601564B1 (ko) 2018-09-05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061783A1 (zh) * 2018-09-25 2020-04-02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折电子设备及其界面适配方法
CN109600659B (zh) * 2018-12-17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播放视频时的操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66143B1 (ko) * 2018-12-21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616020B (zh) * 2019-01-30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101192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54804B1 (ko) * 2019-02-20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610818B (zh) * 2019-02-2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终端和可折叠终端的亮屏控制方法
CN111752464A (zh) * 2019-03-29 2020-10-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22076A (ko) * 2019-04-17 2020-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00132008A (ko) *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제공 방법
KR20200142394A (ko) * 2019-06-12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CN110837318B (zh) * 2019-10-29 2023-09-1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折叠屏的防误触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17584B1 (ko) 2020-07-17 2021-02-18 김석산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KR20220010995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9274B1 (ko) 2020-07-31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KR2022001724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5754A (ko) * 2020-09-14 202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20050491A (ko) * 2020-10-16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328008B (zh) * 2020-11-12 2023-08-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83093A (ko) * 2020-12-11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상태 변경에 따른 표시 방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99784A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3025B1 (ko) 2021-02-02 2021-04-21 ㈜ 엘에이티 노광 및 전주도금을 이용한 폴더블폰용 메탈 힌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2850A (ko) * 2021-07-16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4578972B (zh) * 2022-05-05 2022-07-26 江西科骏实业有限公司 Vr场景中兼容平面与曲面ui事件的触发方法及系统
WO2024005349A1 (ko) * 2022-07-0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기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2265A1 (en) * 2009-01-09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folda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20130222271A1 (en) * 2012-02-28 2013-08-2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40218321A1 (en) * 2013-02-01 2014-08-07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247252A1 (en) * 2013-03-04 2014-09-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54A (en) * 1989-03-27 1990-12-25 Media/Graphics, Inc. Flexible display panel
JP2008072239A (ja) * 2006-09-12 2008-03-27 Sony Corp 携帯電子機器
KR100849310B1 (ko) * 2006-09-18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WO2010007716A1 (ja) * 2008-07-14 2010-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100328223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89612B1 (ko) * 2010-12-27 2015-02-04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
WO2012129247A2 (en) * 2011-03-21 2012-09-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JP3175661U (ja) * 2012-03-02 2012-05-24 トリニティ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音声誘導装置及び音声誘導部材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04409B1 (ko) *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0975A (ko) * 2012-09-2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57183A (ko) * 2012-11-02 2014-05-12 크루셜텍 (주) 다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JP6278593B2 (ja) 2012-11-14 2018-02-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2141044B1 (ko) * 2012-12-03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KR102027555B1 (ko) * 2012-12-0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4009571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20140101274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US9891662B2 (en) * 2013-03-04 2018-02-13 Lg Electronics Inc. Double unlocking apparatus of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54742B2 (en) * 2013-04-1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KR102113674B1 (ko) * 2013-06-10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터치를 이용한 객체 선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3691467U (zh) * 2014-02-11 2014-07-02 马涛 一种无边框手机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2265A1 (en) * 2009-01-09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folda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20130222271A1 (en) * 2012-02-28 2013-08-2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40218321A1 (en) * 2013-02-01 2014-08-07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247252A1 (en) * 2013-03-04 2014-09-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48A1 (ko) * 2021-06-08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1431A (zh) 2017-08-29
CN107113389B (zh) 2020-11-20
KR20160080049A (ko) 2016-07-07
CN107113389A (zh) 2017-08-29
KR101580300B1 (ko) 2015-12-24
KR102157267B1 (ko) 2020-09-17
EP3241346A4 (en) 2017-11-08
KR20160080034A (ko) 2016-07-07
EP3890285A1 (en) 2021-10-06
KR101515620B1 (ko) 2015-05-04
EP3241346B1 (en) 2021-06-30
CN107111431B (zh) 2020-12-11
KR101518280B1 (ko) 2015-05-08
KR20160080048A (ko) 2016-07-07
EP3241346A1 (en) 2017-11-08
KR101515630B1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702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144095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843598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03506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80376099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2016023188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3285133B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30110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tem list and cursor
CN105763921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KR10218536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269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